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멀티 코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멀티 코어는 동일한 다이에 여러 개의 독립적인 프로세서 코어를 통합한 중앙 처리 장치(CPU)를 지칭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 시스템 온 칩(SoC)에도 적용될 수 있다. 1960년대 메인프레임에서 시작하여 슈퍼컴퓨터, 개인용 컴퓨터로 발전했으며, 제조 기술 발전에 따라 성능 향상과 전력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동종 및 이종 아키텍처로 구분되며, 전력 관리, 메모리 병목 현상 해소, 수율 향상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린 분류 - MIMD
    MIMD는 여러 프로세서가 각기 다른 명령어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병렬 컴퓨팅 구조로, 공유 메모리 및 분산 메모리 모델로 나뉘며, 높은 병렬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프로그래밍 복잡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플린 분류 - 폰 노이만 구조
    폰 노이만 구조는 CPU, 주소 지정 메모리, 버스를 핵심 요소로 하는 컴퓨터 아키텍처로,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통해 명령어와 데이터를 동일한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 컴퓨터 구조 - PA-RISC
    PA-RISC는 휴렛 팩커드에서 개발한 RISC 기반 명령어 집합 아키텍처로, HP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에 사용되었으며 대용량 L1 캐시와 SIMD 명령어 확장 등의 특징을 가졌으나 아이테니엄 아키텍처로의 전환으로 단종되었다.
  • 컴퓨터 구조 -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는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으로, 여러 프로세스의 원활한 실행을 위해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관리하며, 릴로케이션, 보호, 공유, 가상 메모리 관리, 자동/수동 메모리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디지털 신호 처리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 디지털 신호 처리 - 디랙 델타 함수
    디랙 델타 함수는 원점에서 무한대 값을 갖고 그 외 지점에서 0의 값을 갖는 수학적 개념으로, 분포 또는 측도로 정의되며, 순간적인 충격이나 점 형태 현상 모델링에 활용되고 푸리에 변환, 스케일링, 평행 이동 등의 성질을 가진다.
멀티 코어
개요
듀얼 코어 CPU의 다이어그램. 두 개의 코어가 단일 칩에 있음
듀얼 코어 CPU의 다이어그램. 두 개의 코어가 단일 칩에 있음
유형마이크로프로세서
코어 수2개 이상
역사 및 배경
개발 배경전력 소비 및 열 발산 문제 해결
기존 단일 코어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 한계 극복
구조 및 작동 원리
핵심 구성 요소여러 개의 처리 코어
캐시 메모리 (공유 또는 분리)
인터커넥트 (코어 간 통신)
작동 방식병렬 처리: 여러 코어가 동시에 다른 작업을 수행하여 전체 처리량 향상
작업 분할: 단일 작업을 여러 코어에 분할하여 처리 시간 단축
장점 및 단점
장점향상된 성능: 병렬 처리를 통해 작업 처리 속도 향상
에너지 효율성: 코어별 전력 관리로 전체 시스템의 전력 소비 감소
멀티태스킹: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원활하게 실행 가능
단점프로그래밍 복잡성: 병렬 프로그래밍 기술 필요
소프트웨어 호환성: 기존 소프트웨어의 성능 향상 제한적
자원 관리: 코어 간 자원 경쟁 및 관리 오버헤드 발생 가능성
기술적 고려 사항
병렬 프로그래밍작업 분할 및 동기화
데이터 일관성 유지
교착 상태 및 경쟁 조건 방지
캐시 관리캐시 일관성 프로토콜
데이터 공유 및 동기화
캐시 미스 최소화
스케줄링작업 우선순위 설정
코어 할당
부하 균등화
활용 분야
서버 및 데이터 센터고성능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베이스 관리
개인용 컴퓨터게임
멀티미디어 편집
일반 사무 작업
모바일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임베디드 시스템자동차
가전 제품
산업 자동화
예시
일반적인 멀티 코어 프로세서듀얼 코어
쿼드 코어
헥사 코어 (Intel Coffee Lake)
옥타 코어
데카 코어
도데카 코어
헥사데카 코어
고성능 프로세서Sunway TaihuLight (중화인민공화국)
프로그래밍 모델
종류OpenMP
MPI
Ompss
추가 정보
관련 용어병렬 처리
동시성
스레드
프로세스
캐시 메모리
인터커넥트

2. 용어


  • '''다이'''(실리콘 웨이퍼 위에 반도체 회로를 만들고 사각형으로 잘라낸 것. 베어 칩 또는 펠렛이라고도 함)[9]
  • '''코어'''(프로세서 다이에 생성되는 프로세서 회로의 핵심 부분으로, 캐시 메모리를 제외한 반도체 회로 부분. 단, 다른 코어와 공유하지 않는 코어 전용 캐시 메모리는 코어에 포함)[10]
  • '''서브스트레이트'''(다이를 얹어 외부 연결 핀 등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디지털 반도체의 주요 구성 부재)
  • ''''''(반도체 부품을 의미하며, 다이 또는 펠렛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음)
  • '''멀티칩 모듈'''(동일한 패키지 내의 별도 마이크로프로세서 다이를 지칭)

3. 역사

1999년, IBM은 상용 서버용 프로세서로 듀얼 코어 POWER4를 발표하며 CPU의 멀티 코어화를 주도했다. 2004년 5월에는 인텔이 기존 펜티엄 4의 고속판인 싱글 코어 CPU 개발 코드 "Tejas"의 개발 중단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같은 시기에 AMD(Advanced Micro Devices)도 자사의 계획에서 차세대 K9·K10 등 시리즈 이후 고속판 CPU 개발을 모두 중단했다. AMD는 K8 시리즈를 멀티 코어화하는 방향으로 제품을 강화하여 K10으로 발전시켰다.

