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대공원은 1909년 일제가 창경궁을 유원지로 개조하여 창경원으로 개원한 것이 시초이며, 1984년 현재의 과천시로 이전하여 동물원, 식물원, 서울랜드, 국립현대미술관을 갖춘 종합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 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동물들의 탈출, 사육사 사망, 동물 집단 폐사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2013년에는 불법 포획된 돌고래 제돌이를 방류하기도 했다. 현재 서울특별시에서 동물원과 식물원을 운영하며, 서울랜드는 민간 위탁 방식으로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식물원 - 여미지식물원
1989년 개원한 여미지식물원은 서귀포시에 위치하며 한때 동양 최대 온실로 인정받고 환경부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지정되었으나,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 서울시 관리, 이후 부국개발에 인수되었다. - 대한민국의 식물원 - 서울식물원
서울식물원은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에 따라 설치되어 식물 자료의 수집, 보존, 연구, 전시 및 교육 등의 사무를 수행하는 식물원으로, 기획운영과, 식물연구과, 전시교육과를 두고 있으며 입장료는 성인 5000원, 청소년 3000원, 어린이 2000원이다. - 대한민국의 동물원 - 에버랜드 리조트
에버랜드 리조트는 에버랜드와 캐리비안 베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테마 시설과 볼거리를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시설이다. - 대한민국의 동물원 - 에버랜드
1976년 용인자연농원으로 개장하여 1996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뀐 에버랜드는 다양한 놀이기구, 동물원, 식음시설, 그리고 캐리비안 베이와 T 익스프레스 등의 대표적인 시설을 갖춘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테마파크이다. - 경기도의 공원 - 서울랜드
서울랜드는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 내에 위치한 놀이공원으로, 롤러코스터, 범퍼카 등 다양한 놀이기구와 라바와 같은 인기 캐릭터를 테마로 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서울대공원과 연계하여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접근 가능하다. - 경기도의 공원 - 관악산
관악산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있는 높이 629m의 산으로, 험준한 봉우리와 기암절벽, 깊은 계곡으로 유명하며 효령대군과 관련된 연주대와 연주암이 있고,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해 있다.
서울대공원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울대공원 |
한자 | 서울大公園 |
로마자 표기 | Seoul Dae Gongwon |
다른 이름 | 과천서울대공원 |
다른 이름 (한자) | 果川서울大公園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 | Gwacheon Seoul Daegongwon |
위치 | 경기도 과천시 막계동 |
설립일 | 1984년 |
웹사이트 | 서울대공원 공식 웹사이트 |
면적 | 9,132,690m² |
시설 정보 | |
분류 | 종합 공원 |
주차장 | 있음 |
장애인 편의시설 | 휠체어 대응 화장실 휠체어 대여 |
이미지 | |
![]() |
2. 역사
1909년 일제가 창경궁을 유원지로 만들면서 창경원이 시작되었다. 창경원은 일본식 정원, 동물원, 식물원, 벚꽃거리 등으로 서울시민들의 휴식처로 사랑받았지만, 1977년 고궁 복원 계획에 따라 1978년 현재 위치에 착공하여 1984년 5월 1일 서울대공원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37][38][39] 2009년 5월 1일에는 개원 100주년을 맞아 동물원 명칭을 '서울동물원'으로 변경했다.
서울동물원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본의 명령으로 동물들이 독살당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6] 1945년 독립 이후 한국 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동물원은 사람들의 기증과 외국 동물원들의 도움으로 다시 동물들을 채울 수 있었다.[7]
서울대공원은 개원 이후 여러 사건, 사고를 겪기도 했다.
