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히오 오스메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필리핀의 정치인으로, 1878년 세부에서 태어났다. 그는 산토 토마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후, 1900년 세부 일간지 《엘 누에보 디아》를 창간하여 평화적 독립 운동을 추진했다. 1904년 세부 주지사를 거쳐 1907년 국민당 소속으로 제1차 총선에서 국민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고, 1916년 양원제 의회에서 하원 의장을 역임했다. 1935년 필리핀 자치령 성립 시 부통령이 되었으며, 1944년 마누엘 케손 대통령 사망 후 필리핀 대통령으로 승격했다. 1946년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1961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에 거주한 필리핀인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의 제10대 대통령으로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했으나, 계엄령 선포 후 권위주의 통치, 인권 유린, 부정 축재 등으로 논란이 많았으며 에드사 혁명으로 망명 후 사망, 영웅묘지 안장 또한 논쟁을 야기했다.
  • 미국에 거주한 필리핀인 - 마누엘 L. 케손
    필리핀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인 마누엘 L. 케손은 필리핀 코먼웰스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필리핀의 자치권 확보와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타갈로그어 국어 채택, 사회 정의 프로그램 추진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하여 필리핀의 완전 독립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 폐부종으로 죽은 사람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1973년 칠레 쿠데타로 집권하여 1990년까지 칠레를 군사 독재 통치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그의 통치는 인권 침해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했으며 1998년 인권 침해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사망했다.
  • 폐부종으로 죽은 사람 - 요코주나 (프로레슬링 선수)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 요코주나는 스모 선수 기믹으로 WWF에서 활약하며 챔피언, 태그팀 챔피언, 로열럼블 우승 등의 경력을 쌓았고, 사망 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필리핀의 변호사 - 카를로스 P. 가르시아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변호사, 시인이었던 카를로스 P. 가르시아는 부통령를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필리피노 우선 정책과 긴축 정책을 추진하고 미군 기지 임대 기간 단축, 국제 벼 연구소 설립 제안, 공화국 문화상 제정 등 외교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했다.
  • 필리핀의 변호사 - 마누엘 L. 케손
    필리핀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인 마누엘 L. 케손은 필리핀 코먼웰스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필리핀의 자치권 확보와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타갈로그어 국어 채택, 사회 정의 프로그램 추진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망명하여 필리핀의 완전 독립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세르히오 오스메냐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이름세르히오 오스메냐
로마자 표기Sergio Osmeña
한자 표기吳文釗
출생일1878년 9월 9일
출생지스페인령 동인도 세부주 세부
사망일1961년 10월 19일
사망지필리핀 케손시티
안장지마닐라 북부 묘지, 산타크루즈, 마닐라, 필리핀
서명
정치 경력
직위필리핀 대통령
재임 기간1944년 8월 1일 – 1946년 5월 28일
이전 대통령마누엘 케손, 호세 라우렐 (사실상)
다음 대통령마누엘 로하스
부통령필리핀 부통령
재임 기간 (부통령)1935년 11월 15일 – 1944년 8월 1일
이전 부통령신설된 직위
다음 부통령엘피디오 키리노
공공 교육, 보건 및 공공 복지부 장관(부통령 겸임)
재임 기간 (공공 교육, 보건 및 공공 복지부 장관)1941년 12월 24일 – 1944년 8월 1일
이전 장관후안 놀라스코 (공공 교육, 보건 및 공공 복지부 장관), 호르헤 보코보 (공공 교육부 장관)
다음 장관마리아노 에라냐 (법무, 노동 및 복지부 장관), 바실리오 발데스 (보건 및 공공 복지부 장관), 카를로스 P. 로물로 (공공 교육 및 정보부 장관)
공공 교육부 장관(부통령 겸임)
재임 기간 (공공 교육부 장관)1935년 11월 15일 – 1938년 12월 1일
이전 장관조지프 R. 헤이든
다음 장관마누엘 L. 케손
상원 임시 의장필리핀 상원 의장
재임 기간 (상원 임시 의장)1922년 10월 27일 – 1934년 7월 16일
이전 상원 임시 의장에스피리디온 구앙코
다음 상원 임시 의장호세 클라린
상원의원제10 선거구
재임 기간 (상원의원)1922년 6월 6일 – 1935년 11월 15일
동료 상원의원셀레스티노 로드리게스 (1922–1925), 페드로 로드리게스 (1925–1931), 마누엘 브리오네스 (1931–1935)
이전 상원의원파일레몬 소토
다음 상원의원폐지된 직위
하원 의장필리핀 하원 의장
재임 기간 (하원 의장)1907년 10월 16일 – 1922년 2월 11일
이전 하원 의장신설된 직위
다음 하원 의장마누엘 로하스
하원 의원세부 주 제2 선거구
재임 기간 (하원 의원)1907년 10월 16일 – 1922년 6월 6일
이전 하원 의원신설된 직위
다음 하원 의원비센테 소토
세부 주지사세부 주지사
재임 기간 (세부 주지사)1904년 – 1907년 10월 16일
이전 주지사후안 F. 클리마코
다음 주지사디오니시오 A. 야코살렘
개인 정보
출생 이름세르히오 오스메냐
배우자에스테파니아 치옹 벨로소 (1901–1918)
에스페란사 림합 (1920)
자녀13명 (세르히오 오스메냐 2세 포함)
학력산 후안 데 레트란 칼리지 (학사), 산토 토마스 대학교 (법학사)
직업변호사, 군인
소속 정당국민당 (1907–1961)
군 복무
소속필리핀 혁명군, 필리핀 연방군
복무 기간1899–1900, 1941–1945
계급총사령관
참전 전투필리핀-미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 전역 (1941-1942)
일본의 필리핀 점령 (1942–1945)
필리핀 전역 (1944–1945)
훈장CCLH

