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보군은 조선 정종의 서자이자 9남으로, 숙의 윤씨를 어머니로 두었다. 그는 청렴하고 학문에 능통하여 '대문장가'로 불렸으나, 관직에는 뜻이 없어 은거했다. 1427년과 1436년 간통, 국기 중 음주가무, 왕명 불복종 등의 비행으로 유배되었으며, 사헌부의 처벌 요구에도 세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872년 고종 때 석보군으로 추증되었다.

2. 생애

조선 제 2대 정종의 서자이자, 9남으로 생모는 숙의 윤씨(淑儀尹氏)인 해평 윤씨(海平尹氏)이다. 정부인으로는 학성군부인 원주 김씨(鶴城郡夫人 原州金氏)이 있다. 자녀로는 정부인 김씨가 낳은 장남 연산부정(燕山副正)와 차남 인양부정 정(仁陽副正 整), 3남 곡성군 금손(鵠城君 金孫) 장녀 이씨와 차녀 이씨, 3녀 이씨, 4녀 이씨, 5녀 이씨가 있다. 본성이 청렴검소하고 효성과 우애가 돈독하며 학문에 통달하여 ‘대문장가’라 일컬었다. 그러나 관직에는 뜻이 없어서 늘 산간에 은거하고 세상 일에 관여치 않았다.[1]

1427년(세종 9년) 이복생은 약계춘, 보금 등과 간통하였으며, 태종의 국기(國忌)때에 광대들을 모아놓고 노래하고 춤추고 술마신 일과 효령대군과 관계한 약계춘, 의성군과 관계한 보금등과 간통하였고 음란한 짓을 일삼아 세종이 매우 미워하였고 원주로 유배되었다.[2]

1436년(세종 18년) 왕에게 거짓보고 하여 해주온정에 목욕한다고 아뢰고는 아버지인 정종의 기신(忌辰)에 기생이 있는 춘천에 가서 순평군(順平君)이라 사칭하고, 여러 날 동안 유숙하면서 매를 놓아 사냥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왕명에 의해 직첩을 회수당하고 외방에 귀양보내졌다.[3] 사헌부에서 다시한번 왕을 능멸한 죄를 물어 대죄로 다스리기를 청하였으나 세종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1872년(고종 9년) 석보정에서 석보군으로 추증되었다.

2. 1. 출생 및 가계

정종의 서자이자 9남으로, 생모는 해평 윤씨(海平尹氏) 숙의 윤씨(淑儀尹氏)이다.[1] 정부인은 학성군부인 원주 김씨이다.[1] 정부인 김씨와의 사이에서 연산부정(燕山副正), 인양부정 정(仁陽副正 整), 곡성군 금손(鵠城君 金孫) 등 3남과 다섯 딸을 두었다.[1] 본성은 청렴하고 검소하며 효성과 우애가 깊고 학문에 정통하여 '대문장가'로 불렸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산에 은거하며 세상 일에 관여하지 않았다.[1]

1436년(세종 18년)에는 왕에게 거짓으로 해주온정에 목욕한다고 보고하고는, 아버지 정종의 기신(忌辰)에 기생이 있는 춘천에 가서 순평군이라 사칭하고 며칠간 묵으며 매사냥을 하는 등의 행동을 하여 왕명에 의해 직첩을 회수당하고 외방에 귀양 보내졌다.[3] 사헌부에서 왕을 능멸한 죄로 대죄로 다스릴 것을 청하였으나 세종이 윤허하지 않았다.

1872년(고종 9년) 석보군으로 추증되었다.

2. 2. 주요 행적

석보군은 조선 정종의 서자이자 9남으로, 생모는 숙의 윤씨이다. 본성은 청렴하고 검소하며 효성과 우애가 깊었고, 학문에 능통하여 '대문장가'로 칭송받았으나, 관직에는 뜻이 없어 산간에 은거하며 세상 일에 관여하지 않았다.[1]

1427년(세종 9년) 간통, 국기(國忌) 중 음주가무 등의 비행으로 원주에 유배되었다.[2] 1436년(세종 18년)에는 왕에게 거짓 보고를 하고, 부친의 기신(忌辰)에 기생이 있는 춘천에서 사냥을 하는 등 왕명을 어기고 직첩을 회수당하고 외방에 귀양 보내졌다.[3] 사헌부에서 왕을 능멸한 죄를 물어 대죄로 다스리기를 청하였으나, 세종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1872년(고종 9년) 석보군으로 추증되었다.

2. 3. 평가

석보군은 본성이 청렴하고 검소하며 효성과 우애가 돈독하고 학문에 통달하여 '대문장가'라는 칭송을 받았다.[1] 그러나 관직에는 뜻이 없어 산간에 은거하며 세상 일에 관여하지 않았다.[1]

하지만, 여러 차례 비행을 저질러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1427년(세종 9년)에는 이복생이 약계춘, 보금 등과 간통하고, 태종의 국기(國忌)에 광대들을 모아 노래하고 춤추며 술을 마시는 등 음란한 행동으로 세종의 미움을 사 원주로 유배되었다.[2] 1436년(세종 18년)에는 왕에게 거짓 보고를 하고 정종의 기신(忌辰)에 기생이 있는 춘천에 가서 순평군이라 사칭하며 사냥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직첩을 회수당하고 외방에 귀양 보내졌다.[3] 사헌부는 왕을 능멸한 죄를 물어 대죄로 다스릴 것을 청하였으나 세종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러한 비행들은 왕실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유교적 윤리에 어긋나는 행위로 비판받았다.