발생일 | 사건/사고 내용 |
---|---|
1987년 7월 27일 |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맹수 사육장 부근에서 코요테 두 마리가 탈출했다가 포획, 재규어 한 마리는 청계산에서 사살[8][9] |
2010년 12월 6일 | 말레이시아 태양곰 꼬마가 탈출했다가 9일 만인 12월 15일에 포획[10][11][12][13][14][15][16] |
2012년 8월 5일 | 수컷 흰 코뿔소 코돌이가 내실에서 탈출했다가 심장마비로 사망[17] |
2013년 | 불법 포획된 큰돌고래 제돌이를 포함한 여러 돌고래들이 제주도로 이동하여 야생 방류[19] |
2013년 11월 24일 | 사육사가 시베리아 호랑이 로스토프에게 물려 사망[23] |
2018년 8월 19일 | 서울대공원 주차장 인근 청계산 등산로에서 살인 피해자 시신이 훼손된 채 발견[24][25] |
2021년~2022년 | 남미관 소결핵 발생으로 야외 방사장 모든 동물 안락사, 1년간 은폐[26] |
2. 1. 서울대공원

1909년 일제가 창경궁의 용도를 유원지로 전환하면서 창경원이 세워졌다. 창경원의 건물 일부가 철거되는 대신 일본식 정원, 동물원, 식물원, 벚꽃거리 등이 들어서면서 서울시민들의 휴양지로 각광받았다. 그러나 고궁 복원을 위해 1977년 2월 '남서울대공원'이라는 이름으로 대규모 공원을 조성하여 창경원의 동물을 옮기는 계획이 발표되었다.[37] 1978년 서울시가 현재 위치에 착공하여 1984년 5월 1일에 개원하였다.[38][39] 서울대공원 내의 동물원은 2009년 5월 1일부터 개원 100주년을 맞아 '''서울동물원'''(서울動物園, Seoul Zoo)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09년 일본이 창경궁을 허물고 만든 동물원과 식물원이 1984년 창경궁 복원을 위해 시흥군 과천면(현재의 과천시)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1984년 한국 국민을 위한 종합 레저 시설인 서울대공원이 개원했으며(식물원은 1985년 개원), 1998년 영화 미술관 옆 동물원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2010년 3월 9일에는 세계 최초로 OLEV 방식의 전기버스(코끼리 열차)가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36]
2. 2. 연혁
- 1909년 11월 1일, 일제가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격하시켜 개원하였다.[1] 당시 시베리아 호랑이, 캥거루, 타조, 낙타, 오랑우탄 등 여러 동물들을 전시했다.[34] 일본은 또한 식물원과 박물관을 건립했다.[5]
- 1945년 광복 이후, 그리고 1950~53년 한국 전쟁의 혼란과 파괴 이후, 동물원은 부유한 한국인들과 외국 동물원들의 기증을 통해 다시 동물들을 채웠다.[7]
- 1978년 10월 30일 기공
- 1984년 5월 1일 동물원 개원[35]
- 1985년 5월 1일 식물원 개원
- 1985년 7월 5일 복돌이동산 개원
- 1986년 8월 25일 국립현대미술관 개관
- 1986년 11월 23일 청소년 수련장 개장
- 1988년 5월 11일 서울랜드 개장
- 1991년 7월 12일 리프트카 운행 개시
- 1992년 12월 1일 동, 식물표본 전시관 개관
- 1994년 3월 21일 도시자연공원 → 근린공원 변경
- 1994년 7월 9일 산림욕장 개장
- 2000년 10월 14일 한국정보문화센터 정보나라 개장
- 1987년 7월 27일,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맹수 사육장 부근에서 코요테 두 마리가 탈출했다가 포획되었고, 재규어 한 마리가 탈출하여 청계산에서 사살되었다.[8][9]
- 2010년 12월 6일, 말레이시아 태양곰 '꼬마'가 탈출했다가 9일 만인 12월 15일에 함정에 걸려 포획되었다.[10][11][12][13][14][15][16]
- 2012년 8월 5일, 수컷 흰 코뿔소 '코돌이'가 내실에서 탈출했다가 심장마비로 죽었다.[17]
- 2013년, 불법 포획된 큰돌고래 '제돌이'를 포함한 여러 돌고래들이 제주도로 이동하여 야생 방류되었다.[19] 이 과정을 담은 논픽션 《잘있어, 생선은 고마웠어》가 2017년 5월 15일에 출판되었다.[20]
- 2013년 11월 24일, 사육사가 시베리아 호랑이 '로스토프'에게 물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3]