2. 초기 생애 및 교육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1878년 9월 9일 지방 자치 단체였던 세부의 세부에서 태어났다.[1][2] 그의 친아버지는 세부 전역에 걸쳐 광대한 토지를 소유한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으로 유명하고 부유한 중국계 메스티소 사업가이자 지주였던 안토니오 싼손(Don Antonio Sanson)이었다. 싼손은 세부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유명한 가문 중 하나 출신이었다.[1][2] 그의 어머니인 후아나 오스메냐 이 수이코(Juana Osmeña y Suico)는 당시 20세였다고 한다.[3] 하지만 싼손이 이미 다른 여성과 결혼했었기 때문에 오스메냐는 사생아로 여겨졌다. 그 결과 그는 어머니의 성을 따랐다.[4][5]

오스메냐는 자신의 부모에 대해 비밀스러웠다. 그는 보르본에 있는 싼손의 농장을 자주 방문했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친아버지의 신원을 알고 있었음을 시사한다.[6] 세부에서 광범위한 사업적 이해관계를 가진 부유하고 유명한 중국계 필리핀인 가문인 오스메냐 가문은 그가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매김하자 그를 따뜻하게 맞이했다.[7]

오스메냐는 산 카를로스 대학(Colegio de San Carlos)에서 초등 교육을 받고 1892년에 졸업했다. 오스메냐는 마닐라에서 교육을 계속하여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San Juan de Letran College)에서 공부했는데, 여기서 그는 그의 동급생이었던 마누엘 케손, 후안 수멀롱, 에밀리오 하킨토를 처음 만났다. 그는 산토 토마스 대학(University of Santo Tomas)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1903년 변호사 시험에서 2등을 했다. 그는 급사이자 언론인으로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전쟁 참모부에서 근무했다. 1900년 그는 세부 신문인 ''엘 누에보 디아''(El Nuevo Día, The New Day영어)를 창간했는데, 3년간 지속되었다.