2005년에 AMD는 소비 전력을 억제하고 멀티 코어화를 예상한 K8 아키텍처를 설계하여 듀얼 코어 제품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제품명은 Dual-Core Opteron애슬론 64 X2(나중에 Athlon X2로 개칭)이다. 인텔은 멀티 코어 CPU의 시장 투입 지연을 만회하기 위해 2개의 CPU 다이(die)를 하나의 패키지에 봉입한 멀티 코어 멀티 다이 형식을 취해 멀티 코어 칩을 빠르게 출시했다. 제품명으로는 펜티엄 D 등이 있다. 이후 AMD는 설계가 단순한 멀티 다이 방식의 Opteron 칩을 출시한 반면, 인텔은 CPU 코어 모듈화, 링 버스 도입 등으로 멀티 다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같은 해 썬 마이크로시스템즈(Sun Microsystems)는 서버용 프로세서 UltraSPARC T1으로 8코어를 실현했다.

이 외에 Power Architecture 계열에서는 2006년 출시된 Cell이 8코어[71], 2010년 출시된 POWER7이 8코어이다.

3. 1. 멀티프로세서

1960년대 UNIVAC 1108[50], IBM의 System/360(:en:IBM System/360 Model 65, :en:IBM System/360 Model 67) 등 메인프레임에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이 등장했다. 후지쯔히타치의 FACOM FACOM230-60(1968년)[51][52], HITAC HITAC 8800/8700(1970년・1971년)[53][54], 일본전기도시바의 TOSBAC-5600(1970년)[55][56]과 이를 계승한 ACOS 시리즈 77 시스템 600, 700[57](1974년, ACOS-6계)부터 멀티프로세서화했다.

1980년대 이후 크레이의 슈퍼컴퓨터 Cray X-MP(1982년), 일본전기의 SX 시리즈 SX-3(1989년, NEC SX#SX-3)[58][59], 후지쯔 VPP 시리즈(1992년~)[60][61], 히타치 HITAC S-3000 시리즈(1992년, :en:HITAC S-3000)[62][63] 등 슈퍼컴퓨터에서도 멀티프로세서화가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개별 부품으로 구현되었으나, 점차 IC화, LSI화를 거쳐 1칩에 멀티코어가 집적되는 형태로 발전했다.

3. 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병렬 사용

1970년대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탄생하여 대량 생산되면서, 그 비용 효율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여러 개를 묶어 사용하는 아이디어가 생겨났다. 1977년에 시작된 PACS 프로젝트에서는 처음부터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에서 CPU로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다수 병렬로 사용했다. 컴퓨터 그래픽스용 전용 계산기인 1982년의 LINKS-1도 그러한 시스템이었다[64]. (발전형인 LINKS-2에서는 커스텀 칩으로 구현되었다[65]. 참고: Personal LINKS#역사). 퍼스널 컴퓨터가 보급되면서, 그 확장 카드에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병렬 처리에 이용하는 확장 카드가 등장했으며, 1995년에는 그 자작을 안내하는 『만드는 병렬 처리 컴퓨터 PC-9800 시리즈에서 시작』이라는 서적이 출판되었다[66].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은 모두 기존의 OS를 병렬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거나,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소스 코드의 작은 수정으로 이용할 수 있는 등 기존 시스템과는 연속성이 없는 시스템이다.

3. 3. PC 아키텍처에서의 멀티프로세서화

x86 아키텍처에서 대칭형 멀티프로세싱(SMP)을 지원하려면 APIC가 필요했다. APIC는 486 이후부터 지원되었으며,[67] 1990년대 중반에 출시된 P54C(펜티엄) 코어부터 내장되었다.[68]

P54C 코어 이후의 프로세서를 채용한 서버용 PC 유사 제품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듀얼 소켓, 쿼드 소켓 마더보드가 등장했다.[70] 이러한 마더보드에 듀얼 코어 펜티엄 D(2005년) 등을 장착하여 2x2=4, 2x4=8과 같은 다수의 멀티코어 환경이 가능해졌다.

4. 발전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발열 및 데이터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면서, CPU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멀티 코어 아키텍처가 개발되었다.[76] 집적 회로(IC)의 면적을 줄이거나 동일 면적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상업적 동기도 작용했다.[11][12]

2000년대 초, 1GHz를 넘는 CPU 클럭이 일반화되면서 클럭 속도 향상 속도가 둔화되었다. 1GHz의 1사이클 시간 내에서는 빛의 속도로도 30cm밖에 전파되지 못하는 물리 법칙의 벽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멀티 코어 프로세서 형태의 병렬 컴퓨팅 사용이 증가했다. 데나드 법칙 붕괴와 싱글 코어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 한계도 멀티 코어 개발의 배경이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 집적 회로로, 전력 요청과 비효율적인 하드웨어 증대를 줄이는 방법이다.[76] 여러 CPU 코어가 동일 다이에 있으면 캐시 일관성 회로가 더 높은 클럭 속도로 작동하여 캐시 스누핑 성능이 향상된다.

멀티 코어 CPU 설계는 멀티 칩 SMP 설계보다 인쇄 회로 기판 (PCB)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듀얼 코어 프로세서는 두 개의 싱글 코어 프로세서보다 전력을 약간 덜 사용한다. 또한 코어는 L2 캐시 및 프론트 사이드 버스 (F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부 회로를 공유한다.

멀티 코어 칩은 낮은 에너지로 높은 성능을 제공하여 배터리 작동 모바일 장치에 유리하지만, 병렬 코드 작성의 추가 오버헤드가 있다.[14] 프로세서 개발 트렌드는 코어 수 증가이며,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코어를 가진 프로세서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15] 처음부터 많은 코어를 위해 설계된 칩은 매니코어 설계라고 한다.