- 2018년 8월 19일, 서울대공원 주차장 인근 청계산 등산로에서 살인 피해자의 시신이 훼손된 채 발견되었다.[24][25]
-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남미관에서 발생한 소결핵으로 인해 야외 방사장의 모든 동물이 안락사되었으며, 이 사실은 1년간 은폐되었다.[26]
3. 시설
서울대공원은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1909년 일본이 창경궁을 허물고 만든 동물원과 식물원이 시초인 대한민국 최초의 동물원 서울동물원[3]은 1984년 창경궁 복원 사업으로 인해 현재의 경기도 과천시 위치로 이전하였다. 242만 제곱미터가 넘는 한국 최대 규모의 동물원으로, 330종이 넘는 3,000마리 이상의 동물을 보유하여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동물원이다.[4] 1998년에는 미술관 옆 동물원의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1985년 5월 1일 개원한 식물원[36]은 총 1,262종 31,533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다. 식물원 역시 1909년 일본이 창경궁에 만든 것이 시초이며, 1984년 창경궁 복원과 함께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36]
1988년 서울 올림픽 직전인 1987년에 개장한 놀이공원 서울랜드[36]는 약 40개의 놀이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연간 약 300만~350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
국립현대미술관은 1969년 경복궁에서 처음 설립되었으나, 1973년 덕수궁으로 이전하였고, 과천관은 1986년에 개관하였다.
3. 1. 서울동물원
서울동물원(서울動物園한국어)은 대한민국 최초의 동물원이다.[3] 1909년 일본이 창경궁을 허물고 만든 동물원과 식물원이 그 시초이며, 1984년 창경궁 복원 사업으로 인해 현재의 경기도 과천시 위치로 이전하였다.서울동물원은 동물 연구와 동물과 인간의 공존을 통해 행복을 증진시키겠다는 이념을 가지고 있다. 1998년에는 미술관 옆 동물원의 배경이 되었으며, 2010년 3월 9일에는 세계 최초로 OLEV 방식의 전기버스(코끼리 열차)가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36]
서울대공원은 242만 제곱미터가 넘는 면적으로 한국 최대 규모의 동물원 중 하나이며, 한국인들에게 보전에 대한 깊이 있는 생각을 하도록 돕고있다. 또한 동물들에게 친환경 서식지를 조성하여 복지를 제공하고, 동물을 관찰하고 배우러 오는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제공하는 치유의 동물원이 되겠다고 약속한다.
1984년 5월 1일 개원 당시 서울동물원에는 한국의 천연기념물인 황새, 독수리, 반달가슴곰을 비롯하여, 아시아코끼리, 남부흰코뿔소, 기린, 피그미하마, 하마, 사자, 시베리아호랑이, 오랑우탄, 고릴라, 침팬지, 맨드릴, 뉴기니악어, 나무늘보 등 다양한 동물을 사육하였다.
3. 1. 1. 주요 전시 구역
1984년 5월 1일 개원한 서울동물원에는 296종 2,372마리의 동물이 사육되고 있다.국내에서 유일하게 줄무늬하이에나, 검은영양, 피그미하마, 맨드릴, 아시아물소, 푸른찌르레기, 화식조, 뉴기니악어, 말레이곰, 샤망, 안데스콘도르, 달마수리, 큰개미핥기, 물사슴, 아프리카흑따오기를 볼 수 있는 곳이다.[1]
서울동물원은 330종이 넘는 3,000마리 이상의 동물을 보유하여 세계에서 10번째로 큰 동물원이며, Species360과 세계동물원협회의 정회원이다.[4] 서울대공원 내에 위치하며 242만 제곱미터가 넘는 면적으로 한국 최대 규모의 동물원 중 하나이며, 동물 복지와 관람객에게 교육 및 관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서울동물원은 전 세계의 보전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멸종위기종인 긴꼬리 고랄과 서울개구리를 포함한 한국 고유 동물을 연구하는 종보전교육관을 운영하고 있다.[27]
주요 전시 구역은 다음과 같다.
- '''플라밍고 파빌리온(Flamingo Pavilion):''' 정문을 통해 입장하면 큰홍학, 작은홍학, 칠레홍학, 카리브홍학 등 4종의 플라밍고가 전시되어 있다.
