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산후는 고려 왕족으로, 고려 선종과 원신궁주 사이에서 태어났다. 1094년 헌종이 즉위했으나 어렸기에 사숙태후가 정사를 처리하는 동안, 외숙 이자의가 왕윤을 옹립하려는 역모를 꾸몄다. 이 음모는 숙종에게 발각되어 이자의가 숙청되고 왕윤은 어머니와 함께 경원군으로 유배되었다.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나, 이 불상은 조선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출생 - 타티키오스
타티키오스는 11세기 후반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이자 귀족으로, 콤네누스 가문 노예 출신으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신임을 받아 메가스 프리미케리오스 직책을 맡아 군사 및 정치적으로 활약했으며, 제1차 십자군 전쟁 당시 십자군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 11세기 출생 -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드미타르 즈보니미르는 1075년부터 1089년까지 크로아티아를 통치한 왕으로, 교황과의 동맹을 통해 그레고리오 개혁을 추진하고 노예제를 폐지하는 등 여러 정책을 도입했으나 의문사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크로아티아는 정치적 혼란에 빠졌다. - 고려의 후작 - 염제신
염제신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원나라 관료 생활 후 고려로 돌아와 기철 일파 숙청과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 고려의 후작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11세기 한국 사람 - 지채문
지채문은 고려 전기의 무신으로, 거란의 2차 침입 때 서경 방어에 참여했다가 현종의 몽진을 호종하며 왕을 보호한 공으로 공신에 녹훈되고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으며 사후 1등공신에 추록되었다. - 11세기 한국 사람 - 현종 (고려)
현종은 고려 제8대 국왕으로, 왕위에 올라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했으며, 중앙집권화 추진과 연등회 및 팔관회 부활 등 문화 사업에도 힘썼다.
한산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고려의 왕자 |
휘 | 왕윤(王昀) |
로마자 표기 | Wang Yun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아버지 | 선종 |
어머니 | 원신궁주 이씨 |
2. 생애
고려의 왕족으로, 선종과 원신궁주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다.[3] 이름은 '''왕윤'''(王昀) 또는 '''왕균'''(王均)으로 전해진다.[5]
1094년 이복형제인 헌종이 즉위했으나 나이가 어려 어머니 사숙태후가 섭정하며 정국이 불안정했다. 이때 외숙부인 이자의가 왕윤을 왕위에 앉히려 했으나, 숙부인 계림공(훗날 숙종)에게 발각되어 실패했다.[1] 이 사건으로 이자의는 숙청되었고, 왕윤은 어머니 원신궁주와 함께 경원군(현재의 인천광역시)으로 유배되었다.[6] 유배 이후의 삶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2. 1. 가계
고려의 제13대 왕 선종과 그의 세 번째 부인인 원신궁주 사이에서 태어났다. 생몰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성은 왕(王), 이름은 윤(昀)[7] 또는 균(昀)[8]이며, 본관은 개성이다.순종과 숙종은 그의 숙부이며, 헌종과는 아버지 쪽으로는 이복 형제, 어머니 쪽으로는 6촌 관계가 된다.
어머니 원신궁주는 인천 이씨 가문 출신으로, 당시 문벌귀족이었던 이자연의 손녀이자 이정의 딸이다.[3] 외숙부는 이자의이다. 또한 문종의 왕비이자 선종의 어머니인 인예왕후는 원신궁주의 고모이므로, 원신궁주는 시어머니인 인예왕후와 고모-조카 사이이며, 남편인 선종과는 사촌 관계였다.[5]
2. 2. 왕자 시절
선종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이자연의 손녀인 원신궁주 이씨이다.[3] 어머니 원신궁주는 인예태후의 조카이기도 해, 부모는 사촌 관계였다. 이름은 '''왕윤|왕윤한국어'''(王昀) 또는 '''왕균|왕균한국어'''(王均)으로 불렸다.[5]1094년 헌종이 즉위하자 그해 음력 6월 30일 수사도(守司徒)의 관직을 받았다.[9] 당시 헌종은 나이가 어려 어머니 사숙태후가 섭정을 했는데, 이로 인해 정국이 불안정했다. 이러한 상황을 틈타 왕윤의 외숙인 이자의는 왕윤을 왕위에 앉히려는 계획을 세웠다.[10][1] 이자의는 무뢰배들을 모아놓고 "지금의 임금(헌종)은 병이 있어 궁궐 바깥에서 왕위를 엿보는 자가 있으니, 너희들은 한산후(왕윤)를 받들어 신기(神器, 임금의 자리를 상징하는 물건)[11]를 다른 이에게 가지 못하게 하라"고 말하며, 궁궐에 군사를 모아 거사를 준비했다.[1]
그러나 이 음모는 왕윤의 숙부인 계림공(훗날 숙종)에게 발각되었다.[1] 계림공은 즉시 소태보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소태보는 왕국모에게 군사를 이끌고 궁궐로 들어오게 했다.[7] 결국 1095년, 계림공 세력은 이자의를 반역 혐의로 숙청하고 살해했다.[12][6] 이 사건을 계기로 계림공은 조카인 헌종을 몰아내고 숙종으로 즉위하게 된다.[6] 역모에 연루된 왕윤과 어머니 원신궁주는 경원군(현재의 인천광역시[13])으로 유배되었다.[14][6]
