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숙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숙황후는 남송 효종의 황후로, 진강부 단양현 출신이다. 고종의 황후 오씨의 시녀로 입궁하여, 효종의 측실, 귀비를 거쳐 1176년 황후로 책립되었다. 효종 사후에는 수성황후, 수성혜자황태후, 수성혜성자우태황태후로 불렸으며, 1207년 붕어하여 '성숙'의 시호를 받았다. 효종의 영부릉에 합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의 태황태후 - 사도청
    사도청은 남송의 황후이자 태황태후로, 조정 관리 가문 출신이며 이종의 황후로 간택되어 도종 즉위 후 황태후, 공제 즉위 후 태황태후가 되었으나 남송 멸망 후 원나라에 항복하여 수춘군부인으로 격하, 원나라에서 사망했다.
  • 남송의 태황태후 - 헌성자열황후
    평민 출신으로 고종을 호위하며 공을 세워 황후가 된 헌성자열황후는 고종 사후 태황태후로서 수렴청정을 하며 새로운 황제를 옹립하는 등 남송 황실의 안정에 기여했다.
  • 남송의 귀족 - 현인황후
    현인황후는 북송 휘종의 후궁이자 남송 고종의 생모로,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갔다가 돌아와 고종의 황위를 지키는 데 기여했고 80세에 사망하여 휘종과 합장되었다.
  • 남송의 귀족 - 공성인열황후
    기생 출신으로 황후가 되어 이종을 옹립하고 수렴청정하며 권력을 행사한 공성인열황후는 예술적 재능과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국가 경제 강화와 국방에 기여했고 중국 역사상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평가받는다.
  • 1136년 출생 - 리 영종
    리 영종은 베트남 리 왕조의 제6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외척의 섭정과 토 히엔 타인의 보좌를 받았으며, 남송으로부터 안남국왕으로 책봉되었고, 금나라와 남송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쳤다.
  • 1136년 출생 - 잉에 1세 (노르웨이)
    잉에 1세는 하랄 4세의 아들로 1136년부터 1161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이었으며, 형제들과의 권력 다툼 끝에 오슬로 전투에서 사망했다.
성숙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송나라 효종의 황후
성숙황후 사씨
신분
정배 칭호남송의 황후
별칭성숙황후, 수성황후, 수성혜자황태후, 수성혜성자우태황태후
생애
출생1135년
출생지진강부단양현
사망일1207년6월 13일(72세)
사망지임안부, 수자전
묻힌 곳영부릉
가족 관계
아버지사녕
배우자효종
재위
황후1176년9월 12일 - 1189년2월 18일
황태후1189년2월 18일 - 1202년10월 21일
태황태후1202년10월 21일 - 1207년6월 13일
사후
시호성숙(成肅)

2. 생애

진강부 단양현 출신으로, 친아버지 사녕[4]을 일찍 여의고 척씨의 양녀가 되었다. 그 후 후궁에 들어가 고종 황후 오씨의 시녀가 되었다.[5]

소흥 31년(1161년)에 건왕 조백종(후의 효종)의 측실[6]로 들어가 함안군부인에 봉해졌다.[4][5] 효종 즉위 후 완용에 봉해졌고, 융흥 2년(1164년)에 귀비로 올랐다.[4] 하황후와 사별한 효종을 성실하게 섬겼으며, 순희 3년(1176년) 8월 태상황 (고종)의 추천으로 황후로 책립되어 원래 성씨로 돌아갔다.[5]

순희 16년(1189년) 2월, 효종이 아들 광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자, 소희 원년(1190년) 정월에 사씨는 수성황후로 불렸다.[4] 경원 원년(1195년) 11월, 수성혜자황태후로 가호되었다.[7] 경원 6년(1200년) 8월, 수성혜자태황태후,[4] 가태 2년(1202년) 10월, 수성혜성자우태황태후로 가호되었다.[8]

개희 3년 5월 16일(1207년 6월 13일), 수자전에서 붕어했다. 시호는 "성숙"이며,[9] 영부릉에 합장되었다.[4][10]