- '''제1 아프리카관:''' 기린, 그랜트얼룩말, 타조, 오릭스, 페넥여우, 검은꼬리프레리도그 등이 전시되어 있다.[28] 과거 한국에서 유일한 워터벅이 있었으나 2019년 10월 3일 노령으로 사망했다.[29]
- '''제2 아프리카관:''' 하마, 바바리양, 달양, 미어캣, 피그미하마, 사바나영양 등이 전시되어 있다.[30] 과거 피그미하마 수컷 '하몽'과 영국 콜체스터 동물원에서 온 암컷 '나몽'이 있었으나, 하몽은 2020년에 죽었다.[31]
- '''제3 아프리카관:''' 사자, 치타, 얼룩하이에나, 사이블영양, 일반엘란드 등이 전시되어 있다.[30]
- '''영장류관(Ape Pavilion):''' 서부저지대고릴라, 침팬지, 보르네오 오랑우탄, 올리브개코원숭이, 하마드리아스개코원숭이, 맨드릴, 드브라자원숭이, 그리벳원숭이 등 다양한 영장류가 전시되어 있다.[30][32] 2023년 10월 30일부터 리모델링 공사 중이며 2023년 12월 재개관 예정이다.
- '''대형동물관:''' 앙골레 소, 아프리카 물소, 물소, 흰코뿔소, 아메리카 들소, 아시아코끼리 등이 전시되어 있다. 특히 암컷 아시아코끼리 4마리(사쿠라, 키마, 수겔라, 희망)가 있으며, 이들과 동물원의 오랜 역사를 보여준다.
- '''오스트레일리아관'''
3. 2. 식물원
1985년 5월 1일에 개원하였다. 식물은 총 1,262종 31,533본이 있다. 원래는 1909년 일본이 창경궁을 허물고 만든 동물원과 식물원이다. 1984년에 창경궁을 복원하기 위해 동물원과 식물원이 시흥군 과천면(현재의 과천시)으로 이전하게 되었다.[36]3. 3. 서울랜드
서울랜드는 1988년 서울 올림픽 직전인 1987년에 개장한 서울대공원 안의 놀이공원이다. 약 40개의 놀이기구가 있으며, 연간 약 300만~350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다.[36]3. 4.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대공원에 있는 미술관이다. 1969년 10월 20일 경복궁에 처음 설립되었으나, 1973년 덕수궁으로 이전하였다. 과천관은 1986년에 개관하였다.4. 운영과 관리
서울대공원의 동물원, 식물원의 운영과 관리는 서울특별시에서 하고 있으나 놀이시설인 서울랜드는 주식회사 서울랜드에서 하고 있다. 또한, 각 영역별로 입찰에 의한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되며 관리감독도 마찬가지로 주변영역별로 서울특별시, 과천시, 한국마사회, 국립현대미술관, 한국철도공사, 국방부 등이 나누어 하고 있다.[40]
2010년 1월 1일부터 만 6세 미만까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40]
5. 사건사고
서울동물원은 1909년 11월 1일 일본에 의해 창경궁(창경원)에 설립되었다.[1] 당시 시베리아 호랑이, 캥거루, 타조 등 여러 동물들이 전시되었다.[34]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일본의 명령으로 동물들이 독살되기도 했으나,[6] 살아남은 동물들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생존했다.[34]
1987년 7월 27일에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맹수 우리 일부가 파괴되고 코요테 두 마리가 탈출했다가 포획되었고, 재규어 한 마리가 탈출하여 청계산에서 사살되었다.[8][9]
2010년 12월 6일에는 말레이시아 태양곰 '꼬마'가 탈출하여 청계산 일대를 9일 동안 배회하다가 포획되었다.[10][11][14][15][16] 꼬마는 매점에서 간식, 컵라면, 양갱 등을 먹고 주스와 막걸리를 마신 것이 발견되기도 했다.[13]
2012년 8월 5일에는 수컷 흰 코뿔소 '코돌이'가 내실에서 탈출하여 사육사 부엌 등으로 들어갔다가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7]
2018년 8월 19일에는 서울대공원 주차장 인근 청계산 등산로에서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기도 했다.[24][25]
5. 1. 호랑이 사육사 습격
2013년 11월 24일 오전 10시 10분에 서울대공원에서 수컷 시베리아호랑이 로스토프(3세)가 실내 방사장 문을 열고 나와 사육사 심재열(52세)의 목을 물어 사육사가 사망하였다.[41]5. 2. 남방큰돌고래 방사
제거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2013년 남방큰돌고래 중 건강상태가 양호한 제돌이가 제주도 앞바다 자연으로 방사되었다.