다중 코어 아키텍처에서 코어 구성과 균형은 다양하다. 일부는 동일 코어 설계를 사용("동질적")하고, 다른 일부는 다양한 코어를 혼합("이종")한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단점


4. 1. 개발 배경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발열 및 데이터 동기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CPU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멀티 코어 아키텍처가 개발되었다.[76]

집적 회로(IC)의 면적을 줄이거나 동일 면적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기능성을 증가시키는 등, 상업적 동기도 작용했다.[11][12]

2000년대 초, 1GHz를 넘는 CPU 클럭이 일반화되면서 클럭 속도 향상 속도가 둔화되었다. 1GHz의 1사이클 시간 내에서는 빛의 속도로도 30cm밖에 전파되지 못하는 물리 법칙의 벽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멀티 코어 프로세서 형태의 병렬 컴퓨팅 사용이 증가했다.

데나드 법칙 붕괴도 멀티 코어 개발의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프로세서의 집적도가 높아져도 전력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데나드 법칙이 2006년경 붕괴되면서, 전력 소비 및 발열 문제가 심각해졌다.

싱글 코어 프로세서의 성능 향상이 한계에 도달한 것도 멀티 코어 개발의 배경이다. 슈퍼스칼라, 추측 실행, VLIW, 아웃 오브 오더 실행 등 기존의 고속 처리 기술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고, 고성능 단일 코어 프로세서를 유지하기 위한 단일 명령 스트림의 병렬성을 찾는 것(ILP 벽)은 점점 어려워졌다. 또한, 프로세서와 메모리 속도 간의 격차가 커지는 현상(메모리 벽)도 발생했다.[13]

4. 2.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등장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 집적 회로로, 전력 요청과 비효율적인 하드웨어 증대를 줄이는 방법이다. 과거에는 클럭 주파수를 높여 프로세서 속도를 향상시켰지만, 이는 높은 열과 전력 소모를 유발했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더 낮은 클럭의 여러 프로세서를 하나의 칩에 결합하여, 전력 효율을 높이고 발열을 줄인다.[76]

이 기술은 여러 CPU 코어를 하나의 다이에 집적할 때, 공정 규칙을 바꾸지 않으면 코어 수에 비례하여 다이가 커져 제조 불량률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운영 체제나 미들웨어 등이 병렬 처리를 지원하면 소프트웨어 개발이 쉬워질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소비 전력, 발열, 소음 증가의 제약과 클럭 주파수 향상에 따른 효과 감소로 인해 멀티 코어 기술을 사용하게 되었다. 멀티 코어는 코어마다 동작 전압이나 클럭 속도를 제어하여 소비 전력과 발열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 멀티스레딩(SMT, 예: 인텔의 하이퍼스레딩)은 하나의 CPU를 외부에서 여러 개처럼 보이게 하지만, 실제 코어는 하나라는 점에서 멀티 코어와 다르다.

제조 기술 발전으로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물리적 한계가 중요해지면서, CPU 성능 향상을 위해 명령어 수준 병렬 처리 (ILP) 및 스레드 수준 병렬 처리 (TLP) 방식이 사용된다. 멀티 코어 CPU는 증가된 TLP 요구와 가용 공간 증가로 인해 개발되었다.

여러 CPU 코어가 동일 다이에 있으면 캐시 일관성 회로가 더 높은 클럭 속도로 작동하여 캐시 스누핑 성능이 향상된다. 이는 신호가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 열화가 덜 되기 때문이다.

멀티 코어 CPU 설계는 멀티 칩 SMP 설계보다 인쇄 회로 기판 (PCB)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듀얼 코어 프로세서는 두 개의 싱글 코어 프로세서보다 전력을 약간 덜 사용한다. 또한 코어는 L2 캐시 및 프론트 사이드 버스 (FSB) 인터페이스와 같은 일부 회로를 공유한다. 멀티 코어 설계는 검증된 CPU 코어 라이브러리 설계를 활용하여 설계 오류 위험이 낮고, 캐시 추가는 수확 체감의 영향을 받는다.

멀티 코어 칩은 낮은 에너지로 높은 성능을 제공하여 배터리 작동 모바일 장치에 유리하다. 그러나 병렬 코드 작성의 추가 오버헤드가 있다.[14]

멀티 코어 프로세서 활용을 극대화하려면 운영 체제 (OS) 지원과 응용 소프트웨어 조정이 필요하며, 응용 프로그램 내 여러 스레드 사용이 중요하다.

멀티 코어 칩 통합은 칩 생산 수율을 낮추고 열 관리가 어렵다. 인텔은 쿼드 코어 설계를 위해 통합 캐시를 가진 단일 다이에 두 개의 듀얼 코어 디자인을 결합하여 이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했다. 아키텍처 관점에서 단일 CPU 설계가 실리콘 표면적을 더 잘 활용할 수 있지만, 이는 구식이 될 위험이 있다. 동일 시스템 버스와 메모리 대역폭을 공유하는 두 처리 코어는 성능 이점을 제한한다.

프로세서 개발 트렌드는 코어 수 증가이며,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코어를 가진 프로세서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15] 동시 멀티스레딩, 온칩 메모리, 특수 목적 "이종" 코어가 혼합된 멀티 코어 칩은 성능 및 효율성 향상을 약속한다. big.LITTLE 코어는 고성능 코어와 저전력 코어를 포함한다. 전력 효율성 개선을 위해 고급 전력 관리, 동적 전압주파수 스케일링에 중점을 둔다.

처음부터 많은 코어를 위해 설계된 칩은 매니코어 설계라고 한다.

다중 코어 아키텍처에서 코어 구성과 균형은 다양하다. 일부는 동일 코어 설계를 사용("동질적")하고, 다른 일부는 다양한 코어를 혼합("이종")한다.

