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미어는 기원전 800년경 카마강 상류 지역으로 이동한 코미인에 의해 페름 조어에서 분화되어 우드무르트어와 함께 성립된 언어이다.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헝가리어 다음으로 오래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코미어에는 10개의 방언이 있으며, 'Л'과 'В'의 사용, 그리고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의 자음 변화에 따라 구분된다. 코미어는 옛 페름 문자를 시작으로,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한다. 문법적으로는 17개의 격을 가지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미 문화 - 펠메니
    펠메니는 밀가루 반죽에 고기소를 넣고 삶거나 튀겨 먹는 만두의 일종으로, 핀우그리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몽골 제국 시대를 거쳐 러시아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
  • 코미어 - 코미페르먀크어
    코미페르먀크어는 코미어의 방언으로, 1920년대에 명칭이 도입되었으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고유한 알파벳을 사용하고 교착어 문법 체계를 갖는다.
  • 코미어 - Ԁ
    Ԁ는 코미어 문자의 변형으로, 유니코드 U+0501에 할당되어 있으며, 유성 치경 파열음 /d/ 소리를 나타내는 코미어 알파벳의 다섯 번째 문자이다.
  • 페름어파 - 우드무르트어
    우드무르트어는 러시아 우드무르트 공화국에서 쓰이는 우랄어족 페름어파 언어로, 키릴 문자를 변형한 38개 문자를 사용하며 북부, 남부, 베세르먄 세 방언으로 나뉜다.
  • 페름어파 - 페름어군
    페름어군은 핀-우랄어족에 속하며 우드무르트어, 코미어 등을 포함하고, 원시 우랄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군이다.
코미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코미어
고유 이름, komi kyv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코미 공화국, 페름 지방 (코미-페르먀크 관구, 크라스노비셰르스크)
화자 수약 48만 명
언어 분류
어족우랄어족
어파핀우그리아어파
어군핀페름어군
어 branch페름어군
문자 체계
문자키릴 문자, 고대 페름 문자(이전)
국가
언어 코드
ISO 639-1kv
ISO 639-2kom
ISO 639-3kom
ISO 639-3 (세분)lc1: kpv
ld1: 코미-지리안어
lc2: koi
ld2: 코미-페르먀크어
기타 정보
언어 활력위험

2. 역사

기원전 800년경 코미인이 카마강 상류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페름 조어가 우드무르트어와 코미어로 분열되어 성립했다. 핀우그리아어파에서 헝가리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이다. 1000개의 단어는 핀우그리아 조어에서 계승되었다. 현재에도 우드무르트어 어휘와 공통점이 많아, 코미어의 일반적인 어휘 어간의 80%는 우드무르트어에서도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그 외, 코미인과 여러 민족과의 교류에 의해 시대에 따라 이란계 언어, 고대 추바슈어, 베프스어, 카렐리아어, 러시아어(시대순) 등으로부터 차용어가 도입되었다.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분리는 14세기부터 15세기경으로 여겨진다.

2. 1. 기원과 분화

기원전 800년경 코미인이 카마강 상류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페름 조어가 우드무르트어와 코미어로 분열되어 성립했다. 핀우그리아어파에서는 헝가리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이다. 1000개의 단어는 핀우그리아 조어에서 계승되었다. 현재에도 우드무르트어의 어휘와 공통점이 많아, 코미어의 일반적인 어휘의 어간의 80%는 우드무르트어에서도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그 외, 코미인과 여러 민족과의 교류에 의해 시대에 따라 이란계 언어나 고대 추바슈어, 베프스어, 카렐리아어, 러시아어 (시대순) 등으로부터의 차용어가 도입되었다.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분리는 14세기부터 15세기경으로 여겨진다.

2. 2. 외부 언어의 영향

핀우그리아어파에서 헝가리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이다. 1000개의 단어는 핀우그리아 조어에서 계승되었다. 현재에도 우드무르트어 어휘와 공통점이 많아, 코미어의 일반적인 어휘 어간의 80%는 우드무르트어에서도 동일한 것을 볼 수 있다. 그 외, 코미인과 여러 민족과의 교류에 의해 시대에 따라 이란계 언어, 고대 추바슈어, 베프스어, 카렐리아어, 러시아어(시대순) 등으로부터 차용어가 도입되었다.

2. 3. 방언 분화

코미어에는 10개의 방언이 있다: 시솔라 (스믜크티우카르), 하 에즈바 (비체그다), 중부 에즈바 (비체그다), 상부 에즈바 (비체그다), 루즈-레트, 상부 시솔라, 페초라, 이즈바, 뷜, 우도라 방언. 스믜크티우카르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솔라 방언은 코미어 표준어의 모델이 된다.[6] 방언은 주로 /v/|/v/kpv와 /l/|/l/kpv의 사용을 기준으로 나뉜다.

