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RAM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DRAM은 1990년대 후반 램버스가 개발한 새로운 메모리 기술로, 1996년 인텔과의 계약을 통해 PC 시장에 도입되었다. RDRAM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목표로 했지만, 높은 가격, 기술적 문제, DDR SDRAM과의 경쟁 심화로 인해 시장에서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닌텐도 64, 플레이스테이션 2 등 비디오 게임 콘솔과 일부 그래픽 칩에 사용되었으나, 2000년대 초반 인텔의 지원 중단과 DDR SDRAM의 발전으로 인해 점차 시장에서 도태되었다. RDRAM 가격 담합 사건은 이 기술의 실패를 더욱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DRAM - DDR SDRAM
DDR SDRAM은 클럭 신호의 상승 및 하강 엣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여 SDRAM의 대역폭을 두 배로 늘리는 메모리 기술로, 삼성전자가 최초로 상용화한 후 JEDEC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DDR2, DDR3, DDR4, DDR5 등으로 발전하며 성능이 향상되었다. - SDRAM - XDR DRAM
옥탈 데이터 속도 기술로 클럭당 8비트를 전송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XDR DRAM은 DRSL 기술을 통해 저전력과 고성능을 달성하고 8뱅크 메모리, 점대점 연결, CSP 패키징 기술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스테이션 3에 사용되었다.
| RDRAM | |
|---|---|
| RDRAM | |
![]() | |
| 개요 | |
| 유형 | 동적 RAM |
| 동기화 | 동기식 |
| 개발자 | 램버스 |
| 기술 사양 | |
| 대역폭 | 최대 1.6GB/s |
| 전압 | 2.5V 또는 3.3V |
| 클럭 속도 | 400MHz (실제 클럭 100MHz) |
| 패키지 | RIMM |
| 역사 및 사용 | |
| 도입 시기 | 1990년대 후반 |
| 주요 용도 | 고성능 그래픽 카드 게임기 (닌텐도 64, 플레이스테이션 2) |
| 대체 기술 | DDR SDRAM |
| 특징 | |
| 장점 | 높은 대역폭 잠재력 |
| 단점 | 높은 제조 비용 복잡한 메모리 컨트롤러 설계 필요 종단 저항 필요 (RIMM 모듈) |
2. 역사
RDRAM(램버스 D램)은 설계 발전에 따라 Base Rambus DRAM, Concurrent Rambus DRAM, Direct Rambus DRAM(DRDRAM) 등으로 나뉜다.[15] 이들은 모두 램버스 D램으로 통칭되기도 한다. 램버스 D램은 버스의 비트 폭을 제한하는 대신, 일필휘지 형태의 배선으로 고속성을 실현했지만,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는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1996년 닌텐도 64 (N64)를 시작으로 여러 비디오 게임기에서 Concurrent Rambus DRAM이 사용되었다. 닌텐도의 게임기는 4.5 MiB의 9비트 버스, 266 MHz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작의 RDRAM을 사용하여 500 MB/s의 전송 속도를 제공했다. RDRAM의 단순한 설계 덕분에 N64는 높은 메모리 전송 속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좁은 버스 폭은 보드의 회로 설계자가 간단한 설계 방식을 사용하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높은 접근 레이턴시 때문에 RDRAM 메모리는 선호되지 않았다. N64에서는 RDRAM 모듈은 수동 히트 스프레더 부품으로 냉각되었다. 또한 36핀 메모리 확장 커넥터를 가지고 있어 터미네이터 팩을 제거하고 대신 메모리 확장 팩을 삽입하여 총 9 MiB로 증설할 수 있었다.
PlayStation 2에 탑재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 2에서 DRDRAM을 사용했다. PS2는 32 MiB의 메모리를 갖추고 듀얼 채널 구성을 실현했기 때문에 3200 MB/s의 전송 속도를 이용할 수 있었다. 플레이스테이션 2 출시 당시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류였던 PC100 SDRAM이 800 MB/s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빨랐다.
