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셀러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셀러론은 인텔이 저가형 시장 경쟁을 위해 출시한 프로세서 브랜드이다. 1998년 펜티엄 II의 염가판으로 처음 등장하여 펜티엄 III, 펜티엄 4, 펜티엄 M, 인텔 코어 등과 함께 출시되었다. 셀러론은 다양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출시되었으며, 펜티엄 II 기반, 펜티엄 III 기반, 펜티엄 4 기반, 코어 기반, 네할렘 이후 아키텍처 기반의 데스크톱용 셀러론과 모바일 셀러론이 존재한다. 초기에는 2차 캐시 메모리를 제거하거나 줄여 가격을 낮추었으며, 이후 듀얼 코어, 가상화 기술 지원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며 발전했다. 셀러론은 보급형 프로세서로, 듀얼 프로세서 구성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지는 않지만, 특정 마더보드와 프로세서를 조합하여 듀얼 프로세서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80386
    인텔 80386은 1985년 출시된 x86 아키텍처의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온칩 메모리 관리 장치, 3단계 파이프라인, 세 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며, 개인용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생산 및 지원이 중단되었고, 32비트 명령어 집합은 현대 x86 아키텍처의 기반이 되었다.
  •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4004
    인텔 4004는 1971년 인텔에서 출시된 세계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하나이며, 4비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계산기 라인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컴퓨터 소형화와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 기여했다.
  • 인텔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80386
    인텔 80386은 1985년 출시된 x86 아키텍처의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온칩 메모리 관리 장치, 3단계 파이프라인, 세 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며, 개인용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생산 및 지원이 중단되었고, 32비트 명령어 집합은 현대 x86 아키텍처의 기반이 되었다.
  • 인텔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4004
    인텔 4004는 1971년 인텔에서 출시된 세계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하나이며, 4비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계산기 라인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컴퓨터 소형화와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 기여했다.
셀러론
개요
제품 종류마이크로프로세서 (단종)
제조사인텔
설계 회사인텔
출시 시작1998년 4월 15일
단종2023년
이전 제품i486, 펜티엄 II
다음 제품인텔 프로세서
브랜드인텔 셀러론 또는 셀러론
기술 사양
최고 클럭 속도3.6 GHz
최저 클럭 속도266 MHz
FSB 최고 속도1333 MT/s
FSB 최저 속도66 MHz
DMI 최고 속도16 GT/s
DMI 최저 속도2.0 GT/s
주소 폭해당 없음
데이터 폭해당 없음
가상 주소 폭해당 없음
최소 공정 크기250 nm
최대 공정 크기인텔 7 (10ESF)
코어 수1–5
명령어 집합x86, x86-64
마이크로아키텍처
코어
데스크톱Slot 1
Socket 370
Socket 478
LGA 775
Socket M
Socket P
LGA 1156
LGA 1155
LGA 1150
LGA 1151
LGA 1200
LGA 1700
모바일Socket 495
Socket 479
Socket M
Socket P
코드명Covington
Mendocino
Coppermine-128
Tualatin-256
Willamette-128
Northwood-128
Prescott-256
Cedar Mill-512
Banias
Dothan
Yonah
Merom
Conroe
Allendale
Penryn
Wolfdale
Clarkdale
Arrandale
Jasper Forest
샌디 브리지
아이비 브리지
하스웰
브로드웰
스카이레이크
Kaby Lake
Coffee Lake
Comet Lake
Rocket Lake
Tiger Lake
Alder Lake
파생 상품
기타
참고 사항본 항목에서는 P6 세대부터 Wolfdale, Penryn-L까지의 모델을 기술하고, Nehalem 이후와 SoC용 모델의 기술은 Intel Celeron (2010년)으로 이동되었음.

2. 역사적 배경

셀러론은 인텔이 저가형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한 제품군이다. 1990년대 말, 인텔은 사이릭스(Cyrix) 6x86, AMD K6, IDT 윈칩(Winchip) 등 경쟁사들의 저가형 CPU 공세에 직면했다.[3] 기존의 저가형 제품이었던 펜티엄 MMX는 233MHz에서 더 이상 성능 경쟁력을 갖기 어려웠다.[3]

인텔은 자사의 고급 제품인 펜티엄 II와 핀 호환이 가능한 저가형 부품을 개발하여 슬롯 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전략을 택했다. 이는 소켓 7 플랫폼을 사용하는 경쟁 CPU에 대한 대응이었다.

셀러론 브랜드는 9년 된 80486 칩을 대체하며 보급형 데스크톱 및 노트북 시장을 공략했다. 인텔은 마케팅 회사 렉시콘 브랜딩(Lexicon Branding)에 의뢰하여 새로운 제품명을 정했다. ''샌호세 머큐리 뉴스(San Jose Mercury News)''에 따르면, "Celer"는 라틴어로 "빠르다"는 뜻이며, "on"은 "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4] 셀러론은 펜티엄처럼 7글자 3음절로 구성되어, 인텔의 'tel'과 라임을 맞춘 것이다.[4]

1998년 4월, 펜티엄 II의 저가형 버전으로 처음 등장한 셀러론은 이후 펜티엄 III, 펜티엄 4, 펜티엄 M, 인텔 코어 등 새로운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으로 계속 출시되었다.

인텔은 새로운 프로세서 출시와 함께 구세대 프로세서 가격을 인하하는 전략으로 CPU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수익성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펜티엄 II 세대에 등장한 AMDK6 프로세서가 펜티엄 II에 버금가는 성능을 보이면서, 기존 방식으로는 경쟁이 어려워졌다. 이에 인텔은 고가 제품의 가격을 유지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갖춘 셀러론을 출시했다.

2003년까지 인텔은 데스크톱용과 노트북용으로 공통의 마이크로아키텍처를 사용했다. 그러나 2004년경, 펜티엄 4용으로 개발된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높은 소비 전력 때문에, 모바일용으로 펜티엄 III에 가까운 펜티엄 M을 개발해야 했다. 이에 따라 셀러론도 데스크톱용 "'''셀러론 D'''"와 모바일용 "'''셀러론 M'''"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가 개발되면서 다시 아키텍처가 통합되었고, 2007년 6월부터는 "셀러론"으로 재명명되었다.

셀러론 266MHz (슬롯 1 타입)


인텔 셀러론 프로세서 제품군
기반데스크톱 코드명코어데스크톱 출시일노트북 코드명노트북 코어노트북 출시일
P6코빙턴, 멘도시노, 코퍼마인-128, 투알라틴-256(250 nm), (180 nm), (130 nm)1998년, 1998년–2000년, 2000년–2001년, 2002년멘도시노, 코퍼마인-128, 코퍼마인 T, 투알라틴-256(250 nm), (180 nm), (130 nm)1999년, 2000년–2001년, 2001년, 2002년–2003년
넷버스트윌라멧-128, 노스우드-128(180 nm), (130 nm)2002년, 2002년–2003년노스우드-256(130 nm)2002년–2003년
펜티엄 M (셀러론 M)-바니아스-512, 도산-512, 도산-1024, 요나-512, 요나-1024, 소사만(130 nm), (90 nm), (65 nm)-2004년, 2004년–2007년, 2004년–2005년, 2007년, 2006년, 2006년–2007년
넷버스트 (셀러론 D)프레스콧-256, 시더밀-512(90 nm), (65 nm)2004년–2005년, 2006년–2007년---
코어 (싱글)콘로-L, 콘로-CL(65 nm)2007년-2008년, ???---
코어 (듀얼)앨런데일, 울프데일-3M(65 nm), (45 nm)2008년–2009년, 2009년–2010년---
코어 (셀러론 M/셀러론)---메롬, 메롬-L, 메롬-2M, 메롬-L (초저전압)(65 nm)2007년–2008년, 2008년, 2007년, 2009년
코어 (셀러론 듀얼)---메롬-2M, 펜린-3M(65 nm), (45 nm)2008년, 2009년–2010년
네할렘/웨스트미어클라크데일(32 nm)2010년아렌데일(32 nm)2010년–2011년
네할렘/웨스트미어-----재스퍼 포레스트, 싱글 (45 nm)
실버몬트, 에어몬트, 골드몬트, 골드몬트 플러스, 트레몬트베이 트레일-, 브라스웰, 아폴로 레이크, 제미니 레이크, 재스퍼 레이크듀얼 & 쿼드 (22 nm), 듀얼 & 쿼드 (14 nm), 최대 쿼드 (14 nm), 최대 쿼드 (10 nm)-베이 트레일-M, 브라스웰, 아폴로 레이크, 제미니 레이크, 재스퍼 레이크듀얼 & 쿼드 (22 nm), 듀얼 & 쿼드 (14 nm), 최대 쿼드 (14 nm), 최대 듀얼 (14 nm), 최대 듀얼 (10 nm)2013년 10월, 2015년 3월, 2016년 4월, 2017년 12월, 2021년 1월


2. 1. 펜티엄 II 기반 셀러론 (1998)

펜티엄 II 기반 셀러론은 1998년에 출시되었으며, 코드명은 코빙턴(Covington)과 멘도시노(Mendocino)였다.

  • 코빙턴 (Covington)


1998년 4월에 출시된 최초의 셀러론 프로세서이다.[5] 펜티엄 II 266MHz 프로세서에서 2차 캐시 메모리를 완전히 제거한 형태로 출시되었다.[5] 266MHz 또는 300MHz로 동작했지만, 2차 캐시 메모리가 없어 성능이 매우 낮아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3] 성능 문제로 인해 언론과 컴퓨터 전문가들로부터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6] 하지만, 오버클러킹이 잘 되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부 오버클러커들에게 인기가 있었다.[3] 코빙턴은 슬롯 1 SEPP 형식으로만 제조되었다.