  • 상부 에즈바와 페초라 방언(또한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대부분 방언에서도)에서는 오래된 */l/|/l/kpv*가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 중부 방언에서는, /*l/|/*l/kpv이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 /v/|/v/kpv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문어 코미어에서 */kɨl/|/kɨl/kpv → /kɨv/|/kɨv/kpv "혀"와 같이 변화하였다.
  • 북부 방언에서는 /l/|/l/kpv의 변화가 계속되어 음절 마지막 위치의 /l/|/l/kpv이 완전히 모음화되어 장모음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7세기에 시작되었다. 14세기의 가장 오래된 코미어 텍스트나,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코미어에서 한티어로의 차용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18세기에 코미어에 들어온 러시아 차용어 이전에는 완전히 발생했으며, 이들에서는 /l/|/l/kpv이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일부 방언은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 /jd jt/|/jd jt/kpv 클러스터로 언패킹된 경구개 치경음 /dʲ tʲ/|/dʲ tʲ/kpv을 기준으로 더 구분된다.[6]

3. 방언

코미어에는 10개의 방언이 있다: 시솔라, 하 에즈바 (비체그다), 중부 에즈바 (비체그다), 상부 에즈바 (비체그다), 루즈-레트, 상부 시솔라, 페초라, 이즈바, 뷜, 우도라 방언.[6] 스믜크티우카르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솔라 방언은 표준 방언의 모델이 된다.[6]

방언은 주로 /v/와 /l/의 사용을 기준으로 나뉜다.[6]


  • 상부 에즈바와 페초라 방언(그리고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대부분 방언)에서는 오래된 /l/이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 중부 방언에서는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 /*l/이 /v/로 바뀌었다. (예: 문어 코미어에서 /kɨl/ → /kɨv/ "혀").
  • 북부 방언에서는 음절 마지막 위치의 /l/이 완전히 모음화되어 장모음이 되었다.


이 변화는 17세기에 시작되었다. 14세기의 가장 오래된 코미어 텍스트나 16세기의 코미어에서 한티어로의 차용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18세기 러시아 차용어 이전에는 완전히 발생했으며, 이들에서는 /l/이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일부 방언은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 /jd jt/ 클러스터로 언패킹된 경구개 치경음 /dʲ tʲ/을 기준으로 더 구분된다.[6]

3. 1. 코미지리안어 (협의의 코미어, 코미 방언)

코미지리안어(Komi-Zyryan|코미지리안kv)는 코미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좁은 의미로는 이 방언을 코미어라고 하며, 그 외의 여러 방언을 코미페르미야크어로 구분한다. 화자 인구는 32만 7000명이다. 코미지리안어(코미 방언)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 북부 방언
  • 비므 방언 (Vym|비므kv)
  • 이즈마 방언 (Ižma|이즈마kv)
  • 페초라 방언 (Pečora|페초라kv)
  • 중부 방언
  • 우도라 방언 (Udora|우도라kv)
  • 하비체그다 방언 (Lower Vyčegda|하비체그다kv)
  • 중비체그다 방언 (Middle Vyčegda|중비체그다kv)
  • 상비체그다 방언 (Upper Vyčegda|상비체그다kv)
  • 남부 방언
  • 중시소라 방언 (Middle Sysola|중시소라kv)
  • 루자-레트카 방언 (Luza-Letka|루자-레트카kv)
  • 상시소라 방언 (Upper Sysola|상시소라kv)


방언 간의 차이는 주로 음성적인 부분에 있으며, "Л"과 "В"의 교체 여부가 다르다. 코미지리안어의 남부 방언, 상비체그다 방언의 일부, 페초라 방언의 일부 등에서는 단어 중의 "Л"이 모두 보존되지만, 코미지리안어의 중부 방언(상비체그다 방언의 일부 제외)에서는 음절의 시작에 해당하는 "Л" 이외는 "В"로 대체된다. 코미지리안어의 북부 방언(페초라 방언의 일부 제외)에서는 선행하는 모음이 길게 발음된다.