RDRAM을 지원하는 최초의 PC용 마더보드는 1999년에 출시되었다.[1] 이 제품들은 PC-800 RDRAM에 대응하여 400 MHz로 동작, 1600 MB/s의 전송 속도를 제공했으며, 184핀 RIMM 폼 팩터를 사용했다. 클럭 신호의 상승과 하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DR 방식이었기 때문에, 400 MHz의 램버스 규격은 PC800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는 이전 규격 PC-133 SDRAM보다 훨씬 빨랐다. PC-133은 133 MHz로 동작하며, 64비트 168핀 DIMM 폼 팩터로 1066 MB/s의 전송 속도를 제공했다.
하지만 RDRAM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우선, 다른 동시대 표준에 비해 지연 시간(레이턴시)이 길었다. PC-800 RDRAM의 지연 시간은 45ns로, 당시 SDRAM보다 높았다.[2] 또한, RDRAM 메모리 칩은 SDRAM 칩보다 발열이 심해 모든 RIMM 장치에 방열판이 필요했다.[2]

하:RDRAM 메모리 모듈
제조 복잡성도 문제였다. RDRAM은 각 칩에 패킷 디멀티플렉서 등 추가 회로를 포함하고, 더 많은 수의 메모리 뱅크를 필요로 하여 SDRAM보다 다이 크기가 컸다.[2] 이는 제조 비용 상승으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RDRAM은 PC-133 SDRAM보다 최대 4배 더 비쌌다.
2004년 인피니언, 하이닉스, 삼성, 마이크론, 엘피다가 2001년에 가격 담합을 한 사실이 밝혀졌다.[36] 이들은 가격 담합을 통해 RDRAM을 시장에서 몰아내려 했다.
2. 1. 개발 및 초기 도입
1996년 11월, 램버스는 인텔과 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4] 인텔은 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램버스 메모리 인터페이스만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으며,[5] 램버스 주식 100만 주를 주당 10USD에 구매할 권한을 부여받았다.[6]RDRAM을 지원하는 최초의 PC용 마더보드는 1999년에 출시되었다.[1] 이 제품들은 PC-800 RDRAM에 대응하여 400 MHz로 동작, 1600 MB/s의 전송 속도를 제공했으며, 184핀 RIMM 폼 팩터를 사용했다.
클럭 신호의 상승과 하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DR 방식이었기 때문에, 400 MHz의 램버스 규격은 PC800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는 이전 규격 PC-133 SDRAM보다 훨씬 빨랐다. PC-133은 133 MHz로 동작하며, 64비트 168핀 DIMM 폼 팩터로 1066 MB/s의 전송 속도를 제공했다.
마더보드가 듀얼 또는 쿼드 채널 메모리 서브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경우, 모든 메모리 채널을 동시에 업그레이드해야 했다. 16 비트 모듈이 1채널의 메모리를 제공하고, 32비트 모듈이 2채널을 제공했다. 따라서 16비트 모듈을 지원하는 듀얼 채널 마더보드는 RIMM을 쌍으로 장착하고 제거해야 했다. 32비트 모듈에 대응하는 듀얼 채널 마더보드는 RIMM을 한 장씩 장착하고 제거할 수 있었다.

NINTENDO64에 탑재
Concurrent Rambus DRAM은 1996년 닌텐도 64 (N64)를 시작으로 여러 비디오 게임기에서 사용되었다. 닌텐도의 게임기는 4.5 MiB의 9비트 버스, 266 MHz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작의 RDRAM을 사용하여 500 MB/s의 전송 속도를 제공했다. RDRAM의 단순한 설계 덕분에 N64는 높은 메모리 전송 속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RDRAM의 좁은 버스 폭 덕분에 보드의 회로 설계자는 간단한 설계 방식을 사용하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높은 접근 레이턴시 때문에 RDRAM 메모리는 선호되지 않았다. N64에서는 RDRAM 모듈은 수동 히트 스프레더 부품으로 냉각되었다. 또한 36핀 메모리 확장 커넥터를 가지고 있어 터미네이터 팩을 제거하고 대신 메모리 확장 팩을 삽입하여 총 9 MiB로 증설할 수 있었다.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 2에서 DRDRAM을 사용했다. PS2는 32 MiB의 메모리를 갖추고 듀얼 채널 구성을 실현했기 때문에 3200 MB/s의 전송 속도를 이용할 수 있었다. 플레이스테이션 2 출시 당시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류였던 PC100 SDRAM이 800 MB/s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빨랐다.
