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원회는 협의회나 조직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구성되는, 한 명 이상으로 이루어진 조직 형태를 의미한다. 위원회는 경영, 의회,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조직 내 정보 공유, 조정, 책임 분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위원회는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협의회 등으로 분류되며,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책임 분산, 부처 간 갈등 등의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도 다양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자문, 행정, 국회, 기타 위원회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원회 - 이사회
    이사회는 주주의 이익을 위해 경영진을 감독하고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회사의 핵심 의사 결정 기구이다.
  • 위원회 - 위원장
    위원장은 조직이나 단체의 목표 달성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하고 의사 결정을 주도하는 위원회의 대표 직책이다.
  • 대한민국의 위원회 -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회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회는 국가정보원의 활동을 감시하고 예산 및 법률을 심사하며 국가정보원장 인사청문회를 실시하는 국회 상설특별위원회로, 여야 간 정치적 논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위원회 - 대한민국 국회 국회운영위원회
    대한민국 국회 국회운영위원회는 국회 소속 기관, 대통령 소속 기관 및 국가인권위원회의 소관에 속하는 의안과 청원 등을 심사하고 국회 운영에 관한 사항을 다루는 국회 상임위원회이다.
  • 대한민국의 위원회에 관한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금융감독 기구이며, 금융 시장 안정과 금융 소비자 보호를 목표로 은행감독원 등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 대한민국의 위원회에 관한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위원회
위원회 개요
목적정보 수집
조사
평가
정책 권고
특징특정 문제나 과제에 집중
임시적 또는 영구적 성격
정부, 의회, 기업, 비영리 단체 등 다양한 조직에서 활용
위원회의 유형
의회 위원회설명: 의회 내에서 특정 사안을 조사하고 보고하는 역할 수행
예시:
상임 위원회: 특정 분야의 법안 심사 (예: 법제사법위원회)
특별 위원회: 특정 현안에 대한 조사 및 보고 (예: 세월호 침몰 사고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정부 위원회설명: 정부 기관 내에서 정책 결정 또는 자문 역할을 수행
예시:
규제개혁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기업 위원회설명: 기업 내에서 특정 사안에 대한 의사 결정을 지원
예시:
감사위원회
인사위원회
기타 위원회설명: 다양한 조직 (비영리 단체, 학술 기관 등)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구성
예시:
윤리위원회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위원회의 기능
정보 수집 및 조사특정 사안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
정책 개발 및 권고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책 대안 제시
의사 결정 지원조직의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여 의견 제시
감독 및 평가특정 정책이나 사업의 진행 상황을 감독하고 평가
위원회 운영
구성위원장, 부위원장, 위원 등으로 구성
회의정기적 또는 필요에 따라 개최
의결위원회 내부 규정에 따라 결정
보고서활동 결과 보고서 작성 및 제출
참고 사항
중요성민주적인 의사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효과적인 운영위원회의 전문성, 독립성, 투명성이 중요

2. 위원회의 개념과 유형

위원회는 한 명 이상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이다. 대규모 조직에서는 많은 업무가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3] 위원회는 다양한 부서의 전문가들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조율하며, 책임을 분담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전문 지식이 필요한 문제에 대해 전문가를 임명하여 조언을 얻을 수도 있다.

위원회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거버넌스: 조직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이사회와 같은 기구가 이에 해당하며, 이사회는 조직의 전반적인 운영을 감독하고 주요 정책을 결정한다. 거버넌스 위원회는 이사회의 성과를 검토하고 이사회 후보를 추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4]
  • 조정 및 행정: 대규모 조직에서는 전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소규모 위원회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사위원회, 선거관리위원회, 재정위원회, 모금위원회, 프로그램 위원회 등이 있다. 대규모 회의학술회의는 조직 구성원으로 구성된 조정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경우가 많다.
  • 조사 및 권고: 특정 프로젝트나 변경 사항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권고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대규모 자본 투자를 고려하는 조직은 임시 위원회를 구성하여 투자 옵션을 검토하고 상위 관리자나 이사회에 권고안을 제시할 수 있다.
  • 징계: 조직 구성원의 징계 절차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5]
  • 결정 유보를 위한 전술: 민감하거나 불편한 문제를 위원회에 회부하여 결정을 지연시키거나 회피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시간 지연 전술로 간주될 수 있다.[6]


1918년 헬싱키의 에스테이트 하우스에서 열린 핀란드 의회의 헌법위원회 회의. 사진 왼쪽 끝에 등을 돌리고 앉아 있는 사람이 위원장인 K. J. 스탕베르크이다.


