맨위로가기

숙정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정문은 조선 시대에 한양 도성의 북쪽에 위치했던 성문으로, 1396년에 다른 성문들과 함께 건립되었다. '엄숙하게 다스리는 문'이라는 뜻을 지니며, 풍수지리적 이유로 한동안 폐쇄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훼손되지 않고 보존되었으며, 1963년 서울 성곽에 포함되어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 1968년 이후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었다가, 2006년에 주변 탐방로와 함께 다시 개방되었다. 현재의 목조 누각은 1976년에 복원되었으며, 현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6년 완공된 건축물 - 소의문
    소의문은 조선 시대 한성부의 서소문으로, 1396년에 세워져 소덕문으로 불리다가 영조 때 소의문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14년 철거되어 현재는 표석만 남아 있다.
  • 1396년 완공된 건축물 - 사대문
    사대문은 조선 시대 한양도성의 주요 출입문 네 곳인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을 일컫는 말로, 숭례문은 국보 제1호이며 흥인지문은 옹성을 갖춘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돈의문은 철거 후 복원 논의 중이며 숙정문은 복원되어 북악산 탐방로와 연결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성문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성문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 한양도성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 한양도성 - 숭례문
    숭례문은 1398년에 완공된 조선 시대 서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며,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으나 방화 사건으로 훼손되어 복구되었고, 다양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숙정문
기본 정보
숙정문 정면, 북쪽에서 바라본 모습, 2012년 6월
숙정문, 정문, 북쪽에서 바라본 모습 (2012년 6월)
한글숙정문
한자肅靖門
로마자 표기Sukjeongmun
다른 이름북대문 (北大門)
유형 문화재 정보
소재 국가대한민국
유형사적
이름서울 숙정문 (서울 肅靖門)
지정 번호10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산 25-22
제작 시기조선 초기
지정 연월일1963년 1월 21일

2. 이름 유래

원래 이름은 '''숙청문'''(肅淸門)으로, 도성 북쪽에 있는 대문이라 하여 북대문, 북문, 북청문 등으로도 불렸다. 이후 맑을 청(淸) 자에서 삼수변(氵)을 설 립(立) 자로 대체한 꾀할 정(靖) 자로 표기가 바뀌어, '''숙정문'''(肅靖門)이라는 표기가 처음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1523년(중종 18)이다.[6] 숙청문이라는 표현은 1703년을 마지막으로 더는 나타나지 않는다.[6]

숙정문은 숭례문(남대문)과 대비되는 북대문으로 '엄숙하게 다스린다'는 뜻이다.[3][6] 이 문은 정월대보름 전 세 번 놀러오면 액운이 사라진다는 속설이 있어 여인들이 자주 찾았으며, 덩달아 사람들의 발길이 많아졌다고 한다.[6] 16세기 초에 현재 이름(肅靖門)으로 변경되었다.[2]

3. 역사

1396년(태조 5년) 숙정문이 처음 건설될 당시에는 숙청문(肅淸門)으로 불렸으나, 16세기 초 현재의 이름(肅靖門)으로 바뀌었다.[2] 경복궁과 매우 가까워 방문객을 맞이하는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의례적인 기능을 주로 담당했다. 숙정문 위에 있던 원래의 나무 문루는 화재로 소실되었고, 현재의 문루는 1976년에 복원된 것이다. 숙정문이라는 이름은 문자 그대로 "엄숙하게 다스리는 문"을 의미한다.[3]

3. 1. 조선 시대

1396년(태조 5년)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지어졌다.[7] 그러나 17년 후인 1413년(태종 13년)에는 경복궁의 지맥을 보전해야 한다는 풍수학자 최양선(崔揚善)의 상소로 창의문과 함께 폐쇄되고 길에 소나무를 심어 통행을 금지하였는데,[8] 이러한 사실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잘 나타난다. 풍수지리적으로 깊은 산 속 음방(陰方)에 있기에 이를 열어두는 것이 도성내 아녀자들의 풍속을 음란하게 한다는 믿음도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나타난다.[9] 1504년(연산군 10년)에는 숙정문을 없애고 오른쪽에 새로 문을 세우라고 명하였으나,[10] 실제로 문을 옮겼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11]

15세기 초 폐쇄된 숙정문은 국가적으로 특별히 이용해야 할 이유가 있지 않을 때를 제외하고는 이후 조선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정조대에 방어는 훈련도감이 담당하였는데, 그 체계는 정문이 아닌 간문의 것을 따랐다. 문루가 무너진 후에도 새로 문루를 조성하지 않고 문짝만 보존하였다.

3. 2. 일제강점기 및 대한민국

숙정문은 일제강점기에 전차 선로 부설로 인한 성곽 훼철 때, 산 속에 위치하여 피해를 입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까지 양쪽 성곽이 온전히 보존된 유일한 문으로 남아있다. 1963년 1월 21일 서울성곽에 포함되어 사적 제10호로 지정되었다.[12] 1968년 1·21 사태 이후 청와대 경비를 위해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다가, 2006년 4월 1일 인근의 성곽 탐방로 1.1km 구간과 함께 다시 일반에 개방하였다.[13] 지금의 숙정문 목조 누각은 1976년에 복원한 것이며,[14] 현판의 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것이다.

1968년 1·21 사태 당시 북한 공작원의 침투 이후, 숙정문과 주변 지역은 보안상의 이유로 폐쇄되었다가 2007년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4]

4. 기능

숙정문은 통행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국가적인 공역에 특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다. 북쪽은 풍수지리적으로 음의 기운과 물의 기운이 있고 남쪽은 양의 기운과 불의 기운이 있는 까닭에, 기우제나 그에 대비되는 기청제를 지낼 때 동원되었다. 《문헌통고》에 "기우를 할 때에는 남문을 닫고 북문을 연다"고 적혀있는데, 1474년 예조에서 올린 기우요건에도 동일한 절차가 포함되었으며 1704년 정립된 기우제의 12개 절차 중 11번째 절차로서 포함되었다.[15]

5. 보존

1968년 청와대 습격 사건 당시 북한 공작원의 침투 이후, 숙정문과 주변 지역은 보안상의 이유로 폐쇄되었다. 2007년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4]

6. 사진


  • -|]]
  • -|]]

참조

[1] 웹사이트 Sukjeongmun Gate The North Gate http://www.theseoulg[...] 2014-12-01
[2] 웹사이트 Sukjeongmun Gate http://english.visit[...] Visit Korea
[3] 웹사이트 The Gates and Walls of Seoul http://www.koreaawar[...] Korean News Today
[4] 웹사이트 Sukjeongmun Gate http://english.visit[...] Visit Korea
[5] 문서
[6] 뉴스 한양도성 창의문~혜화문 http://www.outdoorne[...] outdoor 2014-12-01
[7] 문서 http://sillok.histor[...]
[8] 문서 http://sillok.histor[...]
[9] 웹인용 여기는 서울의 최고 전망대! 한양도성 ‘순성놀이’(下) https://www.pressian[...] 2023-10-03
[10] 문서 http://sillok.histor[...]
[11] 서적 순성의 즐거움 효형출판 2010
[12] 뉴스 자하문 26년만에 일반공개 http://newslibrary.n[...] 2015-11-22
[13] 뉴스 ’서울이 품 안 가득’ 미리 가 본 북악산 홍련사∼창의문 https://news.naver.c[...] 2015-11-22
[14] 뉴스 삼청지구성곽·숙정문복원 http://newslibrary.n[...] 2015-11-22
[15] 문서 한양도성박물관 전시자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