2. 2. 기술적 특징 및 문제점
RDRAM은 좁은 버스 폭과 일필휘지 형태의 배선을 통해 고속 데이터 전송을 실현했지만,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우선, 다른 동시대 표준에 비해 지연 시간(레이턴시)이 길었다. PC-800 RDRAM의 지연 시간은 45ns로, 당시 SDRAM보다 높았다.[2] 또한, RDRAM 메모리 칩은 SDRAM 칩보다 발열이 심해 모든 RIMM 장치에 방열판이 필요했다.[2]제조 복잡성도 문제였다. RDRAM은 각 칩에 패킷 디멀티플렉서 등 추가 회로를 포함하고, 더 많은 수의 메모리 뱅크를 필요로 하여 SDRAM보다 다이 크기가 컸다.[2] 이는 제조 비용 상승으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RDRAM은 PC-133 SDRAM보다 최대 4배 더 비쌌다. 높은 가격과 더불어 인텔의 독점적인 라이선스 정책은 RDRAM의 보급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메모리 모듈 설치 방식도 제약이 있었다. 듀얼 채널 또는 쿼드 채널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모든 메모리 채널을 동시에 업그레이드해야 했다.[1] 즉, 16비트 모듈을 사용하는 듀얼 채널 메인보드에서는 RIMM을 쌍으로 추가하거나 제거해야 했고, 32비트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RIMM 추가/제거가 가능했다. 또한, 일반적인 램버스 메모리 컨트롤러 설계에서는 메모리 모듈을 두 개씩 짝을 지어 설치해야 했고, 남는 슬롯에는 컨티뉴이티 RIMM (CRIMM)을 장착해야 했다.[15] CRIMM은 메모리 용량을 제공하지 않고 신호 반사를 막는 전기적 종단 역할을 수행했다.
여러 RIMM을 하나의 메모리 채널에 장착하는 경우, SDRAM보다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RDRAM에서는 먼 메모리 모듈 상의 칩이 메모리 컨트롤러 근처의 모든 메모리 칩을 거쳐야 했기 때문이다.
2. 3. 경쟁 심화 및 시장 도태
RDRAM영어은 2000년대 초반부터 DDR SDRAM과의 경쟁에서 밀려났다. DDR SDRAM 기술이 발전하면서 RDRAM과의 성능 격차가 줄어들었고,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지기 시작했다.인텔은 2000년에 메모리 변환 허브(MTH)가 탑재된 인텔 820 마더보드를 리콜하는 등 기술적인 문제도 겪었다.[8] 이 MTH는 동시 스위칭을 수행할 때, 알 수 없는 이유로 정지하거나 돌발적으로 재시작되는 전기적 노이즈를 발생시켰다.[28][29] 이후 생산된 인텔 820 마더보드에는 MTH가 탑재되지 않았다.[30]
2001년, 인텔은 RDRAM에 대한 지원을 점차 중단하고 DDR SDRAM을 지원하는 칩셋을 출시하기 시작했다.[10][32] 2003년, 인텔은 듀얼 채널 DDR SDRAM을 지원하는 865 및 875 칩셋을 발표하고, 하이엔드 칩셋으로 Intel 850을 대체하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미래 메모리 로드맵에 램버스는 포함되지 않았다.[11][33]
RDRAM은 높은 지연 시간, 발열, 제조 복잡성, 높은 비용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각 메모리 칩에 컨트롤러를 내장해야 했기 때문에 노스브리지에 단일 메모리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SDRAM에 비해 제조가 복잡했다. 또한, RDRAM은 PC-133 SDRAM보다 2배 이상 비쌌다.
2004년에는 인피니언, 하이닉스, 삼성, 마이크론, 엘피다가 2001년에 가격 담합을 한 사실이 밝혀졌다.[36] 이들은 가격 담합을 통해 RDRAM을 시장에서 몰아내려 했다.
결과적으로 2000년대 중반 이후, RDRAM은 PC 시장에서 거의 사라졌고, DDR SDRAM이 시장의 주류가 되었다.