공식적인 위원회는 위원장(또는 의장)이 회의를 주관하며, 필요한 경우 부위원장이 임명될 수 있다.[7][8] 위원장은 회의 진행, 토론 주제 관리, 위원 결정 확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로버츠 의사규칙을 따르는 위원회는 비공식적인 절차를 따를 수 있다.[9] 위원회 회의는 직접 참석하거나 화상회의 등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회의록은 회의 결정 사항을 기록한 것으로, 서기가 작성한다. 모든 위원회가 공식적인 회의록을 작성할 필요는 없지만,[9] 공개회의법의 적용을 받는 공개 위원회는 회의록 작성이 요구될 수 있다.

위원회는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임시로 회의를 개최하며, 회의 빈도는 위원회의 업무와 상위 기관의 필요에 따라 결정된다. 위원회는 업무를 완료하면 보고서 형태로 상위 기관에 결과를 제출한다. 보고서에는 사용된 방법, 발견된 사실, 결론 및 권고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10] 위원회는 부분 보고서를 제출하거나, 상위 기관에서 위원회의 임무를 해제할 수도 있다. 위원회 구성원은 직무 수행 능력에 따라 해임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11] 위원회는 일반적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구성된 경우 최종 보고서 제출 후 해산되지만, 정관이나 조직 규칙에 의해 설립된 위원회는 계속 존속한다.

2. 1. 경영학적 관점

경영 규모가 확대되고 경영 관리 문제가 복잡해짐에 따라, 위원회는 각 부문 및 직능 간의 조정을 위한 중요한 조직 형태로 자리 잡았다. 위원회는 관리 기능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정책위원회: 경영의 정책 및 방침을 결정한다. 이사회, 상무회, 경영위원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계획위원회: 구체적인 업무 계획을 수립한다. 생산위원회, 재무위원회, 투자위원회 등이 있다.
  • 조정위원회: 각 부문 활동의 조정을 주 임무로 한다. 부장회의, 예산위원회 등이 있다.
  • 통제위원회: 업무 활동의 계획과 집행을 비교하고 평가한다. 예결산위원회, 안전관리위원회 등이 있다.


또한, 권한 관계의 종류에 따라 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결정위원회: 정책, 방침, 절차, 계획 등의 의사를 결정하는 권한을 가진다. 이사회, 경영위원회의 일부 등이 이에 속한다.
  • 집행위원회: 개개의 구체적인 문제 처리를 행하는 권한을 가진다. 인사위원회가 그 예이다.[2]
  • 입안위원회: 사실의 조사 분석을 기초로 정책 계획을 입안하고 특정한 관리자의 승인을 얻는다. 사무합리화위원회, 직제합리화위원회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자문위원회: 스스로 입안하는 권한은 없으나 상급 관리자의 자문에 응하여 협의한 의견을 제시한다.
  • 정보위원회: 정보를 교환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정위원회 및 집행위원회는 라인 권한을 가지며, 입안, 자문 및 정보위원회는 스태프의 성격을 띤다.

위원회 제도는 민주적인 제도로서, 집단 토의를 통해 관련 기능 간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참여 의식을 높여 협동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종합적인 관리자를 양성하는 등 조직체의 유기적인 운영에 기여하는 바가 크지만, 운영이 잘못될 경우 비능률적일 수 있다.[3]

2. 2. 의회에서의 위원회

현대 의회는 안건 심의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위원회 제도를 운영한다. 위원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나뉘며, 의회가 본회의 중심주의(영국)를 택하는지, 위원회 중심주의(미국, 한국)를 택하는지에 따라 그 중요성이 달라진다.[1]

위원회 중심주의는 의원들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안건을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비판도 존재한다.[1]