코미지리안어는 별도의 표준어문어를 가지고 있다. 코미지리안어의 문어는 중비체그다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 14세기에는 하비체그다 방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어도 있었지만 쇠퇴하였고, 현재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 혁명 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3. 2. 코미페르미야크어 (페르미야크 방언)

코미페르미야크어(Komi-Permyak|코미페르미야크kv)는 페르미야크 방언이라고도 불리며, 코미페르미야크 관구에서 사용된다. 화자는 15만 1000명이다. 코미페르미야크어는 북부 방언(북부 페르미야크 방언)과 남부 방언(남부 페르미야크 방언)으로 나뉜다. 코미 야즈바 방언(동부 페르미야크 방언)은 코미페르미야크 관구 동부, 야즈바 강 유역의 주민 4000명이 사용한다.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는 각각 별도의 표준어문어를 가지고 있다.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문어는 남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만들어진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문어에서는 인위적으로 "Л"과 "В"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3. 3. 코미 야즈바어 (동부 페르미야크 방언)

Komi-Yazva|코미 야즈바kv는 코미페르미야크 관구의 동부, 야즈바 강 유역의 주민 4000명이 사용하는 동부 페르미야크 방언이다.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는 각각 별도의 표준어문어를 가지고 있지만, 코미 야즈바 방언은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3. 4. 방언 간 차이

코미어에는 10개의 방언이 있다: 시솔라, 하 에즈바 (비체그다), 중부 에즈바 (비체그다), 상부 에즈바 (비체그다), 루즈-레트, 상부 시솔라, 페초라, 이즈바, 뷜, 우도라 방언. 시솔라 방언은 스믜크티우카르 지역에서 사용되며 언어의 일반적인 표준 방언의 모델을 형성한다. 방언은 주로 /v/kpv와 /l/kpv의 사용을 기준으로 나뉜다.[6]

  • 오래된 /l/kpv는 상부 에즈바와 페초라 방언(또한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대부분 방언에서도)에서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 중부 방언에서는, /*l/kpv이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 /v/kpv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문어 코미어에서 /kɨl/kpv → /kɨv/kpv "혀"와 같이 바뀐다.
  • 북부 방언에서는 /l/kpv의 변화가 계속되어 음절 마지막 위치의 /l/kpv이 완전히 모음화되어 장모음이 되었다.


이 변화의 시작은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4세기의 가장 오래된 코미어 텍스트나,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코미어에서 한티어로의 차용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18세기에 언어에 들어온 러시아 차용어 이전에는 완전히 발생했으며, 이들에서는 /l/kpv이 변하지 않고 남아있다.

일부 방언은 음절 마지막 위치에서 클러스터 /jd jt/kpv로 언패킹된 경구개 치경음 /dʲ tʲ/kpv을 기준으로 더 구분된다.[6]

구분방언명비고
코미지리안어(Komi-Zyryankv, 협의의 코미어, 코미 방언)북부 방언
비므 방언 (Vymkv), 이즈마 방언 (Ižmakv), 페초라 방언 (Pečorakv)
중부 방언: 우도라 방언 (Udorakv), 하비체그다 방언 (Lower Vyčegdakv), 중비체그다 방언 (Middle Vyčegdakv), 상비체그다 방언 (Upper Vyčegdakv)
남부 방언: 중시소라 방언 (Middle Sysolakv), 루자-레트카 방언 (Luza-Letkakv), 상시소라 방언 (Upper Sysolakv)
코미페르미야크어(Komi-Permyakkv, 페르미야크 방언)북부 방언 (북부 페르미야크 방언)
남부 방언 (남부 페르미야크 방언)
코미 야즈바어(Komi-Yazvakv, 동부 페르미야크 방언)



코미지리안어(코미 방언)는 코미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협의에서는 이 방언을 코미어라고 하며, 그 외의 여러 방언을 코미페르미야크어로 구분한다. 화자 인구는 32만 7000명이다. 코미페르미야크어는 코미페르미야크 관구에서 사용되며, 화자는 15만 1000명이다. 코미 야즈바어(동부 페르미야크 방언)은 코미페르미야크 관구의 동부, 야즈바 강 유역의 주민 4000명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언 간의 차이는 음성적인 것뿐이며, "코미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로 불리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언어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 방언에 따라 "Л"과 "В"의 교체가 이루어지는지 여부가 다르다. 코미지리안어의 남부 방언, 상비체그다 방언의 일부, 페초라 방언의 일부, 북부 페르미야크 방언, 코미 야즈바 방언에서는 단어 중의 "Л"이 모두 보존되지만, 코미지리안어의 중부 방언(상비체그다 방언의 일부 제외)에서는 음절의 시작에 해당하는 "Л" 이외는 "В"로 대체되며, 남부 페르미야크 방언에서는 모두 대체된다. 코미지리안어의 북부 방언(페초라 방언의 일부 제외)에서는 선행하는 모음이 장음화된다.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는 각각 별도의 표준어문어를 가지고 있지만, 코미 야즈바어(동부 페르미야크 방언)은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코미지리안어의 문어는 중비체그다 방언을,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문어는 남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 14세기에는 하비체그다 방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어도 있었지만 쇠퇴하여, 현재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 혁명 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문어에서는 인위적으로 "Л"과 "В"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3. 5. 표준어와 문어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어는 각각 별도의 표준어문어를 가지고 있지만, 코미 야즈바어(동부 페르미야크 방언)는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코미지리안어의 문어는 중비체그다 방언을,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문어는 남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 14세기에는 하비체그다 방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어도 있었지만 쇠퇴하여, 현재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 혁명 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코미페르미야크어의 문어에서는 인위적으로 "Л"과 "В"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4. 문자