  • 멘도시노 (Mendocino)


인텔 셀러론 500MHz 멘도시노 다이 샷


1998년 8월 24일에 출시된 멘도시노 코어 셀러론은 128KB의 온다이(On-Die) L2 캐시를 탑재하여 성능을 대폭 향상시켰다.[7] 이는 당시 펜티엄 II 프로세서의 2차 캐시(512KB)보다 작았지만, CPU와 동일한 클럭 속도로 작동하여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초기 모델은 300MHz로 출시되었는데, 인텔은 이전 코빙턴 300MHz와 구별하기 위해 멘도시노 코어 셀러론을 ''300A''라고 불렀다.[7]

멘도시노 코어 셀러론은 뛰어난 성능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특히 오버클러커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7] 고성능 마더보드를 사용하면 많은 셀러론 300A CPU를 450MHz로 오버클럭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7] 이는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 클럭 속도를 66MHz에서 100MHz로 높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100MHz와 해당 메모리를 공식 지원하는 440BX 칩셋의 출시와 내부 L2 캐시가 CPU 속도의 절반으로 실행되어야 했던 외부 캐시 칩보다 오버클럭에 더 유리했던 점이 오버클럭을 도왔다.[7] 일부 마더보드는 셀러론의 FSB를 66MHz로 제한했지만, 오버클러커들은 셀러론 인터페이스 슬롯의 핀 B21에 테이프를 붙여 100MHz 버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냈다.[8]

멘도시노는 슬롯 1 SEPP와 소켓 370 PPGA 패키지로 출시되었으나, 466MHz 모델부터는 PPGA 소켓 370 형태로만 제공되었다. 멘도시노는 대칭형 멀티프로세싱(SMP)을 지원하여, 이를 활용한 마더보드(예: ABIT BP6)도 출시되었다.

멘도시노는 모바일 버전으로도 출시되었으며, 클럭 속도는 266, 300, 333, 366, 400, 433, 466MHz였다.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멘도시노 CPU는 패밀리 6, 모델 6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24이다.

2. 2. 펜티엄 III 기반 셀러론 (2000-2002)



'''코퍼마인-128''' (''셀러론 II''라고도 함)은 코퍼마인 펜티엄 III의 파생 제품으로, 2000년 3월 29일에 출시되었다.[10] 코퍼마인 코어를 사용했으며, L2 캐시의 절반이 비활성화되어 128KB의 4-way 연관 온칩 L2 캐시를 갖추고 있었다. 초기에는 66MHz FSB 속도로 제한되었으나, SSE 명령어는 활성화되었다.

대부분의 코퍼마인 펜티엄 III CPU가 사용했던 동일한 FCPGA 소켓 370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533MHz로 시작하여 566, 600, 633, 667, 700, 733, 766MHz까지 출시되었다. 66MHz 버스의 한계로 인해 클럭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능 향상폭이 감소했다. 2001년 1월 3일, 인텔은 800MHz 셀러론을 출시하면서 100MHz 버스로 전환하여 클럭당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13] 800MHz 이상 모든 코퍼마인-128 CPU는 100MHz FSB를 사용한다. 800, 850, 900, 950, 1000 및 1100MHz의 다양한 모델이 제작되었다.

'''투알라틴-256'''은 2001년 10월 2일에 처음 출시되었으며,[14] 투알라틴 코어를 기반으로 FCPGA 2 소켓 370용 0.13 마이크로미터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투알론(Tualeron)"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1GHz 및 1.1GHz 제품이 출시되었고 (이전의 동클럭의 코퍼마인-128과 구별하기 위해 이름에 "A"를 추가했다).[15] 2002년 1월 4일에 1.3GHz 칩[16], 2002년 5월 15일에 1.4GHz 칩[17]이 출시되면서 투알라틴-256 라인은 종료되었다.

펜티엄 III 투알라틴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100MHz의 더 낮은 버스와 고정된 256KB의 L2 캐시이다. 캐시 연관성은 8-way로 유지되었지만, 새로 도입된 데이터 프리페칭은 비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19]

이전 코퍼마인 셀러론보다 훨씬 향상된 성능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투알라틴 셀러론은 AMD듀론과의 경쟁에서 고전했다.[20]

2. 3. 펜티엄 4 기반 셀러론 (2002-2006)

펜티엄 4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셀러론 프로세서는 400MHz의 FSB와 128KB의 2차 캐시 메모리를 갖추어 가격을 낮췄다. 이후 533MHz FSB, 256KB 2차 캐시 메모리 및 SSE3 명령어 셋을 지원하는 프레스캇 코어 기반의 셀러론 D 프로세서가 출시되었다.[21]

셀러론 D 프로세서 이후에는 시더밀 코어 기반의 셀러론이 출시되었다. 이 프로세서는 256KB L2 캐시를 가진 셀러론 D보다 두 배 향상된 512KB의 L2 캐시를 가지며 65nm 제조공정으로 만들어졌다.

  • '''윌라멧 (Willamette)''' (180 nm)


2002년 5월 15일에 출시된 1.7GHz 모델은 이전의 1.3GHz 투알라틴 기반 셀러론보다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당시 경쟁 상대였던 1.3GHz AMD 듀론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21] 2002년 6월 12일에는 1.8GHz 모델이 출시되었다.[22] 윌라멧 셀러론은 SSE2 명령어를 지원하며, RDRAM, DDR SDRAM, SDRAM을 사용할 수 있다. 420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이 면적은 217mm2이다.[23]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윌라멧 셀러론과 펜티엄 4는 패밀리 15, 모델 1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31이다.

  • '''노스우드 (Northwood)''' (130 nm)


노스우드 펜티엄 4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128KB의 L2 캐시를 탑재하고 있다. 130nm 공정으로 제작되어 다이 크기가 줄어들고, 트랜지스터 수가 증가했으며, 코어 전압이 윌라멧의 1.7V에서 1.52V로 낮아졌다. 2002년 9월 18일에 2GHz 코어로 처음 출시되었으며,[25] 이후 1.8GHz에서 2.8GHz까지 다양한 클럭 속도로 출시되었다.

인텔의 "Family/Model/Stepping" 체계에서 노스우드 셀러론과 펜티엄 4는 패밀리 15, 모델 2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32이다.

  • '''셀러론 D (프레스콧, Prescott)''' (90 nm)


Prescott Celeron D 340 다이 샷


2004년 6월 25일에 처음 출시되었으며,[26] 이전의 윌라멧 및 노스우드 데스크탑 셀러론에 비해 L1 캐시(16 KB)와 L2 캐시(256 KB)가 두 배로 늘어났다.[27] 프레스콧 펜티엄 4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533 MT/s 버스 및 SSE3를 지원한다. 3xx 모델 번호를 사용하며, 소켓 478LGA 775용으로 제조되었다. 클럭 속도는 2.13 GHz에서 3.33 GHz까지이다.

셀러론 D는 이전의 NetBurst 기반 셀러론에 비해 상당한 성능 향상을 보였지만, 발열 문제가 있었다. 프레스콧-256은 73 W의 TDP를 가졌다.[30]

2005년 중반, 인텔은 인텔 64 및 XD 비트를 활성화하여 셀러론 D를 개선했다. 모델 번호는 이전 세대보다 1씩 증가했다. (예: 330은 331이 됨)

인텔의 "Family/Model/Stepping" 스킴에서 프레스콧 셀러론 D와 펜티엄 4는 제품군 15, 모델 3(E0 스테핑까지) 또는 4(E0 스테핑부터)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소켓 유형에 따라 80546 또는 80547이다.

  • '''셀러론 D (시더밀, Cedar Mill)''' (65 nm)


2006년 5월 28일에 출시되었으며, 셀러론 D 347(3.06 GHz), 352(3.2 GHz), 356(3.33 GHz), 360(3.46 GHz) 및 365(3.6 GHz) 모델이 있다. 시더밀 셀러론 D는 L2 캐시가 512KB로 늘어났고 65nm 공정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프레스콧-256과 거의 동일하다. LGA 775 전용이며, 프레스콧 셀러론에 비해 성능이 약간 향상되었고, TDP가 65W로 낮아졌다.[31]

인텔의 "Family/Model/Stepping" 방식에서 Cedar Mill 셀러론 D 및 펜티엄 4는 패밀리 15, 모델 6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52이다.

2. 4. 코어 기반 셀러론 (2006-2010)

코어 2 계열의 셀러론 프로세서는 FSB 800Mhz, L2캐시 512KB를 갖는다. 초기에는 싱글코어 기반의 셀러론-L만 출시되었지만, 2008년 1월에 듀얼코어 기반의 E1xxx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2009년에는 45nm 공정으로 변경되면서 1MB의 L2 캐시를 갖는 E3xxx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65nm 공정의 펜티엄 듀얼코어와 같다)

Conroe-L 셀러론은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의 싱글 코어 프로세서로, 이전 세대보다 클럭 속도는 낮지만 성능은 더 우수하다. 65 nm Conroe-L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32] 400 시리즈 모델 번호를 사용한다.[33] FSB는 533 MT/s에서 800 MT/s로 증가했으며, TDP는 65 W에서 35 W로 감소했다. VT-x 명령이나 스피드스텝은 지원하지 않지만, 향상된 정지 상태는 활성화되어 유휴 상태에서 배수를 6×으로 낮추고 코어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Conroe-L은 셈프론과 마찬가지로 저가형 시장을 위한 싱글 코어 프로세서이며, 2007년 6월 5일에 출시되었다.[34]

2007년 10월 21일, 인텔은 인텔 에센셜 시리즈를 위한 새로운 프로세서인 셀러론 220을 선보였다. 이 프로세서는 D201GLY2 마더보드에 납땜되어 있으며, 1.2 GHz 클럭 속도와 512 KB L2 캐시를 갖추고 있다. TDP는 19 W로 수동 냉각이 가능하다. 셀러론 220은 Yonah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D201GLY 마더보드에 사용되었던 셀러론 215의 후속 제품이다. mini-ITX 보드 전용으로 저가형 시장을 대상으로 한다.

2008년 1월 20일, 인텔은 Allendale 코어 기반의 듀얼 코어 셀러론 E1xxx 프로세서 라인을 출시했다. 800 MT/s FSB, 65W TDP를 가지며, 2MB L2 캐시 중 512KB를 사용하므로 게이밍 등에서는 성능이 제한될 수 있다. 향상된 정지 상태와 향상된 인텔 스피드스텝 기술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클럭 속도는 1.6 GHz에서 2.4 GHz 사이였다. 이 CPU는 코어 2 듀오 E4xxx 및 펜티엄 듀얼 코어 E2xxx와 같은 다른 Allendale 기반 CPU와 호환되었다.[35]

2009년 8월, 셀러론 E3000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E3200 및 E3300을 시작으로 펜티엄 듀얼 코어 E5000, 펜티엄 E6000 및 코어 2 듀오 E7000 시리즈에 사용된 울프데일-3M 코어를 사용한다. Allendale 기반 셀러론과의 주요 차이점은 인텔 VT-x 지원과 1MB의 L2 캐시로 인한 성능 향상이다.