여러 코어를 구현하고 통합하는 방식은 개발자의 프로그래밍과 소비자의 기대에 영향을 미친다.[16] 옥타 코어로 광고된 장치는 독립적인 코어를 갖는 경우 "트루 옥타 코어" 등으로 광고된다.[17][18]

Rick Merritt의 EE Times 2008년 기사 "CPU 설계자, 다중 코어 미래에 대한 논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9]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는 "프로세서당" 부여될 수 있는데, "프로세서" 구성의 모호성으로 논쟁이 발생한다.

  • 마이크로소프트는 일부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에 소켓당 라이선스를 사용하다가, 비즈토크 서버 2013, SQL Server 2014, 윈도우 서버 2016 등 일부 소프트웨어에 대해 코어당 라이선스로 전환했다.[22]
  • 오라클(Oracle Corporation)은 AMD X2 또는 인텔 듀얼 코어 CPU를 단일 프로세서로 간주하지만, 다른 유형에는 다른 측정 기준을 사용한다.[23]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단점


5. 종류

IBM,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도시바 3사가 공동 개발하여 플레이스테이션 3에 탑재된 Cell 프로세서처럼, 동일한 종류의 코어를 여러 개 구현하는 "동종(Homogeneous) 멀티 코어"와 서로 다른 종류의 코어를 구현하는 "이종 멀티코어"가 존재한다.[72]


  • 동종 (Homogeneous) 멀티 코어: 동일한 종류의 코어를 여러 개 구현하는 방식이다. Xbox 360의 프로세서는 대칭형 멀티코어라고 불리는 3코어 프로세서로, 구조상 동종 멀티 코어에 속한다. 동시 멀티스레딩 (SMT)을 지원하며, 최대 6개의 하드웨어 스레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 이종 (Heterogeneous) 멀티 코어: 서로 다른 종류의 코어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 Cell 프로세서는 1개의 범용 프로세서 코어와 스트리밍 처리에 특화된 8개의 단순한 프로세서 코어를 조합하였다.
  • 미국 AMD사는 Fusion 프로젝트를 통해 그래픽 처리 장치 (Graphics Processing Unit, GPU)와 범용 프로세서를 동일한 다이에 집적한 CPU 제품 (AMD 가속 처리 장치, APU)를 출시했다.[72]
  • ARM 아키텍처의 big.LITTLE처럼, 명령어 집합 형식이 같은 코어를 조합한 프로세서 중, 처리 능력(동작 클럭 주파수)이 높은 코어와 처리 능력이 낮은 코어를 조합한 프로세서도, 트랜지스터 수나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한 저비용 멀티코어로 간주된다. 동일한 명령어 집합이라는 관점에서는 동종이지만, 처리 능력 측면에서는 동일하지 않으므로 이종으로 분류된다. 이종 CPU 토폴로지(heterogeneous CPU topologies)라고도 불린다.[72]

6. 기술

이 기술은 여러 개의 CPU 코어를 하나의 다이에 집적할 때, 공정 미세화 없이는 CPU 코어 수에 비례하여 다이 크기가 커진다. 면적이 늘면 제조 불량률도 높아지기에 제조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병렬 연산에 맞는 프로그래밍이 필요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려워지지만, 운영체제나 미들웨어 등이 병렬 처리를 지원하면 소프트웨어 개발이 쉬워지기도 한다. 멀티 프로세서와 호환되는 프로세서의 멀티 코어 개발은 비교적 간단하다.

개인용 컴퓨터소비 전력, 발열, 소음 증가의 제약과 클럭 주파수 향상의 효과 감소로 인해 멀티 코어 기술을 사용한다. 멀티 코어는 소비 전력과 발열을 낮추기 위해 코어마다 동작 전압이나 클럭 속도를 제어하며 유휴 상태를 포함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품도 있다.

동시 멀티스레딩(SMT)은 하나의 CPU를 외부에서 2개처럼 보이게 하지만, 실제 코어는 하나이므로 멀티 코어 기술과 다르다. (예: 인텔의 하이퍼스레딩)

6. 1. 전력 관리

멀티 코어화의 목적 중 하나는 저전력화이다. 멀티 코어에만 국한되지 않지만, 많은 범용 프로세서와 전용 프로세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코어의 클럭을 정지시키는 '''클럭 게이팅''', 기능 블록별로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누설 전류 자체를 없애는 '''파워 게이팅'''이 갖춰져 있다.[76]

범용 프로세서 중에는 다른 코어를 정지하는 대신 하나의 코어만 공급 전압과 클럭을 높여 싱글 코어에서의 처리 성능을 높이는 기술도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기능 블록별로 임계 전압 값을 변경하여 동작 속도를 변경하는 것은 "멀티 Vth"라고 불린다. 멀티 코어에서는 기능 블록별로만 가능했던 싱글 코어 제품보다 더 발전된 전압주파수 스케일링을 통한 전력과 처리 성능 간의 최적화 기능이 탑재된다.

6. 2. 메모리 병목 현상 해소

DRAM 컨트롤러를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통합하고, 액세스 신호선을 고속화하여 주 기억 장치로의 대역폭을 넓히는 방법이 사용될 예정이다.

; 캐시 시스템 고도화

: 주 기억 장치인 DRAM과 프로세서 간의 속도 차이는 멀티 코어 채택으로 더 커지므로, 싱글 코어보다 캐시 시스템을 통한 메모리 대역폭 확보가 중요해진다.