3. 정치 경력

산토 토마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필리핀-미국 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했지만 1903년 사법 시험에 합격했다.[1]

1906년 국민당의 초대 당수가 되었다.[1] 1907년 제1차 총선에서 국민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고, 1916년 양원제 의회에서는 하원 의장에 취임했다.[1] 1923년에는 상원의원에 선출되었다.[1]

1933년 헤어-호이스-커팅 독립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했으나,[4] 마누엘 케손의 반대로 필리핀 의회에서 비준되지 못했다.[1] 이후 케손이 가져온 타이딩스-맥더피 법이 통과되면서, 1935년 자치령이 성립되자 케손이 대통령이 되었고, 오스메냐는 부통령이 되었다.[1]

1944년 8월 마누엘 케손이 미국에서 병사하자 망명 정부의 대통령으로 승격되었다.[1] 같은 해 10월 23일 더글러스 맥아더와 함께 레이테 만에 귀환하여 타클로반에서 연방 정부의 부활을 선언하고, 1945년 2월 27일 마닐라로 돌아왔다.[1] 전후 첫 대통령 선거에서 마누엘 로하스에게 패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1]

초창기 오스메냐(앉은 자세, 왼쪽)와 케손(앉은 자세, 오른쪽)

3. 1. 언론 활동과 세부 주지사

1900년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자신이 설립한 세부 일간지 《엘 누에보 디아》(새로운 시대)를 창간하여 평화적 수단을 통한 독립 운동을 추진하였다.[1] 1904년 세부 주지사에 취임하였다.[1]

세부 주지사 후안 클리마코가 세인트루이스 매입 탐험대의 위원회 위원으로 파견되었을 때, 오스메냐는 권한대행 주지사로 임명되었다.[4] 클리마코가 돌아왔을 때, 오스메냐는 지방 검사로 임명되었다.[4] 1906년 세부 주지사로 선출되었다.[4]

3. 2. 필리핀 의회 활동

1900년 자신이 설립한 세부 일간지 《엘 누에보 디아》(새로운 시대)를 창간하여 평화적 수단을 통한 독립 운동을 추진하였다.[1] 1904년 세부 주지사에 취임하였다.[1] 1906년 독립을 강령으로 하는 정당 금지령 해제 후 민족주의 정당들의 합종연횡으로 결성된 국민당의 초대 당수가 되었다.[1]

1907년 제1차 총선에서 국민 의회 의원에 당선되었고, 1916년 양원제 의회에서는 하원 의장에 취임했다.[1] 1923년에는 상원의원에 선출되었다.[1]

총독 재임 시절, 1907년 출범한 초대 필리핀 의회 의원 선거에 성공적으로 출마하여 초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 당시 29세였던 오스메냐는 이미 최고위직 필리핀 관리였다.[2] 그와 타야바스 출신 마누엘 케손은 마닐라 정치인들의 파르티도 페데랄리스타에 대항하기 위해 국민당을 결성했다.[2]

의장직 재임 기간 동안, 의회 의원들은 결국 통과되지 못한 필리핀 위원회의 미국 상관들 의견과 끊임없이 충돌하는 정책을 시작하려고 했다.[2] 필리핀 위원회에 의해 거부된 의회의 세 가지 중요 법안은 다음과 같다.[2]

거부된 법안 내용
독립을 주장하는 모든 필리핀인에게 처벌을 부과하는 반역죄 법 폐지
필리핀 국기 게양을 금지하는 국기법 폐지
지방 정부에 대한 권한 확대 부여



미국의 권위는 그가 이끄는 의회가 향후 통과될 변혁적인 법안을 제정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2] 여기에는 필리핀 입법부가 미국 총독의 행정 권한 일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평의회와 통제위원회 설립이 포함되었다.[2]

오스메냐는 의장직을 수행하던 당시 필리핀 의회 다수당 원내대표였던 마누엘 L. 케손과 친구이자 동급생이었다.[2] 존스법(Jones Law)이 통과되자 케손은 상원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오스메냐는 의장직을 유지했다.[2]