2. 5. 네할렘 기반 셀러론 (2010)

2010년 1월, 인텔은 데스크톱용 코어 i3 및 코어 i5 프로세서(코드명: ''클라크데일'')와 함께 새로운 셀러론 라인업을 출시했으며, 셀러론 G1101이 그 시작이었다. 이는 온칩 PCI 익스프레스 및 통합 그래픽을 갖춘 최초의 셀러론 프로세서이다. 코어 i5-6xx 라인과 동일한 클라크데일 칩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터보 부스트, 하이퍼스레딩, VT-d, SMT, 신뢰 실행 기술 또는 AES 신규 명령어를 지원하지 않으며, 2MB의 3차 캐시만 활성화되어 제공된다.[36]

셀러론 P1053은 ''재스퍼 포레스트'' 제품군의 소켓 1366용 임베디드 프로세서이다. 이 제품군의 다른 모든 구성원은 제온 C35xx 또는 C55xx로 알려져 있다. 재스퍼 포레스트 칩은 린필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4개의 코어, 8MB의 L3 캐시 및 QP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만, 셀러론 버전에서는 대부분의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2MB의 L3 캐시를 가진 단일 코어만 남게 된다.

2. 6. 샌디브릿지 이후 셀러론 (2011-)

셀러론 G530 2.4 GHz "샌디 브릿지"


샌디브릿지 기반 셀러론 프로세서는 2011년에 출시되었다. LGA 1155 프로세서(싱글 코어 및 듀얼 코어 버전으로 제공)로 통합 인텔 HD 그래픽스 GPU를 갖추고 있으며 최대 2MB의 L3 캐시를 포함한다. 터보 부스트, AVX 및 AES-NI는 비활성화되었다. 하이퍼 스레딩은 일부 싱글 코어 모델(G460, G465 및 G470)에서 사용할 수 있다.[3]

아이비브릿지 기반 셀러론은 G16xx 시리즈에 속한다. 22nm 공정 축소와 기타 약간의 개선 사항으로 인해 샌디브릿지 기반 셀러론보다 성능이 약간 향상되었다.[3]

하스웰 기반 셀러론은 AES-NI 및 RDRAND 명령어 집합을 추가했다.[3]

3. 아키텍처별 특징

셀러론은 다양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발전해 왔으며, 각 아키텍처는 고유한 특징과 성능을 제공한다.

아키텍처별 셀러론 특징 요약
아키텍처주요 특징세부 내용
P6초기 모델, 낮은 성능, 오버클러킹 가능
넷버스트펜티엄 4 기반, SSE2 지원, 높은 발열
코어싱글/듀얼 코어, 향상된 성능, 낮은 전력 소비
네할렘 이후통합 그래픽, 다양한 기능 지원



각 아키텍처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P6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초기 셀러론은 성능이 낮았지만, 멘도시노 코어부터는 캐시 메모리를 추가하고 오버클러킹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코퍼마인 코어는 SSE 명령어를 지원하며, 튜알라틴 코어는 AMD 듀론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펜티엄 4 기반으로 SSE2를 지원하지만, 발열 문제가 있었다. 셀러론 D는 캐시 메모리 용량을 늘리고 SSE3를 지원하며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발열은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시더밀 코어는 제조 공정을 개선하여 발열 문제를 일부 해결했다.
  •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싱글 코어 및 듀얼 코어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이전 세대보다 낮은 클럭 속도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앨런데일 코어부터는 듀얼 코어를 채택하여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고, 울프데일 코어는 가상화 기술을 지원한다.
  • 네할렘 이후 아키텍처 기반: 통합 그래픽을 탑재하고,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전반적인 성능이 향상되었다.

3. 1. P6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펜티엄 프로, 펜티엄 II, 펜티엄 III를 기반으로 하는 셀러론은 P6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초기 코빙턴(Covington) 코어 셀러론은 펜티엄 II에서 2차 캐시 메모리를 제거한 형태로 출시되었으나 성능이 좋지 않았다. 이후 멘도시노(Mendocino) 코어 셀러론은 128KB 온다이 2차 캐시를 장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멘도시노는 오버클러킹을 통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고, 대칭형 멀티프로세싱(SMP)을 지원하여 저렴한 듀얼 프로세서 시스템 구축이 가능했다.

코퍼마인(Coppermine) 코어 셀러론은 펜티엄 III 코퍼마인을 기반으로 128KB L2 캐시를 가지고 있었으며, 초기에는 66MHz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로 제한되었으나, 이후 100MHz로 개선되었다. SSE 명령어를 지원했다.

튜알라틴(Tualatin) 코어 셀러론은 펜티엄 III 튜알라틴을 기반으로 256KB L2 캐시를 가졌으며, 100MHz FSB를 사용했다. AMD 듀론과의 경쟁에서 고전했다.

3. 1. 1. 코빙턴 (Covington)

1998년 4월에 출시된 최초의 셀러론 프로세서이다. 코드명은 코빙턴(Covington)이며, 펜티엄 II 266MHz 프로세서에서 2차 캐시 메모리를 완전히 제거한 형태로 출시되었다.[5] 2차 캐시가 없어 성능 하락폭이 커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3] 코빙턴은 데슈츠와 80523 제품 코드를 공유했다.

코빙턴은 슬롯 1 SEPP 형식으로만 제조되었으며, 266MHz 또는 300MHz로 작동했다.[3] 2차 캐시가 없는 셀러론은 대체하도록 설계된 부품과 경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 출시 초기에는 인텔의 브랜드 파워로 상당수 판매되었지만, 성능 저하로 인해 언론과 컴퓨터 전문가들 사이에서 빠르게 좋지 않은 평판을 얻었다.[6]

하지만, 유연한 오버클러킹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해 일부 오버클러커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3] 일본의 매니아사용자들에 의해, CPU 본체 패키지에서 튀어나온 "어떤 핀"과의 결선을 끊고 점퍼를 하나 떼어내는 것만으로 SMP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어, 저렴한 셀러론을 이용한 듀얼 프로세서 붐의 기폭제가 되었다. 또한, 2차 캐시 메모리를 탑재하지 않아, 2차 캐시 메모리가 원인이 되어 동작 클럭을 올릴 수 없는 펜티엄 II에 비해, 오버클럭하여 작동시킬 여지가 컸다.

펜티엄 프로부터 펜티엄 III까지 채용된 P6 마이크로아키텍처를 채용한 것으로, 원칙적으로 펜티엄 II 및 펜티엄 III와 동일한 슬롯 1소켓 370 플랫폼을 사용한다.

코빙턴은 0.25μ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MMX를 지원하고, S.E.P.P. 패키지를 사용했다.

FSB&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MHz)TDP (W)
66426616.7
4.530018.48


3. 1. 2. 멘도시노 (Mendocino)

Mendocino영어 코어 셀러론 프로세서는 128KB의 온다이(다이) 2차 캐시를 장착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7] 1998년 8월 24일에 출시된 멘도시노 셀러론은 온 다이 L2 캐시를 사용한 최초의 소매용 CPU였다. 코빙턴은 2차 캐시가 전혀 없었던 반면, 멘도시노는 풀 클럭 속도로 실행되는 128KB의 L2 캐시를 포함했다. 최초의 멘도시노 코어 셀러론은 300MHz로 클럭되었지만, 동일 클럭에서 캐시가 없는 코빙턴 셀러론보다 거의 두 배의 성능을 제공했다. 이전 코빙턴 300MHz와 구별하기 위해 인텔은 멘도시노 코어 셀러론을 ''300A''라고 불렀다.[7]

멘도시노 코어 셀러론은 오버클러킹을 통해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고성능 마더보드를 사용하면 많은 셀러론 300A CPU가 450MHz에서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었다. 이는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 클럭 속도를 66MHz에서 펜티엄 II의 100MHz 클럭으로 증가시켜 달성되었다.[7]

멘도시노 셀러론은 소켓 370 PPGA 패키지를 도입하여, 슬롯 1 SEPP와 함께 제공되었다. 모든 셀러론은 단일 칩 설계이므로 L2 캐시 저장을 위해 슬롯 패키징을 유지할 이유가 없었고, 인텔은 슬롯 1 변형을 단종했다. 466MHz 부품부터 PPGA 소켓 370 형태만 제공되었다.[40]

멘도시노는 대칭형 멀티프로세싱(SMP)을 지원하여, ABIT BP6와 같은 마더보드에서 두 개의 멘도시노 소켓 370 셀러론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저렴한 비용으로 듀얼 프로세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하여, 일본의 매니아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듀얼 셀러론 붐을 일으켰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333, 366, 400, 433, 466, 500, 533MHz에서 새로운 멘도시노 프로세서가 출시되었다.

멘도시노는 모바일 변형으로도 출시되었으며 클럭 속도는 266, 300, 333, 366, 400, 433 및 466MHz였다.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멘도시노 CPU는 패밀리 6, 모델 6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24이다.