옛 페름 문자는 14세기 페름의 스테판이 그리스 문자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만든 최초의 코미어 문자 체계이다. 16세기에는 러시아 문자로 대체되었으며, 이후 1920년대 몰로드소프 문자, 1930년대 라틴 문자를 거쳐 1940년대부터는 러시아어 기반 키릴 문자에 ''І, і''와 ''Ӧ, ӧ''를 추가한 문자를 사용한다.[7]

코미 문자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코미 알파벳 변천 과정[8]
안부르키릴 문자키릴 문자 (몰로드소프)라틴 문자IPA문자 이름비고
А аA a
Б бB b
В вV v
Г гG g
Д дԀ ԁ
Ԃ ԃ
D d
Ď ď

(е, ё, и, ю, я, ь 뒤)
Дж джҖ җDž dž
Дз дзԆ ԇDź dź
-Е е-Je je
E e

[je] (단어 시작 및 모음 뒤)
/e/ (/c, ɟ, ɕ, ʑ, ɲ, ʎ/ 뒤)
-Ё ё-Jo jo
O o
[jo] (단어 시작 및 모음 뒤)
/o/ (/c, ɟ, ɕ, ʑ, ɲ, ʎ/ 뒤)
Ж жŽ ž
З зЗ з
Ԅ ԅ
Z z
Ź ź

(е, ё, и, ю, я, ь 뒤)
И и-I i
/i/ (/c, ɟ, ɕ, ʑ, ɲ, ʎ/ 뒤)
небы드 и ("soft i")
І іI i/i/ (/t, d, s, z, n, l/ 뒤)чорыд и ("hard i")и의 비구개음화 형태
Й йЈ јJ jдженьыд и
К кK k
Л лЛ л
Ԉ ԉ
L l
Ľ ľ

(е, ё, и, ю, я, ь 뒤)
М мM m
Н нН н
Ԋ ԋ
N n
Ń ń

(е, ё, и, ю, я, ь 뒤)
О оO oо개방형 "o"는 문학 코미어에 존재하지 않음
Ӧ ӧÖ öӧ
П пP p
Р рR r에르
С сС с
Ԍ ԍ
S s
Ś ś

(е, ё, и, ю, я, ь 뒤)
에스
Т тТ т
Ԏ ԏ
T t
Ť ť

(е, ё, и, ю, я, ь 뒤)
Тш тшЩ щČ č
У уU u
Ф ф-F f/f/에프외래어에서 사용
Х х-H h/x/외래어에서 사용
Ц ц-C c/ts/외래어에서 사용
-Ч чĆ ć
Ш шŠ š
Щ щ-Šč šč/ʃtʃ~ʃː/외래어에서 사용
Ъ ъ---чорыд пас ("경음 부호")러시아어와 동일한 사용법
Ы ыY yы
Ь ь--/ʲ/небыд пас ("연음 부호")러시아어와 동일한 사용법
-Э эE eэе의 비구개음화 형태.
Ю ю-Ju ju
U u
[ju]
/u/ (/c, ɟ, ɕ, ʑ, ɲ, ʎ/ 뒤)
,Я я-Ja ja
A a
[ja]
/a/ (/c, ɟ, ɕ, ʑ, ɲ, ʎ/ 뒤)


4. 1. 옛 페름 문자

옛 페름 문자는 코미어를 위한 최초의 문자 체계이다. 14세기에 선교사 페름의 스테판이 발명했으며, 그리스 문자키릴 문자를 닮았다. 이 문자는 안부르(Анбур)로도 알려졌는데, 이는 문자의 처음 두 글자인 "''an''"과 "''bur''"에서 유래했다.[7] 옛 페름 문자는 페름 대공국과 뱌르말란드 지역을 포함한 코미족 거주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16세기에 이 문자는 러시아 문자로 대체되었고, 1920년대에는 몰로드소프 문자로, 1930년대에는 라틴 문자로 잠시 쓰였다. 1940년대 이후부터는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추가 문자 ''І, і''와 ''Ӧ, ӧ''를 사용한다.

