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게이 네차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게이 네차예프는 1847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혁명가로, 급진적인 사상과 활동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사회 불평등에 분노하여 학생 운동에 참여했고, 1869년에는 스위스로 망명하여 미하일 바쿠닌 등과 교류하며 혁명 선동 문서를 작성했다. 네차예프는 '혁명가의 교리'를 저술하여 혁명은 모든 것을 우선하는 목적이며, 이를 위해 어떠한 수단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동료 이반 이바노프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어 러시아로 송환되었고, 종신형을 선고받아 옥사했다. 그의 사상은 블라디미르 레닌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악령'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노보 출신 - 나탈리 사로트
나탈리 사로트는 20세기 프랑스 문학의 대표적인 소설가이자 극작가, 평론가로, 인간 내면의 미묘한 심리 변화인 '트로피즘'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누보 로망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이바노보 출신 - 류보비 브룰레토바
류보비 브룰레토바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 국제 유도 대회에 출전하여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은퇴 후에는 유도 지도자로 활동한다. - 인민주의자 -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이자 혁명가로서, 러시아에 마르크스주의를 소개하고 발전시켰으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창립에 기여했으나, 멘셰비키에 가담하여 볼셰비키 정권을 비판하다 사망했다. - 인민주의자 - 표트르 크로폿킨
표트르 크로폿킨은 러시아의 지리학자이자 아나키스트 사상가로, 지리학 발전에 기여하고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 진화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아시아 아나키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아나키스트 - 표트르 크로폿킨
표트르 크로폿킨은 러시아의 지리학자이자 아나키스트 사상가로, 지리학 발전에 기여하고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 진화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아시아 아나키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아나키스트 - 니콜라이 베르댜예프
니콜라이 베르댜예프는 러시아의 종교 철학자이자 기독교 실존주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 운동 참여 후 기독교 기반의 독창적인 사상을 발전시켜 인격의 자유와 창조성을 강조했으며, 소비에트 정권의 탄압으로 국외 추방 후 전체주의 체제 비판 및 인격주의적 사회주의를 옹호했다.
| 세르게이 네차예프 | |
|---|---|
| 기본 정보 | |
| 활동 | |
| 직업 | |
| 사상 | |
| 영향 | |
| 영향을 받은 인물 | |
| 기타 | |
| 서명 | |
| 재판 및 투옥 | |
| 재판 | |
| 투옥 | |
| 형장 | |
| 참고 | |
| 각주 | |
| 이미지 | |
2. 생애
1847년 러시아 제국의 섬유 산업 중심지 이바노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가난한 페인트공이었으며 이후 카페 종업원이었다. 어머니는 해방된 농노의 딸이었으며 네차예프가 여섯 살 때 사망했다. 네차예프는 아홉 살 때부터 공장에서 견습을 시작했다. 1865년 모스크바로 이주하고 다시 1년 뒤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한다. 그는 그곳에서 시험에 통과하여 소교구의 학교에서 교사로 종사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의 청강생으로서 학생 운동에 참가해 미하일 바쿠닌, 데카브리스트, 페트라솁스키회를 비롯한 급진적 사상을 접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떠나 모스크바로 가면서도 동료들에게 자신이 중요한 인물로 보이도록 자신이 체포되었다고 믿게 했다.
스위스 제네바로 간 네차예프는 미하일 바쿠닌을 만나 〈혁명가의 교리문답〉을 함께 쓰는 등 그와 가깝게 지내며 후계자로 자처했다. 이때 바쿠닌은 국제노동자협회에서 카를 마르크스와 대립하고 있었다. 네차예프는 러시아에서 대규모 혁명운동을 일으키고자 하였다. 바쿠닌과 네차예프는 알렉산드르 게르첸과 니콜라이 오가료프에게 그의 동료들이 러시아에서 선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자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네차예프에게 반감이 있던 게르첸은 거부했으나 오가료프의 설득으로 네차예프는 1만 프랑을 얻어 러시아로 돌아왔다. 그는 바쿠닌의 추천으로 가상의 단체인 '전유럽혁명동맹'의 러시아 대표로 임명됐다.