  • 공정: 250 nm
  • FSB: 66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128 KB (코어와 동일한 속도로 동작)
  • MMX
  • 패키지: S.E.P.P. (300A MHz - 433 MHz), PPGA370 (300A MHz - 533 MHz)


FSB&내부배수동작 주파수TDP
664.5300A19.05
5.033320.94
5.536621.70
6.040023.7
6.543324.1
7.046625.7
7.550027.2
8.053328.3



3. 1. 3. 코퍼마인-128K (Coppermine-128K)

'''코퍼마인-128K'''(Coppermine-128K)는 0.18μm 공정의 셀러론으로, 128KB의 2차 캐시 메모리를 코어 내부에 내장하고 있다. 펜티엄 III 2세대 코퍼마인의 2차 캐시 메모리 용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장치에 데이터 전송 등을 요구한 후 그 결과가 반송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레이턴시)을 의도적으로 높인 것이다. 펜티엄 III를 기반으로 하여 셀러론에서도 SSE 명령어 집합을 지원하게 되었다. 펜티엄 III에 존재했던 Slot 1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으며, 모든 제품이 Socket 370 버전이다.[10]

이 제품 이후의 CPU는 대칭형 멀티 프로세서(SMP) 동작 기능이 처음부터 불가능하게 되었다. 초기 펜티엄 III 코퍼마인에는 SMP 기능이 구현되지 않았고, 코어 노출로 인해 방열판 장착 시 '코어 깨짐' 피해가 발생하여 사용자 과실로 처리되어 보증을 받기 어려웠다. 이 문제는 이후 CPU 구조에서 히트 스프레더를 채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기에는 66MHz FSB 속도로 제한되었으나, 2001년 1월 3일 800MHz 셀러론을 출시하면서 100MHz 버스로 전환하여 클럭당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13]

  • 프로세스 규칙: 180 nm
  • FSB: 66 - 100 MHz
  • L2 캐시 메모리: 128 KB
  • MMX, SSE
  • 패키지: FC-PGA370


코퍼마인-128K 제품 사양[11][12][40]
FSB 및 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MHz)
TDP
(W)
668.0533A11.2
8.556611.9
9.060012.6
9.563316.5
10.066717.5
10.570018.3
11.073319.1/22.8
11.576620.0/23.6
1008.080020.8/24.5
8.585022.5/25.7
9.090026.7/30.0
9.595026.7/32.0
10.0100029.0
11.0110033.0


3. 1. 4. 투알라틴-256K (Tualatin-256K)



2001년 10월 2일 처음 출시된 이 셀러론 프로세서는 튜알라틴 코어를 기반으로, FCPGA 2 소켓 370용 0.13 마이크로미터 공정으로 제작되었다.[14] 일부 매니아들은 이 프로세서를 튜알라틴과 셀러론의 합성어인 "튜알론(Tualeron)"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 일부 소프트웨어 및 사용자들은 이 칩을 펜티엄 III-S와의 계보를 언급하여 "셀러론-S"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이는 공식 명칭은 아니다. 이후 인텔은 1GHz 및 1.1GHz 제품을 출시했으며(이전의 동클럭의 코퍼마인-128과 구별하기 위해 이름에 "A"를 추가했다).[15] 2002년 1월 4일에 출시된 1.3GHz 칩[16], 그리고 2002년 5월 15일(1.7GHz 윌라멧 기반 셀러론 출시와 같은 날)에 출시된 1.4GHz 칩[17]은 튜알라틴-256 라인의 종말을 알렸다.

펜티엄 III 튜알라틴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100MHz의 더 낮은 버스와 고정된 256KB의 L2 캐시(펜티엄 III는 256KB 또는 512KB L2 캐시 중 선택 가능)이다. 캐시 연관성은 8-way로 유지되었지만,[18] 새로 도입된 데이터 프리페칭은 비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19] 또한 튜알라틴-256의 L2 캐시는 지연 시간이 더 높았으며, 이는 이 보급형 CPU의 제조 수율을 높였다. 반면에 이는 오버클럭킹 시 안정성을 향상시켰으며, 대부분은 133MHz FSB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보이면서 문제없이 작동했다.

이전의 코퍼마인 셀러론보다 훨씬 향상된 성능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튜알라틴 셀러론은 AMD듀론 보급형 프로세서와의 경쟁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20] 인텔은 이후 넷버스트 윌라멧 셀러론을 출시했고, 한동안 튜알라틴 셀러론은 이를 대체한 펜티엄 4 기반 셀러론과 병행하여 제조 및 판매되었다.

Tualatin-256K(튜알라틴-256K)는 0.13μm 공정의 셀러론으로, 256KB의 2차 캐시 메모리를 코어 내부에 내장하고 있다. 펜티엄 III 3세대인 튜알라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FSB(Front Side Bus)는 100MHz로 제한하여 2차 캐시 메모리 장치에 데이터 전송 등을 요구하고 그 결과가 반환되기까지의 지연 시간(레이턴시)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SMP(Symmetric Multi-Processing) 동작은 비활성화되어 있다.

  • 공정: 130 nm
  • FSB: 100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256 KB
  • MMX, SSE
  • 패키지: FC-PGA370


FSB & 내부
(MHz)
배수동작 클럭
(GHz)
TDP
(W)
10010.01.00A27.8, 29.5
11.01.10A28.9, 29.5, 30.8
12.01.2029.9, 32, 32.1
13.01.3032, 33.4
14.01.4033.2, 34.8


3. 2.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펜티엄 4 계열의 셀러론 프로세서는 400MHz의 FSB와 128KB의 L2 캐시 메모리를 장착하여 가격을 낮추었다. 이후 533MHz의 FSB와 256KB의 L2 캐시 메모리를 장착하고 SSE3 명령어셋을 지원하는 프레스콧 코어의 셀러론 D 프로세서가 발표되었다. 셀러론 D 프로세서 이후에는 시더밀 코어 기반의 셀러론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256KB L2 캐시를 가진 셀러론 D보다 2배 향상된 512KB의 L2 캐시를 가지며 65nm 제조공정으로 만들어졌다.

이 셀러론은 소켓 478용으로, 이전의 투알라틴 셀러론과는 완전히 다른 설계를 가진 윌라멧 펜티엄 4 코어를 기반으로 했으며, 흔히 ''셀러론 4''로 불린다. L2 캐시(128KB)는 ''윌라멧'' 기반 펜티엄 4의 256KB L2 캐시의 절반이지만, 그 외에는 두 제품이 매우 유사하다. 펜티엄 4 코어로 전환되면서 셀러론은 SSE2 명령어를 갖추게 되었고, 펜티엄 4와 동일한 소켓을 공유할 수 있게 됨으로써 RDRAM, DDR SDRAM, 또는 기존의 SDRAM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펜티엄 4의 아키텍처인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를 채용한 셀러론은 소켓 478 플랫폼을 사용한다.

3. 2. 1. 윌라멧-128K (Willamette-128K)

윌라멧-128K는 1세대 펜티엄 4인 윌라멧 기반의 셀러론으로, 128KB의 2차 캐시를 내장하고 0.18μm 공정으로 제조되었다. 소켓 423이 불량으로 조기에 폐지되었기 때문에, 소켓 478만 채택되었다. 2차 캐시 메모리는 투알라틴 코어의 셀러론과 비교하여 절반으로 줄었지만, 데이터 전송 지연 시간(레이턴시)은 펜티엄 4와 동일해졌다.[21]

펜티엄 4가 0.13μm 공정의 노스우드로 전환되면서 남게 된 0.18μm 공정의 제조 라인을 활용하여 NetBurst 마이크로아키텍처에서 추가된 SSE2 명령 집합의 보급을 노린 전략적인 상품이었다. 그러나 투알라틴-256k와 비교하여 제조 원가가 높고, 동작 클럭에 비해 처리 성능이 떨어지며, 발열량이 많은 NetBurst 마이크로아키텍처라는 단점이 겹쳐 시장의 평판은 좋지 않았다. 0.13μm 공정 제조 라인에 여유가 생기자 후속 모델인 노스우드-128k로 전환되어 단명했다.

2002년 5월 15일에 1.7GHz로 출시되었으며, 이전 1.3GHz 투알라틴 기반 셀러론보다 성능이 향상되었고, 당시 경쟁 상대였던 1.3GHz AMD 듀론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2002년 6월 12일에는 마지막 윌라멧 셀러론인 1.8GHz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 칩은 420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이 면적은 217mm2이다.[23]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윌라멧 셀러론과 펜티엄 4는 패밀리 15, 모델 1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31이다.

  • 공정: 180 nm
  • FSB: 400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128 KB
  • MMX, SSE, SSE2
  • 패키지: FC-PGA2


셀러론 2GHz


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GHz)
TDP
(W)
100171.7063.5
100181.8066.1


3. 2. 2. 노스우드-128K (Northwood-128K)



노스우드-128K(Northwood-128K)는 2세대 펜티엄 4노스우드 기반의 셀러론으로, 128KB의 2차 캐시 메모리를 코어 내부에 내장하고 있다. 2차 캐시 메모리는 노스우드 코어 펜티엄 4의 4분의 1이며, 처리 성능 자체는 그만큼 떨어진다. 하지만, 윌라멧 기반의 셀러론과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 낮다. 장치에 데이터 전송 등을 요청한 후 그 결과가 반송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레이턴시)이 펜티엄 4와 같은 것은 윌라멧 코어의 셀러론과 마찬가지이다.[24][25]

노스우드-128 기반 셀러론과 윌라멧-128 기반 셀러론의 유일한 차이점은 새로운 130nm 공정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다이 크기가 줄어들고, 트랜지스터 수가 증가했으며, 코어 전압이 윌라멧-128의 1.7V에서 노스우드-128의 1.52V로 낮아졌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기능적으로는 윌라멧-128 셀러론과 동일하며 클럭당 성능도 대체로 비슷하다. 노스우드-128 프로세서 제품군은 2002년 9월 18일에 2GHz 코어로 처음 출시되었다. 이후 인텔은 셀러론 D에 의해 대체되기 전까지 1.8GHz에서 2.8GHz에 이르는 총 10가지의 다양한 클럭 속도를 출시했다. 노스우드 기반 셀러론은 작은 L2 캐시로 인해 상당한 성능 저하를 겪지만, 구형 300A처럼 지정된 클럭 속도 이상으로 잘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클럭 속도는 매니아 시장에서 선호되었다.[2]

  • 공정: 130 nm
  • FSB: 400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128 KB
  • MMX, SSE, SSE2
  • 패키지: FC-PGA2


동작 주파수 (GHz)TDP (W)
1.6-
1.8-
2.052.8
2.155.5
2.257.1
2.358.3
2.459.8
2.561.0
2.662.6
2.766.8
2.868.4


3. 2. 3. 셀러론 D / 프레스콧-V (Prescott-256K)



'''셀러론 D''' 프로세서는 2004년 6월 25일에 처음 출시되었으며,[26] 이전의 윌라멧 및 노스우드 데스크탑 셀러론에 비해 L1 캐시(16 KB)와 L2 캐시(256 KB)가 두 배로 늘어났다. 이는 ''프레스콧'' 펜티엄 4 코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27]

셀러론 D는 533 MT/s 버스 및 SSE3를 지원하며, 3xx 모델 번호(펜티엄 4의 5xx 및 펜티엄 M의 7xx와 비교)를 가지고 있다. 프레스콧-256 셀러론 D는 소켓 478LGA 775용으로 제조되었으며, 클럭 속도는 2.13 GHz에서 3.33 GHz까지이다.