  • 일반 의원들이 안건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본회의가 형식화될 수 있다.
  • 위원회가 전문화되면서 의원들이 소속 위원회와 관련된 분야의 이해관계에만 집중하여 위원회 간 대립이 발생하거나, 로비스트와 결탁할 우려가 있다.
  • 위원회가 행정 분야와 대응하여 설치될 경우, 정부 기관의 영향력 아래 놓일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현대 의회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위원회의 기능을 인정하면서도 본회의가 책임 있게 안건을 심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대 의회의 과제이다.[1]

2. 3. 행정기관의 위원회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되는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행정위원회라고도 한다. 주로 기술적이거나 공정하고 중립적인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설치된다. 자문적이거나 조사적인 합의제 기관에는 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심의회·조사회 등이라고 한다.

3. 위원회의 기능과 특징

위원회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조직 운영에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위원회는 행정의 민주성과 조정력을 제고하고, 전문가 참여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분권적·참여적 조직이다. 주로 경제적·사회적 규제 업무를 수행하며, 행정권 비대화를 방지하기 위해 행정부 외부에 독립된 조직으로 설치된다.

위원회는 관리 기능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1]

구분설명예시
정책위원회경영 정책 및 방침 결정이사회, 상무회, 경영위원회
계획위원회구체적인 업무 계획 수립생산위원회, 재무위원회, 투자위원회
조정위원회각 부문 활동 조정부장회의, 예산위원회
통제위원회업무 활동 계획과 집행의 비교 및 평가예결산위원회, 안전관리위원회



권한 관계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

구분설명예시
결정위원회정책, 방침, 절차, 계획 등의 의사 결정이사회, 경영위원회의 일부
집행위원회개별적인 문제 처리인사위원회
입안위원회사실 조사 분석을 기초로 정책 계획 입안, 특정 관리자의 승인사무합리화위원회, 직제합리화위원회
자문위원회상급 관리자의 자문에 응하여 의견 제시
정보위원회정보 교환 및 의사소통 목적



결정위원회 및 집행위원회는 라인 권한을 가지며, 입안, 자문 및 정보위원회는 스태프의 성격을 가진다.

위원회는 민주적 제도로서 집단 토의를 통해 관련 기능 간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참여 의식을 높여 협동을 확보하며, 종합적인 관리자를 양성하는 등 조직 운영에 기여한다. 그러나 운영 방식에 따라 비능률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의회는 안건 심의를 위해 위원회 제도를 활용한다. 의원 수, 심의 기간, 전문 지식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 심사 기관으로서 위원회가 발달하였다. 위원회는 특정 안건 심의를 위해 수시로 설치되는 특별위원회와 안건 유형에 따라 상시 설치되는 상임위원회가 있다. 의회 운영 방식에 따라 위원회의 중요성이 달라지는데, 미국대한민국은 위원회 중심주의를 택하고 있다.

위원회 중심 의회 운영은 일반 의원의 안건 내용 파악을 어렵게 하고, 본회의를 형식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위원회 전문화로 인해 의원들이 소속 위원회와 해당 분야의 이해관계에만 집중하여 위원회 간 대립, 로비스트와 의원 간 야합, 정부 기관의 시녀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위원회 기능을 인정하면서 본회의의 책임 있는 안건 심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현대 의회의 과제이다.

대규모 조직에서는 위원회를 통해 업무가 이루어지며,[3] 조직의 여러 부서에서 전문 지식을 가진 구성원들을 모아 정보 공유, 행동 조정, 관점 확장, 책임 분담 등을 수행한다. 또한, 전문가를 임명하여 전문 지식이나 기술적 판단이 필요한 문제에 대한 조치를 권고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원회는 상위 기관에 보고해야 하며, 위원회를 설립한 기관이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 한 독자적으로 행동할 권한은 없다.[3]

3. 1. 순기능

위원회 제도는 한 사람에게 집중될 수 있는 권한 남용을 막고, 행정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토론과 타협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정책 및 기획 관련 갈등을 해소하고 의견 충돌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책 관련 이해관계자들에게 의견 개진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정책 정당성을 높일 수 있다.[2] 또한,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외부 전문성을 강화하고, 합리적인 정책 결정과 정책 능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3] 위원회는 조직의 여러 부서에서 관련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 정보를 공유하고 행동을 조율하며, 관점을 넓히고 책임을 분담하는 데 유리하다.