필리핀 의회 의장 시절의 오스메냐

3. 3. 독립 사절단 활동과 부통령

1933년 오스메냐는 독립 사절단의 일원으로 미국에 건너가 헤어-호이스-커팅 독립법안 통과를 위해 노력했으나,[4] 마누엘 케손의 반대로 필리핀 의회에서 비준되지 못했다.[1] 이후 케손이 가져온 타이딩스-맥더피 법이 통과되면서, 1935년 자치령이 성립되자 케손이 대통령이 되었고, 오스메냐는 그 아래에서 부통령이 되었다.[1]

부통령으로서의 오스메냐


오스메냐는 1935년 11월 15일에 케손 대통령과 함께 부통령으로 취임하였다.[5] 케손은 원래 필리핀 헌법에 따라 재선이 금지되었으나, 1940년 헌법 개정으로 1943년에 끝나는 새로운 임기 동안 재선이 허용되었다. 1941년 대통령 선거에서 케손은 전 상원의원 후안 수물롱을 누르고 약 82%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1941년 재선된 오스메냐는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정부가 망명 중에도 부통령직을 유지하였다. 부통령으로서 오스메냐는 1935년부터 1940년까지, 그리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겸임하였다.[5]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정부 구조는 주기적으로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1941년 12월 22일자 행정명령 제390호는 내무부를 폐지하고 새로운 계승 체계를 수립하였다. 1941년 12월 24일자 행정명령 제396호는 내각을 추가로 개편하고 통합하여 사법부 장관의 기능을 대법원장에게 할당하였다.[5]

4.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정부

1941년 대선에서 마누엘 케손 대통령과 함께 부통령으로 재선된 오스메냐는 일본 점령 기간 동안 망명 정부에서 부통령직을 유지했다. 오스메냐는 1935년부터 1940년까지, 그리고 1941년부터 1944년까지 교육부 장관을 겸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정부 구조는 주기적으로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1941년 12월 22일자 행정명령 제390호는 내무부를 폐지하고 새로운 계승 체계를 수립하였다. 1941년 12월 24일자 행정명령 제396호는 내각을 추가로 개편하고 통합하여 사법부 장관의 기능을 대법원장에게 할당하였다.[8]

4. 1. 케손과의 갈등과 대통령직 승계

1933년 독립 사절단으로 미국 의회에서 헤어-호즈-커팅 법(10년 후 독립 승인)에 노력하였으나, 마누엘 케손의 반대로 필리핀 의회에서 비준되지 않았다. 타이딩스-맥더피 법을 가지고 돌아온 케손이 1935년 코먼웰스 성립 당시 대통령이 되자, 그의 휘하에서 필리핀 부통령이 되었다.[8] 1943년에 이르러 망명 필리핀 정부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8] 1935년 헌법 개정에 따라 케손 대통령의 임기는 1943년 12월 30일에 만료될 예정이었고, 오스메냐 부통령이 자동적으로 그 뒤를 이어 1945년까지 잔여 임기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오스메냐는 케손에게 서면으로 이 사실을 알렸고, 케손은 현재 상황에서는 그러한 변화를 시행하는 것이 현명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장하며, 같은 내용의 보도 자료를 발표했다. 오스메냐는 미국 법무장관 호머 커밍스에게 의견을 구했고, 커밍스는 오스메냐의 견해가 법에 더 부합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케손은 단호한 입장을 고수하며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결정을 요청했다. 루즈벨트는 중립을 지키며 필리핀 관리들이 스스로 해결할 것을 제안했고, 케손은 내각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에는 케손과 오스메냐 외에도 호아킨 엘리잘데, 칼로스 P. 로물로 준장, 안드레스 소리아노와 하이메 에르난데스 장관들이 참석했다. 논의 끝에 내각은 엘리잘데의 의견(케손의 결정에 찬성)을 채택했고, 케손은 캘리포니아에서 은퇴할 계획임을 발표했다.[8]