인텔 셀러론 D 프로세서는 인텔 845 및 865 칩셋 제품군과 함께 작동한다. ''D'' 접미사는 공식적인 지정이 없으며, 이 모델이 듀얼 코어임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 셀러론 라인을 이전의 저성능 노스우드 및 윌라멧 시리즈, 그리고 모바일 시리즈인 셀러론 M(또한 3xx 모델 번호를 사용)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8] 펜티엄 D와 달리 셀러론 D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가 아니다.

셀러론 D는 이전의 NetBurst 기반 셀러론에 비해 상당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Anandtech.com의 데릭 윌슨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한 테스트에서 새로운 셀러론 D 아키텍처는 두 CPU가 동일한 버스 및 클럭 속도로 실행될 때 노스우드 셀러론에 비해 평균 10%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29] 이 CPU는 또한 SSE3 명령과 더 높은 FSB를 추가하여 이미 인상적인 이득에 기여했다.

많은 개선에도 불구하고 셀러론 D의 ''프레스콧'' 코어에는 발열이라는 주요 단점이 있었다. 비교적 시원하게 작동하는 노스우드 셀러론과 달리, 프레스콧-256은 73 W의 등급 TDP를 가지고 있었으며, 인텔은 추가적인 열을 처리하기 위해 더 복잡한 구리 코어/알루미늄 핀 냉각기를 포함시켰다.[30]

2005년 중반, 인텔은 인텔 64 및 XD 비트 (실행 비활성화)를 활성화하여 셀러론 D를 새로 고쳤다. 모델 번호는 이전 세대보다 1씩 증가했다(예: 330은 331이 됨). 이는 LGA 775 셀러론 D에만 적용되었다. 소켓 478 CPU에는 XD 비트 기능이 없다.

인텔의 "Family/Model/Stepping" 스킴에서 프레스콧 셀러론 D와 펜티엄 4는 제품군 15, 모델 3(E0 스테핑까지) 또는 4(E0 스테핑부터)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소켓 유형에 따라 80546 또는 80547이다.

Prescott-V(프레스콧-V)는 3세대 펜티엄 4인 Prescott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셀러론 D라고 불린다. 9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256KB의 2차 캐시 메모리를 코어 내부에 내장하고 있다. FSB는 533MHz이며, 캐시 메모리와 FSB가 동시에 강화된 결과, Northwood 기반의 셀러론과 비교하면 처리 성능 자체가 크게 개선되었다.

3.60GHz까지의 제품이 판매되었다. 소켓 478 버전과 LGA 775 버전이 존재한다. 프로세서 넘버가 중복되는 것은 LGA775 제품에 "J"가 붙어 있어 구별이 가능하다. LGA 775 버전은 버퍼 오버런을 이용한 공격 프로그램의 실행을 방지하는 Execute Disable Bit(NX 비트)를 지원하며, 일부 제품에서는 64비트 확장인 Intel 64도 지원한다.

  • 최고 작동 온도
  • 소켓 478: 67℃
  • LGA 775: 67.7℃
  • TDP
  • 소켓 478: 73W (최대 소비 전력 94.46W)
  • LGA775: 84W (최대 소비 전력 98.83W)
  • 공정: 90 nm
  • FSB: 533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256 KB
  • MMX, SSE, SSE2, SSE3, Intel 64 (3x1, 3x6, 355), XD bit (3x0J, 3x5J, 3x1, 3x6, 355)


셀러론 D (소켓 478)
프로세서 넘버작동 주파수 (GHz)FSB (MHz)TDP (W)
3102.1353373
3152.26
3202.40
3252.53
3302.66
3352.80
3402.93
3453.06
3503.20



셀러론 D (LGA775, XD bit 지원)
프로세서 넘버작동 주파수 (GHz)FSB (MHz)TDP (W)
325J2.5353384
330J2.66
335J2.80
340J2.93
345J3.06



셀러론 D (LGA775, XD bit, Intel 64 지원)
프로세서 넘버작동 주파수 (GHz)FSB (MHz)TDP (W)
3262.5353384
3312.66
3362.80
3412.93
3463.06
3513.20
3553.33


3. 2. 4. 셀러론 D / 시더밀-V (CedarMill-512K)

펜티엄 4의 시더밀(CedarMill)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셀러론 D는 2006년 5월 28일에 출시되었다. 모델명은 셀러론 D 347(3.06 GHz), 352(3.2 GHz), 356(3.33 GHz), 360(3.46 GHz), 365(3.6 GHz)이다. 시더밀-V(CedarMill-512K) 셀러론 D는 프레스콧-256과 거의 동일하지만, L2 캐시가 512KB로 두 배 증가했고, 65nm 공정으로 제조되어 발열이 개선되었다. 일부 모델은 TDP가 65W로 낮아졌다.[31]

시더밀 셀러론 D는 LGA 775 전용이며, 인텔 64 및 XD 비트를 지원한다.

셀러론 D / 시더밀-V (CedarMill-512K)
프로세서
넘버
동작 주파수
(GHz)
FSB
(MHz)
TDP
(W)
D 3473.0653365/86
D 3523.20
D 3563.33
D 3603.4665
D 3653.60


3. 3.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 기반

코어 2 계열의 셀러론 프로세서는 800MHz의 FSB와 512KB의 L2 캐시를 갖는다. 2008년 1월에는 듀얼 코어 기반의 E1xxx 시리즈가 발표되었고, 2009년에는 45nm 공정으로 전환되면서 1MB의 L2 캐시를 갖는 E3xxx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Conroe-L 셀러론은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로, 이전 세대보다 낮은 클럭 속도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65nm Conroe-L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400 시리즈 모델 번호를 사용한다.[32][33] FSB는 533MT/s에서 800MT/s로 향상되었고, TDP는 65W에서 35W로 감소했다. 그러나 인텔 VT-x스피드스텝과 같은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3. 3. 1. 밸류 소사만 (Value Sossaman)

임베디드 장치블레이드 서버용으로, 제온의 듀얼 코어 제온 LV 소사만의 코어 하나를 비활성화한 제품이다. E7520 및 i3100 칩셋을 지원한다. OEM 판매 전용이며, 개별 입수는 어렵다.

소켓 M을 지원하지만, 셀러론 M이라는 명칭 없이 출시되었으며, 인텔 아카이브에서의 시리즈명은 "Intel® Celeron® Processors with 667 MHz FSB"로 표기되어 있다.

  • 공정: 65 nm
  • FSB: 667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2 MB
  • MMX, SSE, SSE2, SSE3, XD 비트, EIST, TXT
  • 소켓: 소켓 M


작동 클럭 (GHz)TDP (W)출시 시기
1.6627'06/3
1.83'07/1


3. 3. 2. 콘로-L (Conroe-L)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제작된 싱글 코어 프로세서인 Conroe-L 셀러론은 셈프론과 마찬가지로 저가형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출시되었다.[34] Cedar Mill 셀러론보다 클럭 속도는 낮지만 성능은 더 우수하다.[32] 400 시리즈 모델 번호 시퀀스를 사용하며,[33] FSB는 533MT/s에서 800MT/s로, TDP는 65W에서 35W로 감소했다. VT-x 명령 지원이나 스피드스텝은 지원하지 않지만, 향상된 정지 상태는 활성화되어 있어 유휴 상태에서 배수를 6×으로 낮추고 코어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2007년 6월 5일에 출시되었다.[34]

2007년 10월 21일에는 인텔 에센셜 시리즈를 위한 셀러론 220 프로세서가 출시되었다. 이 프로세서는 D201GLY2 마더보드에 납땜되어 있으며, 1.2GHz의 동작 속도와 512KB L2 캐시를 갖추고 있다. TDP는 19W로 수동 냉각이 가능하다. 셀러론 220은 Yonah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D201GLY 마더보드에서 사용되는 셀러론 215의 후속 제품이다. 이 프로세서는 서브 밸류 시장 부문을 대상으로 하는 mini-ITX 보드에 독점적으로 사용된다.

Conroe-L(콘로-L)은 2007년 6월 3일에 발표되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공정: 65nm
  • FSB: 533 - 800MHz (MT/s)
  • L2 캐시 메모리: 512KB
  • MMX, SSE, SSE2, SSE3, SSSE3, Intel 64, XD 비트
  • 소켓: LGA 775, 온보드 (220)


프로세서넘버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GHz)
FSB
(MHz)
TXT
대응
소켓TDP
(W)
220??1.2533No온보드19
42020081.6800NoLGA 77535
43020091.8800NoLGA 77535
440200102.0800NoLGA 77535
450200112.2800NoLGA 77535


3. 3. 3. 콘로-CL (Conroe-CL)

콘로-CL(Conroe-CL)은 셀러론 브랜드에서 유일하게 LGA 771 규격의 싱글 코어 프로세서이다. 싱글 소켓 i5100 칩셋을 사용한 서버에 탑재되어 사용되었다.[1]

  • 공정: 65 nm[1]
  • FSB: 1066 MHz (MT/s)[1]
  • L2 캐시 메모리: 512 KB[1]
  • MMX, SSE, SSE2, SSE3, 인텔 64, XD bit, VT, EIST[1]
  • 소켓: LGA 771[1]


프로세서
번호
내부 클럭
(MHz)
배수동작 클럭
(GHz)
FSB
(MHz)
TXT
지원
소켓TDP
(W)
44526671.861066LGA 77165


3. 3. 4. 앨런데일-512K (Allendale-512K)

코어 2 계열의 듀얼 코어 셀러론 E1xxx 프로세서 라인은 2008년 1월 20일에 출시되었다.[35] 800 MT/s FSB, 65W TDP를 가지며, 칩의 2MB L2 캐시 중 512KB를 사용하여 게임과 같은 사용 사례에서 성능을 크게 제한했다.[35] 셀러론 제품군에 새로 추가된 기능으로는 완전한 향상된 정지 상태와 향상된 인텔 스피드스텝 기술이 있었다.[35] 클럭 속도는 1.6 GHz에서 2.4 GHz 사이였다.[35] 이 CPU는 코어 2 듀오 E4xxx 및 펜티엄 듀얼 코어 E2xxx와 같은 다른 Allendale 기반 CPU와 호환되었다.[35]

앨런데일-512K는 셀러론 시리즈에서 처음으로 듀얼 코어를 채택한 데스크톱용 CPU이다. L2 캐시 메모리 용량을 줄여서 코어 2 듀오의 최저가 모델이 되었으며, 같은 코어 2 듀오의 염가판인 펜티엄 듀얼 코어보다 L2 캐시 메모리 용량이 더 줄어들어 512KB가 되었다.

