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69년은 기축년으로, 고려 의종 23년, 단군기원 3502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잉글랜드가 아일랜드를 정복하고, 살라딘이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어 아이유브 왕조를 건국했다. 또한 1169년 시칠리아 지진이 발생하여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헨리 2세와 루이 7세가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앵글로-노르만족이 아일랜드를 침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169년 | |
---|---|
1169년 | |
로마 숫자 | MCLXIX |
12세기 | 12세기 |
연대 | 1160년대 |
주요 사건 | |
사건 | 아일랜드 침공 |
탄생 | |
사람 | 알폰소 2세, 프로방스 백작 (추정) |
사망 | |
사람 | 무야히드 알딘 우나르 다마스쿠스 통치자 |
2. 연호 및 기년
{| class="wikitable"
|-
! 간지
| 기축
|-
! 중국
|
|-
! 조선
|
|-
! 일본
|
|-
! 베트남
|
|-
! 기타
|
불멸기원 | 1711년 - 1712년 |
이슬람력 | 564년 - 565년 |
유대력 | 4929년 - 4930년 |
|}
3. 사건
3. 1. 아시아
3. 1. 1. 한국
고려에서는 특별한 사건이 기록되지 않았다.
3. 1. 2. 중국
중국중국어에서는 남송과 금나라 사이에 큰 충돌은 없었으나, 양국 간의 긴장 관계는 지속되었다.
3. 1. 3. 일본
살라딘이 이집트의 통치자가 되어 아이유브 왕조를 건국했다.
3. 1. 4. 동남아시아
리 왕조는 내부적으로 안정된 시기를 보냈다.
3. 1. 5. 중앙아시아
서요는 쇠퇴기에 접어들었으며, 중앙아시아의 패권은 호라즘 왕조에게 넘어가는 과정에 있었다.
3. 2. 유럽
3. 2. 1. 서유럽
3. 2. 2. 동유럽
3. 2. 3. 지중해 지역
마누일 1세 콤네누스 황제는 이집트에 조공을 요구하는 사절단을 파견했으나, 이집트가 이를 거부하자 전쟁을 선포했다. 헬레스폰토스에서 아드리안 코토스테파노스 제독이 이끄는 비잔티움 함대가 출항했다. 60척의 전함은 "예루살렘의 기사들"을 위한 자금을 싣고 팔레스타인으로 향했고, 아드리아노스는 나머지 함대를 이끌고 키프로스로 가서 파티마 왕조 소속 함대 6척을 격파했다.[1]
봄, 쉬르쿠(Shirkuh) 장군은 조카 살라딘과 함께 잔드 왕조(Zangid) 원정대를 이끌고 이집트를 침략했다. 예루살렘 왕국의 왕 아말리크 1세는 함대를 아크레(Acre)로 돌려 십자군과 함께 팔레스타인으로 후퇴했다.[1]
1월 8일, 쉬르쿠는 카이로에 입성했고, 1월 18일에는 파티마의 베지르 샤와르(Shawar)가 알샤피이의 무덤으로 순례를 가던 중 체포되어 처형당했다.[1] 3월 23일, 쉬르쿠는 과식으로 사망하고 살라딘이 그의 뒤를 이어 파티마 칼리파의 수석 베지르가 되었다.[1][6]
여름, 살라딘은 그의 형 투란샤(Turan-Shah)를 카이로로 초대했고, 투란샤는 누르 알딘(Nur ad-Din)이 제공한 상당한 규모의 군대를 데리고 왔다.[6]
8월 21일~23일, 흑인들의 전투(Battle of the Blacks)에서 살라딘은 파티마 군대의 수단군(5만 명) 등의 반란을 진압했다.[7]
겨울, 누르 알딘의 지원을 받은 살라딘은 다미에타(Damietta) 근처에서 아말리크 1세가 이끄는 십자군-비잔티움 연합군을 격파했다. 십자군은 3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팔레스타인으로 후퇴해야 했다.[1]
2월 4일 – 1169년 시칠리아 지진: 규모 약 7 정도로 추정되는 지진이 시칠리아 동부 해안을 강타하여 약 15,000명의 사망자를 냈다.