회의 후 오스메냐는 케손에게 필리핀 해방 후까지 대통령 계승에 관한 헌법 조항을 유예해 달라고 미국 의회에 요청할 계획을 밝혔다. 케손과 내각 구성원들은 이 법적 해결책을 받아들였다. 타이딩스 상원의원과 벨 하원의원이 제안한 관련 공동 결의안 제95호는 1943년 11월 12일 상원에서 기명 투표 없이 만장일치로 통과되었고, 하원에서 181대 107표로 가결되었다.[8] 1944년 8월, 케손이 미국에서 사망하자 오스메냐는 망명 정부의 대통령으로 승격되었다. 1944년 10월 23일, 더글러스 맥아더와 함께 레이테섬레이테만에 귀환하여 타클로반에서 코먼웰스 정부의 부활을 선포하고, 1945년 2월 27일 마닐라에 귀환하였다.[8]

5. 필리핀 대통령 (1944-1946)

1944년 8월, 마누엘 케손이 미국에서 병사하자 망명 정부의 대통령으로 승격했다.[9] 같은 해 10월 23일 더글러스 맥아더와 함께 레이테섬레이테만에 상륙하여 타클로반에서 연방 정부의 부활을 선언했고, 1945년 2월 27일 마닐라로 돌아왔다.

레이테섬, 1944년 10월 (왼쪽부터): 조지 케니 중장, 리처드 K. 서덜랜드 중장,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1944년 레이테섬 상륙 당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과 함께한 세르히오 오스메냐 대통령


전후 첫 대통령 선거에서 마누엘 로하스에게 패하면서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5. 1. 행정부 및 내각 구성

오스메냐는 1944년 케손의 사망으로 필리핀 연방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8월 1일 워싱턴 D.C.에서 로버트 잭슨 연방 대법관에게 선서를 받았다.[9]

마누엘 L. 케손의 서거 후 필리핀의 네 번째 대통령이자 필리핀 연방의 두 번째 대통령이 되는 오스메냐 부통령의 취임 선서


오스메냐 대통령(앉아 있는 사람, 가운데)과 그의 내각 구성원들, 1944년경

5. 2. 국내 정책

오스메냐는 1944년 케손의 사망으로 필리핀 연방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944년 8월 1일 워싱턴 D.C.에서 로버트 잭슨 연방 대법관에게 취임 선서를 받았다.[9]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 해방이 시작된 1944년 10월 20일, 미군의 레이테섬 상륙 작전에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과 함께 참여했다. 교두보를 확보한 후 맥아더는 곧바로 오스메냐에게 권한을 이양했다. 1945년 2월 27일, 마닐라 해방 후 맥아더는 말라카냥궁에서 필리핀 통치권을 오스메냐에게 넘겨주었다. 오스메냐는 맥아더 장군을 통해 미국에 감사를 표한 후 필리핀 연방 정부의 복구를 선언하고 전쟁 피해 복구에 착수했다.

오스메냐는 정부와 산하 기관들을 즉각 개편했다. 1945년 4월 8일, 내각을 구성하고 각료들에게 취임 선서를 하게 했다. 이후 국가평의회를 구성하여 국가 주요 문제 해결을 도왔다. 정부 기관과 부서들이 점차 재건되었고, 당시 필요에 맞춰 새로운 기관들이 다수 설립되었다. 필리핀 대법원과 하급 법원들도 복원되었다. 항소법원은 폐지되었고, 항소 관할권은 대법원으로 이관되었으며, 대법원 재판관 수는 대법원장 1명과 대법원 판사 10명으로 증원되었다. 해방군이 다른 지역들을 해방시키면서, 코먼웰스는 점진적으로 지방 및 시정부를 설립하여 군 당국으로부터 권한을 인계받았다.[8]

필리핀 공화정부 복원 후 의회가 재편성되었다. 마누엘 로하스엘피디오 키리노가 각각 상원 의장과 상원 임시의장으로 선출되었다. 하원에서는 일로일로 출신 호세 술루에타가 의장으로, 프로스페로 사니다드가 임시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의회 개원식에는 오스메냐가 직접 참석하여 망명 정부에 대한 보고와 중요 입법안을 제안했다.[8]