  • 듀얼 코어
  • 공정: 65 nm
  • FSB: 800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512 KB
  • MMX, SSE, SSE2, SSE3, SSSE3, 인텔 64, XD 비트, EIST
  • 소켓: LGA 775


앨런데일-512K 프로세서 정보
프로세서넘버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GHz)TXT 대응TDP (W)
E120020081.6No65
E1400102.0
E1500112.2
E1600122.4


3. 3. 5. 울프데일 (Wolfdale)

셀러론 E3000 시리즈는 2009년 8월에 출시되었으며, E3200 및 E3300을 시작으로 펜티엄 듀얼 코어 E5000, 펜티엄 E6000 및 코어 2 듀오 E7000 시리즈에 사용된 울프데일-3M 코어를 특징으로 한다. 알렌데일 기반 셀러론 프로세서와의 주요 차이점은 인텔 VT-x 지원과 1MB의 두 배 L2 캐시로 인한 성능 향상이다.

Wolfdale(울프데일)은 LGA775 셀러론 중 처음으로 가상화 기술(인텔 VT-x)을 지원하는 제품으로, 45nm 공정으로 제조된다. L2 캐시 메모리 용량이 E1000 계열의 2배인 것이 특징이다.

  • 듀얼 코어
  • 공정: 45 nm
  • FSB: 800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1 MB
  • MMX, SSE, SSE2, SSE3, SSSE3, Intel 64, XD 비트, EIST, 인텔 VT-x
  • 소켓: LGA 775


프로세서넘버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GHz)TDP (W)
E3200200122.465
E330012.52.5
E3400132.6
E350013.52.7


3. 4. 네할렘 이후 아키텍처 기반

2010년 1월, 데스크톱용 코어 i3 및 코어 i5 프로세서(코드명: ''클라크데일'')와 함께 새로운 셀러론 라인업이 출시되었으며, 셀러론 G1101이 그 첫 번째 모델이었다. 이는 온칩 PCI 익스프레스 및 통합 그래픽을 갖춘 최초의 셀러론 프로세서였다. 코어 i5-6xx 라인과 동일한 클라크데일 칩을 사용했지만, 터보 부스트, 하이퍼스레딩, VT-d, SMT, 신뢰 실행 기술 또는 AES 신규 명령어는 지원하지 않았고, 2MB의 3차 캐시만 활성화되었다.[36]

2011년에는 샌디 브릿지 기반 셀러론 프로세서가 출시되었다. 이들은 통합 인텔 HD 그래픽스 GPU를 갖춘 LGA 1155 프로세서(싱글 코어 및 듀얼 코어 버전)였으며, 최대 2MB의 L3 캐시를 포함했다. 터보 부스트, AVX 및 AES-NI는 비활성화되었다. 하이퍼 스레딩은 일부 싱글 코어 모델(G460, G465 및 G470)에서 사용 가능했다.

아이비 브릿지 기반의 모든 셀러론은 G16xx 시리즈에 속한다. 22nm 공정 축소와 기타 개선으로 샌디 브릿지 기반 셀러론보다 성능이 약간 향상되었다.

하스웰 기반 셀러론은 AES-NI 및 RDRAND 명령어 집합을 추가했다.

이후 카비레이크, 커피레이크, 코멧레이크, 엘더레이크 기반 셀러론이 출시되었다.

4. 모바일 셀러론

셀러론 300A MHz


모바일 셀러론은 센트리노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용 펜티엄 M 프로세서를 변형하여 만들어졌다. 펜티엄 M과 비교하여 2차 캐시와 전력 관리 기술에 차이를 두어 가격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펜티엄 II의 모바일 버전인 딕슨 코어를 기반으로 한 P6 기반 모바일 셀러론이 출시되었다. 이후 펜티엄 III의 모바일 버전인 코퍼마인-128K가 출시되었고, 투알라틴-256K는 투알라틴 코어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모바일 셀러론이었다. 이들은 데스크톱 버전과 처리 성능은 대체로 비슷했지만, SpeedStep 기술은 지원하지 않았다.

넷버스트 기반 모바일 셀러론은 노스우드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256KB의 L2 캐시를 갖추고 있어 데스크톱 제품보다 성능이 좋았다.[37] 그러나, 이들은 펜티엄 M 프로세서 설계를 기반으로 한 셀러론 M 브랜드로 대체되었다.

셀러론 M 프로세서는 ''바니아스''(Banias) 펜티엄 M을 기반으로 하며, L2 캐시가 절반이고 클럭 가변 기술인 SpeedStep을 지원하지 않아 펜티엄 M과 차이가 있다. 펜티엄 M에 비해 성능은 괜찮은 편이지만, 배터리 수명은 짧다. 이후 90nm '''도선''' 펜티엄 M 기반의 셀러론 M도 출시되었으며, XD 비트를 지원한다.

요나 코어 기반의 셀러론 M 400 시리즈는 싱글 코어이며, 코어 솔로와 비슷하게 L2 캐시가 절반(1MB)이고, 스피드스텝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더 높은 프런트 사이드 버스(533MT/s) 및 SSE3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다.[38]

코어 기반 모바일 셀러론은 인텔 코어 2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Merom 기반 셀러론은 65nm 공정의 단일 코어 CPU이며, 533MT/s FSB, 1MB L2 캐시, XD-bit, 인텔 64를 지원하지만, SpeedStep 및 가상화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39] 이후 45nm 공정의 Penryn 기반 셀러론 프로세서도 출시되었다.

Arrandale 기반 셀러론 P4xxx 및 U3xxx 라인은 펜티엄 P6xxx 및 U5xxx 라인의 보급형 버전으로, 2MB의 L3 캐시를 사용하며 통합 그래픽 코어를 사용한다. 2011년에 출시된 셀러론 B8xx 프로세서는 Arrandale 라인을 따르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로, 통합 그래픽을 갖추고 있지만 터보 부스트, 하이퍼 스레딩, VT-d, TXT 및 AES-NI는 비활성화되었고 L3 캐시는 2MB로 축소되었다.

4. 1. P6 기반 모바일 셀러론

P6 기반 모바일 셀러론은 펜티엄 II의 모바일 버전인 딕슨 코어에서 2차 캐시 메모리를 절반으로 줄인(128KB) 딕슨-128K가 먼저 출시되었다. 멘도치노(셀러론-A)와 유사하게 250 nm 공정, 32 KB L1 캐시 및 128 KB L2 캐시를 가지며, 더 낮은 전압(1.5–1.9 V)을 사용하고 퀵 스타트와 딥 슬립의 두 가지 절전 모드를 지원한다. 소형 615핀 BGA2 또는 Micro-PGA2 패키지로 제공되었다.

이후 펜티엄 III의 모바일 버전인 코퍼마인-128K가 출시되었고, 이는 데스크톱 버전과 대략적인 처리 성능은 동등하지만, SpeedStep 기술은 지원하지 않았다.

투알라틴-256K는 투알라틴 코어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모바일 셀러론이다. 모바일 시리즈는 데스크톱 제품과 달리 100MHz 및 133MHz FSB로 제공되었으며, 256KB의 L2 캐시를 가지고 있었다. 코퍼마인-128K와 마찬가지로 SpeedStep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1]

4. 1. 1. 딕슨-128K (Dixon-128K)

딕슨-128K(Dixon-128K)는 모바일 펜티엄 II의 딕슨 코어의 2차 캐시 메모리를 반으로 줄인(128KB 내장) CPU이다.[1] 멘도치노(셀러론-A)와 유사하게[1] 250 nm 공정, 32 KB L1 캐시 및 128 KB L2 캐시를 가지며, 더 낮은 전압(1.5–1.9 V)을 사용하고 퀵 스타트와 딥 슬립의 두 가지 절전 모드를 지원한다.[1] 소형 615핀 BGA2 또는 Micro-PGA2 패키지로 제공된다.[1]

  • 공정: 250nm[1]
  • FSB: 66MHz[1]
  • L2 캐시 메모리: 128KB[1]
  • MMX[1]
  • 패키지: mPGA2[1]


FSB & 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MHz)
소켓TDP
(W)
664.02669.8
4.530011.8
5.0333-
5.5366BGA61513.1
6.040013.8
6.543319.4
7.0466H-PBGA61520.7


4. 1. 2. 코퍼마인-128K (Coppermine-128K)

코퍼마인-128K(Coppermine-128K)는 코어 전압 등을 제외한 대략적인 처리 성능은 데스크탑 버전과 동등하지만, SpeedStep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

  • 프로세스 룰: 180 nm
  • FSB: 100 - 133 MHz (MT/s)
  • L2 캐시 메모리: 128 KB
  • MMX, SSE
  • 패키지: mPGA2, mBGA, mBGA2


FSB 및 내부
(MHz) !! 배수 !! 동작 주파수
(MHz) !! 패키지 !! 소켓 !! TDP
(W)
1004.0400AmBGA-
4.5450mPGA2 / mBGA2PPGA495 / H-PBGA49515.5
5.0500-
5.5550-
6.060013
6.565014
7.070015
7.575015.8
8.080017.6
8.585018.8
9.090024
1335.573320.6
6.080022
6.5833-
7.086623.3
8.093320.6
저전압 버전
1004.0400mBGA26.5
5.0500-
6.0600-
초저전압 버전
1005.0500mBGA2-
6.0600-
6.5650-


4. 1. 3. 투알라틴-256K (Tualatin-256K)

투알라틴(Tualatin) 코어 기반의 첫 모바일 셀러론이다. 데스크톱 제품과 달리 100MHz 및 133MHz FSB로 제공되었다. 256KB의 L2 캐시를 가지고 있다.[1]

투알라틴-256K는 코어 전압 등을 제외한 대략적인 처리 성능은 데스크톱 버전과 동일하다. 하지만, 코퍼마인-128k와 마찬가지로 SpeedStep(스피드스텝)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1]

  • 공정: 130 nm[1]
  • FSB: 100 - 133 MHz (MT/s)[1]
  • L2 캐시 메모리: 256 KB[1]
  • MMX, SSE[1]
  • 패키지: mFC-BGA, mFC-PGA[1]


투알라틴-256K 사양[1]
FSB & 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GHz)
패키지소켓TDP
(W)
1337.51.00mFC-PGA /
mFC-BGA
PPGA478 /
PBGA478
22
8.01.06PPGA478PBGA47823.2
8.51.1323.8
9.01.2024.4
9.51.2622
10.01.3319
저전압 버전
1006.50.65mFC-BGAH-PBGA47910.6
13350.667-
5.50.73311.2
60.8-
6.50.8669.61
초저전압 버전
1006.50.65mFC-BGAH-PBGA4797
7.00.7
8.00.8
1335.50.733
6.00.8
6.50.866


4. 2. 넷버스트 기반 모바일 셀러론

넷버스트 기반 모바일 셀러론은 노트북에 사용된 제품군이다. 노스우드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256KB의 L2 캐시를 갖추고 있어 데스크톱 제품보다 성능이 뛰어났다.[37] 이들은 펜티엄 M 프로세서 설계를 기반으로 한 셀러론 M 브랜드로 대체되었다.

