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베르나야드비나강은 러시아 북부에 위치한 주요 강으로, 수호나강과 유크강의 합류로 시작되어 백해로 흘러든다. 이 강은 볼로그다주와 아르한겔스크주를 통과하며, 벨리키우스튜그, 코틀라스, 아르한겔스크 등의 주요 도시가 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세베르나야드비나강은 과거 중요한 무역로였으며, 현재는 볼가-발트 수로를 통해 운송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한겔스크주의 강 - 비체그다강
    비체그다강은 러시아 북서부를 흐르는 북드비나강의 주요 지류로, "초원 강"이라는 뜻의 고대 오브-우그리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모피 무역로로서 솔비체고르스크와 야렌스크 같은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 볼로그다주의 강 - 유크강
    유크강은 14~15세기 모스크바 대공국과 노브고로드 공화국 간 분쟁 지역이었으며, 모스크바가 벨리키 우스티유그로 가기 위한 수로로 사용되었고, 노브고로드 병합 후 니콜스크가 백해로 가는 주요 지점이 되었다.
  • 러시아의 강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러시아의 강 - 무나강
    무나강은 사하 공화국을 흐르는 강으로, 좁고 구불구불한 강줄기에서 시작하여 레나강 하구와 합류하며, 오르토-무나강과 울라한-무나강의 합류점에서 발원하고 주요 지류로는 카흐찬, 세베르나야 등이 있으며, 긴 결빙 기간과 수위 상승이 특징이고 유역은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다.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북드비나 강
원어 이름러시아: Северная Двина
다른 이름코미: Вы́нва (Výnva)
북드비나 강은 [[유그 강]] (왼쪽)과 [[수호나 강]] (위쪽)이 [[벨리키우스튜크]] 근처에서 합류하면서 시작된다. (2001년 사진)
북드비나 강은 유그 강(왼쪽)과 수호나 강(위쪽)이 벨리키우스튜크 근처에서 합류하면서 시작된다 (2001년 사진).
지리
발원지유그 강과 수호나 강의 합류점
하구드비나 만
위치러시아
길이744 km
하구 표고0 m
유역 면적357,052 km²
수문학
하구 평균 방류량 (1984–2018)106 km³/년
하구 평균 방류량 (1984–2018) 환산3,359 m³/s
우스티피네가 평균 방류량 (1881–1993)3,332 m³/s
우스티피네가 최소 방류량319 m³/s
우스티피네가 최대 방류량20,800 m³/s
우스티피네가 유역 면적348,000 km²

2. 어원

막스 바스머의 ''어원 사전''에 따르면, 강의 이름은 서드비나강에서 유래되었다. 지명 드비나(Dvina)는 우랄어족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지만, 그 기원은 불분명하다. 아마도 "강" 또는 "시내"를 의미했던 인도유럽어족 단어일 가능성이 있다.[5]

코미어에서는 이 강을 Вы́нва|빈바kv라고 부르는데, 이는 "힘"을 뜻하는 ''vyn''과 "물, 강"을 뜻하는 ''va''에서 유래하여 "힘센 강"을 의미한다.

3. 지리

세베르나야드비나강은 수호나강과 유크강이 합류하여 시작되며, 전체 유역은 T자 형태를 띤다. 수호나강은 동쪽으로, 비체그다강은 서쪽으로 흐르다 코틀라스에서 합류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백해로 이어진다.

벨리키우스튜그에서 유그강과 합류한 후 '세베르나야드비나강'이라는 이름을 얻으며, 약 60km 북쪽으로 흘러 아르한겔스크주로 들어간다. 코틀라스에서 비체그다강과 합류하는데, 합류 지점까지는 소(小) 세베르나야드비나강(Малая Северная Двинаru)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후 북서쪽으로 흐르며 우프튜가강, 니즈냐야 토이마강 등 작은 강들과 합류한다. 베레즈니크 근처에서 바가강이, 남동쪽에서 옘차강이 합류하며, M8 고속도로와 P1 고속도로가 이 지역을 지난다.

피네가강 합류 부근에서 여러 수로로 갈라졌다가 노보드빈스크를 지나 다시 합쳐진다. 노보드빈스크 하류에는 900km2 규모의 삼각주가 형성되며, 아르한겔스크 항구가 위치한다. 삼각주 남서쪽에는 세베로드빈스크 해군 기지가 있으며, 드비나만에서 백해와 만난다.