러시아로 돌아온 네차예프는 '인민재판'이라는 비밀 조직을 만들었으나, 조직원 이반 이바노프와의 갈등으로 그를 살해했다. 이 사건으로 네차예프는 다시 스위스로 도피했고, 러시아 정부는 그를 수배했다. 이후 바쿠닌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결별하였고, 1872년 8월 14일 취리히에서 체포되어 러시아로 압송되었다. 1873년 1월 8일 징역 20년형을 선고받고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 수감되었으며, 1882년 11월 감옥에서 사망했다.
2. 1. 출생과 초기 활동
1847년 9월 20일(구력 9월 8일) 러시아 제국의 섬유 산업 중심지 이바노보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웨이터이자 간판 그림쟁이였고, 어머니는 농노 해방 이전에 사망했다. 어린 시절부터 사회 불평등을 인식하고 지역 귀족에 대한 분노를 느꼈다.
18세에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역사학자 미하일 포고딘 밑에서 일했다. 1년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교사 자격 시험을 통과하고 교구 학교에서 교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1868년 9월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청강생으로 강의를 들으며(정식 등록은 하지 않음) 데카브리스트, 페트라솁스키 서클, 미하일 바쿠닌 등의 러시아 급진 사상을 접했다. 니콜라이 체르니셰프스키의 소설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나오는 금욕적인 혁명가 라흐메토프를 본받아 나무판자 위에서 자고 검은 빵만 먹으며 생활하기도 했다.[3]
1868년에서 1869년 사이, 표트르 트카체프 등과 함께 학생 운동에 참여하며 급진적 소수파를 이끌었다. 드미트리 카라코조프의 차르 암살 시도 실패에서 영감을 받기도 했다. 네차예프는 학생 운동의 "혁명 활동 프로그램"을 고안했는데, 여기에는 사회 혁명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혁명 조직을 만들고 파괴 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훗날 네차예프를 유명하게 만든 ''혁명가의 교리''의 구성을 담고 있었다.
1868년 12월, 네차예프는 베라 자술리치를 만났다. 그는 그녀에게 자신의 학교에서 혁명적인 글들을 읽어줄 것을 요청했고, 낭독 중에는 막시밀리앵 로베스피에르와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의 사진을 테이블 위에 놓았다. 이러한 모임에서 그는 농노 해방 9주년에 알렉산더 2세를 암살할 음모를 꾸몄다. 1869년 1월 28일에 열린 마지막 학생 모임에서 네차예프는 학생들의 집회 자유를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2. 2. 해외 망명과 바쿠닌과의 만남
1869년 1월, 네차예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체포되었다는 허위 소문을 퍼뜨린 후 모스크바를 거쳐 해외로 망명했다. 그는 베라 자술리치에게 사랑을 고백하며 함께 망명할 것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22] 그는 자술리치에게 체포되었다는 편지를 보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그는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서 탈출한 혁명 위원회의 대표인 척하며 망명 중인 혁명가 미하일 바쿠닌(그를 "내 아들"이라고 불렀다)과 그의 친구이자 동료인 니콜라이 오가료프의 신임을 얻었다.[22] 바쿠닌은 네차예프에게서 세계에서 가장 혁명적인 러시아 청년의 진정한 목소리를 보았다.[22]네차예프, 바쿠닌, 그리고 오가레프는 러시아로 보낼 파괴적인 선전 캠페인을 조직했고,[22] 오가레프는 그들의 혁명 활동 자금 지원을 위해 마련되었던 소위 바흐메티예프 기금(Bakhmetiev Fund)으로 이를 자금 조달했다. 알렉산드르 게르첸은 네차예프의 광신주의를 싫어했고, 네차예프가 바쿠닌에게 더 극단적인 수사를 사용하도록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믿으며 이 캠페인에 강력히 반대했다. 그러나 게르첸은 네차예프가 혁명에 대한 지지를 규합하기 위해 러시아로 가져갈 자금의 상당 부분을 그에게 넘겨주었다. 네차예프는 1869년 4월부터 8월까지 387명의 사람들에게 560개의 소책자 소포를 배포하기 위해 명단을 작성했다.[22] 그 목적은 활동가들이 체포되고 처벌받고 급진화되는 것이었다. 이들 중에는 네차예프가 보낸 조잡하게 암호화된 편지 때문에 5년간의 유형을 선고받은 베라 자술리치도 있었다.
