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셀주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주크는 10세기 오구즈 투르크족의 지도자이자 셀주크 왕조의 시조이다. 그의 이름은 여러 형태로 표기되며, 어원에 대한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셀주크는 오구즈 야브구 국가에서 잔드로 이주하여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사만 왕조를 지원하는 등 트란스옥시아나 지역의 정치에 관여했다. 그의 손자 투으룰과 차으리 형제가 이끄는 셀주크는 단다나칸 전투에서 승리하여 호라산을 지배하고 세력을 확장하여 셀주크 왕조를 건국했다. 셀주크는 아르슬란, 미카일, 무사, 유수프 등의 아들을 두었으며, 이들의 이름과 관련하여 종교적 논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7년 사망 - 장목황후
    북송 진종의 황후인 장목황후 곽씨는 진종 즉위 전 후처로 들어가 황후가 되었으나, 서경에서 병사하여 장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셀주크 통치자 - 마흐무드 1세 (셀주크 제국)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술탄으로 즉위했으나 권력 다툼과 내전, 그리고 천연두로 인해 사망하면서 셀주크 제국의 분열을 초래했다.
  • 셀주크 통치자 - 무함메드 타파르
    무함메드 타파르는 멜리크샤 1세의 아들이자 바르키야루크의 이복 형제로서, 권력 다툼 끝에 셀주크 제국의 술탄(재위: 1105년 ~ 1118년)이 되었으며, 니자리파 탄압 강화와 이라크 원정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후 제국은 쇠퇴했다.
  • 무슬림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무슬림 - 마마두 사코
    마마두 사코는 프랑스 국적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파리 생제르맹, 리버풀 등에서 뛰었고,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2014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2024년에는 토르페도 쿠타이시와 계약했다.
셀주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베이
이름셀주크
왕조 정보
왕가셀주크 왕조
개인 정보
아버지투카크
사망일1007년 또는 1009년 (100/107세)
사망 장소잔드
매장지알려지지 않음, 아마도 잔드, 카자흐스탄 근처
자녀미카일
아르슬란
무사
유누스
유수프
종교이전: 아마도 유대교 또는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이후: 수니파
기타 정보
직함수바쉬
사망 연도 (추정)1007년
사망 장소잔드
자녀아르슬란
미카일
무사
유수프
유누스
아버지두카크
왕조셀주크 제국

2. 명칭

셀주크의 개인 이름은 현대 튀르키예어에서 '''셀추크'''(/sɛl.tʃʰuk/)이며, 때로는 셀주크로 영어식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그의 이름은 출처와 언어에 따라 다르다.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1072년~1074년 카라한 투르크어 ''디반 루가트 앗 투르크''와 익명의 13세기~15세기 고대 아나톨리아 튀르크어 ''데데 코르쿠트의 책''에는 سلجك|셀주크ar(''Selcuk'' 또는 ''Selcük'', /seldʒuk/ 또는 /seldʒyk/) 형태로 나타난다.[2]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자료에는 سلجوك|셀주크ar, سلجك|셀주크ar, سلچوق|셀추크ar, سلجوق|셀주크ar, سلجق|셀주크ar으로 나타난다.[1] 로마자 표기는 Seljuk ( 또는 ), '''Seljuq''', '''Selcük''', '''Seldjuk''', '''Seldjuq''', 및 '''Saljūq'''이 있다. 그의 이름은 때때로 다양하게 로마자 표기된 베이라는 칭호가 붙기도 한다.

셀주크의 어원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2]


  • ''selçük'', "작은 홍수"를 의미
  • ''salçuk'', "작은 뗏목"을 의미
  • ''salçığ'', "논쟁자"를 의미


Caferoğlu에 따르면, 이 이름은 "깨끗함"을 의미하는 고대 위구르어의 어근 ''sil-''에서 파생되었다. 하지만, ''sil-''의 어근은 i > e로 변형되었고, 이름은 축소사 ''-çük''을 추가하여 만들어졌다.[3] 이 단어의 의미는 "순수한", "깨끗한", "정직한", "약속을 지키는 사람"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과거에는 남녀 모두에게 주어진 성 중립적인 이름이었고, 이러한 특성 중 일부가 여성에게서도 추구되었기 때문에, 여성에게 이러한 자질을 따서 이름을 짓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주장이 있다.[2]

헝가리 투르크학자 러슬로 라소니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셀치크'''로 읽어야 한다고 한다.[4] 요제프 마르크바르트는 그 이름을 '''살추크'''로 읽어야 한다고 제안했다.[5] 피터 벤자민 골든은 이슬람교와 시리아어 표기 를 기반으로 '''살추크''' ~ '''살주크'''로 발음할 것을 제안하며, 어원과 동시대 투르크식 인명과 일치하는 "움직이다(무언가를), 폭력적인 움직임을 암시하며 움직이게 하다"라는 의미의 어근 ''sal-''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6]

3. 생애

셀주크는 투카크[1]의 아들이었다. 그의 아버지 투카크는 오우즈 야브구국에서 강력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했던 인물이었다.[2] 일설에는 셀주크가 하자르 군대의 장교로 경력을 시작했다는 추측도 있다.[3] 셀주크는 오우즈 야브구국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모종의 사건으로 인해 부족을 이끌고 잔드(트란스옥시아나)로 이주했다.[1]