2. 4. 가격 담합 사건
2004년 인피니언, 하이닉스, 삼성, 마이크론, 엘피다 등 주요 메모리 제조사들이 2001년에 RDRAM 가격을 고정하기 위해 담합한 사실이 밝혀졌다.[36] 이들 기업은 범행을 인정하고 벌금을 부과받았으며, 램버스에 수백만 달러를 지불했다. 가격 담합의 목표는 RDRAM을 시장에서 제거하려는 불공정한 시장 전략이었다.[36]3. 기술 사양
RDRAM은 클럭 신호의 상승 및 하강 에지에서 모두 데이터를 전송하는 DDR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실제 클럭 속도의 두 배로 판매되었다. 예를 들어 400 MHz 램버스 표준은 PC-800으로 명명되었다. 이는 133 MHz로 작동하고 64비트 버스를 통해 1066 MB/s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이전 표준 PC-133 SDRAM보다 훨씬 빠른 속도였다.
RDRAM 모듈은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과 유사한 184핀 RIMM (Rambus 인라인 메모리 모듈) 폼 팩터를 사용했다. 메인보드가 듀얼 또는 쿼드 채널 메모리 하위 시스템을 갖춘 경우, 모든 메모리 채널을 동시에 업그레이드해야 했다. 16비트 모듈은 하나의 메모리 채널을, 32비트 모듈은 두 개의 채널을 제공했다. 따라서 16비트 모듈을 사용하는 듀얼 채널 메인보드는 RIMM을 쌍으로 추가하거나 제거해야 했고, 32비트 모듈을 사용하는 듀얼 채널 메인보드는 단일 RIMM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었다. 최신 32비트 모듈은 이전 184핀 16비트 모듈에 비해 232핀을 가졌다.[1]
RDRAM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 명칭 | 버스 폭 (비트) | 채널 | 클럭 속도 (MHz) | 광고된 주파수 (MHz) | 대역폭 (MB/s) |
|---|---|---|---|---|---|
| PC600 | 16 | 싱글 | 266 | 600 | 1066 |
| PC700 | 16 | 싱글 | 355 | 711 | 1420 |
| PC800 | 16 | 싱글 | 400 | 800 | 1600 |
| PC1066 (RIMM 2100) | 16 | 싱글 | 533 | 1066 | 2133 |
| PC1200 (RIMM 2400) | 16 | 싱글 | 600 | 1200 | 2400 |
| PC800 (RIMM 3200) | 32 (16×2) | 듀얼 | 400 | 800 | 3200 |
| PC1066 (RIMM 4200) | 32 (16×2) | 듀얼 | 533 | 1066 | 4200 |
| PC1200 (RIMM 4800) | 32 (16×2) | 듀얼 | 600 | 1200 | 4800 |
| PC1600 (RIMM 6400) | 32 (16×2) | 듀얼 | 800 | 1600 | 6400 |
설계 발전에 따라 Base Rambus DRAM, Concurrent Rambus DRAM, Direct Rambus DRAM(DRDRAM) 등이 있으며,[15] 총칭하여, 또는 간단하게 '''Rambus DRAM'''이라고도 부른다.
3. 1. PC용 RDRAM 모듈
RDRAM은 1999년에 인텔이 i820 및 i840 칩셋과 함께 PC용 메인보드에 처음 도입하였다. PC-800 RDRAM을 지원하며, 400MHz로 동작하고 184핀 RIMM 폼 팩터를 사용하여 16비트 버스를 통해 초당 1600MB의 대역폭을 제공했다. 이는 더블 데이터 레이트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 클럭 속도의 두 배로 표시되었기 때문에 PC-800으로 명명되었다. 이는 133MHz로 동작하고 168핀 DIMM 폼 팩터를 사용하는 64비트 버스를 통해 초당 1,066MB의 대역폭을 제공했던 이전 표준 PC-133 SDRAM보다 훨씬 빨랐다.메인보드가 듀얼 채널 메모리 하부 시스템을 가진 경우, 모든 메모리 채널은 동시에 업그레이드되어야 했다. 16비트 모듈은 하나의 메모리 채널을 제공하는 반면, 32비트 모듈은 두 개의 채널을 제공한다. 따라서 16비트 모듈을 사용하는 듀얼 채널 메인보드는 RIMM을 쌍으로 추가하거나 제거해야 했고 32비트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RDRAM은 높은 가격으로 인해 2001년 이후 개인용 PC 시장에서 사라졌다.
