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야어는 '가야', '加耶', '伽倻', '加羅' 등으로 표기되며, 한반도 남부 가야 연맹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가야어는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와 《후한서》에 기록된 변한의 언어와 관련이 있으며, 《삼국사기》에 지명과 단어의 형태로 일부 기록이 남아 있다. 가야어는 한국어족에 속하며, 일부 지명에서 일본어와의 유사성이 발견되어 일본어족과의 관계가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어족 - 신라어
    신라어는 고구려어와 다른 한(韓)계 언어로, 현대 한국어의 기원이라는 가설이 있지만, 삼국 언어의 차이에 대한 이견과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없었다는 주장도 있다.
  • 부여어족 - 고구려어
    고구려어는 현재 자료 부족으로 계통이 불분명하지만, 비문, 역사 기록, 지명 연구 등을 통해 어휘와 문법 일부가 추정되며, 한국어족, 일본어족, 퉁구스어족 중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는 고대 동북아시아 언어이다.
  • 일본어족 - 반도 일본어
    반도 일본어는 《삼국사기》 지명에 나타난 일본어족 유사 어휘를 지칭하며, 한반도 내 일본어족 근연 언어 사용 가설의 증거로 제시되지만, 어휘 차용 여부와 음운 재구 정확성 등 비판적 시각과 함께 다양한 학설 및 논쟁이 존재한다.
  • 일본어족 - 삼한어
    삼한어는 고대 삼한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를 통칭하며, 중국 역사서에 단편적으로 기록되어 있고, 일본어족 또는 한국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가야어
언어 정보
이름가야어
다른 이름가라어, 카라어, 카락어
사용 국가가야 제국
사용 지역한반도 남부
소멸 시기7세기 (추정)
어족미분류 (부여어족?, 한계 제어?, 일본어족?)
ISO 639-3zra
지도
5세기 후반의 한반도
5세기 후반의 한반도
가야 위치
가야는 분홍색 부분

2. 명칭

'가야'라는 이름은 加耶(伽倻)라는 한자를 현대 한국어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 당시에는 한글이 창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지명을 밝히는 것은 어렵다. 주로 '가야(加耶)'나 '가락(伽落)'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가장 오래된 자료에서는 '가라(加羅)'로 기술되어 있으며, 중고음(중세 중국어)에서는 'kæla'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이 언어를 '가라어(Kara)'라고 지칭하기도 한다.[9]

8세기 일본 역사서인 《일본서기》에서는 '가라(Kara)'와 '미마나(Mimana)'로 언급된다.

크리스토퍼 벡위스야요이 시대 한반도 남부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설상의 일본어족 언어를 '프리-가라(pre-Kara)'라고 명명했다.

3. 역사적 배경 및 기록

가야어에 대한 초기 기록은 중국 역사서인 《삼국지》와 《후한서》의 '동이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 기록에는 삼한(마한, 변한, 진한)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변한은 훗날 가야 연맹으로 발전한다.[6]

《삼국지》는 변한 내 12개 소국의 명칭을 나열하고 있는데, 이 중 일부는 원시 일본어와 연관된 접미사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6]

소국명 (한자)추정 발음
彌離彌凍 (미리미동)*mieliɑi-mietoŋ
接塗 (접도)*tsiapdɑ
古資彌凍 (고재미동)*kɑtsi-mietoŋ
古淳是 (고순시)*kɑtśuindźe
半路 (반로)*pɑnlɑ
樂奴 (낙노)*lɑknɑ
彌烏邪馬 (미오야마)*mieʔɑ-jama
甘路 (감로)*kɑmlɑ
狗邪 (구야)*koja
走漕馬 (주조마)*tsodzouma
安邪 (안야)*ʔɑnja
瀆盧 (독로)*dokliɑ


  • `*-mietoŋ` 접미사는 후기 중세 한국어의 '밑'과 원시 일본어의 *mətə와 비교되며, 둘 다 '기초, 바닥'을 의미한다.
  • `*-jama` 접미사는 일반적으로 원시 일본어 *jama ('산')와 동일시된다.[6]


4세기경 변한은 가야 연맹으로 대체되었다. 가야는 한반도 북부의 한사군 및 일본과 활발히 교역했다.[6]

가야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삼국사기》에서 얻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668년 통일 신라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과 함께 옛 지명들이 기록되어 있다.[6] 《삼국사기》에는 가야어 단어 '旃檀梁'(전단량)에 대한 주석이 있는데, 이는 '성문'을 의미하며, 가야어에서는 '문'을 '梁'(량)이라고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고대 일본어 'to1' (현대 일본어 'to')와 유사하다.[6][7][8]

4. 분류 및 계통

삼국사기에 따르면, 가야어 단어 '梁'(량)은 신라어의 '고개'에 해당하며, 중세 한국어 '돌'(twol)과 관련된다.[6] 이는 고대 일본어 'to'(문)와도 일치한다.[6][7][8]

가야 지명 중 일부는 일본어와 유사한 형태를 보여, 반도 일본어 가설의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가야어를 포함한 일본어족 분류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1]



과거에는 일본어와 고구려어가 같은 어족이라는 가설도 있었으나, 고구려어는 북방에서 유래했고, 대동강 이북에는 일본어와 동계인 지명이 없어 부정되고 있다.

5. 일본어와의 관계

가야어는 일본어와 계통적으로 가까운 친족 관계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지명을 통해 초기 가야어가 일본어족에 속한다고 추정하며,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하지만, 이러한 초기 가야어가 훗날 가야의 언어(4개의 단어 밖에 남지 않음)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6]

삼국사기 권34에는 「旃檀梁」라는 말에 대하여, 가야어에서 '문(門)'이 「梁」이라고 불린다는 기술이 있다. 중국어의 「梁」은 신라어에서는 '고개'에 해당하며, (중세 한국어: 돌 ''*twol'' 이 '고개'의 뜻) 즉, 가야어의 '문(門)'은 ''twol''과 같은 발음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것은 고대 일본어의 ''*two''/''tö'' (門/戸) (현대 일본어 ''to'', [https://ko.wiktionary.org/wiki/戸 戸]), '문(門)'이라는 의미.[6][7][8])와 일치한다.

일본어족과 일치하는 것처럼 보이는 가야의 지명은 반도 일본어 가설의 증거가 된다. 과거에는 일본어와 고구려어가 한 어족이라는 가설도 있었으나, 고구려어는 보다 북방에서 유래하였으며, 대동강 이북에는 일본어와 동계인 지명이 없어 부정되고 있다. 따라서 고구려어가 한국어의 선조이며, 이후에 한반도 남부에서 일본어를 대체했을 가능성이 있다. 가야는 삼한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신라백제의 지배계급이 사용되고 있던 고구려어에서 유래된 언어가 한국어와 관련되어 있었으나, 삼한어는 (초기) 가야어나 일본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서적 Koguryo, the Language of Japan's Continental Relatives
[2] 서적 Koguryo, https://books.google[...] BRILL
[3] 간행물 Is Japanese Related to Korean, Tungusic, Mongolic and Turkic? Otto Harrassowitz Verlag
[4] 서적 A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6] 서적 Koguryo, http://books.google.[...] BRILL
[7] 간행물 Is Japanese Related to Korean, Tungusic, Mongolic and Turkic?
[8] 서적
[9] 서적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