4. 2. 1. 노스우드-256K (Northwood-256K)

노스우드-256K(Northwood-256K)는 노스우드 기반의 모바일 셀러론이다. 데스크톱용으로 같은 코어를 사용하고 있는 노스우드-128k와 달리, 2차 캐시 메모리가 256KB이다.[37]

모바일 펜티엄 III 기반의 모바일 셀러론과 마찬가지로 스피드스텝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

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GHz)FSB (MHz)TDP (W)
10012.01.240020.8
10014.01.440030
10015.01.540030
10016.01.640030
10017.01.740030
10018.01.840030
10020.02.040032
10022.02.240035
10024.02.440035
10025.02.540035


4. 3. 펜티엄 M 기반 모바일 셀러론

센트리노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용 펜티엄 M 프로세서를 변형한 셀러론 M 프로세서는 2차 캐시와 전력 관리 기술에서 펜티엄 M과 차이를 두어 가격을 낮추었다. 이 셀러론(셀러론 M 브랜드로 판매)은 ''바니아스''(Banias) 펜티엄 M을 기반으로 하며, L2 캐시가 절반이고 클럭 가변 기술인 SpeedStep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펜티엄 M과 다르다. 펜티엄 M에 비해 성능은 괜찮지만, 셀러론 M 기반 노트북의 배터리 수명은 비슷한 펜티엄 M 노트북보다 눈에 띄게 짧다.

셀러론 M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은 칩셋과 Wi-Fi 구성 요소에 관계없이 센트리노 브랜드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Banias 셀러론 M과 펜티엄 M은 패밀리 6, 모델 9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35이다. ''셸턴''(Shelton) 코어는 L2 캐시와 SpeedStep이 없는 ''바니아스'' 코어이다. 이 코어는 아시아 및 남아메리카 시장을 겨냥한 인텔의 소형 폼 팩터 D845GVSH 마더보드에 사용된다. 이 프로세서는 이전 코퍼마인-128(Coppermine-128) 및 튜알라틴(Tualatin) 1.0 GHz 프로세서와 구별하기 위해 "인텔 셀러론 1.0B GHz"로 식별된다.

셸턴'08(Shelton'08)은 2008년 1월 인텔에서 출시한 저가형 노트북을 위한 기본 플랫폼이다. 1.6 GHz 클럭 주파수와 533 MT/s FSB(Front Side Bus), 3.5 W 전력 소비를 가진 인텔 싱글 코어 다이아몬드빌(Diamondville) CPU를 사용한다. 플랫폼 총 전력 소비는 약 8 W로, 배터리 사용 시간은 3~4시간이다. 내장 DirectX 9 그래픽을 포함하고 싱글 채널 DDR2 메모리를 지원하는 945GSE 칩셋으로 구성된다. 802.11g Wi-Fi 모듈, USB/PATA 포트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7~8인치 패널이 일반적으로 플랫폼을 완성한다.

90nm 셀러론 M은 90nm '''도선''' 펜티엄 M의 L2 캐시 절반(130nm 셀러론 M의 L2 캐시의 두 배)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제품과 마찬가지로 SpeedStep을 지원하지 않는다. XD 비트를 지원하는 최초의 셀러론 M은 2005년 1월에 출시되었으며, 그 이후 출시된 모든 셀러론 M은 XD 비트를 지원한다. 초기 ASUS Eee PC 모델에 사용된 512KB 저전압 버전도 있다.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도선 셀러론 M과 펜티엄 M은 패밀리 6, 모델 13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36이다.

셀러론 M 400 시리즈는 싱글 코어 '''요나''' 칩 기반 65nm 셀러론 M으로, 코어 솔로와 유사하다. 이전 셀러론 M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코어 솔로의 L2 캐시 절반(1MB)을 가지고 있으며, 스피드스텝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더 높은 프런트 사이드 버스(533MT/s) 및 SSE3 명령어를 포함하여 셀러론 M에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 2006년 9월과 2008년 1월 4일은 많은 ''셀러론 M'' 브랜드 CPU가 단종된 시점이다.[38]

4. 3. 1. 셀러론 M / 바니아스-512K (Banias-512K)

센트리노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용 펜티엄 M 프로세서를 변형한 셀러론 M 프로세서는 2차 캐시 뿐 아니라 전력 관리 기술에서 펜티엄 M과 차이를 두어 가격을 낮추었다. 이 셀러론(셀러론 M 브랜드로 판매)은 ''Banias'' 펜티엄 M을 기반으로 하며, L2 캐시가 절반이고 클럭 가변 기술인 SpeedStep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펜티엄 M과 다르다.[1] 펜티엄 M에 비해 성능은 괜찮지만, 셀러론 M 기반 노트북의 배터리 수명은 비슷한 펜티엄 M 노트북보다 눈에 띄게 짧다.

셀러론 M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은 칩셋과 Wi-Fi 구성 요소에 관계없이 센트리노 브랜드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1]

Celeron M 1.2GHz Banias-512K


노트 PC용 CPU인 Pentium M에 사용된 Banias(바니아스) 코어의 2차 캐시 메모리 용량 중 절반을 비활성화하여 1MB에서 512KB로 줄이고, 절전 제어 기능인 확장판 SpeedStep (EIST)를 생략한 CPU이다.[6] Celeron M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프로세서 넘버 제도가 도입되기 전부터 출시된 600 / 800MHz의 초저전압 버전은 프로세서 넘버 대신 모바일 Celeron 600A MHz / 800A MHz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6]

310, 333에 대해서는 인텔에서 발행한 공식 자료에서도 프로세서 넘버가 없고, 단순하게 동작 주파수로 표기된 경우가 있다.[6]

지원 칩셋은 855GM/855GME/852GM이다.[6]

  • 제조 공정: 130 nm[6]
  • FSB: 400 MHz (MT/s)[6]
  • L2 캐시 메모리: 512 KB[6]
  • MMX, SSE, SSE2[6]
  • 소켓: Socket 479[6]


프로세서
넘버
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GHz)
소켓TDP
(W)
310100121.2Socket 479
온보드
(PGA479)
24.5
320131.3
330141.4
340151.5
초저전압 버전
ULV 600MHz10060.6A온보드
(PGA479)
7
ULV 800MHz80.8A
ULV 33390.9


4. 3. 2. 셀러론 M / 도선-1M (Dothan-1M)

온보드(BGA479)21360141.4350J131.3915GM Express360J141.4370151.5380161.6390171.7온보드(BGA479)ULV 383101.05.5


4. 3. 3. 도선-512K (Dothan-512K)

센트리노 기술을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용 펜티엄 M 프로세서를 변형한 셀러론 M 프로세서는 2차 캐시 뿐 아니라 전력 관리 기술에서 펜티엄 M과 차이를 두어 가격을 낮추었다. 90nm 셀러론 M은 90nm '''도선''' 펜티엄 M의 L2 캐시의 절반(130nm 셀러론 M의 L2 캐시의 두 배)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 제품과 마찬가지로 SpeedStep을 지원하지 않는다. XD 비트를 지원하는 최초의 셀러론 M은 2005년 1월에 출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그 이후에 출시된 모든 셀러론 M은 XD 비트를 지원한다. 초기 ASUS Eee PC 모델에 사용된 512KB 저전압 버전도 있다.

인텔의 "패밀리/모델/스테핑" 체계에서, 도선 셀러론 M과 펜티엄 M은 패밀리 6, 모델 13이며, 인텔 제품 코드는 80536이다. Dothan-1M의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해 2차 캐시 메모리를 1MB에서 512KB로 반으로 줄인 제품이다.

Dothan-512K의 대응 칩셋은 915GM Express/910GML Express이다. 205에는 셀러론 M의 명칭이 붙지 않는다.

프로세서넘버내부배율동작 주파수소켓TDP
205100121.2온보드21
ULV 35390.9Socket 4795
ULV 373101.05.5


4. 3. 4. 요나-512K (Yonah-512K)

Yonah-512K영어는 코어 솔로와 유사한 65nm 요나 칩 기반의 싱글 코어 셀러론 M 400 시리즈이다. 이전 셀러론 M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L2 캐시의 절반(512KB)을 가지고 있으며, 스피드스텝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프론트 사이드 버스는 533MT/s이며, SSE3 명령어를 포함한다.[38]

프로세서번호내부
(MHz)
배수동작 주파수
(GHz)
소켓TDP
(W)
215100101.33온보드
(PBGA479)
27


4. 3. 5. 셀러론 M / 요나-1M (Yonah-1M)

셀러론 M 430 Yonah-1M


65nm 공정으로 제조된 Core Solo의 Yonah(요나) 코어를 채용하고, 2차 캐시 메모리 용량을 절반인 1MB로 줄였으며, 절전 제어 기능인 확장된 SpeedStep (EIST) 및 가상화 기술 (인텔 VT)을 생략한 제품이다.[38]

지원 칩셋은 945GM Express/940GML Express와 ATI RADEON XPRESS 200M이다.