봄 – 포르투갈의 제랄드 용감한 자는 Afonso I의 지원을 받았다. 알모하드 칼리프 아부 야쿠브 유수프는 Ferdinand II와 동맹을 맺고 바다호스를 포위 공격하여 아폰수와 제랄드를 포로로 잡는다.[2]
Henry II와 Louis VII는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Richard I와 Alys of France의 약혼이 이루어졌다.[3]
헝가리의 Stephen III는 알렉산더 3세와 콘코르다트를 체결하고 그의 서임권을 포기한다.[4]
3. 3. 아프리카
1169년 아프리카에서는 잔드 왕조의 쉬르쿠 장군과 그의 조카 살라딘이 이집트를 침략하여 파티마 왕조의 권력 구도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예루살렘 왕국의 아말리크 1세는 십자군을 이끌고 팔레스타인으로 후퇴해야 했다. 쉬르쿠는 카이로에 입성하여 칼리프 알아디드의 환영을 받았으나, 이후 파티마의 베지르 샤와르가 처형되고 쉬르쿠마저 과식으로 사망하면서 살라딘이 권력을 잡았다. 살라딘은 이집트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십자군-비잔티움 연합군을 격퇴하며 자신의 지배력을 강화했다.[1][6][7]
3. 3. 1. 북아프리카
4. 탄생
- 9월 10일 - 알렉시오스 2세 콤네노스, 동로마 제국의 황제 (사망 1183년)
- 아히 에브렌, 베크타시 수피즘 설교가이자 철학자 (사망 1261년)
- 알 아프달 이븐 살라흐 아드딘, 아이유브 왕조 다마스쿠스 통치자 (사망 1225년)
- 유스테이스 드 베시, 잉글랜드 귀족이자 군 지도자 (사망 1216년)
- 이븐 알 무스타우피, 아이유브 왕조 총독이자 역사가 (사망 1239년)
- 구조 요시츠네(구조 요시츠네), 일본 귀족 (사망 1206년)
- 무함마드 2세, 호라즘 제국 총독이자 통치자 (사망 1220년)
- 나스 노 요이치, 일본 사무라이 (추정 날짜)
- 다이라 노 아츠모리, 일본 사무라이 (사망 1184년)
- 카와고에 시게후사, 헤이안 시대의 무장 (사망 1185년)
- 구조 요리쓰네,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사망 1206년)
- 타이라 도모아키, 헤이안 시대의 무장 (사망 1184년)
- 타이라 나리모리, 헤이안 시대의 무장 (사망 1184년)
- 친가이, 몽골 제국의 관료 (사망 1251년)
- 도벤,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정토종의 승려 (사망년도 미상)
4. 1. 실존 인물
- 9월 10일 - 알렉시오스 2세 콤네누스, 동로마 제국 콤네누스 왕조의 제4대 황제 (+ 1183년)
- 카와고에 시게후사, 헤이안 시대의 무장 (+ 1185년)
- 구조 요리쓰네,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06년)
- 타이라 아쓰모리, 헤이안 시대의 무장 (+ 1184년)
- 타이라 토모아키, 헤이안 시대의 무장 (+ 1184년)
- 타이라 나리모리, 헤이안 시대의 무장 (+ 1184년)
- 친가이, 몽골 제국의 관료 (+ 1251년)
- 도벤,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정토종의 승려 (+ 사망년도 미상)
- 나스 요이치,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 사망년도 미상)
4. 2. 가상 인물
(내용 없음)5. 사망
1169년에 사망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1월 2일 - 베르트랑 드 블랑슈포르(en:Bertrand de Blanchefort)(1109년 출생), 템플 기사단 제6대 그랜드 마스터
- 1월 18일 - 샤와르(Shawar), 파티마 왕조의 베지르이자 사실상 통치자
- 2월 4일 - 조반니 다예로(John of Ajello), 이탈리아 카타니아 대교구의 주교
- 2월 6일 - 토로스 2세(Thoros II)(대왕), 키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자
- 3월 23일 - 시르쿠(Shirkuh), 잔기드의 장군이자 베지르[1]
- 5월 21일 - 베르톨트 폰 츠바이팔텐(Berthold of Zwiefalten), 독일 수도원장
- 7월 9일
- 기도 다 피사(Guido of Pisa), 이탈리아 지리학자
- 황원(皇円),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 승려(1074년? 출생)