2. 1. 황후 이전

사씨는 단양 출신으로, 어려서 부모를 잃고 척씨(翟氏) 집안에 입양되어 성장했다. 궁에 들어가 고종의 황후인 헌성자열황후의 시녀가 되었다.[12] 이후 고종의 양자이자 훗날 효종이 되는 건왕(建王) 조백종의 첩실로 주어져 함안군부인(咸安郡夫人)에 봉해졌다.[12][4][5]

1162년 건왕이 효종으로 즉위하면서 완용(婉容)으로 봉해졌다.[12][4] 1164년 귀비(貴妃)로 진봉되었다.[12][4] 사씨는 성품이 공손하고 수수하며 인자하였고, 스스로 의복을 세탁하였다.[12]

2. 2. 황후 시절

사씨는 성품이 공손하고 수수하며 인자하였고, 스스로 의복을 세탁할 정도로 검소하였다.[12] 1167년 효종의 황후인 성공황후가 붕어하면서 오랫동안 황후의 자리가 비어있었는데, 고종이 효종에게 사씨를 황후로 세울 것을 권유하였고, 1176년 사씨는 황후로 책봉되었다.[12]

사씨는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고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이었으며, 남편과 친척으로부터 거의 사랑을 받지 못해 비극적이고 외로운 인물로 널리 여겨졌다.

2. 3. 황태후 시절

1189년, 효종이 아들 광종에게 양위하면서 태상황이 되자, 사씨는 태상황후가 되었고 수성황후(壽成皇后)라는 존호를 받았다.[4]

며느리 이봉낭이 효종과 광종 사이를 이간질하고 궁중에서 무례한 태도를 보이자, 사씨는 이봉낭에게 황후로서 예의범절을 지켜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그러나 이봉낭은 사씨의 말을 듣지 않고 오히려 사씨의 낮은 신분을 비꼬았다. 이에 사씨는 효종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효종은 분노하여 황후 폐위를 논의했으나, 광종 즉위 초기의 불안정한 시국을 이유로 대신 사호가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1194년, 효종이 사망하고 광종이 정신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하고 이봉낭에게 휘둘리자, 조여우, 한탁주 등 대신들은 태황태후 오씨의 지지를 받아 광종 부부를 폐위시키고 영종을 즉위시켰다. 광종 부부가 태상황과 태상황후로 물러나면서 사씨는 황태후가 되었고, 혜자(惠慈)의 존호를 받았다.[7]

2. 4. 태황태후 시절

1200년 태황태후가 되었다. 1202년 '''자우태황태후(慈佑太皇太后)'''라는 존호를 받았고, 개희 3년 5월 16일 (1207년 6월 13일) 수자전에서 붕어하였다. 시호는 '''성숙(成肅)'''이며, 효종과 함께 영부릉에 합장되었다.[12] 가태 2년(1202년) 10월, '''수성혜성자우태황태후(壽成惠聖慈佑太皇太后)'''로 존호가 추가되었다.[8] [4][9][10]

3. 평가

사황후는 정치에 참여하기보다 내궁의 일을 처리하는 데 힘썼으며, "근면하고 공정하며 검소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 조용한 성격으로 남편과 친척에게 큰 사랑을 받지 못했고, 높은 지위에도 불구하고 비극적이고 외로운 인물로 여겨졌다.

4. 기타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사황후의 전기 자료로 『송사』 권243 후비전 하 성숙사황후전, 『송회요집고』 권12 후비일 성숙사황후가 소개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avis, Richard L. "Troubles in Paradise: the Shrinking Royal Family in Southern Song" http://www.npm.gov.t[...] 2016-05-27
[2] 서적 宋史
[3] 서적 宋史
[4] 서적 宋会要輯稿
[5] 서적 宋史
[6] 문서 これより少し前、趙伯琮は郡王から親王に上った。最初の妻の[[成穆皇后|郭氏]]は、郡王時代に早世した。
[7] 서적 宋史
[8] 서적 宋史
[9] 서적 宋史
[10] 서적 宋史
[11] 서적 송사
[12] 서적 송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