: 프리페치 노력을 줄여서 얻는 트랜지스터 감소는 각 프로세서 코어를 작게 만들어, 공정 미세화 혜택과 함께 여러 프로세서 코어를 하나의 다이에 탑재해도 충분한 로컬 캐시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 각 코어마다 로컬 캐시를 갖는 것은 액세스 속도에 유리하지만, 캐시 일관성을 위한 스누프 기구가 복잡해진다.[73] 3단계 캐시 계층 간 최적 조절 기구를 위해, 빠르고 복잡한 회로가 다이 위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 캐시 컨트롤러는 전력을 많이 소비하지만, 주 기억 장치 액세스를 줄여 전체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6. 3. 잉여 구성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의 Cell 프로세서는 8개의 코어 상당의 SPE 중 7개만 실제로 유효화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1개의 SPE가 동작 불량인 양산 다이 중에서도 출하가 가능해져 수율이 향상된다.[1] 미국 인텔사에서 장래 출하 예정인 Nehalem에서도 캐시 메모리의 잉여화뿐만 아니라 불량 코어를 무효화하는 기능이 탑재될 것이라고 공표되었다.[1]

7. 하드웨어 예시


  • Adapteva 에피파니(Epiphany)는 최대 4096개의 프로세서를 칩에 탑재할 수 있는 다중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처이지만, 16코어 버전만 상업적으로 생산되었다.
  • Aeroflex Gaisler의 LEON3는 다중 코어 SPARC이며, 결함 허용 버전으로도 존재한다.
  • Ageia의 PhysX는 다중 코어 물리 처리 장치이다.
  • Ambric의 Am2045는 336코어의 대규모 병렬 프로세서 어레이(MPPA)이다.
  • AMD
  • A 시리즈는 듀얼, 트리플 및 쿼드 코어의 가속 처리 장치(APU)이다.
  • Athlon 64 FX 및 Athlon 64 X2는 싱글 및 듀얼 코어 데스크톱 프로세서이다.
  • Athlon II는 듀얼, 트리플 및 쿼드 코어 데스크톱 프로세서이다.
  • FX 시리즈는 쿼드, 6코어 및 8코어 데스크톱 프로세서이다.
  • Opteron은 싱글, 듀얼, 쿼드, 6, 8, 12 및 16코어 서버/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이다.
  • Phenom은 듀얼, 트리플 및 쿼드 코어 프로세서이다.
  • Phenom II는 듀얼, 트리플, 쿼드 및 6코어 데스크톱 프로세서이다.
  • Sempron은 싱글, 듀얼 및 쿼드 코어의 보급형 프로세서이다.[25]
  • Turion은 싱글 및 듀얼 코어 노트북 프로세서이다.
  • Ryzen은 듀얼, 쿼드, 6, 8, 12, 16, 24, 32 및 64코어 데스크톱, 모바일 및 임베디드 플랫폼 프로세서이다.
  • Epyc은 쿼드, 8, 12, 16, 24, 32 및 64코어 서버 및 임베디드 프로세서이다.
  • Radeon 및 FireStream GPU/GPGPU이다.
  • Analog Devices의 Blackfin BF561은 대칭형 듀얼 코어 프로세서이다.
  • ARM MPCore는 고성능 임베디드 및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RM11 MPCore 및 ARM Cortex-A9 MPCore 프로세서 코어를 위한 완전히 합성 가능한 다중 코어 컨테이너이다.
  • ASOCS ModemX는 최대 128코어, 무선 애플리케이션용이다.
  • Azul Systems
  • Vega 1은 2005년에 출시된 24코어 프로세서이다.
  • Vega 2는 2006년에 출시된 48코어 프로세서이다.
  • Vega 3은 2008년에 출시된 54코어 프로세서이다.
  • Broadcom
  • SiByte SB1250, SB1255, SB1455
  • BCM2836, BCM2837, BCM2710 및 BCM2711은 쿼드 코어 ARM SoC(다양한 Raspberry Pi 모델용으로 설계됨)
  • Cadence Design Systems의 Tensilica Xtensa LX6는 Espressif Systems의 ESP32에서 듀얼 코어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 ClearSpeed
  • CSX700은 2008년에 출시된 192코어 프로세서이다(32/64비트 부동 소수점; 정수 ALU).
  • Cradle Technologies CT3400 및 CT3600은 모두 다중 코어 DSP이다.
  • Cavium Networks Octeon은 32코어 MIPS MPU이다.
  • [http://www.coherentlogix.com/ Coherent Logix] [http://www.coherentlogix.com/products/hyperx-processors/ hx3100 Processor]는 100코어 DSP/GPP 프로세서이다.
  • Freescale Semiconductor QorIQ 시리즈 프로세서는 최대 8코어, Power ISA MPU이다.
  • Hewlett-Packard의 PA-8800 및 PA-8900은 듀얼 코어 PA-RISC 프로세서이다.
  • IBM
  • POWER4는 2001년에 출시된 듀얼 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5는 2004년에 출시된 듀얼 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6는 2007년에 출시된 듀얼 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7은 2010년에 출시된 4, 6 및 8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8은 2013년에 출시된 12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9는 2017년에 출시된 12 또는 24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10은 2021년에 출시된 15 또는 30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PowerPC 970MP는 Apple Power Mac G5에서 사용된 듀얼 코어 PowerPC 프로세서이다.
  • Xenon은 Microsoft Xbox 360 게임 콘솔에 사용된 트리플 코어, SMT 지원 PowerPC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 z10은 2008년에 출시된 쿼드 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z196은 2010년에 출시된 쿼드 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zEC12는 2012년에 출시된 6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z13은 2015년에 출시된 8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z14는 2017년에 출시된 10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z15는 2019년에 출시된 12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Telum은 2021년에 출시된 8코어 z/Architecture 프로세서이다.
  • Infineon
  • AURIX
  • Danube는 듀얼 코어, MIPS 기반의 home gateway 프로세서이다.
  • Intel
  • Atom은 넷북, 넷탑,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인터넷 장치(MID)를 위한 싱글, 듀얼 코어, 쿼드 코어, 8, 12 및 16코어 프로세서이다.[26]
  • Atom SoC(시스템 온 칩)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용 싱글 코어, 듀얼 코어 및 쿼드 코어 프로세서이다.[27]
  • Celeron은 예산/보급형 시장을 위한 최초의 듀얼 코어(나중에는 쿼드 코어) 프로세서이다.[28][29]