- 12월 30일 - 각성입도친왕(覚性入道親王), 헤이안 시대의 황족, 승려, 가인(1129년 출생)
- 아부 알하산 바이하키(Abu'l-Hasan Bayhaqi), 페르시아의 폴리매스
- 바실 바르 슈므나(Basil bar Shumna), 에데사 주교구의 대주교
- 보에몽 2세(Bohemond II), 이탈리아 마노펠로 백작
- 볼레스와프(Boleslaw),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 공동 통치자
- 게르호 폰 라이히스베르크(Gerhoh of Reichersberg), 독일 신학자
- 힐러리 오브 치체스터(Hilary of Chichester), 잉글랜드 주교 (생년: 1110년)
- 힐린 폰 팔마뉴(Hillin of Falmagne), 독일 대주교
- 루카 크리소베르게스(Luke Chrysoberges), 비잔티움 총대주교
- 무지르 알딘 아박(Mujir ad-Din Abaq), 다마스쿠스 총독
- 오토마에(Otomae), 일본 여가수 (생년: 1085년)
- 라미로 프로일라스(Ramiro Fróilaz), 레온의 군 지도자
- 스티븐 듀 퍼슈(Stephen du Perche), 시칠리아의 재상
5. 1. 실존 인물
- 1월 2일 - 베르트랑 드 블랑슈포르(en:Bertrand de Blanchefort)(1109년 출생), 템플 기사단 제6대 그랜드 마스터
- 1월 13일 – 베르트랑 드 블랑슈포르(Bertrand de Blanchefort), 프랑스 템플 기사단장
- 1월 18일 – 샤와르(Shawar), 파티마 왕조의 베지르이자 사실상 통치자
- 2월 4일 – 조반니 다예로(John of Ajello), 이탈리아 카타니아 대교구의 주교
- 2월 6일 – 토로스 2세(Thoros II)(대왕), 키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자
- 3월 23일 – 시르쿠(Shirkuh), 잔기드의 장군이자 베지르[1]
- 5월 21일 – 베르톨트 폰 츠바이팔텐(Berthold of Zwiefalten), 독일 수도원장
- 7월 9일
- 기도 다 피사(Guido of Pisa), 이탈리아 지리학자
- 황원(皇円),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 승려(1074년? 출생)
- 12월 30일 - 각성입도친왕(覚性入道親王), 헤이안 시대의 황족, 승려, 가인(1129년 출생)
- 아부 알하산 바이하키(Abu'l-Hasan Bayhaqi), 페르시아의 폴리매스
- 바실 바르 슈므나(Basil bar Shumna), 에데사 주교구의 대주교
- 보에몽 2세(Bohemond II), 이탈리아 마노펠로 백작
- 볼레스와프(Boleslaw), 스웨덴 외스테르예틀란드 공동 통치자
- 게르호 폰 라이히스베르크(Gerhoh of Reichersberg), 독일 신학자
- 힐러리 오브 치체스터(Hilary of Chichester), 잉글랜드 주교 (생년: 1110년)
- 힐린 폰 팔마뉴(Hillin of Falmagne), 독일 대주교
- 루카 크리소베르게스(Luke Chrysoberges), 비잔티움 총대주교
- 무지르 알딘 아박(Mujir ad-Din Abaq), 다마스쿠스 총독
- 오토마에(Otomae), 일본 여가수 (생년: 1085년)
- 라미로 프로일라스(Ramiro Fróilaz), 레온의 군 지도자
- 스티븐 듀 퍼슈(Stephen du Perche), 시칠리아의 재상
5. 2. 가상 인물
(내용 없음)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2]
서적
Le Portugal musulman, VIIIe-XIIIe siècle: L'Occident d'al-Andalus sous domination islamique
Maisonneuve & Larose
[3]
서적
King Joh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The Árpáds and the Comneni: Political Relations between Hungary and Byzantium in the 12th century (Translated by György Novák)
Akadémiai Kiadó
[5]
서적
The Course of Irish History
Mercier Press
[6]
서적
Osprey: Commander 12 - Saladin
Osprey
[7]
서적
Saladin: The Politics of the Holy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