프로세서넘버내부 (MHz)배율동작 주파수 (GHz)소켓TDP (W)
410133111.46소켓 M27
420121.60
430131.73
440141.86소켓 M / 온보드 (PBGA479)
450152.00소켓 M
초저전압 버전
ULV 42313381.06온보드 (PBGA479)5.5
ULV 44391.20


4. 4. 코어 기반 모바일 셀러론

코어 기반 모바일 셀러론은 인텔 코어 2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는 CPU이다.

Merom 기반 셀러론 M 523, M 520, M 530, 530, 540, 550, 560, 570[39]은 65nm 공정의 단일 코어 CPU이다. 533MT/s FSB, 1MB L2 캐시, XD-bit, 인텔 64를 지원하지만, SpeedStep 및 가상화 기술은 지원하지 않는다. 1MB 캐시의 단일 코어 Merom-L과 추가 캐시 및 코어가 비활성화된 4MB L2 캐시의 듀얼 코어 Merom이 사용된다. 셀러론 M 523, M 520, M 530은 소켓 M 기반이며, 셀러론 530부터 570까지는 소켓 P용이다. 2008년 1월 4일, Merom CPU 생산이 중단되었다.[38]

셀러론 573, 575, 585는 코어가 1개이고 L2 캐시가 1MB만 활성화된 Merom-2M 코어를 기반으로 한다. Merom 및 Merom-L 기반 셀러론과 유사하지만 더 빠른 667MT/s FSB를 갖추고 있다. 셀러론 T1xxx 프로세서는 Merom-2M 칩을 기반으로 하며 두 코어가 모두 활성화되어 있다. T1400, T1500은 533MT/s FSB와 512KB L2 캐시를 갖추고 있으며, T1600, T1700은 667MT/s와 1MB L2 캐시를 활성화했지만 더 낮은 클럭 주파수로 제공된다.

Penryn-3M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최초의 45nm 셀러론 프로세서는 800 MT/s FSB, 1MB L2 캐시, 단일 코어를 활성화했다. 여기에는 1.2GHz부터 시작하는 셀러론 M 7xx 소비자용 초저전압 (CULV) 시리즈와 이후의 셀러론 900(2.2GHz)이 포함된다.

2009년 6월에 출시된 45nm 듀얼 코어 셀러론 프로세서는 Penryn-3M을 기반으로 한다. 셀러론 T3000(1.8GHz) 및 T3100(1.9GHz)은 1MB의 L2 캐시와 800MT/s FSB를 갖추고 있다. 2009년 9월, 1MB L2 캐시를 갖춘 듀얼 코어 CULV 셀러론 SU2000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4. 4. 1. 메롬-1M / 2M / L (Merom-1M / 2M / L)

온보드 (PBGA479)27540141.86Socket P30550152.00Socket P
온보드 (PBGA479)31560162.13Socket P570172.26



Merom-2M, XD bit 지원
상품명프로세서 넘버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GHz)FSB (MHz)L2 캐시 메모리 (MB)소켓TDP (W)
셀러론575166122.006671Socket P31
585132.16



Merom-L 초저전압 버전
상품명프로세서 넘버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GHz)FSB (MHz)L2 캐시 메모리 (MB)소켓TDP (W)
Celeron MULV 52313370.9335331Socket M5.5
셀러론ULV 5737.51.000.5온보드 (PBGA479)10



이 제품군의 T1400과 코어 솔로는 프로세서 번호가 중복되지만, 해당 제품은 소켓 M을 지원하는 싱글 코어이며, 요나를 기반으로 한 다른 제품이므로 구매 시 주의가 필요하다.



셀러론 T
프로세서 번호내부 (MHz)배수동작 주파수 (GHz)코어 수
(스레드 수)
FSB (MHz)L2 캐시 메모리 (MB)소켓TDP (W)출시 시기
T1400133131.732 (2)5330.5소켓 P352008년 7월
T1500141.87
T1600166101.6666712008년 12월
T1700111.83


4. 4. 2. 펜린-L (Penryn-L)

온보드 (BGA479)35T31001.92Socket P
온보드 (BGA479)35T33002.02Socket P
온보드 (BGA479)35T35002.12Socket P35초저전압 버전SU23001.22온보드 (BGA 956)10


5. 듀얼 프로세서 지원

셀러론은 보급형 프로세서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CPU 소켓을 사용하는 듀얼 프로세서 구성을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CPU 코어의 핀을 프로세서 카드 커넥터의 접점에 연결하여 슬롯 1 셀러론 프로세서에서 멀티 프로세싱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40] 또한, 멘도치노 소켓 370 프로세서는 특정 듀얼 슬롯 1 마더보드에서 슬롯 어댑터를 사용하여 멀티 프로세싱을 사용할 수 있다.

비공식적인 SMP 지원은 코퍼마인 셀러론에서 제거되었으며, 듀얼 소켓 지원은 현재 고급형 제온 서버급 프로세서로 제한된다. 콘로/앨런데일 기반 셀러론 프로세서 이후 모델은 멀티 코어 칩을 사용하여 멀티 프로세싱을 지원하지만, 여전히 하나의 소켓으로 제한된다.

ABIT BP6 마더보드는 CPU나 마더보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두 개의 멘도치노 소켓 370 셀러론 프로세서가 대칭형 멀티 프로세싱(SMP) 구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l Processor will replace Pentium and Celeron in 2023 laptops https://www.theverge[...] 2022-09-16
[2] 뉴스 The New Generation Is Here: Celeron 2.0 GHz, with 0.13 µm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Guide 2002-10-16
[3] 뉴스 CPU Performance from Socket 7 to Slot 1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Guide 1998-04-16
[4] 뉴스 Lexicon puts names on new technology 1998-04-15
[5] 간행물 Microprocessors have PCs humming http://www.eetimes.c[...] 1998-05-27
[6] 웹사이트 Say No to Celeron http://www.zisman.ca[...] 1998-06-01
[7] 뉴스 Big CPU Shoot Out: Intel Launches New Celeron with Mendocino Core and Pentium II 450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Guide 1998-08-24
[8] 웹사이트 How to Get All 66 MHz Slot 1 CPUs Running 100 MHz http://www.tomshardw[...]
[9] 뉴스 Buses: Front-side and backside http://www.itworld.c[...] ITworld.com 2001-04-30
[10] 뉴스 Intel launches Celerons with SIMD instruction-set extensions http://www.my-esm.co[...] My-ESM 2000-03-29
[11] 웹사이트 Intel Celeron 600 "Coppermine128" https://www.anandtec[...] 2018-04-04
[12] 웹사이트 Intel Celeron 700 https://www.anandtec[...] 2018-04-04
[13] 뉴스 Intel Celeron 800: The first 100 MHz FSB Celeron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01-01-03
[14] 뉴스 Intel's Celeron reaches 1.2 GHz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1-10-02
[15] 뉴스 Intel's Celeron gets major power boost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1-12-07
[16] 뉴스 Intel launches Celeron 1.3 GHz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2-01-04
[17] 뉴스 Intel launches Celeron with new core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2-05-16
[18] 문서 download.intel.com/support/processors/celeron/sb/29859604.pdf
[19] 웹사이트 Data Prefetch Logic - What is it Worth? https://www.realworl[...] 2018-04-04
[20] 뉴스 Intel vs. AMD: Celeron 1300 vs. Duron 1200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Guide 2002-01-03
[21] 뉴스 Good Old Newbie: Intel's 1.7 GHz Celeron for Socket 478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Guide 2002-05-15
[22] 뉴스 Intel pushes Celerons to 1.8 GHz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2-06-13
[23] 웹사이트 Intel Pentium 4 Celeron processor (Willamette-128) http://www.chiplist.[...]
[24] 뉴스 Intel plans faster 0.13-micron Celeron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2-06-17
[25] 뉴스 Intel launches new Celeron, updates prices http://www.infosatel[...] Infosatellite.com 2002-09-19
[26] 뉴스 Intel Officially Launched Celeron D Processors. http://www.xbitlabs.[...] X-bit labs 2004-06-25
[27] 뉴스 Intel Celeron D: New, Improved & Exceeds Expectations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04-06-24
[28] 뉴스 Celeron D: the Little Processor that Could http://www.devhardwa[...] Dev Hardware 2005-04-18
[29] 뉴스 Intel Celeron D: New, Improved & Exceeds Expectations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04-06-24
[30] 뉴스 Intel Celeron D CPU: Budget Processors from Intel Acquire Prescott Core http://www.xbitlabs.[...] X-bit labs 2004-06-25
[31] 뉴스 65 nm Celeron Ds coming May 28 http://techreport.co[...] The Tech Report 2006-05-16
[32] 뉴스 Intel "Conroe-L" Details Unveiled http://www.dailytech[...] 2006-09-20
[33] 뉴스 Intel Adds Cheapest Celeron 420 In June http://www.vr-zone.c[...] 2007-02-13
[34] 뉴스 Pentium Dual-Core E1000, Celeron 400, P35 und G33 starten offiziell http://www.heise.de/[...] 2007-06-05
[35] 뉴스 Intel Preps Dual-Core Celeron Processors http://www.xbitlabs.[...] 2007-10-11
[36] 웹사이트 ARK – Intel® Celeron® Processor G1101 (2M Cache, 2.26 GHz) http://ark.intel.com[...]
[37] 뉴스 New Mobile Celeron on Northwood-256 Core http://www.xbitlabs.[...] X-bit labs 2007-03-13
[38] 웹사이트 Intel to discontinue older Centrino CPUs in Q1 08 http://www.tgdaily.c[...] 2007-10-01
[39] 웹사이트 Intel® Celeron® Processor http://ark.intel.com[...]
[40] 웹사이트 The Dual Celeron System http://kikumaru.w-w.[...] 2009-11-01
[41] 웹사이트 Intel、低価格PC用のCPU名称を「Celeron」と発表 https://pc.watch.imp[...] PC Watch 2012-08-30
[42] 웹사이트 後藤弘茂のWeekly海外ニュース もう1つの超低消費電力CPU「Silverthorne」 https://pc.watch.imp[...] Impress Watch 2015-09-13
[43] 웹사이트 小型化への道筋が見えたUMPC https://pc.watch.imp[...] Impress Watch 2015-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