  • Core Duo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이다.[30]
  • Core 2 Duo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이다.[31]
  • Core 2 Quad는 멀티 칩 모듈에 패키징된 2개의 듀얼 코어 다이이다.[32]
  • Core i3, Core i5, Core i7 및 Core i9는 Core 2 Duo 및 Core 2 Quad의 후속 제품인 듀얼, 쿼드, 6, 8, 10, 12, 14, 16 및 18코어 프로세서 제품군이다.[33]
  • Itanium은 싱글, 듀얼 코어, 쿼드 코어 및 8코어 프로세서이다.[34]
  • Pentium은 보급형 시장을 위한 싱글, 듀얼 코어 및 쿼드 코어 프로세서이다.[35]
  • Teraflops Research Chip(Polaris)은 3.16 GHz, 80코어 프로세서 프로토타입으로, 회사는 원래 2011년까지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36]
  • Xeon은 듀얼, 쿼드, 6, 8, 10, 12, 14, 15, 16, 18, 20, 22, 24, 26, 28, 32, 48 및 56코어 프로세서이다.[37][38][39][40][41][42]
  • Xeon Phi는 57, 60, 61, 64, 68 및 72코어 프로세서이다.[43][44]
  • IntellaSys
  • SEAforth 40C18은 40코어 프로세서이다.[45]
  • SEAforth24는 Charles H. Moore가 설계한 24코어 프로세서이다.
  • Kalray
  • MPPA-256은 2012년에 출시된 256코어 프로세서이다(256개의 사용 가능한 VLIW 코어, Network-on-Chip (NoC), 32/64비트 IEEE 754 호환 FPU).
  • NetLogic Microsystems
  • XLP는 32코어, 쿼드 스레드 MIPS64 프로세서이다.
  • XLR은 8코어, 쿼드 스레드 MIPS64 프로세서이다.
  • XLS는 8코어, 쿼드 스레드 MIPS64 프로세서이다.
  • Nvidia
  • RTX 3090 (10496 CUDA 코어, GPGPU 코어;[46] 및 기타 특수 코어).
  • Parallax Propeller P8X32는 8코어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 picoChip PC200 시리즈는 DSP 및 무선용 장치당 200–300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다.
  • Plurality HAL 시리즈는 16-256개의 코어, L1 공유 메모리, 하드웨어 동기화 프로세서로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 Rapport Kilocore KC256은 PowerPC 코어와 256개의 8비트 "처리 요소"를 갖춘 257코어 마이크로컨트롤러이다.
  • Raspberry Pi Ltd. RP2040는 듀얼 ARM Cortex-M0+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 SiCortex "SiCortex 노드"는 단일 칩에 6개의 MIPS64 코어를 가지고 있다.
  • SiFive
  • U74는 4개의 코어를 포함한다.
  • Sony/IBM/Toshiba의 Cell 프로세서는 일반적인 목적의 PowerPC 코어 1개와 Sony PlayStation 3에서 사용되는 벡터 연산에 최적화된 8개의 특수 SPU(Synergistic Processing Unit)를 갖춘 9코어 프로세서이다.
  • Sun Microsystems
  • MAJC 5200은 2코어 VLIW 프로세서이다.
  • UltraSPARC IV 및 UltraSPARC IV+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이다.
  • UltraSPARC T1은 8코어, 32스레드 프로세서이다.
  • UltraSPARC T2는 8코어, 64 동시 스레드 프로세서이다.
  • UltraSPARC T3는 16코어, 128 동시 스레드 프로세서이다.
  • SPARC T4는 8코어, 64 동시 스레드 프로세서이다.
  • SPARC T5는 16코어, 128 동시 스레드 프로세서이다.
  • Sunway
  • Sunway SW26010는 Sunway TaihuLight에서 사용되는 260코어 프로세서이다.
  • Texas Instruments
  • TMS320C80 MVP는 5코어 멀티미디어 비디오 프로세서이다.
  • TMS320TMS320C66은 2, 4, 8코어 DSP이다.
  • Tilera
  • TILE64는 64코어 32비트 프로세서이다.
  • TILE-Gx는 72코어 64비트 프로세서이다.
  • XMOS Software Defined Silicon 쿼드 코어 XS1-G4.
  • 오픈스파크(OpenSPARC)
  • 스탠퍼드 대학교, 4코어 Hydra 프로세서[47]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16코어 [http://groups.csail.mit.edu/cag/raw/ RAW] 프로세서
  •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비동기 단순 프로세서 어레이(AsAP)
  • 36코어 610 MHz AsAP
  • 167코어 1.2 GHz AsAP2
  • 워싱턴 대학교, [http://wavescalar.cs.washington.edu/ Wavescalar] 프로세서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TRIPS 프로세서
  • 린셰핑 대학교, 스웨덴, ePUMA 프로세서
  • UC 데이비스, Kilocore, 32 nm IBM 공정 기반의 1000코어 1.78 GHz 프로세서[48]
  • IBM의 POWER 시리즈( POWER4 이후)
  •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Rock
  • 후지쯔SPARC64 (VI 이후)
  • AMD (x86/x64)의 애슬론 X2, 페놈 II, 옵테론, AMD FX, 라이젠/EPYC ()
  • 인텔 (x86/x64)의 코어 2 듀오/쿼드/익스트림, 코어 i 시리즈, 제온.
  •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는 PC용으로는 싱글 코어였지만, 서버용으로는 듀얼 코어 제품도 있었다.
  •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처를 채용한 코어 2 시리즈에서 PC용으로도 멀티 코어가 도입되었지만, 코어 2 솔로처럼 모바일용으로는 싱글 코어 제품도 있었다.
  • 네할렘 마이크로아키텍처나 샌디 브리지 마이크로아키텍처는 싱글 코어 제품도 있었다. 아이비 브리지 마이크로아키텍처 이후에는 듀얼 코어 이상이 되었다.
  • 인텔 (IA-64)의 아이테니엄 2 (아이테니엄 9000 / 몬테시토 이후)
  • ICT의 Godson-3
  • 애플 M 시리즈
  • 퀄컴(Qualcomm) (ARM)의 스냅드래곤(Snapdragon) (S3 이후)
  • NVIDIA 테그라(NVIDIA Tegra)
  • Apple 실리콘(Apple Silicon)
  • 그래픽 처리 장치(GPU) - NVIDIA GeForce나 AMD Radeon 등에 대표된다. 단순한 연산기(스트림 프로세서)를 묶어, 여러 데이터를 묶어 병렬 처리하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CPU와 비교할 수 없는 초 멀티 코어 구성(수백~수천)을 가지고 있다. 울트라 하이엔드 제품에서는 1만 개가 넘는 코어를 탑재한 것도 있다. 실시간 3D 그래픽스 렌더링이 주된 용도이지만, 범용 처리 (GPGPU)의 각종 API에도 대응하고 있다.
  • 인텔의 제온 파이 - 한때 코드네임 Larrabee로 개발되던 제품의 후속으로 등장한 코프로세서이지만, 라인업 제품은 모두 생산 종료되었다. 코어 수는 최대 72개[75]
  •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의 QFP 네트워크 프로세서 - 40개
  • D. E. Shaw Research의 Anton
  • 톱스 시스템즈(Topsystems)의 TOPSTREAM - 처음부터 멀티 코어용으로 개발된 일본산 프로세서. MPEG-4 및 무선 LAN의 베이스 밴드 처리 칩의 실적 보유.

