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욕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욕혼어는 선비오환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멸망한 언어이다. 알렉산더 보빈은 토욕혼어를 몽골어족과 관련이 있으나 몽골조어의 직계 후손은 아닌 언어로 분류했다. 토욕혼어의 음운 체계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R음, 활음으로 구성되며, 모음 조화 현상이 존재한다. 어휘는 중고 한어와 고대 티베트어를 바탕으로 재구되었으며, 2인칭 단수 대명사, ‘내’, ‘무’, ‘형’, ‘아비’, ‘크다’, ‘왕, 황제’, ‘카간의 처’ 등과 관련된 어휘들이 확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비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선비몽골어족 - 선비어
선비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이며, 선비족이 사용했고, 거란어와 몽골어의 유사성을 보이며, 현재 연구가 미흡하고, 토욕혼 묘지명에서 토욕혼문으로 추정되는 문자가 발견되었다. - 토욕혼 - 후군집
후군집은 당나라 초기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당 태종을 섬겨 현무문의 변에 기여하고 여러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탐욕과 반역으로 처형당해 공과가 엇갈리는 인물로 릉연각 24공신에 선정되었다. - 토욕혼 - 모용쇄해
모용쇄해는 토욕혼의 군주 엽연의 장남으로, 371년 엽연 사후 즉위하여 전진에 복속하고 국내 정치 혼란 속에 세자 시련이 섭정을 맡았으며, 재위 25년 만에 42세로 사망한 후 시련이 뒤를 이었다. - 중세어 - 고대 프랑스어
고대 프랑스어는 서로마 제국 통속 라틴어에서 파생되어 갈리아어와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중세 프랑스어로 발전했다. - 중세어 - 중세 프랑스어
중세 프랑스어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으며, 11세기 잉글랜드 정복에 영향을 주고 현대 프랑스어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다가 14세기 왕실 방언을 중심으로 표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 토욕혼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토욕혼어 |
| 다른 이름 | ‘아자 |
| 사용 국가 | 토욕혼 |
| 사용 지역 | 중국 북동부 |
| 소멸 여부 | 알 수 없음 |
| 사용 시기 | 5세기 |
| 사용자 민족 | 토욕혼족 |
| 어족 | |
| 어족 분류 | 알타이어족 |
| 하위 어족 | 선비-몽골어족? 파라-몽골어족? 선비어? |
2. 계통
알렉산더 보빈은 토욕혼어를 선비오환어파 언어로 간주하며, 이는 토욕혼어가 몽골어족과 유관한 자매 분파에 속하지만 몽골조어의 직계 후손이 아니라는 의미이다.[10] 거란어 또한 선비오환어파 언어이다. 토욕혼어는 과거 폴 펠리오에 의해 몽골어족 언어로 분류되었다.[11] 알렉산더 보빈은 멸망한 토욕혼어를 파라몽골어로 분류했는데, 이는 토욕혼어가 몽골어족과 자매 분기군으로서 관련이 있지만, 직접 원시 몽골어에서 파생된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3][4] 알렉산더 보빈은 토욕혼어를 측면 몽골어족의 하나(몽골 제어의 자매군이지만, 원시 몽골어의 자손 언어는 아님)로 위치지었으며,[7] 이는 거란어와 공통된다.[8]
토욕혼어는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모음 조화 현상을 보인다.[12]
3. 음운
3. 1. 자음
토욕혼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12]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파열음 | *p, *b | *tʰ, *d | *kʰ, *qʰ, *ɡ | ||
| 파찰음 | *č, *ǰ | ||||
| 마찰음 | *s, (*z) | *ź | *ʁ | *h | |
| 비음 | *m | *n | *ñ | *ŋ | |
| 유음 | *l | ||||
| R음 | *r | ||||
| 활음 | *w | *y |
3. 2. 모음
토욕혼어의 모음 체계는 모음 조화 현상을 보인다.[12]
4. 형태
- '''*-čin'''/'''*-čiñ''' (ཅྀན་|친bo) (고대 티베트어 *ʧin): ‘…를 가진 (소유격)’
- '''*-yin'''/'''*-yiñ''' (寅) (북부 초기 중세 중국어 **yir̃): ‘한정 소유격 어미’, ‘속격-수식 접미사’
5. 어휘
Shimunek(2017)은 다음의 토욕혼어 어휘를 재구했다.[12]
| 단어 | 재구된 발음 | 어원 | 비고 |
|---|---|---|---|
| 2인칭 단수 대명사(爾) | *čʰɪ|츠중국어 | [處] (북부 전기 중고음 tśʰɨ|츠중국어) | |
| 내(川) | *qɔl|콜중국어 | [ཁོལ་bo] (고대 티베트어 *kʰol|콜bo) ~ [ཀོལ་bo] (고대 티베트어 *kol|콜bo) | |
| 무(武) | *bu|부중국어 | [戊] (후기 중고음 *mbu|므부중국어) | |
| 형(兄) | *aqañ|아칸중국어 | [阿干] (북부 전기 중고음 ɦakar̃|하카르중국어) | |
| 아비 또는 크다 | *maʁa/amaʁa|마라/아마라중국어 | [莫賀] (북부 전기 중고음 *magɣa|마그라중국어) | |
| 크다 | *maʁa|마라중국어 | [མ་གbo] (고대 티베트어 *maga|마가bo < 인도어군) | |
| 왕, 황제 | *qʰaʁan|카간중국어 | [ཁ་གན་bo] (고대 티베트어 *kʰagan|카간bo) / kʰaʁɣar̃|카흐가르중국어 [可寒] ~ [可汗] (북부 전기 중고음 kʰaʁɣar̃|카흐가르중국어) | |
| 카간(可汗)의 처(妻) | *qʰaʁʦʊn|카춘중국어 | [恪尊] (북부 전기 중고음 kʰagʦor̃|카그초르중국어) |
보빈(2015)은 몽골어족 či|치mn에 대응되는 2인칭 단수 대명사 *čʰo|초중국어를 재구한다. 모음 /o/|오중국어와 /i/|이중국어의 대응은 몽골어족과 거란어에서 문증된다. 예) 서부 중세 몽골어 taqiya|타키야mn 와 거란어 t[i].qo.a|티.코.아중국어.[12]
참조
[1]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2017
[2]
간행물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12
[3]
기타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12
[4]
기타
Note sur les Tou-yu-houen et les Sou-p'i
1921
[5]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6]
기타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12
[7]
기타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
[8]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9]
기타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
[10]
기타
Some notes on the Tuyuhun (吐谷渾) language: in the footsteps of Paul Pelliot
https://www.academia[...]
2015-12
[11]
기타
Note sur les Tou-yu-houen et les Sou-p'i
1921
[12]
서적
Languages of Ancient Southern Mongolia and North China: a Historical-Comparative Study of the Serbi or Xianbei Branch of the Serbi-Mongolic Language Family, with an Analysis of Northeastern Frontier Chinese and Old Tibetan Phonology
Harrassowitz Verlag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