잔드는 대초원의 중요한 국경 도시였으며, 셀주크와 그의 부족은 이곳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1] 개종 후, 셀주크는 "무슬림은 불신자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비무슬림 투르크족과의 전쟁을 시작했다.[2]

이 시기에 셀주크의 장남 미카일이 사망했고, 미카일의 아들 투으룰 베그와 차으리 베그는 할아버지 셀주크에게 양육되었다.[2]

이후 셀주크는 트란스옥시아나의 정치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사만 왕조가 카라한 왕조의 공격을 받자, 셀주크는 사만 왕조를 지원하기 위해 아들 아르슬란을 파견했다.[7] 셀주크는 늙었기 때문에 행정은 아르슬란이 맡았다. 사만 왕조는 멸망했지만, 아르슬란은 군사적 역량을 발휘했다. 그러나 아르슬란은 1025년 가즈나의 마흐무드에게 포로로 잡혔다.[7]

이후 투으룰 베그와 차으리 베그 형제가 이끄는 셀주크는 호라산 지역으로 이동하여 가즈나 왕조단다나칸 전투를 벌여 승리했다. 이 승리로 셀주크는 호라산을 지배하고 셀주크 제국 건국의 기틀을 마련했다. 투으룰은 바그다드까지 세력을 확장하고 아바스 칼리파로부터 술탄 칭호를 받았다.

3. 1. 초기 생애와 기원

셀주크는 투카크[1] 또는 투카크 베그(دوقاق دمور یالیق ''Dûqâq Demur Yalığ'')의 아들이며, 그의 기술 때문에 "테뮈르 얄르크"(Temür Yalığ, "철의 활)"로 알려졌다. 오우즈 문화에서 화살과 활은 주권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두카크의 별명을 고려할 때 그는 평범한 군인이 아니라 ''쉬-바쉬''(sü-başı, 최고 사령관)였다. 여러 자료에 따르면 두카크는 강력한 정치가였으며 오우즈 야브구국에서 막강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했고, 924년경에 사망했다.[2]

일부 자료에서는 셀주크가 하자르 군대의 장교로 경력을 시작했다는 추측이 있다.[3] 이 자료는 셀주크의 조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Duqaq가 하자르 멜리크와 연결되어 있다는 기록을 전한다. 이 기록은 ''멜리크-나메''에서는 모호하게 나타나지만, 이븐 하술이 투그룰 베그 시대에 자신의 저술에서 이를 반복했다는 사실은 셀주크와 하자르의 관계에 대한 의문을 남기지 않는다. 자료 부족으로 인해 이 관계의 본질을 밝히거나 그 틀을 완전히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 관계가 오구즈 야브구 국가를 통해 이루어졌는지 또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셀주크의 조상과 하자르 사이에 정치적 접촉이 이루어졌다면, 이는 하자르 카간국이 군사적 지원을 필요로 했던 10세기의 두 번째 분기 중반이 가장 적절한 시기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Duqaq는 붕괴 당시 하자르와 직접 또는 오구즈 야브구 국가를 통해 정치적, 군사적 관계를 맺었을 수 있으며, 이 기억은 단지 구두로 전해졌고, 150년 후에 쓰여진 셀주크 역사 기록에서 모호하게 반영되었을 수 있다.[4]

3. 2. 잔드로의 이주와 개종

오구즈 야브구 (서기 750-1055년)


셀주크는 오구즈 야브구 국가 영토 내에 거주하는 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막강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했다. 셀주크와 오구즈 야브구의 관계는 신뢰할 만한 자료 부족으로 인해 잘 알려지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어두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셀주크는 오구즈 야브구를 떠나 부족과 함께 잔드로 이주했는데,[1] 이곳은 시르다리야 강 좌안에 위치해 있었다. 이 이주 과정에서 셀주크 베그와 함께 기마병 100명, 낙타 1,500마리, 양 5만 마리가 있었다는 소문이 있다. 기마병 한 명을 한 가족으로 간주한다면, 잔드로 이주한 셀주크는 약 500명 규모의 작은 유목 공동체였을 것이다.[1]

잔드는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대초원에서 중요한 국경 도시였다. 유목민과 정착민이 함께 거주했던 이 도시는 초원으로 통하는 관문 역할을 했다. 잔드는 트란스옥시아나 출신의 무슬림과 종교 선전가, 그리고 여러 지역의 상인들에게 비교적 인기 있는 목적지였다. 그곳에서 셀주크와 그의 오구즈 부족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이 사건은 셀주크가 985-986년에 잔드로 이주한 후, 그리고 992년에 셀주크가 사만 왕조를 돕기 위해 트란스옥시아나로 떠나기 전에 일어났다.[1]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후, 셀주크는 연례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오구즈 야브구가 잔드로 보낸 관리들을 내쫓고 "무슬림은 불신자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비무슬림 투르크족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이는 셀주크 베그를 '알-말리크 알-가지 셀주크'(“통치자이자 종교 전사 셀주크”를 의미)라고 부르는 알-바이하키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2]