제1공화국 의회는 필리핀의 구호, 복구 및 재건과 관련된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미결 과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었다. 최초로 제정된 법안은 필리핀 국립은행을 재건하는 법률 제672호였다.[8] 미국의 압력으로 1945년 9월 25일, 의회는 공화국법 제682호를 제정하여 "협력" 관련 미결 사건을 처리하기 위한 인민법원(People's Court)과 특별검찰청(Office of Special Prosecutors)을 설립하였다.[8]

5. 3. 외교 정책



오스메냐는 1945년 6월 26일 국제연합 헌장 공포를 위해 카를로스 P. 로물로가 이끄는 필리핀 대표단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파견했다.[8] 대표단에는 막시모 칼라우, 카를로스 P. 가르시아, 페드로 로페즈, 프란시스코 델레가도, 우르바노 자프라, 알레한드로 멜초르, 비센테 신코 등이 포함되었다.[8] 필리핀은 UN 헌장을 초안한 51개국 중 하나로, 국제연합의 28번째 서명국이 되었다.[8] 필리핀 대표단의 승인을 받은 UN 헌장은 필리핀 의회에서 비준되었고, 1945년 10월 11일 미국 국무부에 기탁되었다.[8]

필리핀 독립을 앞두고 오스메냐는 외교 관계 사무소(Office of Foreign Relations)를 설립했다.[8] 초대 국장으로는 비센테 신코가 내각급 직책으로 임명되었다.[8] 오스메냐는 미국 정부와 협정을 맺고 필리핀인 5명을 미국 국무부에 파견하여 외교 업무를 준비하도록 했다.[8] 이들은 모스크바와 멕시코시티 주재 미국 대사관, 사이공과 싱가포르 주재 미국 영사관에 파견되었다.[8]

1945년 12월 5일, 오스메냐는 카를로스 로물로(Carlos P. Romulo)를 대표로 임명하여 브레턴 우즈 협정에서 구상된 국제통화기금(IMF)과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에 필리핀의 회원 자격을 수락하게 했다.[8] 필리핀은 브레턴 우즈 협정에 참여했으며, 로물로는 1945년 12월 27일 필리핀을 대표하여 회원 자격에 서명했다.[8]

1946년 4월 30일, 미국 의회는 벨 법(Bell Act)을 승인했다.[8] 오스메냐와 로물로 상주 위원, 폴 V. 맥넛(Paul V. McNutt) 미국 고등판무관은 이 법안의 통과를 촉구했다.[8]

벨 법은 필리핀에 8년간의 미국과의 자유 무역을 부여하고, 이후 20년 동안 관세를 점진적으로 인상하여 미국의 관세 정책과 일치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특정 품목에 대한 할당량을 설정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품목할당량
설탕약 863639.95kg
로프류약 2.72kg
코코넛 오일약 203209400.00kg
시가약 90.72kg



이러한 지원은 타이딩스 손해 배상 법안(Tydings Damage bill)에서 얻을 수 있는 지원과 결합되었는데, 이 법안은 전쟁 피해 보상을 위해 9억 달러를 제공했으며, 그중 100만 달러는 교회 손실 보상에 배정되었다. 2억 4천만 달러는 미국 대통령이 순차적으로 우호의 표시로 할당할 예정이었다. 또한 6천만 개의 잉여 재산이 필리핀 정부로 이전되었다.[8]

5. 4. 1946년 대통령 선거와 퇴임

1945년 연방 정부 재건 직후, 마누엘 로하스 상원의원과 엘피디오 키리노 상원의원 및 그들의 동맹은 필리핀 대통령과 부통령, 그리고 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조기 총선을 요구했다. 1945년 12월, 미합중국 의회의 하원 인슐라 사무국은 1946년 4월 30일 이전에 선거를 실시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승인했다.

이러한 의회의 조치에 따라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필리핀 의회를 3일간의 특별 회의에 소집했다. 의회는 1946년 4월 23일을 선거일로 하는 연방법 725호를 제정했고, 오스메냐는 1946년 1월 5일에 이 법안에 서명했다.