5. 3. 우결핵으로 인한 남미관 동물 집단 안락사 및 은폐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남미관에서 발생한 우결핵으로 야외 방사장의 모든 동물(이 중 유일 보유종이었던 큰개미핥기, 아메리카테이퍼, 목도리페커리는 이 사건 이후로 국내에선 볼 수 없게 되었다.)을 안락사시키는 과정에서 1년 동안 과도한 공포를 막는다며 이 사실을 은폐한 것이 큰 논란이 되었다.[42]6. 교통
수도권 전철 4호선 대공원역에서 내려 도보로 5분 거리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eoul Zoo > About > Zoo history |Seoul Grand Park
https://grandpark.se[...]
2023-04-03
[2]
웹사이트
Guide > General information > Directions |Seoul Grand Park
https://grandpark.se[...]
2023-04-03
[3]
웹사이트
Seoul Zoo > About > About to Seoul Zoo |Seoul Grand Park
http://grandpark.seo[...]
2023-04-06
[4]
웹사이트
View Event :: Seoul Grand Park Zoo Tour - Camp Casey
https://casey.armymw[...]
2023-03-18
[5]
논문
창경궁박물관昌慶宮博物館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https://www.kci.go.k[...]
2023-04-03
[6]
뉴스
한밤중의 창경원 동물 독살사건
https://www.sciencet[...]
2008-12-25
[7]
서적
韓國動物園八十年史 : 昌慶苑 編 (한국 동물원 팔십년사: 창경원 편)
https://grandpark.s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3
[8]
서적
韓國動物園八十年史 : 서울大公園 全國動物園·水族館編 (한국 동물원 팔십년사: 서울대공원 전국 동물원·수족관편)
https://grandpark.s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3
[9]
뉴스
과천 서울대공원 탈출 재규어 사살[임정환]
https://imnews.imbc.[...]
1987-07-28
[10]
뉴스
[The Fountain] How to make Sero, the zebra, happy (KOR)
https://koreajoongan[...]
2023-03-29
[11]
뉴스
원숭이가 수박밭에서 음주를?…자유를 꿈꿨던 동물들의 동물원 탈출기
https://stv.seoul.co[...]
2020-12-04
[12]
뉴스
'탈출 곰' 아직 못 찾아‥민가로 수색 확대
https://imnews.imbc.[...]
2010-12-07
[13]
뉴스
탈주 곰, 배고팠나?…매점 털어 오랜만에 '포식'
https://imnews.imbc.[...]
2010-12-13
[14]
뉴스
Zoo helping Malaysian sun bear couple have baby
https://www.koreatim[...]
2014-08-01
[15]
뉴스
Zoo escapee Korean bear recaptured
https://www.bbc.com/[...]
2010-12-15
[16]
뉴스
말레이 곰 '꼬마' 9일 만에 청계산서에 포획
https://imnews.imbc.[...]
2010-12-15
[17]
뉴스
Seoul Zoo Reveals Rhino Died from Heart Attack
http://world.kbs.co.[...]
2013-12-02
[18]
뉴스
Seoul Zoo halts dolphin show over poaching controversy
https://en.yna.co.kr[...]
2012-03-12
[19]
뉴스
Dolphins returned to the wild
https://www.korea.ne[...]
2017-07-25
[20]
뉴스
[과학책방] 잘 있어 생선은 고마웠어 外 2권
https://science.ytn.[...]
2017-07-28
[21]
뉴스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o be released after 17 years
https://koreajoongan[...]
2022-08-03
[22]
웹사이트
Sampal, Chunsam, Boksun and the extraordinary whale facts that Woo Young Woo enlightened us with
https://haen.ai/p/wo[...]