1869년 9월 모스크바로 돌아온 네차예프는 "세계 혁명 동맹(Всемирный революционный союз, Worldwide Revolutionary Union)"이라는 허구의 단체의 러시아 대표부 대표를 자칭하여, "인민의 재판(Народная расправа, Narodnaya Rasprava, People's Reprisal)"이라고 불리는 비밀결사를 만들었다. 그러나 조직 내부에는 상호 불신에 의한 갈등이 소용돌이치게 되었다. 네차예프는 구성원 중 한 명이자 페트롭스키 농업대학(현재 명칭은 티미랴제프 농업대학(Тимирязевск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의 학생이었던 이반 이바노프를 배신자라고 비난하고, 1869년 11월 21일 페트롭스키 농업대학에서 그를 권총으로 살해했다. 이바노프는 즉사했다(네차예프 사건).[20]
바쿠닌은 네차예프의 행동을 의심하였으며 그를 위험 인물로 경계하여 결국 결별한다. 네차예프는 스위스에서 다시 런던으로 떠난다. 바쿠닌은 1870년 7월 24일 런던에 있는 그의 사회주의자 친구 탈랑디에(Talandier)에게 편지를 보내어, 네차예프는 잔인한 인물이며, 그의 광기는 혁명의 대의를 자신이라는 개인과 전적으로 동일시 하고 있다고 경고하였다.[22]
2. 3. '인민재판' 조직과 이바노프 살해
네차예프는 러시아로 돌아와 '인민재판'과 '도끼의 사회'에 참여 중인 모스크바의 대학생들과 접촉했다. 그는 미하일 바쿠닌의 추천을 받았다는 점이 그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었으며 많은 추종자들을 만들게 된다. 구성원 중 한 명이었던 이반 이바노프는 그에게 반대했는데, 그가 '인민재판'을 탈퇴하여 새로운 조직을 구성하려고 하자 네차예프는 그를 살해하기로 결심하고 동료 네 명과 함께 모의하여 이바노프의 목을 조른 뒤 관자놀이에 총을 쏴 살해한 뒤 시신을 연못으로 던져 없앴다.[22] 그 후 경찰이 이바노프를 살해하는 데 가담했던 표트르 우스펜스키의 서점 관리인 집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인민재판'의 문서와 자료들이 발각되었다. 경찰은 이바노프를 포함한 지하에서 활동하던 혁명가들의 명단을 가지고 있었는데, 마침 그때 이바노프의 시신이 발견되어 혁명 조직의 구성원들을 체포하여 범인을 밝혀냈다.이바노프를 살해한 후에 네차예프는 모스크바를 떠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새로운 조직을 구성하려 했는데, 이 덕분에 경찰의 수사망을 피할 수 있었다. 그의 공모자들은 사건을 전부 자백했으며 이바노프 사건은 사회적인 파문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경찰을 피해 스위스로 도피했으며, 그곳에서도 숨어 지냈다. 러시아 정부는 그를 인도받기 위해서 공공법 위반 혐의로 수배하였다.
