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비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다. 동호의 유민인 선비족이 사용했으며, 오환어, 고막해어, 토욕혼어, 거란어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탁발부 언어가 몽골어 계통이라는 증거가 유력하며, 거란어와 몽골어의 어휘와 유사성을 보인다. 선비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며, 유연어, 오환어, 탁발선비어, 모용선비어, 토욕혼어, 실위어, 거란어 등이 선비어의 방언으로 여겨진다. 수서에는 선비어로 번역된 한문 서적의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최근 토욕혼 묘지명에서 거란대자와 유사한 문자가 발견되어 토욕혼문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비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선비몽골어족 - 토욕혼어
    토욕혼어는 선비오환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몽골어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나 몽골조어의 직계 후손은 아니고,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등의 음운 체계를 가지며 모음 조화 현상이 존재했던 멸망한 언어이다.
  • 아시아의 미분류 언어 - 유연어
    유연어는 ‘l’ 발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와 ‘-nd’ 형태의 복자음, 여성형 접미사 ‘-tu-’를 사용하는 특징적인 음운 및 어형론적 구조를 가진 언어이다.
  • 아시아의 미분류 언어 - 가야어
    가야어는 고대 가야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로, 삼국지 동이전에 변한의 언어로 기록되었으며, 일본어족과의 연관성이 추정되지만,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계통과 특징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선비어
언어 정보
이름선비어
사용 국가선비
사용 지역중국 북부, 내몽골, 몽골고원, 만주 서부
사멸 시기7세기 중기
어족몽골어족? 고대 튀르크어족?
ISO 3 코드(없음)
추가 정보
사멸 시기 (다른 추정)약 10세기 중반 ~ 13세기 후반
문자불명
관련 연구白鳥庫吉 (시라토리 구라키치), "東胡民族考" (史學雜誌, 1911-1912년, 第21—24期, 日本东京)
姚薇元 (야오웨이위안), 《北朝胡姓考》(과학출판사, 1958년, 중국 베이징, 第60页)
聂鸿音 (니에홍인), "鲜卑语言解读述论" (民族研究, 2001년, 第1期, 中国北京, 第63—70页)
方壮猷 (팡좡유), "鲜卑语言考" (燕京学报, 第8期, 中国北平, 第1429—1468页, 1930년 8월)

2. 귀속

선비어는 보통 몽골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0] 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선비족동호(東胡)의 유민이며, 동호어는 오환어(烏桓語)에 가깝고, 오환어는 선비어에 가깝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고막해어(庫莫奚語)는 토욕혼어(吐谷渾語)에 가깝고, 토욕혼어는 거란어(契丹語)에 가깝고, 거란어는 몽골어에 가깝다고 기록되어 있다.[11]

최근 탁발부 언어가 몽골어계라는 설의 증거가 매우 유력하다.[12] 예를 들어, 중국 문헌에 음역된 탁발부 언어와 거란문자(契丹文字)로 해독된 거란어(契丹語)의 어휘는 상당히 비슷하며, 모두 몽골어와 매우 가깝다. '개[狗]'를 뜻하는 탁발어는 '''*ɲaqan''', 거란어는 '''*ɲaq''', 몽골어 문어는 '''noqai'''이다. '말하다[云]'는 탁발어로 '''*eulen''', 거란어로 '''*eul''', 몽골어 문어는 '''egüle-n'''이다.[13]

선비어는 같은 동호어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여겨지는 오환어와 같았다고 전해진다.[1]

선비어의 계통에 대해, 예전부터 몽골어 계통[2]튀르크어 계통[3]이 있었지만, 최근 특히 탁발부의 언어는 몽골어 계통이라는 설이 유력해지고 있다.[4] 예를 들어 한문 문헌 등에 음차되어 현대에 전해지는 탁발부 언어의 어휘는 거란 문자의 해독으로 밝혀진 거란어의 어휘와 유사한 음형을 보이며, 이들 어휘는 또한 몽골 문어의 어휘와 음형이 유사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탁발어에서 개를 의미한다고 전해지는 단어의 재구축음은 '''*ɲaqan'''이고, 거란어의 개를 의미하는 단어의 재구축음은 '''*ɲaq'''이며, 몽골 문어의 개는 '''noqai'''가 된다. 마찬가지로, 구름은 탁발어에서는 '''*eulen''' , 거란어에서는 '''*eul''' , 몽골 문어에서는 '''egüle-n'''이다.[5]

3. 구분

선비어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매우 부족하며, 언어학자들은 역사학자들이 선비족 부락 구분에 따라 선비어에서 파생된 각종 언어나 방언을 지칭하는 용어를 직접 사용한다. 유연어, 오환어, 탁발선비어, 모용선비어, 토욕혼어, 실위어, 거란어, 원몽골어 등이 있다.