3. 가계


  • 부 : 조선 제 2대 정종
  • 생모 : 숙의 윤씨(淑儀尹氏)
  • * 형 : 수도군 덕생(守道君 德生)
  • * 형 : 임언군 녹생(林堰君 祿生)
  • * 남동생 : 장천군 보생(長川君 普生)
  • * 여동생 : 인천옹주(仁川翁主), 하가 행부사 이관식(行府使 李寬植)
  • 정부인 : 학성군부인 원주 김씨(鶴城郡夫人 原州金氏) - 대경공(戴敬公) 김연지(金連枝)의 딸
  • * 장남 : 연산부정 이래(燕山副正 李勑)
  • * 며느리 : 전주 최씨 - 부사(府使) 최구(崔昫)의 딸
  • * 며느리 : 강릉 김씨 - 김근(金瑾)의 딸

< 모친 알수없음 >

  • ** 손자 : 수산수 이기(守山守 李驥)
  • ** 손자 : 지평수 이린(砥平守 李驎)
  • ** 손녀 : 창원 황씨 부사(府使) 황종신(黃從信)에게 출가
  • * (첩)며느리 : 양민 출신
  • ** 서손자 : 사천령 이연동(蛇川令 李燕仝)
  • * 차남 : 인양부정 이정(仁陽副正 李整)
  • ** 손녀 : 호군(護軍) 김숭효(金崇孝)에게 출가
  • ** 손녀 : 영양 남씨 첨사(僉使) 남팔준(南八俊)에게 출가
  • ** 손녀 : 순창 설씨 설수종(薛守宗)에게 출가
  • * (첩)며느리 : 양민 출신
  • ** 서손자 : 괴산부정 이수형(槐山副守 李壽亨)
  • ** 서손자 : 안읍부수 이수리(安邑副守 李壽利)
  • ** 서손자 : 보령부수 이수정(保寧副守 李壽貞)
  • * (첩)며느리 : 노비 출신
  • ** 서손자 : 금주령 이수견(金州令 李壽堅)
  • * 3남 : 곡성군 이금손(鵠城君 李金孫) - 이복 남동생임성군의 양자로 출계
  • * 장녀 : 창녕 성씨 성숙(成淑)에게 출가
  • ** 외손자 : 성맹온(成孟溫)
  • * 차녀 : 여산 송씨 송계장(宋季璋)에게 출가
  • ** 외손자 : 송시창(宋嗣昌)
  • ** 외손녀 : 여흥 민씨 민흥림(閔興霖)에게 출가
  • * 3녀 : 남양 홍씨 홍맹손(洪孟孫)에게 출가
  • ** 외손자 : 홍주(洪澍)
  • ** 외손자 : 홍관(洪灌)
  • ** 외손자 : 홍장(洪漳)
  • ** 외손자 : 홍담(洪潭)
  • ** 외손녀 : 최한원(崔漢源)에게 출가
  • ** 외손녀 : 전의 이씨 이두(李杜)에게 출가
  • ** 외손녀 : 남평 문씨 문귀손(文貴孫)에게 출가
  • * 4녀 : 손효장(孫孝章)에게 출가(出嫁)
  • * 5녀 : 진주 정씨 정윤서(鄭允諝)에게 출가
  • ** 외손자 : 정효순(鄭孝純)

3. 1. 본가 및 친가

조선 제2대 임금 정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숙의 윤씨(淑儀 尹氏)이다. 수도군 덕생(守道君 德生), 임언군 녹생(林堰君 祿生)의 친동생이며, 장천군 보생(長川君 普生)의 친형이다. 또한 인천옹주는 친누이동생이다. 부인은 학성군부인 원주 김씨(鶴城郡夫人 原州金氏)이다.

부인자녀비고
원주 김씨장남 연산부정 이래(燕山副正 李勑)
원주 김씨차남 인양부정 이정(仁陽副正 李整)
원주 김씨3남 곡성군 이금손(鵠城君 李金孫)이복 남동생임성군의 양자로 출계
원주 김씨장녀창녕 성씨 성숙(成淑)에게 출가
원주 김씨차녀여산 송씨 송계장(宋季璋)에게 출가
원주 김씨3녀남양 홍씨 홍맹손(洪孟孫)에게 출가
원주 김씨4녀손효장(孫孝章)에게 출가
원주 김씨5녀진주 정씨 정윤서(鄭允諝)에게 출가



첩에게서 얻은 자녀를 포함하여 아들 셋, 딸 다섯을 두었다.

3. 2. 배우자 및 자녀

정부인: 학성군부인 원주 김씨(鶴城郡夫人 原州金氏) - 김연지(金連枝)의 딸

  • 장남: 연산부정 이래(燕山副正 李勑)
  • * 며느리: 전주 최씨 - 부사(府使) 최구(崔昫)의 딸
  • * 며느리: 강릉 김씨 - 김근(金瑾)의 딸
  • 차남: 인양부정 이정(仁陽副正 李整)
  • 3남: 곡성군 이금손(鵠城君 李金孫) - 이복 남동생임성군의 양자로 출계
  • 장녀: 창녕 성씨 성숙(成淑)에게 출가
  • 차녀: 여산 송씨 송계장(宋季璋)에게 출가
  • 3녀: 남양 홍씨 홍맹손(洪孟孫)에게 출가
  • 4녀: 손효장(孫孝章)에게 출가(出嫁)
  • 5녀: 진주 정씨 정윤서(鄭允諝)에게 출가

4. 관련 문화재

괴산 석보군 묘각은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16호이고, 정혜공 사우와 하마비는 진도군 향토문화유산 제22호이다.

참조

[1] 웹인용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석보군 http://people.aks.ac[...] 2012-01-29
[2] 서적 세종실록 1427-05-09
[3] 서적 세종실록 1436-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