이 시기에 일어난 가장 중요한 사건은 셀주크의 장남 미카일의 죽음이었는데, 그는 투으룰 베그와 차으리 베그의 아버지였으며, 이들은 셀주크 제국을 건국했다. 이 사건 이후, 미카일의 아내(투으룰과 차으리의 어머니)는 셀주크의 다른 아들인 유수프와 결혼했다. 오래된 투르크 전통에 따르면(이러한 전통의 이유는 과부가 된 귀족 여성을 이용하여 부족/국가 내에서 힘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두 아들 투으룰과 차으리는 할아버지 셀주크 베그에 의해 길러졌다.[2]

3. 3. 사만 왕조와의 관계

호라산과 트란스옥시아나 지도


젠드와 그 주변 지역에서 전쟁 활동을 통해 권력을 얻은 셀주크는 점차 트란스옥시아나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다. 카라한 왕조의 통치자 하산 빈 술라이만 부그라 칸이 사만의 도시 부하라를 점령한 후, 사만 왕조는 부그라 칸에 대항하기 위해 셀주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셀주크는 맏아들 아르슬란(''이스라일'')을 트란스옥시아나로 보냈다.[7]

이 시기에 셀주크는 늙어가고 있었기에 행정은 사실상 아르슬란의 손에 있었다. 한편, 완전히 힘을 잃은 사만 왕조는 카라한 왕조의 잦은 공격에 시달렸고, 이는 아르슬란이 그의 군사적 역량을 증명할 기회를 제공했다. 파이크, 아부 알리 심주르, 베크-튀준에 의해 야기된 내부 혼란과 카라한 왕조가 트란스옥시아나에 진입하여 부하라를 두 번째로 점령(999년)한 시기에, 아르슬란 휘하의 셀주크는 사만 왕조의 마지막 구성원인 아부 이브라힘 이스마일 알-문타시르(1000–1005)에게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1003년). 알-문타시르는 셀주크의 지원을 받아 일리그 칸 나스르가 지휘하는 카라한 군대에 맞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사만 왕조의 붕괴를 막을 수는 없었다. 아르슬란은 1025년 가즈나의 마흐무드에게 포로로 잡혔다. 이 사건 이후 트란스옥시아나 전체가 카라한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셀주크는 카라한 왕조에 복종해야 했다.[7]

3. 4. 셀주크 왕조의 건국

투으룰과 차으리 형제가 이끄는 셀주크는 호라산 지역으로 이동했다. 가즈나 왕조는 지역 무슬림 주민들을 약탈하는 셀주크를 막으려 했고, 이로 인해 1040년 5월 23일 단다나칸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승리한 셀주크는 호라산의 지배자가 되었고, 트란스옥시아나이란 전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055년까지 투으룰은 바그다드까지 통치 범위를 넓혔으며, 아바스 칼리파의 옹호자를 자처했고, 칼리파는 그에게 술탄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이전 통치자들도 이 칭호를 사용했을 수 있지만, 셀주크가 처음으로 동전에 이 칭호를 새긴 것으로 보인다.

4. 가족

셀주크는 네 명 또는 다섯 명의 아들을 두었다고 전해진다. 이스라엘, 미카일, 무사, 유수프 그리고/또는 유누스가 그들이다.[8][9] 이들의 이름은 모두 유대교와 관련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셀주크 가문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이기 전에 하자르 유대교 또는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신자였다고 주장한다.[8][9] 그러나 터키 역사학자들은 이슬람 세계에서 이러한 이름들이 널리 사용된다는 점을 들어 이름만으로는 그러한 해석을 내리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5. 참고 서적


  • A.Sevim and C.E. Borsworth, "The Seljuqs and Khwarazm Shahs",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volume 4, The Age of Achievement: A.D.750 to the End of the Fifteenth Century─Part One: The Historical, Social and Economic Setting'', M.S. Asimov and C.E. Bosworth ed. (Paris: Unesco, 1998), pp.150-181.
  • Rashı̄d al-Dı̄n Tabib, Ẓāhir al-Dīn Nīshāpūrī, ''The history of the Seljuq Turks'' (Routledge, 2001).
  • 르네 그루쎄, René Grousset|르네 그루세프랑스어,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옮김 (사계절, 1998).

참조

[1] 간행물 SELÇUK BEY https://islamansiklo[...]
[2] 백과사전 Dil Bilimi, Dil Bilgisi ve Dil Eğitimi / Linguıstics Grammar And Language Teaching / Языкознание Грамматика И Обучение Языку
[3] citation Eski Uygur Türkçesi Sözlüğü Enderun Kitabevi 1993
[4] 서적 Türk Mitolojisi (Kaynakları ve Açıklamaları ile Destanlar)
[5] 서적 A History of the Seljuks: İbrahim Kafesoğlu's Interpretation and the Resulting Controversy
[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 Otto Harrassowitz, Wiesbaden
[7] harvnb
[8] 학술지 The Names of Seljuk's Sons as Evidence for the Pre-Islamic Religion of the Seljuks 2018-05
[9]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ish Khaza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