범용 프로세서에서 멀티 코어가 일반화되기 전부터,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멀티 코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이팟에 탑재된 PortalPlayer 칩은 "ARM7" 코어를 2개 탑재하고 있다.

8. 벤치마크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연구 개발 과정에서는 다양한 옵션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평가를 돕기 위해 벤치마크가 개발된다. 기존 벤치마크로는 이종 시스템을 위한 SPLASH-2, PARSEC, COSMIC 등이 있다.[49]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multi-core processor http://searchdatacen[...] TechTarget 2007-03-27
[2] 웹사이트 Multicore Processors – A Necessity http://www.csa.com/d[...]
[3] 웹사이트 Sunway TaihuLight - Sunway MPP, Sunway SW26010 260C 1.45GHz, Sunway {{!}} TOP500 https://www.top500.o[...] 2020-09-15
[4] 웹사이트 What makes parallel programming hard? http://www.futurechi[...] FutureChips 2011-05-20
[5] 학술지 Ompss: a proposal for programming heterogeneous multi-core architectures 2011
[6] 웹사이트 Definition of dual core https://www.pcmag.co[...] 2023-10-27
[7] 웹사이트 Intel taking its six-core processors mainstream in 2018 with Coffee Lake family https://www.zdnet.co[...] 2023-10-27
[8] 뉴스 Six-core CPUs are now more popular than quad-core chips on Steam https://www.pcgamer.[...] 2022-04-05
[9] 웹사이트 The 2,048-core PEZY-SC2 sets a Green500 record https://fuse.wikichi[...] WikiChip 2017-11
[10] 서적 Programming Many-Core Chip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1-06-10
[11] 웹사이트 Intel Shows 48-core x86 Processor as Single-chip Cloud Computer http://www.pcper.com[...] 2009-12-02
[12] 뉴스 Intel unveils 48-core cloud computing silicon chip http://news.bbc.co.u[...] BBC 2009-12-03
[13] 문서 Patterson, David A. "Future of computer architecture." Berkeley EECS Annual Research Symposium (BEARS), College of Engineering, UC Berkeley, US. 2006.
[14] 웹사이트 Q & A: Do multicores save energy? Not really. http://www.futurechi[...] 2011-05-19
[15] 웹사이트 Intel: Why a 1,000-core chip is feasible https://www.zdnet.co[...] 2015-08-06
[16] 웹사이트 These 5 Myths About the Octa-Core Phones Are Actually True https://www.gizbot.c[...] 2016-08-27
[17] 간행물 MediaTek Launches MT6592 True Octa-Core Mobile Platform https://www.mediatek[...] MediaTek 2013-11-20
[18] 웹사이트 What is an Octa-core processor https://www.samsung.[...] Samsung
[19] 웹사이트 CPU designers debate multi-core future https://www.eetimes.[...] EE Times 2023-10-21
[20] 웹사이트 Multicore Packet Processing Forum http://multicorepack[...]
[21] 학술지 Guided Resource Organisation in Heterogeneous Parallel Computing
[22] 웹사이트 Windows Server 2016 moving to per core, not per socket, licensing https://arstechnica.[...] Condé Nast 2015-12-05
[23] 웹사이트 The Licensing Of Oracle Technology Products http://omtco.eu/refe[...] OMT-CO Operations Management Technology Consulting GmbH 2014-03-04
[24] 웹사이트 6WINDGATE Software: Network Optimization Software – SDN Software – Control Plane Software {{!}} 6WIND http://www.6wind.com[...]
[25] 웹사이트 Sempron™ 3850 APU with Radeon™ R3 Series {{!}} AMD https://www.amd.com/[...] 2019-05-05
[26] 웹사이트 Intel® Atom™ Processor C Series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2019-05-04
[27] 웹사이트 Intel® Atom™ Processor Z Series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2019-05-04
[28] 뉴스 Intel Preps Dual-Core Celeron Processors http://www.xbitlabs.[...] 2007-11-12
[29] 웹사이트 Intel® Celeron® Processor J Series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2019-05-04
[30] 웹사이트 Products formerly Yonah https://ark.intel.co[...] 2019-05-04
[31] 웹사이트 Products formerly Conroe https://ark.intel.co[...] 2019-05-04
[32] 웹사이트 Products formerly Kentsfield https://ark.intel.co[...] 2019-05-04
[33] 웹사이트 Intel® Core™ X-series Processors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2019-05-04
[34] 웹사이트 Intel® Itanium® Processor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2019-05-04