3. 2. 역기능

위원회의 결정은 책임이 분산되는 특징 때문에, 위원 개개인은 책임감을 덜 느끼고 무책임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타협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4] 정부 부처에 의해 설립되는 위원회는 흔히 해당 부처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경향이 있어 부처 간 갈등을 유발하고, 문제 해결을 지연시키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4]

3. 3. 특징

위원회는 계층제 조직에 비해 수평적이고 유기적인 조직 형태이다.[2] 하지만, 상설위원회의 경우 동태적·유기적 조직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위원회는 다수결에 의한 의사 결정 방식을 통해 행정의 민주성과 조정 능력을 향상시킨다.[3]

또한,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행정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분권적·참여적 조직의 특징을 가진다. 위원회는 주로 경제적·사회적 규제 업무를 수행하며, 행정권 비대화를 방지하기 위해 행정부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된다.[4]

대규모 조직에서는 많은 업무가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3] 위원회는 조직 내 여러 부서의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 정보를 공유하고, 행동을 조율하며, 관점을 넓히고 책임을 분담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전문 지식이나 기술적 판단이 필요한 문제에 대해 전문가를 임명하여 조치를 권고하도록 할 수 있다.

4. 대한민국의 위원회

대한민국은 다양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위원회는 크게 자문위원회, 행정위원회, 국회 상임/특별위원회, 그리고 기타 위원회로 분류할 수 있다.

'''자문위원회'''는 주로 정책 결정에 대한 자문 역할을 하며, 법적 구속력은 없다. '''행정위원회'''는 특정 행정 분야에 대한 심의·의결 권한을 가지며,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국회위원회'''는 법률 제정 및 정부 견제 기능을 수행한다.

'''기타 위원회'''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설치된 위원회로, 주무 부처가 다양하며, 그 기능과 권한도 위원회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나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와 같이 과거사 관련 위원회는 진실 규명 및 피해자 명예 회복을 위한 활동을 한다.

4. 1. 자문위원회

자문위원회는 개인이나 조직 전체에 대한 자문에 응하고 시민의 의견을 모아 행정 당국에 반영시키는 막료 기관의 성격을 가진 합의제 기관이다. 공식적인 행정 관청은 아니다.

자문위원회의 결정은 정책적 영향력은 가질 수 있으나 법적 구속력은 없으며 독립성이 미흡하다. 대통령령이나 부령에 의해 설치된다.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국무총리 소속 자문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4. 2. 행정위원회

대통령 소속에는 방송통신위원회, 규제개혁위원회 등이 있다. 국무총리 소속에는 국민권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이 있다. 각 부처 소속에는 중앙토지수용위원회(국토해양부), 중앙노동위원회(노동부), 소청심사위원회(인사혁신처) 등이 있다. 독립된 기관으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금융통화위원회(한국은행), 국가인권위원회 등이 있다.

4. 3. 대한민국 국회의 위원회

대한민국 국회에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가 있다.

  • 상임위원회
  • * 국회운영위원회
  • * 법제사법위원회
  • * 정무위원회
  • * 기획재정위원회
  • * 외교통일위원회
  • * 국방위원회
  • * 행정안전위원회
  • * 교육과학기술위원회
  • *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 * 농림수산식품위원회
  • * 지식경제위원회
  • * 보건복지가족위원회
  • * 국토해양위원회
  • * 환경노동위원회
  • * 정보위원회
  • * 여성위원회

  • 특별위원회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윤리특별위원회
  • * 여성특별위원회

4. 4. 기타 위원회

5. 특정 분야의 위원회

위원회는 특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조직될 수 있다. 위원회는 조직의 여러 부서에서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모아 정보를 공유하고 행동을 조율하며, 다양한 관점을 확보하고 책임을 분담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전문가를 임명하여 전문적인 판단이 필요한 문제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하도록 할 수 있다.[2]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조사 및 권고: 특정 프로젝트나 변경 사항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기관에 권고안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대규모 자본 투자를 고려하는 조직은 임시 위원회를 구성하여 투자 옵션을 검토하고 이사회에 보고할 수 있다.
  • 징계: 조직 구성원의 징계 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징계 위원회가 구성될 수 있다.[5]