2. 4. 바쿠닌과의 결별과 체포
1869년 9월 모스크바로 돌아온 네차예프는 "세계 혁명 동맹"이라는 허구의 단체 대표를 자칭하며, "인민의 재판"이라는 비밀결사를 만들었다. 그러나 조직 내부에는 상호 불신에 의한 갈등이 있었다. 네차예프는 페트롭스키 농업대학(현재 티미랴제프 농업대학) 학생 이반 이바노프를 배신자라고 비난하고, 1869년 11월 21일 그를 권총으로 살해했다. 이바노프는 즉사했다(네차예프 사건).[22] 11월 말 네차예프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조직을 만들려 했다. 1869년 12월 중순 경찰은 이바노프 살해 관련자 체포와 비밀 결사 일제 검거를 시작했다. 네차예프는 12월 15일 체포를 피하고 스위스로 망명했지만, 약 300명이 체포되어 87명이 재판을 받았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이 사건을 계기로 소설 『악령』을 썼다.망명 후 네차예프는 미하일 바쿠닌에게서 자금 지원을 받아 니콜라이 오가료프와 함께 『콜로콜』, 『인민의 재판』 등을 발행했다. 『인민의 재판』 2호에 실린 네차예프의 "미래 사회 제도의 기본"에서는 자신의 공산주의 체제 비전을 발표했지만,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를 "막사 공산주의"라고 불렀다.
네차예프는 동지들 사이에서 점차 신뢰를 잃었고, 국제노동자협회 이름을 남용한 것이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관계 단절을 결의하는 데 이르렀다. 1870년 여름, 이론의 파렴치함, 행동 원칙 부재, 도발적이고 책략적인 점이 비판받아 바쿠닌 등에게 불신을 샀다. 1870년 9월 런던에서 잡지 편집을 했지만, 러시아 관헌을 피해 파리, 취리히에 잠복했다. 카스파르 투르스키 등 폴란드 블랑키파와 접촉했지만 고립되어, 1872년 8월 14일 취리히에서 체포되어 러시아 경찰에 넘겨졌다. 1873년 1월 8일 이바노프 살해 혐의로 징역 20년형을 선고받았다.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 수감된 네차예프는 간수를 설득하여 1880년 12월 인민의 의지와 접촉했다. 탈옥이 계획되었지만, 1881년 알렉산드르 2세 암살이 우선되어 중단되었다. 이 암살은 성공했고, 혁명 운동 탄압은 강화되었다.
2. 5. 수감 생활과 죽음
네차예프는 러시아로 송환되어 2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이는 종신형이나 다름없었다. 그는 미하일 바쿠닌이 수감되었던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 수감되었다.[10] 그는 간수들을 포섭하여, 1870년대 후반에는 그들을 통해 외부의 혁명가들과 서신을 주고받았다.[4] 1880년 12월에는 혁명 조직 '나로드나야 볼랴'와 연락하여 탈출 계획을 제안했으나, 알렉산드르 2세 암살 계획에 집중해야 한다는 이유로 포기했다. 결국, 굶주림과 질병에 시달리던 네차예프는 1882년 11월 감옥에서 사망했다.[4]3. 혁명가의 교리문답
〈혁명가의 교리문답〉은 바쿠닌이 작성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바쿠닌이 편집했을 가능성은 크지만, 그 글은 바쿠닌의 사상과는 동떨어져 있다. 네차예프는 이 문서에서 혁명을 모든 것에 우선하는 목적 그 자체로 보았으며, 철저하게 행동적이고 철학적이지 않은 혁명을 주장한다. 일반적인 혁명가는 민중 스스로 조직을 결성하도록 촉진하고 이데올로기를 설파하는 역할을 하지만, 교리문답에서 나타나는 관점은 이와 다르다. 혁명가는 혁명에 필요한 움직임을 불러일으키고 억제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내며 억압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민중은 혁명의 결과가 아니라 수단이며, 이데올로기를 필요로 할 뿐이라고 보았다.[23]
1869년 늦봄, 네차예프는 사회와 국가의 "무자비한 파괴"를 위한 프로그램인 〈혁명가의 교리〉를 저술했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혁명적 교리의 주요 원칙은 네차예프의 혁명 활동 전반에 걸친 슬로건이 되었다. 그는 교회와 국가의 완전한 통제 추구에서 무자비한 비도덕성을 보았고, 따라서 그들에 대한 투쟁은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그 파괴에 대한 확고한 초점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개인의 자아는 일종의 영적 금욕주의에서 더 큰 목적에 흡수되어야 하는데, 네차예프에게 이것은 단순한 이론 이상이었으며, 그가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지침 원칙이었다.[4]
이 책은 여러 세대의 급진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원본 출판 100년 후인 1969년 흑표당에 의해 재출판되었다. 또한 같은 해 이탈리아의 급진적인 붉은 여단 결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3. 1. 주요 내용
〈혁명가의 교리문답〉은 혁명을 모든 것에 우선하는 목적으로 보며, 철저한 행동을 강조한다. 혁명가는 민중을 혁명의 수단으로 보고, 혁명에 필요한 억압적인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3]스스로에 대한 혁명가의 자세
- 혁명가는 사적인 모든 것을 버리고 혁명에 헌신해야 한다.