세 개의 정당이 각각 다른 국가 선출직에 후보를 냈다. 나시오날리스타당의 보수파(오스메냐 계), 나시오날리스타당의 자유파, 그리고 파르티도 모데르니스타가 그것이다. 나시오날리스타당은 오스메냐를 대통령 후보로, 에울로지오 로드리게스 상원의원을 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모데르니스타당은 힐라리오 카미노 몬카도와 루이스 살바도르를 각각 대통령과 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자유파의 대표는 마누엘 로하스 상원의원과 엘피디오 키리노 상원의원이었다. 1946년 1월 3일, 오스메냐는 재선 출마를 선언했다. 1946년 1월 22일, 마닐라의 시로 클럽에서 열린 집회에서 에울로지오 로드리게스가 오스메냐의 부통령 러닝메이트로 지명되었다.[10]

마누엘 로하스는 오스메냐에게 미국 주재 필리핀 총독 고문직을 제안하여 나시오날리스타당의 분열을 막으려 했지만, 로하스는 이 제안을 거절했다. 나시오날리스타당의 자유파라는 새로운 정치 조직이 탄생했고, 이후 필리핀의 자유당이 되었다.

총 2,218,847명의 유권자가 투표에 참여하여 연방의 마지막이자 공화국의 첫 번째 대통령과 부통령을 선출했다. 선거일 4일 후, 자유당 후보들이 승리자로 선포되었다. 로하스는 34개 주와 9개 도시에서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

6. 퇴임 이후와 죽음

마누엘 로하스에게 패배하면서 정계를 은퇴했다.[12]

세부 시의 자택으로 은퇴한 오스메냐는 1961년 10월 19일, 퀘존 시의 베테랑 기념 의료 센터에서 83세의 나이로 폐부종으로 사망했다.[12] 카를로스 가르시아 대통령은 10월 20일부터 11월 3일까지를 "국가 애도 기간"으로 선포하고, 전국적으로 모든 국기를 반기로 게양하여 애도를 표했다.[12]

오스메냐는 국장으로 장례를 치렀다. 1961년 10월 20일, 그의 유해는 마닐라의 말라테 교회에 안치된 후 말라카냥으로 옮겨졌다. 10월 22일, 유해는 세부 시로 이송되어 세부 대성당에 안치되었고, 다음 날에는 세부 주청사에 안치되었다. 그 후 유해는 다시 마닐라로 옮겨져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말라카냥에 안치되었고, 이어 10월 26일까지 입법 의사당에서 오스메냐를 위한 추모 예배가 거행되었다. 그의 유해는 10월 26일 정오에 마닐라 북부 묘지에 매장되었다.[13][14][15][16][17]

세르히오 오스메냐의 묘

7. 유산과 평가

세르히오 오스메냐는 필리핀의 독립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독립을 추구했으며, 정치인으로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필리핀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 마누엘 케손과의 경쟁과 협력 관계는 필리핀 독립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오스메냐는 1961년 10월 19일 8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0] 1967년부터 2018년까지 50 페소 지폐에 그의 초상이 사용되었다.[21]

그의 후손들 역시 필리핀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이름관계직책
세르히오 오스메냐 주니어(Sergio Osmeña Jr.)아들전 상원의원
세르히오 오스메냐 3세(Sergio Osmeña III)손자전 상원의원
존 헨리 오스메냐(John Henry Osmeña)손자전 하원의원, 전 상원의원, 전 세부주 톨레도시(Toledo, Cebu) 시장
토마스 오스메냐(Tomas Osmeña)손자전 세부시(Cebu City) 시장, 전 하원의원
에밀리오 마리오 오스메냐(Emilio Mario Osmeña)손자전 세부 주지사
로헬리오 벨로소 오스메냐(Rogelio Veloso Osmeña)손자전 세부시(Cebu City) 의원[20]
레나토 벨로소 오스메냐(Renato Veloso Osmeña)손자전 세부시(Cebu City) 부시장[21]