[35] 웹사이트 Intel® Pentium® Processor D Series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2019-05-04
[36] 웹사이트 Intel: 80 Cores by 2011 http://techfreep.com[...] 2006-09-26
[37] 웹사이트 Intel releases 15-core Xeon E7 v2 processor http://techreport.co[...] 2014-02-18
[38] 웹사이트 Intel Xeon Processor E7 v3 Family http://ark.intel.com[...] Intel
[39] 웹사이트 Intel Xeon Processor E7 v2 Family http://ark.intel.com[...] Intel
[40] 웹사이트 Intel Xeon Processor E3 v2 Family http://ark.intel.com[...] Intel
[41] 웹사이트 Intel shows off Xeon Platinum CPU with up to 56 cores and 112 threads https://www.techspot[...] 2019-04-02
[42] 웹사이트 2nd Gen Intel® Xeon® Scalable Processors Brief https://www.intel.co[...]
[43] 웹사이트 Intel® Xeon Phi™ x100 Product Family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44] 웹사이트 Intel® Xeon Phi™ 72x5 Processor Family Product Specifications https://ark.intel.co[...]
[45] 웹사이트 40-core processor with Forth-based IDE tools unveiled https://www.embedded[...] 2008-09-24
[46] 웹사이트 NVIDIA Announces the GeForce RTX 30 Series: Ampere For Gaming, Starting With RTX 3080 & RTX 3090 https://www.anandtec[...]
[47] conference The Stanford Hydra CMP https://old.hotchips[...] 1999
[48] 웹사이트 Meet KiloCore, a 1,000-core processor so efficient it could run on a AA battery http://www.pcworld.c[...] 2016-06-20
[49] 웹사이트 COSMIC:Statistical Multiprocessor Benchmark Suite https://eexu.home.ec[...]
[50] doi 10.1145/1465482.1465493
[51] 문서 FACOM230-60(1968年) : 富士通 https://www.fujitsu.[...] 2024-09-04
[52] 문서 FACOM 230-60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s://museum.ipsj.[...] 2024-09-04
[53] 문서 日立評論1974年1月号:電子計算機および計測 https://www.hitachih[...] 2024-09-04
[54] 문서 HITAC 8800, 8700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s://museum.ipsj.[...] 2024-09-04
[55] 문서 TOSBAC-5600/10, 30, 50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s://museum.ipsj.[...] 2024-09-04
[56] 문서 技術の系統化調査報告「コンピュータ開発史概要と資料保存状況について -第3世代と第3.5世代コンピュータおよびスーパーコンピュータについて-」 https://sts.kahaku.g[...] 2024-09-04
[57] 문서 ACOSシリーズ77 システム600, 700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s://museum.ipsj.[...] 2024-09-04
[58] 문서 SXシリーズ 進化の軌跡 | NEC https://jpn.nec.com/[...] 2024-09-04
[59] 문서 SX-3シリーズ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museum.ipsj.o[...] 2024-09-04
[60] 문서 VPP500(1992年) : 富士通 https://www.fujitsu.[...] 2024-09-04
[61] 문서 FUJITSU VPP500, VX/VPP300/VPP700シリーズ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museum.ipsj.o[...] 2024-09-04
[62] 문서 日立評論1993年5月号:スーパー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動向 https://www.hitachih[...] 2024-09-04
[63] 문서 HITAC S-3000シリーズ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s://museum.ipsj.[...] 2024-09-04
[64] 문서 コンピュータグラフィックスシステムLINKS-1 - コンピュータ博物館 https://museum.ipsj.[...] 2024-09-05
[65] 문서 並列画像生成システムLINKS - 2のアーキテクチャ http://id.nii.ac.jp/[...]
[66] 문서 つくる並列処理コンピュータ - 東京電機大学出版局 https://www.tdupress[...] 2024-09-05
[67] 문서 486SXでも可かどうかはよくわからない。
[68] 문서 デュアルソケット・ザ・ワールド 8086 Multiprocessing Features https://dualsocketwo[...] 2024-09-05
[69] 문서 企画課:特別企画 第2回 PC-98シリーズと CPU:第 5世代 CPU編 http://www.amy.hi-ho[...] 2024-09-05
[70] 문서 企画課:特別企画 第2回 PC-98シリーズと CPU:第 6世代 CPU http://www.amy.hi-ho[...] 2024-09-05
[71] 문서 設計上は9コアが存在するが、うち1コアは[[歩留まり]]向上のための予備であり、出荷前に無効化されている。
[72] 웹사이트 Energy Aware Scheduling — The Linux Kernel documentation https://www.kernel.o[...]
[73] 문서 ローカル・キャッシュを共有し合う機構とは、コアローカルなL2キャッシュとダイ共有のL3キャッシュの関係で、通常はスヌープしてローカルなL2キャッシュ間のコヒーレンシを確保する仕組みである。自分のコアのL2でmissして他のコアのL2にあれば、L3ではなく他のコアのL2をアクセスする仕組みを指す。 2022-11
[74] 뉴스 インテル、メニーコア化への取り組みなど、研究活動に関する説明会を開催 https://news.mynavi.[...] マイコミジャーナル 2005-11-09
[75] 웹사이트 製品仕様 インテル® Xeon Phi™ プロセッサー https://ark.intel.co[...]
[76] 서적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2/E: Managing the Digital Firm, CHAPTER 5, 215P Pearson Education A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