- 문명사회를 파괴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 파괴를 위한 과학만을 공부하며, 기존 도덕을 경멸한다.
- 혁명의 성공을 위해 냉혹하고 엄격해야 하며, 죽음을 각오해야 한다.
- 낭만, 감정, 사적인 증오심 등을 배제하고 냉철하게 계산해야 한다.
동지들에 대한 혁명가의 자세
- 투철한 혁명가만을 동지로 삼고, 혁명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따라 관계를 맺는다.
- 혁명가들 간의 연대를 중시하며, 중요한 사항은 함께 토론하고 결정한다.
- 하위 계층 혁명가들을 혁명 자금의 일부로 여기고 경제적으로 활용한다.
- 동지의 불행은 혁명의 이익에 따라 판단한다.
사회에 대한 혁명가의 자세
- 완전하고 신속한 파괴를 위해 사회에 침투한다.
- 모든 것에 미련을 버리고 가차없이 파괴해야 한다.
- 사회 모든 계층에 침투하여 파괴 활동을 한다.
- 사회를 여러 부류로 나누어 제거하거나 착취하고, 혁명에 이용한다.
- 첫 번째 부류: 즉시 사형선고를 받아야 할 대상.
- 두 번째 부류: 민중 봉기를 일으킬 수 있는 사람들.
- 세 번째 부류: 고위직 인사들로, 혁명에 이용 가치가 있는 사람들.
- 네 번째 부류: 야심 있는 정치가와 자유주의자들.
- 다섯 번째 부류: 이론가, 음모자, 혁명가들.
- 여섯 번째 부류: 여성으로, 혁명에 활용하거나 동지로 삼는다.
민중에 대한 혁명단의 자세
- 민중의 완전한 해방과 행복을 목표로 하며, 민중 혁명을 통해 이를 달성한다.
- 민중 혁명은 기존 질서를 완전히 파괴하는 혁명이어야 한다.
- 민중에게 조직을 강요하지 않으며, 미래 조직은 민중 스스로 만들어갈 것이다.
- 민중과 함께하며, 용감무쌍한 무법자들과 연대한다.
- 민중을 통합하여 파괴적인 힘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23]
1869년 봄, 네차예프는 사회와 국가의 "무자비한 파괴"를 위한 프로그램인 〈혁명가의 교리〉를 저술했다. 혁명적 교리의 주요 원칙—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네차예프의 혁명 활동 전반에 걸친 슬로건이 되었다. 그는 교회와 국가의 완전한 통제 추구에서 무자비한 비도덕성을 보았고, 따라서 그들에 대한 투쟁은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그 파괴에 대한 확고한 초점을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개인의 자아는 일종의 영적 금욕주의에서 더 큰 목적에 흡수되어야 하는데, 네차예프에게 이것은 단순한 이론 이상이었으며, 그가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지침 원칙이었다.[4]
이 책은 여러 세대의 급진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원본 출판 100년 후인 1969년 흑표당에 의해 재출판되었다. 또한 같은 해 이탈리아의 급진적인 붉은 여단 결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3. 2. 비판
Катехизис революционера|카테히지스 레볼류치오네라ru는 혁명가는 혁명을 위해 모든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다는 극단적인 주장을 담고 있는 문서이다. 이 문서는 혁명 지상주의를 설파하며,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혁명가의 냉혹한 자세를 강조한다. 네차예프는 이 문서에서 혁명가는 개인적인 감정, 관계, 심지어 이름까지 버리고 오직 혁명에만 헌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회와 국가를 파괴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하며, 민중은 혁명의 수단일 뿐이라고 보았다.[23]네차예프는 혁명가는 "운명 지어진 사람"이며, "사적인 이익, 사적인 일, 감정, 유대, 재산, 심지어 자신의 이름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혁명가를 "하나의 목적, 하나의 생각, 하나의 열정 – 혁명 – 에 의해 소모"되는 존재로 묘사하며, 사회와의 모든 유대를 끊고 오직 파괴만을 위해 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4] 이러한 주장은 목적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혁명가의 비윤리성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비판받는다.