4. 2. 키릴 문자

코미어 단어 예시. 위쪽 "Улица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는 러시아어, 아래쪽 "Коммунистическӧй улича"는 코미어로, 둘 다 "공산주의 거리"를 뜻한다. 코미 공화국 수도 시크티프카르에서 촬영.


우흐타 호텔의 3개 국어(러시아어, 코미어, 영어) 표지판, 코미 공화국


16세기에 옛 페름 문자는 러시아 문자로 대체되었고, 특정 아프리카어 수정 사항이 포함되었다.[7] 1920년대에는 키릴 문자에서 파생된 몰로드소프 문자가 사용되었다. 1930년대 소련의 라틴화 동안 코미어는 잠시 라틴 문자의 한 형태로 쓰였다. 1940년대 이후부터는 러시아어 기반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І, і''와 ''Ӧ, ӧ''를 추가로 사용한다.[8]

코미 문자와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코미 문자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2. 1. 코미어 키릴 문자 목록

코미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 목록
АБВГДЕЁЖЗИІЙКЛМНОӦ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абвгдеёжзиійклмноӧ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4. 2. 2. 몰로드소프 문자

몰로드소프 문자는 1920년대에 키릴 문자에서 파생되어 코미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이다. 1930년대에 소련의 라틴화 정책으로 라틴 문자로 잠시 대체되었다가, 1940년대 이후에는 러시아어 기반의 키릴 문자에 ''І, і''와 ''Ӧ, ӧ''가 추가된 형태로 정착되었다.

몰로드소프 문자에는 ԁ, ԃ, ԅ, ԇ, ԉ, ԋ, ԍ, ԏ와 같은 고유한 문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구개음화된 자음을 나타낸다.

몰로드소프 문자
А аБ бВ вГ гԁ ԁԂ ԃЕ еЖ жҖ җЗ зԄ ԅԆ ԇ
І іЈ јК кЛ лԈ ԉМ мН нԊ ԋО оӦ ӧП пР р
С сԌ ԍТ тԎ ԏ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Ы ы


5. 음운

코미어에는 다음과 같은 자음과 모음이 있다.

코미어의 자음
순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mnɲ
파열음무성음ptck
유성음bdɟɡ
파찰음무성t͡ʃt͡ɕ
유성d͡ʒd͡ʑ
마찰음무성sʃɕ
유성vzʒʑ
전동음r
접근음설측 접근음lʎ
중앙 접근음j





모음 시퀀스가 형태소 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이중 모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음소 는 음성적으로 이며, 는 음성적으로 이다. 주변 자음에 따라 눈에 띄는 위치적 이음이 나타나지만, 어떤 이음도 다른 모음 음소와 겹치지 않는다.[9][11]

5. 1. 자음

코미어 자음
순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mnɲ
파열음무성ptck
유성bdɟɡ
파찰음무성t͡ʃt͡ɕ
유성d͡ʒd͡ʑ
마찰음무성sʃɕ
유성vzʒʑ
전동음r
접근음설측lʎ
중앙j


5. 2. 모음

코미어의 모음
전설중설후설



모음 시퀀스가 형태소 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이중 모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음소 는 음성적으로 이며, 는 음성적으로 이다. 주변 자음에 따라 눈에 띄는 위치적 이음이 나타나지만, 어떤 이음도 다른 모음 음소와 겹치지 않는다.[9][11]

6. 문법

코미어는 17개의 격을 가지며, 다양한 장소격 어미를 사용한다. 다른 우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코미어에는 성이 없다. 동사는 인칭과 수(단수/복수)에 따라 주어와 일치한다. 부정은 인칭, 수, 시제에 따라 굴절되는 보조 동사로 표현된다.

코미어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10]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텍스트는 러시아어의 강한 영향과 그 결과로 나타나는 차용 번역으로 인해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https://rosstat.gov.[...] 2023-01-03
[2]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3] 문서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2021
[4] 웹사이트 Komi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6-22
[5] 간행물 Komi language https://www.britanni[...]
[6] 문서 Bartens 2000, p. 47-49
[7] 웹사이트 Revised proposal for encoding the Old Permic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2012-04-26
[8] 웹사이트 Revised proposal for encoding the Old Permic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2022-07-10
[9] 웹사이트 Лыткин В.И. (ред.) Современный коми язык. Часть первая. Фонетика. Лексика. Морфология https://www.studmed.[...] 2023-09-02
[10]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07-31
[11] 웹사이트 Лыткин В.И. (ред.) Современный коми язык. Часть первая. Фонетика. Лексика. Морфология https://www.studmed.[...] 202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