선비어는 같은 동호어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여겨지는 오환어와 같았다고 전해진다.[1]

선비어의 계통에 대해, 예전부터 몽골어 계통[2]튀르크어 계통[3]이 있었지만, 최근 특히 탁발부의 언어는 몽골어 계통이라는 설이 유력해지고 있다.[4] 예를 들어 한문 문헌 등에 음차되어 현대에 전해지는 탁발부 언어의 어휘는 거란 문자의 해독으로 밝혀진 거란어의 어휘와 유사한 음형을 보이며, 이들 어휘는 또한 몽골 문어의 어휘와 음형이 유사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탁발어에서 개를 의미한다고 전해지는 단어의 재구축음은 '''*ɲaqan'''이고, 거란어의 개를 의미하는 단어의 재구축음은 '''*ɲaq'''이며, 몽골 문어의 개는 '''noqai'''이다. 마찬가지로, 구름은 탁발어에서는 '''*eulen''', 거란어에서는 '''*eul''', 몽골 문어에서는 '''egüle-n'''이다.[5]

4. 문자

『수서』「지(志)27·경적(經籍)1」에는 선비어를 사용하여 중국 전통 한문 서적을 번역한 기록이 있다. 예를 들어 『國語孝經』, 정현(鄭玄) 주(注) 『論語』, 『集解論語』, 『集注論語』, 『論語釋疑』, 『論語釋』, 『論語體略』, 『論語旨序』, 『論語雜問』, 『論語標指』, 『論語難鄭』, 『論語別義』, 『論語義疏』, 『論語述義』, 『論語講疏文句義』, 『孔子正言』, 『孔子家語』, 『孔叢』, 『論語孔子弟子目錄』, 『爾雅』, 『集注爾雅』, 『爾雅圖』, 『爾雅音』, 『小爾雅』, 『廣雅』, 『廣雅音』, 『方言』, 『釋名』, 『辨釋名』, 『五經音』, 『五經正名』, 『五經大義』, 『五經然否論』, 『五經異義』, 『五經拘沈』, 『五經義』, 『五經通義』, 『五經要義』, 『五經雜義』, 『五經析疑』, 『五經宗略』, 『長春義記』, 『大義』, 『經典大義』, 『白虎通』, 『諡法』등이 있다. 이외에도 『千字文』, 『勤學』, 『少學』, 『說文』, 『字林』, 『國語』, 『鮮卑語』, 『國語物名』, 『國語眞歌』, 『國語號令』, 『國語雜文』, 『鮮卑號令』, 『國語雜物名』, 『國語御歌』, 『國語十八傳』, 『河洛語音』, 『雜號令』 등이 있다. 모두 108부의 도서, 44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唐)대 초기에 편찬된 『수서』에는 망실된 도서 135부 569권이 있다고 전한다.[14]

이러한 선비어 도서들은 현재 한 권도 전하고 있지 않기에 문자를 고증할 방법이 없다. 다만 초기에 이들이 몽골고원의 돌궐어족(突厥語族) 민족과 접촉하였기에 고돌궐 문자(古突厥文字)를 접하였고, 이후 중원에 들어가서는 한자를 사용하여 선비어음을 기록하였을 수도 있다.

2019년 토욕혼(吐谷渾) 가한 모용낙갈발(慕容諾曷鉢)의 아들 모용지(慕容智)의 묘지명이 출토되었으며, 묘지석 옆면에는 알 수 없는 문자로 된 글이 두 줄 새겨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감숙성문물고고연구소(甘肅省文物考古硏究所) 류빙빙(劉兵兵), 천궈커(陳國科), 사천챠오(沙琛喬) 등이 현재 알려져 있는 문자나 부호와 대비하는 작업을 거쳐, 해당 문자는 거란대자(契丹大字)와 가장 근접하며, 거란어(契丹語)는 원래 동호-선비-오환어 계통에 기반하여 발전해 왔다는 것과 관련되며, 또한 토욕혼이 사용한 언어는 선비어로 두 문자는 형태상 유사성은 모용지 묘지석 문자가 오래전 사라진 선비계 문자라는 것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기에, 이 문자는 '토욕혼문(吐谷渾文)'이라고 칭할 수 있다.[15]

참조

[1] 서적 三国志』鮮卑伝(王沈『魏書』)「其言語習俗與烏丸同。」、『後漢書』鮮卑伝「其言語習俗與烏桓同。」
[2] 서적 白鳥庫吉』東胡民族考』
[3] 기타 Boodberg (1936) や {{en|Bazin (1950)}} は、東胡の子孫である鮮卑族、特に拓跋部の言語を {{en|turkish}} ないし {{en|proto-turkish original}} であるとした。《『騎馬民族史1』p9 注15、p218 注2》
[4] 기타 Pullyblank (1962) p.239以下 や {{en|Ligeti (1970)}} によると、鮮卑語(特に拓跋語)の特徴は[[モンゴル語]]と近似するという。《『騎馬民族史1』p9 注15、p218 注2》
[5] 학술지 最新の研究からわかる契丹文字の姿 勉誠出版 2013
[6] 저널 “東胡民族考”
[7] 서적 《北朝胡姓考》 科学出版社
[8] 저널 “鲜卑语言解读述论”
[9] 저널 “鲜卑语言考” 1930年8月
[10] 인용 “《南齐书》中部分拓跋鲜卑语名词的复原考释” 2002年11月
[11] 서적 王沈, 『三國志』「魏書·鮮卑傳」, "其言語習俗與烏丸同." 『後漢書』「鮮卑傳」, "其言語習俗與烏桓同."
[12] 기타 Pullyblank (1962) p.239以下 や {{llang|en|Ligeti (1970)}} によると、鮮卑語(特に拓跋語)の特徴は[[モンゴル語]]と近似するという。《『騎馬民族史1』p9 注15、p218 注2》
[13] 저널 最新の研究からわかる契丹文字の姿 勉誠出版 2013
[14] 기타 《隋书·卷32·志第二十七·经籍一》}}
[15] 인용 《唐《慕容智墓志》考释》 https://www.cnki.com[...] 2021-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