8. 가족 관계

오스메냐는 1901년 4월 10일에 에스테파니아 치옹 벨로소와 결혼하여 니카시오, 비센타, 에딜베르토, 밀라그로스, 에밀리오, 마리아 팔로마, 헤수스, 테오도로, 호세, 세르히오 주니어 등 10명의 자녀를 두었다.[19] 1920년 1월,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한 지 2년 후, 오스메냐는 에스페란자 림잡과 결혼하여 라몬, 로살리나, 빅터 등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1945년 말라카냥궁 정원을 산책하는 오스메냐 대통령과 그의 가족


그의 아들은 전 상원의원 세르히오 오스메냐 주니어이고, 손자는 전 상원의원 세르히오 오스메냐 3세, 전 상원의원 존 헨리 오스메냐, 전 세부 주 주지사 리토 오스메냐(에밀리오 마리오 오스메냐), 전 세부 시장 토마스 오스메냐이다. 세르히오 이후 오스메냐 가문에서는 계속해서 정치인이 배출되었다.

9.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35년 선거필리핀 부통령1대국민당86.91%812,352표1위
1941년 선거필리핀 부통령1대국민당92.10%1,445,897표1위
1946년 선거필리핀 대통령5대국민당45.72%1,129,994표2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Who are the Sansons of Cebu? https://lifestyle.in[...] 2023-06-23
[2] 뉴스 DNA test reveals ex-President Sergio Osmeña's father https://newsinfo.inq[...] 2023-06-05
[3] 뉴스 How old was Juana Osmeña when she gave birth to Sergio Osmeña Sr.: 14, 16 or 20? Other takeaways from 'Big Reveal': father of Cebu's Grand Old man was Antonio Sanson who, Tomas Osmeña says, could've been convicted of statutory rape. Juana 'must have inspired' single moms. https://www.sunstar.[...] 2023-06-06
[4] 뉴스 Who is late president Sergio Osmeña's real father? https://www.rappler.[...] 2023-06-04
[5] 웹사이트 DNA Test Reveals President Sergio Osmena's Real Father Was Antonio Sanson, Not Pedro Gotiaoco https://www.esquirem[...]
[6] 뉴스 Who is late president Sergio Osmeña's real father? DNA test cracks the mystery after many years https://www.gmanetwo[...] 2023-06-04
[7] 웹사이트 Fact check: Sergio Osmeña was actually the first Chinese Filipino senator https://www.philstar[...] 2019-09-26
[8] 서적 The Philippines: Through the centuries University of Santo Tomas Cooperative 1961
[9] 연설 Inaugural Address of President Sergio Osmeña, August 10, 1944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44-08-10
[10] 뉴스 Rodriguez is Nominated as Osmeña's Running-Mate 1946-01-22
[11] 뉴스 Conventions Climax Hectic Week 1946-01-27
[12] 법률 Declaring a Period of National Mourning Over the Death of Former President Sergio Osmeña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61-10-19
[13] 연설 Funeral Oration of President Garcia at the Necrological Service for Ex-President Sergio Osmeña https://www.official[...]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1961-10-26
[14] 웹사이트 Sergio Osmeña's tomb https://sea.lib.niu.[...] Board of Trustees of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5] 웹사이트 Sergio Osmena Sr.'s Death Certificate https://familysearch[...]
[16] 웹사이트 Official Week in Review: October 22 – October 28, 1961 https://www.official[...] 1961-10-30
[17] 웹사이트 Full text of "Sergio Osmeña's Funeral Program" https://archive.org/[...] 1961-02-12
[18] 뉴스 Paternity project reveals Don Sergio Osmeña's biological father https://www.sunstar.[...] 2023-06-03
[19] 웹사이트 Estefania Chiong Veloso https://sea.lib.niu.[...] Board of Trustees of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 웹사이트 Jingjing Osmeña dies at 68 https://www.sunstar.[...] 2010-06-16
[21] 웹사이트 Former VM Osmeña passes away https://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