| 이름 | 버스 폭 (비트) | 채널 | 클럭 속도 (MHz) | 광고된 주파수 (MHz) | 대역폭 (MB/초) |
|---|---|---|---|---|---|
| PC600 | 16 | 싱글 | 266 | 600 | 1066 |
| PC700 | 16 | 싱글 | 355 | 711 | 1420 |
| PC800 | 16 | 싱글 | 400 | 800 | 1600 |
| PC1066 (RIMM 2100) | 16 | 싱글 | 533 | 1066 | 2133 |
| PC1200 (RIMM 2400) | 16 | 싱글 | 600 | 1200 | 2400 |
| PC800 (RIMM 3200) | 32 (16×2) | 듀얼 | 400 | 800 | 3200 |
| PC1066 (RIMM 4200) | 32 (16×2) | 듀얼 | 533 | 1066 | 4200 |
| PC1200 (RIMM 4800) | 32 (16×2) | 듀얼 | 600 | 1200 | 4800 |
| PC1600 (RIMM 6400) | 32 (16×2) | 듀얼 | 800 | 1600 | 6400 |
3. 2. 비디오 게임 콘솔 및 기타 응용
닌텐도 64는 9비트 버스에서 500 MHz 클럭으로 작동하는 4 MB RDRAM을 사용하여 500 MB/s의 대역폭을 제공했다.[12] RDRAM의 좁은 버스는 회로 기판 설계자가 간단한 설계 기술을 사용하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이 메모리는 높은 임의 액세스 대기 시간으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선호되지 않았다. N64에서 RDRAM 모듈은 수동 방열판 어셈블리에 의해 냉각되었다.[12]소니 플레이스테이션 2에는 32 MB의 RDRAM이 장착되었으며 듀얼 채널 구성을 구현하여 3200 MB/s의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제공했다.
RDRAM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의 디지털 광학 처리 (DLP) 시스템에 사용되었다.[13]
시러스 로직은 자사의 ''Laguna'' 그래픽 칩에 RDRAM 지원을 구현했으며, 2D 전용 5462와 3D 가속 기능을 갖춘 2D 칩인 5464의 두 가지 제품군을 출시했다. RDRAM은 높은 대역폭으로 경쟁 DRAM 기술보다 잠재적으로 더 빠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했다. 이 칩은 크리에이티브 Graphics Blaster MA3xx 시리즈 등에 사용되었다.[14]
4. 평가 및 영향
RDRAM은 기술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제공했지만, 높은 가격, 기술적 문제, 그리고 DDR SDRAM과의 경쟁에서 밀려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했다.
RDRAM은 1999년에 인텔의 i820 및 i840 칩셋과 함께 출시되었는데, PC-800 RDRAM은 400MHz로 동작하며 184핀 RIMM 폼 팩터를 사용하여 초당 1600MB의 대역폭을 제공했다. 이는 당시 표준이었던 PC-133 SDRAM보다 훨씬 빠른 속도였다.[19] 그러나, RDRAM의 가격은 매우 비쌌기 때문에 보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1999년 당시 PC-800형 RDRAM 1개의 가격은 미국에서 1000USD이 넘을 정도였다.[34] 결국 2001년 이후 개인용 PC 시장에서 RDRAM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RDRAM은 지연 시간이 길고 발열이 심하며, 제조상의 복잡성과 높은 비용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RDRAM의 메모리 칩은 SDRAM 칩보다 훨씬 많은 열을 발생시켜 모든 RIMM에 히트 스프레더가 필요했다. 또한, RDRAM은 각 메모리 칩에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있어, 노스브리지에 단일 메모리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SDRAM보다 제조 과정이 복잡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RDRAM의 가격은 PC-133 SDRAM의 2배 이상이었다.