유배 이후 왕윤의 삶에 대해서는 《고려사》 등 관련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15]
2. 3. 유배 이후
1095년 숙종이 즉위한 후, 왕윤은 어머니 원신궁주와 함께 경원군(현재의 인천광역시)으로 유배되었다.[6] 이후 왕윤의 삶에 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3. 기타: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전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에 있는 대한민국의 보물 제93호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에는 왕윤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왕윤의 어머니 원신궁주는 입궁 초기에 아이를 낳지 못해 고민하고 있었다. 어느 날 원신궁주의 꿈에 두 도승이 나타나 "우리는 장지산 남쪽 기슭 바위틈에 사는 사람들인데 배가 몹시 고프니 먹을 것을 달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꿈에서 깬 원신궁주는 이를 이상하게 여겨 선종에게 알렸다. 선종은 즉시 사람을 보내 장지산 쪽을 알아보게 했고, 다녀온 사람은 "장지산 아래쪽에 커다란 바위 두 개가 나란히 서 있다"고 보고했다. 이에 선종은 두 바위에 원신궁주의 꿈에 나타난 도승의 모습을 새기게 하고, 근처에 사찰을 지어 불공을 드리게 했다. 얼마 후 원신궁주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이때 태어난 아들이 바로 왕윤이었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이 불상은 실제로는 조선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1471년(조선 성종 2년)에 작성된 조성문이 남아있다. 동국대학교 교수 이한성은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조카의 왕위를 찬탈한 세조의 이야기를, 역시 조카의 왕위를 찬탈했던 고려 숙종의 이야기에 빗대어 그 속내를 표현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을까"라는 추측을 제기하기도 했다.[16]
4. 가족 관계
성은 왕씨이며, 이름은 윤[7] 또는 균[8](昀)이다. 선종과 원신궁주 사이에서 태어났다. 순종과 숙종의 조카이며, 헌종과는 이복 형제이면서 외가로는 6촌 관계이다.[5]
생모 원신궁주는 인천 이씨 출신으로, 문하시중을 지낸 이자연의 손녀이자 이정의 딸이다. 외숙부는 이자의이다. 또한 원신궁주의 고모는 문종의 왕비이자 한산후의 할머니인 인예왕후이다. 따라서 원신궁주는 남편인 선종과 사촌 관계였다.[3][5]
관계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조부 | 문종 | 1019~1083 | 고려 제11대 국왕 |
조모 | 인예왕후 | ?~1092 | 문종의 제2비, 이자연의 딸 |
아버지 | 선종 | 1049~1094 | 고려 제13대 국왕 |
외조부 | 이정 | 1025~1077 | 이자연의 아들, 문하시중 |
어머니 | 원신궁주 | ? ~ ? | 선종의 제3비, 이정의 딸 |
외숙부 | 이자의 | ?~1095 | 이정의 아들 |
참조
[1]
서적
韓國歷代宫中秘史: 高麗篇
https://books.google[...]
NewSun Society
1966
[2]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8-01
[3]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8-01
[4]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8-01
[5]
서적
京畿道史資料集: 고려 편 III-IV
https://books.google[...]
Gyeonggi Province
1998
[6]
웹사이트
고려시대史料 비교보기 > 선종 왕자 한산후 왕윤
http://db.history.go[...]
2021-08-01
[7]
웹인용
《동사강목》제7하 - 1095년
https://web.archive.[...]
2018-11-11
[8]
웹인용
《고려사절요》권6 - 선종사효대왕 1094년
https://web.archive.[...]
2018-11-11
[9]
문서
《고려사》권10〈세가〉권10 - 헌종 즉위년 6월 - 왕도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10]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자의〉
https://terms.naver.[...]
[11]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사전 〈신기〉
https://terms.naver.[...]
神器. "왕위"를 말한다.
[12]
문서
《고려사》권127〈열전〉권40 - 이자의
[13]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인천광역시〉
https://terms.naver.[...]
[14]
문서
《고려사》권11〈세가〉권11 - 숙종 즉위년 10월 - 원신궁주와 그 아들들을 유배보내다
[15]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한산후 왕윤
[16]
뉴스
(이한성의 이야기가 있는 길 - 30) 의주대로 따라 용미리 마애불로
http://weekly.cnbnew[...]
CNB저널
2021-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