이러한 혁명가의 교리는 여러 세대의 급진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흑표당(Black Panther Party)과 붉은 여단(Red Brigades)과 같은 단체들의 결성에도 영향을 주었다.[4]
4. 사상과 영향
네차예프는 사회와 국가의 "무자비한 파괴"를 주장하며,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는 원칙을 내세웠다. 그는 교회와 국가에 대한 투쟁에서 어떠한 수단도 정당화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 개인은 혁명이라는 더 큰 목적을 위해 희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혁명가의 교리에 잘 나타나 있다.[4]
Катехизис революционера|카테히지스 레볼류치오네라|혁명가의 교리ru는 혁명가는 사적인 이익, 감정, 유대, 재산, 심지어 이름까지 버리고 오직 혁명에만 헌신해야 하며, 사회와 문명 세계를 파괴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경찰을 포함한 모든 사회 조직에 침투하고, 부유층을 이용하며, 대중의 고통을 악화시켜 반란을 선동하고, 폭력적인 범죄자들과 동맹을 맺어야 한다고 주장한다.[4]
이 책은 여러 세대의 급진주의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흑표당과 붉은 여단의 결성에도 영향을 주었다.[4]
마르크스주의 작가 베라 자술리치는 네차예프를 처음 만났을 때 그가 즉시 자신을 영입하려 했던 것을 회상하며, 그가 혁명에 대해 매우 진지하고 행동으로 옮길 사람이라고 느꼈다고 말했다.[5]
그러나 네차예프는 동료들을 불신하고 교조주의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심지어 미하일 바쿠닌마저 비난했다. 그는 동료인 이바노프를 살해하고 시체를 유기하는 극단적인 행동을 저질렀다.[6] 이 사건은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죄와 벌에 영감을 주었다.[6]
미하일 바쿠닌은 네차예프의 이중성을 비난하며, 거짓말과 교활함은 적을 파괴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새로운 친구를 얻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그는 네차예프에게 상호 신뢰와 진실을 바탕으로 관계를 재정립할 것을 요구했지만, 결국 둘의 관계는 파국으로 치달았다.[7]
국제노동자협회는 네차예프가 조직의 이름을 악용했다며 공식적으로 관계를 끊었다. 네차예프는 동료들로부터 더욱 고립되었고, 결국 체포되어 20년 강제 노역형을 선고받았다.[9]
감옥에서도 네차예프는 간수들을 포섭하여 외부와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나로드나야 볼랴(인민의 의지)와 탈출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나로드나야 볼랴는 알렉산드르 2세 암살 계획에 집중하기 위해 그의 계획을 포기했다.[10]
베라 자수리치는 네차예프의 추종자는 아니었지만, 정치범 학대에 분노하여 트레포프 장군을 저격했다. 당시의 분위기를 반영하듯 배심원단은 그녀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네차예프는 1882년 감옥에서 사망했다.[10] 그의 방법은 ''네차예프시치나''라고 불리며 비판받았지만, 에드바드 라진스키는 블라디미르 레닌과 이오시프 스탈린 등 많은 혁명가들이 그의 사상을 따랐다고 주장한다.[4]
네차예프는 표트르 트카초프와 블라디미르 레닌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 혁명가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레닌은 네차예프를 "혁명의 거장"이라고 칭송하며 그의 저서를 읽어야 한다고 말했다.[11][12][13] 그는 러시아 혁명적 니힐리스트들에게도 영향을 주었으며,[14][15][16]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에 복권되었다.[17]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 ''악령''은 네차예프의 이바노프 살해 사건에서 영감을 받았다. 소설 속 인물 표트르 베르호벤스키는 네차예프와 그의 저서 ''혁명가의 교리''를 모델로 했으며, 샤토프는 이바노프를 부분적으로 반영했다.[18]