2022-08-18
[23]
뉴스
What to do with 'killer tiger'
https://www.koreatim[...]
2014-02-14
[24]
뉴스
Suspect in brutal murder caught
https://koreatimes.c[...]
2018-08-21
[25]
뉴스
Suspect nabbed in mutilation murder
https://www.koreaher[...]
2018-08-21
[26]
뉴스
[단독]우결핵 '쉬쉬'…서울대공원 희귀동물 집단 안락사
https://news.sbs.co.[...]
2022-09-30
[27]
웹사이트
Seoul Grand Park
https://grandpark.se[...]
2023-10-28
[28]
웹사이트
Seoul Grand Park
https://grandpark.se[...]
2023-10-28
[29]
웹사이트
"하마, 워터벅, 올빼미야…고맙고 미안해"
https://m.khan.co.kr[...]
2019-11-01
[30]
웹사이트
서울대공원
https://grandpark.se[...]
2023-10-29
[31]
웹사이트
영국에서 온 피그미하마, '나몽이'의 서울동물원 적응기
https://blog.naver.c[...]
2023-10-29
[32]
웹사이트
서울대공원, 세계 최고층 '침팬지 타워' 공개
https://news.kbs.co.[...]
2023-11-18
[33]
영상미디어
아기공룡둘리 1기💫💚| 2화 대공원소동| 19871007KBS방송 #만화동산#둘리
https://www.youtube.[...]
옛날티비 : KBS Archive
2022-05-11
[34]
뉴스
Cleaning up the zoos
https://koreajoongan[...]
2010-10-02
[35]
웹사이트
Grand Park > Organization information > About Seoul Grand Park |Seoul Grand Park
https://grandpark.se[...]
2010-10-02
[36]
뉴스
「充電する道路」を利用した交通システム、試験運行開始 韓国
https://www.afpbb.co[...]
AFPBB News
[37]
신문기사
서울 近郊에 자리잡을 매머드 南서울大公園
동아일보
1977-02-10
[38]
신문기사
서울大公園起工
경향신문
1978-10-30
[39]
신문기사
서울대공원 개원
동아일보
1984-05-01
[40]
뉴스
서울대공원 무료입장 내년부터 만4→6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12-21
[41]
뉴스인용
호랑이에 물린 서울대공원 사육사 끝내 숨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12-08
[42]
뉴스인용
우결핵 '쉬쉬'…서울대공원 희귀동물 집단 안락사
https://www.youtube.[...]
SBS뉴스
2022-09-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강 서울함공원에서 물놀이…서울대공원에선 산림치유
[화보] 특식이 필요해…서울대공원의 여름나기
호랑이도 놀랄 맛 ‘얼음 케이크’···서울대공원 동물들의 폭염 보양식
[케이블·위성 하이라이트]2025년 7월 30일
호우에 서대문 증산교 하부도로 양방향 통제…성북구 침수예보
"죽음 직전 구조" 양양서 발견된 아기 물범 다시 바다로
탈진 상태로 발견된 점박이물범의 귀향···3개월 치료 끝에 다시 동해로
안녕~ 점박이물범…고향 바다로 돌아가
서울대공원, 산양 3마리 야생생물보전원 이동···교류로 종보전 지속
호반그룹, 가정의 달 맞아 서울대공원 플로깅·가족 초청행사 진행
[단독] '천연기념물' 11마리 줄폐사…서울대공원서 또 무슨 일 | JTBC 뉴스
행안부, ‘풍산개 파양 논란’ 대통령기록물법 3년간 방치
윤석열이 받은 투르크 국견 사육비 670만원, 서울대공원이 부담
"윤석열 투르크 국견 연 사육비 670만 원 지자체서 부담…개선책 시급"
윤석열 ‘국견’ 사육비, 서울대공원이 냈다
윤석열이 받은 ‘투르크’ 국견 2마리···사육비는 서울대공원이?
헤어진 여성 살해하고, 경찰과 4시간 대치하다 붙잡힌 50대 구속
사실혼 여성 살해 뒤 경찰특공대에 제압된 50대 남성 구속
경찰과 4시간 대치하다 체포된 살인범, 취재진 질문에 '침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