위원회가 업무를 완료하면, 사용된 방법, 발견된 사실, 결론 및 권고 사항을 포함한 보고서를 상위 기관에 제출한다.[10]

위원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상임 위원회: 조직 내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감사, 선거, 재정 등 특정 분야를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연중 활동하고 정기총회에서 결과를 발표한다.[25]
  • 운영 위원회: 조직 내 프로젝트의 지침, 방향 및 통제를 제공한다.[27] IT 프로젝트에서 사업 타당성 검토, 계획 수립, 진행 상황 모니터링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특별 위원회: 특정 과제를 수행하거나 특정 영역을 감독하기 위해 임시로 설립된다.[28] 연구 또는 조정 위원회의 성격을 가지며, 최종 보고서를 제출하면 해산된다.
  • 소위원회: 상위 위원회의 부분 집합으로, 업무량이 많은 위원회에서 작업을 세분화하기 위해 구성된다. 소위원회는 상위 위원회에 보고한다.[9][29]


공식적인 위원회에서는 위원장(또는 의장)이 선출되며, 때로는 부위원장이 임명되기도 한다.[7][8] 위원장은 회의 진행을 책임지며, 토론 주제 관리, 발언자 지정, 투표 결과 확정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로버츠 의사규칙 개정판''(RONR)을 사용하는 위원회는 비공식적인 절차를 따를 수 있다.[9]

회의록은 회의 결정 사항을 기록한 것으로, 서기가 작성한다. 공개 위원회의 경우 공개회의법에 따라 회의록 작성이 요구될 수 있다.

5. 1. 정당 및 노동조합의 위원회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과 일부 노동조합, 사회주의 정당의 집행기관은 “중앙위원회”, “중앙집행위원회”라고 부른다.[19]

미국의 양대 정당의 전국 조직 명칭은 각각 “민주당 전국위원회”(Democratic National Committee) · “공화당 전국위원회”(Republican National Committee)이다.

현재 대한민국 국회(日本の国会)에 의석을 가진 정당 중 중앙 기관에 "위원회(委員会)"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곳은 일본 공산당 중앙위원회(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뿐이다.[19] 일본 공산당은 다른 정당의 "도도부현 지부 연합회(都道府県支部連合会)"에 해당하는 기관에도 "위원회(委員会)"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다른 정당 관련 위원회로는 "국회 대책 위원회(国会対策委員会)"나 "선거 대책 위원회(選挙対策委員会)"가 있으며, 이는 자민당(自民党)과 같은 보수 정당에서도 "위원회(委員会)"를 사용하고 있다.

5. 2. 학교의 위원회

학급 활동, 어린이회, 학생회 활동의 일환으로 여러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각 학급에서 학급 임원이나 각 위원회의 위원을 선출하여 활동한다.

6. 결론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 형태이다. 위원회는 여러 부서의 전문가들이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행동을 조율하며, 다양한 관점을 통해 책임을 분담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특정 문제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3]

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은 조직의 목표 달성, 민주적 의사 결정,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위원회는 때로는 시간 지연 전술로 악용될 수 있으며,[6] 민감한 사안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원회의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위원회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고 정책 결정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참조

[1] 서적
[2] 서적 Robert's Rules of Order Newly Revised Da Capo Press
[3] 서적
[4] 웹사이트 So You Need (to Improve) a Governance Committee? https://web.archive.[...] GuideStar 2012-04-00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Robert's Rules of Order Newly Revised In Brief https://web.archive.[...] Da Capo Press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간행물 The Motion to Recommit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6-01-06
[14] 서적
[15] 의회자료 TSC
[16] 서적
[17] 서적
[18] 의회자료 TSC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Bicameral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Reviving Conference Committees http://www.revparl.c[...] Canadian Parliamentary Review 2008-09-00
[23] 학술지 Why the Conference Procedure Remains the Preferred Method for Resolving Disputes Between the Two Houses of the South Australian Parliament https://www.aspg.org[...]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earson Education
[28] 서적
[2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