1998년에 실시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RDRAM에서 느리게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DRAM은 UMA에서는 SDRAM보다 약간 빨랐지만, Intel 820은 로우엔드 제품이 아니었고, RIMM을 사용하는 로우엔드 제품은 개발되지 않아 이러한 이점은 최종 사용자에게 의미가 없었다.[20]
1999년, Intel 840, Intel 820, Intel 440BX를 사용한 벤치마크에서는 램버스 칩셋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성능 향상은 워크스테이션 용도를 제외하고는 440BX 칩셋과 PC-133 SDRAM에 비해 훨씬 높은 가격을 정당화할 수 없었다.[21]
2002년에는 싱글 채널 DDR SDRAM 모듈을 SiS 648과 조합했을 때,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듀얼 채널 1066 MHz RDRAM 구성의 Intel 850E와 대등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22] 게다가 듀얼 채널 DDR400 SDRAM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칩셋이 등장하려 하고 있었다.
2004년에는 인피니언, 하이닉스, 삼성, 마이크론, 엘피다가 2001년에 RDRAM 가격을 고정하기 위해 담합한 사실이 밝혀졌다.[36] 이들은 가격 담합을 통해 RDRAM을 시장에서 제거하려 했으며, 범행을 인정하고 벌금을 부과받았다.
램버스사의 독점적인 라이선스 정책과 가격 담합 사건은 RDRAM의 실패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RDRAM의 실패는 기술적 우위만으로는 시장에서 성공을 보장할 수 없으며, 가격 경쟁력, 개방성, 협력 등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dramrambusmemory.com
http://www.rdramramb[...]
[2]
웹사이트
Electronic News: Rambus seeks IPO but denies Intel stake - Company Financi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22-01-12
[3]
웹사이트
ASUS P4B266 Mainboard Review
https://web.archive.[...]
2013-05-17
[4]
간행물
Memory Continued
http://www10.edacafe[...]
EDACafe Weekly
2004-10-04
[5]
웹사이트
What is RDRAM?
http://www.webopedia[...]
Webopedia Computer Dictionary
[6]
웹사이트
NewsWire Issue 97-8
http://www.stagetool[...]
[7]
웹사이트
Intel i820 Chipset Review
https://www.tomshard[...]
Tom's Hardware
[8]
웹사이트
cw062100 – Intel i820 MTH recall
http://www.computerw[...]
[9]
웹사이트
Intel chips in for cheaper Pentium 4 PCs
https://web.archive.[...]
Tech News on ZDNet
[10]
웹사이트
Intel drops Rambus subsidies
https://archive.toda[...]
CNET News.com
[11]
웹사이트
RAM Wars: Return of the JEDEC
https://www.tomshard[...]
Tom's Hardware
[12]
웹사이트
Nintendo 64 Tech
https://web.archive.[...]
2022-01-12
[13]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www.presentat[...]
Rambus Technology XDR
[14]
웹사이트
Overclockers.ru: Ретроклокинг: разгоняем память Rambus на платформе Socket 478
https://overclockers[...]
[15]
웹사이트
Direct RDRAMはなぜPC分野では失敗したのか?
https://ascii.jp/ele[...]
2022-02-11
[16]
웹사이트
http://n64.icequake.[...]
[17]
웹사이트
Rambus.com 8배속
http://www.rambus.co[...]
[18]
웹사이트
Rambus.com XDR
http://www.rambus.co[...]
[19]
웹사이트
http://findarticles.[...]
[20]
웹사이트
http://www.tomshardw[...]
[21]
웹사이트
http://www.tomshardw[...]
[22]
웹사이트
http://www.tomshardw[...]
[23]
웹사이트
http://www10.edacafe[...]
[24]
웹사이트
http://www.webopedia[...]
[25]
웹사이트
http://www.hpcwire.c[...]
[26]
웹사이트
http://www.tomshardw[...]
[27]
뉴스
インテルも、MTH搭載820マザーボードを無償交換
https://pc.watch.imp[...]
2022-02-11
[28]
웹사이트
http://www.computerw[...]
[29]
웹사이트
Intel(R) Memory Translator Hub (MTH) 再起動に関する問題
http://support.intel[...]
2022-02-11
[30]
뉴스
Intelの新CPU「Timna」が延期、MTHチップはキャンセルに
https://pc.watch.imp[...]
2022-02-11
[31]
웹사이트
http://news.zdnet.co[...]
[32]
웹사이트
https://archive.is/2[...]
[33]
웹사이트
http://www.tomshardw[...]
[34]
웹사이트
http://www.geek.com/[...]
[35]
웹사이트
http://www.tomshardw[...]
[36]
웹사이트
https://archive.is/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