3. 1. 유역

수호나강과 유크강에서 발원한다.[1] 피네가강,[2] 웁튜가강,[3] 바가강,[4] 비체그다강,[5] 옘차강이 세베르나야드비나강으로 흘러 들어온다.[6] 북드비나강의 길이는 744km이다. 주요 지류인 수호나강과 합하면 1302km로, 이는 중앙 및 서유럽의 라인강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유역 면적은 357052km2이다.[7]

북드비나강 유역은 볼로그다주아르한겔스크주의 주요 지역, 코미 공화국 서부 지역, 키로프주 북부 지역을 포함하며, 야로슬라블주코스트로마주 북부의 작은 지역도 포함한다. 아르한겔스크, 볼로그다와 같은 도시뿐만 아니라 벨리키우스튜그, 토트마, 솔비체고츠크, 홀모고리와 같이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많은 소도시들이 북드비나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7]

북드비나강 유역은 대략 T자 모양이다. 558km 길이의 수호나강은 동쪽으로 흐르며 서쪽으로 흐르는 비체그다강 (1130km) 유역과 합류한다. 이 합류된 강은 북서쪽으로 흘러 백해로 들어가며, 아르한겔스크 시 근처에서 백해와 합류한다.[7]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수호나강은 동쪽으로 흐르다가 벨리키우스튜그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유그강과 만난다. 이제 북드비나강이라고 불리는 이 합류된 강은 북쪽으로 약 60 km를 흐르다가 코틀라스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비체그다강을 받아들인 후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백해로 흘러 들어간다. 수호나강-비체그다강은 중요한 동-서 교통로였으며, 북드비나강-유그강은 남-북 교통로였다. 상류 수호나강은 현재 북드비나 운하를 통해 볼가-발트 수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수로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를 연결한다.[7]

[8]

주요 지류 (하류에서 기재)
피네가 강
바가 강
비체그다 강
수호나 강
유그 강

[9]

3. 2. 강 경로

수호나강과 유크강에서 발원하며, 벨리키우스튜그에서 합류하여 세베르나야드비나강이라는 이름을 얻는다. 이 강은 약 60km 북쪽으로 흘러 아르한겔스크주로 들어간다. 코틀라스에서는 북부 우랄 산맥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는 비체그다강을 받아들인다. 합류 지점에서 비체그다강의 길이가 세베르나야드비나강보다 길기 때문에, 수원에서 비체그다강과의 합류 지점까지의 강은 때때로 소(小) 세베르나야드비나강(Малая Северная Двинаru)으로 불리기도 한다.

세베르나야드비나강은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우프튜가강, 니즈냐야 토이마강 등 작은 강들을 받아들인다. 베레즈니크 도시형 정착지 근처에서는 남쪽에서 바가강이 합류한다. 이 지점에서 M8 고속도로도 이 지역으로 들어선다. 남동쪽에서는 옘차강이 합류하고, 카르골폴에서 출발하는 P1 고속도로가 그와 평행하게 달린다.

동쪽에서는 피네가강이 합류한다. 피네가강 어귀 근처에서 강은 여러 수로로 갈라지는데, 그 중에는 홀모고리가 있다. 분기된 물길들은 다시 합쳐져 노보드빈스크를 지난다.

노보드빈스크 하류에서 900km2 규모의 삼각주가 시작된다. 삼각주의 상류 부분에는 아르한겔스크의 대규모 항구가 있다. 삼각주의 남서쪽에는 세베로드빈스크의 해군 기지가 있다. 삼각주는 백해의 드비나만에서 끝난다.

4. 주요 도시


5. 지류

Малая Северная Двинаru (소 세베르나야드비나강): 수호나 강과 유그 강의 합류 지점부터 비체그다 강과의 합류 지점까지의 구간을 때때로 이르는 말이다.