5. 저작
- 혁명가의 교리문답 (1869)
6. 평가
세르게이 네차예프는 개인적인 용기와 혁명 사업에 대한 광신적인 헌신을 보여주었지만, 그의 방법은 '네차예프시치나'라고 불리며 비판받았다. 그의 방법은 비밀 조직을 위험에 빠뜨려 러시아 혁명 운동에 해를 끼쳤다고 여겨진다.[4] 그는 동지들을 의심하고 협박하기 위해 편지와 개인 문서를 훔쳤으며, 미하일 바쿠닌은 네차예프의 이중성을 비난하며 "거짓말, 교활함, 그리고 얽힘"은 혁명에 필요한 수단이 아니라고 경고했다.[7]
국제노동자협회는 네차예프가 조직의 이름을 악용했다며 그와의 관계를 공식적으로 끊었다.[9] 에드바드 라진스키는 블라디미르 레닌과 이오시프 스탈린을 포함한 많은 혁명가들이 네차예프의 방법과 사상을 성공적으로 실행했다고 주장한다.[4] 네차예프의 이론은 표트르 트카초프와 블라디미르 레닌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레닌은 네차예프를 "혁명의 거장"이라고 칭송하며 그의 저작을 읽어야 한다고 말했다.[11][12][13]
네차예프가 일으킨 이바노프 살해 사건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악령''에 영감을 주었다. 소설 속 인물 표트르 베르호벤스키는 네차예프에게서, 샤토프는 이바노프에게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었다.[18]
참조
[1]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Anti-Communist Persecution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
서적
Trifonov and the Drama of the Russian Intelligentsia
Ghent State University, Russian Institute
[3]
서적
Chernyshevskii's What is to be Done?: A Reevaluation
[4]
서적
Stalin: The First In-depth Biography Based on Explosive New Documents from Russia's Secret Archives
[5]
서적
Five Sisters: Women Against the Tsar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6]
서적
Fydoro Dostoevsky
https://books.google[...]
[7]
서적
M. Bakunin to Sergey Nechayev
Alcove Press
[8]
서적
Karl Marx
[9]
서적
Marx: The First International and After
[10]
문서
Hyams
[11]
학술지
Nechaevshchina: An Unknown Chapter
[12]
학술지
Lenin and the Concept of the Professional Revolutionary
[13]
웹사이트
The Influences of Chernyshevsky, Tkachev, and Nechaev on the political thought of V.I. Lenin
https://www.research[...]
2019-03-25
[14]
웹사이트
Сергей Нечаев: "темный чуланчик" русской революции
https://finam.info/b[...]
2019-03-25
[15]
학술지
The First International and the Russian Obshchina
[16]
서적
Lenin: A Revolutionary Life
[17]
웹사이트
A Critical Survey of Bolshevism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1939-05-12
[18]
서적
Dostoevsky: A Writer In His ti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서적
ネチャーエフ
現代思潮社
[20]
웹사이트
Нечаев.Катехизис революционера
http://www.hist.msu.[...]
2016-10-11
[21]
웹사이트
読書日記 ネチャーエフ文書
http://2006530.blog6[...]
読書日記
2016-10-11
[22]
서적
바쿠닌과 네차예프의 관계
[23]
서적
바쿠닌 자서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