'''세베르나야드비나 강의 주요 지류'''(하류에서 기재):


  • 유그 강
  • 수호나 강
  • 비체그다 강
  • 바가 강
  • 옘차 강
  • 피네가 강
  • 웁튜가 강
  • 니즈냐야토이마 강

6. 역사

이 지역은 원래 핀족이 거주했으며, 이후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유일한 예외는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의 일부였던 벨리키우스튜크였다. 북드비나강 유역의 나머지는 노브고로드가 통제했다. 벨리키우스튜크는 1207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고, 셴쿠르스크는 1229년에, 솔비체고도스크는 14세기에 설립되었다. 13세기에는 노브고로드 상인들이 이미 백해에 도달했다. 이 지역은 처음에는 모피 거래로 인해 매력적이었다. 노브고로드에서 북드비나강으로 가는 주요 수로는 볼가강과 그 지류인 셰크스나강을 따라 슬라뱐카강을 거쳐 니콜스코예호로 이동한 후, 배를 육로로 블라고베센스코예호로 옮긴 다음, 포로조비차강을 따라 쿠벤스코예호로 내려가 수호나강과 북드비나강으로 이어졌다.[9]

북드비나강에서 메젠강 유역(페초라강오비강 유역으로 갈 수 있는 곳)으로 가는 여러 길이 있었다. 그 경로는 다음과 같다.

경로
비체그다강과 야렌가강을 거슬러 올라가 육로로 바슈카강
비체그다강, 윔강, 옐바강을 거슬러 올라가 육로로 이르바강을 거쳐 메젠강
피네가강을 거슬러 올라가 육로로 쿨로이강과 메젠강
푸크셴가강과 폭셴가강을 사용하여 피네가강으로 간 다음, 요주가강에서 배를 육로로 즈리얀스카야 예주가강과 바슈카강

[9] 또한 비체그다강에서 상인들은 체르야강과 이즈마강 또는 밀바강을 통해 페초라강 유역으로 직접 갈 수도 있었다.

14세기부터 홀모고리는 북드비나강의 주요 무역 항구였지만, 17세기에는 아르한겔스크가 이 지위를 차지했다. 아르한겔스크 및 홀모고리 교구의 본부는 1762년까지 홀모고리에 있었으며, 1732년부터는 홀모고리 및 아르한겔로고로드 교구로 알려졌고, 솔로베츠키 수도원을 포함한 모든 북부 러시아를 관할했다. 1700년대까지 아르한겔스크는 러시아와 서유럽의 해상 무역을 위한 주요 항구였으며, 북드비나강은 중앙 러시아와 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주요 무역로였다. 표트르 대제는 1703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하여 발트해 무역의 길을 열고, 카르골을 경유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아르한겔스크 간의 고속도로를 건설함으로써 상황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이 강은 주요 무역로로서의 역할을 빠르게 잃었으며, 이는 1894년부터 1897년 사이에 볼로그다와 아르한겔스크 사이에 철도가 건설되면서 가속화되었다.

북드비나강은 러시아 내전 중 여러 전투의 현장이었으며, 많은 전투가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개입 군대, 즉 북러시아 전역과 관련되었다. 러시아 내전 중에는 특별한 북드비나 함대가 존재했다.

7. 교통 및 운하

여름에는 강 전체 구간에서 항해가 가능하며, 목재 뗏목 운송에 널리 사용된다. 북드비나 운하는 볼가-발트 수로와 연결된다. 19세기에는 현재는 폐쇄된 북 에카테리닌스키 운하가 짧은 기간 동안 사용되어 북드비나 유역과 카마강 유역을 연결했다. 1926-28년에는 북드비나의 주요 지류 중 하나인 피네가강과 쿨로이를 연결하는 쿨로이-피네가 운하가 건설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방치된 상태이다.[6]

상업적인 여객선 운항은 대부분 사라졌고, 지역 여객 노선만 남아있다. 코틀라스아르한겔스크를 연결하는 여객선 노선은 2005년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7][8]

참조

[1] 논문 Recent changes to Arctic river discharge https://www.nature.c[...] 2021
[2] 웹사이트 Dvina – Ust-Pinega http://www.grdc.sr.u[...]
[3] 웹사이트 Dvina – Ust-Pinega http://www.grdc.sr.u[...]
[4] 웹사이트 Dvina – Ust-Pinega http://www.grdc.sr.u[...]
[5] 서적 Этимолог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Фасмера http://fasmerbook.co[...] 2011-11-20
[6] 웹사이트 Канал рек Пинега-Кулой надо восстановить https://www.rgo.ru/r[...] 2017-02-13
[7] 뉴스 Корабль дураков https://www.sovsekre[...] 2008-10-23
[8] 웹사이트 Речной флот Архангельской области http://www.orlov29.r[...]
[9] 서적 Старинные водные пути http://www.skitalets[...] Физкультура и спор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