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금 (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금은 신라에서 기원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의 전통 관악기이다. 대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6개의 지공과 음정 조절을 위한 칠성공을 갖는다. 당적보다 음역이 낮고, 대금과 유사한 연주 방식으로 반음계 연주가 가능하다. 주로 고음과 맑은 음색을 필요로 하는 곡에 사용되며, 당악, 향악 합주에 편성된다. 현대 창작 국악에서도 활용되어 음악적 표현을 더한다. 음역은 임종에서 중청남려까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관악기 - 단소
    단소는 맑고 청아한 음색을 지닌 한국 전통 악기로,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조선 후기에 퉁소를 개량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독주나 병주, 줄풍류, 세악 등 다양한 음악에 활용되며 현대에는 교육용, 북한에서는 배합관현악에 이용된다.
  • 죽관악기 - 대금
    대금은 신라 시대부터 사용된 한국 전통 관악기로, 쌍골죽으로 만들어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내며 다양한 음악에 사용된다.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소금 (악기)
악기 정보
종류관악기
음역고음
사용 문화권한국
관련 악기대금
설명한국의 전통 관악기

2. 기원과 역사

삼국사기》에 따르면, 소금을 비롯한 신라삼죽은 '신라에서 기원된 것으로 누가 만든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5]

악학궤범》 이후의 문헌에는 소금이 나타나지 않다가 1950년대 초 국악사양성소의 교과 과정 속에서 소금이라는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다.[6]

3. 구조 및 형태

소금은 주로 대나무로 만들지만, 오늘날에는 교육용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하기도 한다. 지공은 모두 6개이며, 음정 조절을 위해 끝부분에 칠성공을 1~2개 뚫기도 한다. 현대 창작곡 연주 시에는 정악 연주용 소금보다 얇은 관대를 사용하여 더 높은 음을 자유롭게 낼 수 있도록 한다.[4]

3. 1. 당적과의 차이

당적은 소금보다 관의 안지름이 조금 짧아 음역이 더 높다.[7] 지공의 개수를 보면 당적은 취구 1개와 지공 6개로 모두 7개이지만, 소금은 취구 1개, 지공 6개, 칠성공 1~2개로 모두 8개 또는 9개이다.[7]

4. 연주 방법

소금은 대금과 같은 방식으로 연주한다. 이론적으로 반음계의 12음을 모두 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자연스럽게 8음만 연주된다. 주로 고음과 맑은 음색을 필요로 하는 곡을 만드는 역할을 하며, 독주 악기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4]

5. 음역

소금의 음역은 임종(B)에서 중청남려(C′′′)까지이다.[4] 소금은 이론적으로 반음계의 12음을 모두 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자연스럽게 8음만 연주된다.[4]

6. 이용 및 편성

소금은 〈보허자〉, 〈낙양춘〉과 같은 당악과 〈보태평〉, 〈정대업〉 등의 당악계 음악 및 〈여민락〉, 〈수제천〉과 같은 향악 합주에 편성된다.

현대 음악에서는 특유의 영롱한 소리 때문에 각종 창작국악에 널리 이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문예진흥원 홈페이지 http://munye.bizhome[...] 2007-09-28
[2] 웹사이트 소금(小笒)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5-10
[3] 웹사이트 문예진흥원 홈페이지 http://munye.bizhome[...] 2007-09-28
[4] 웹사이트 소금 -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 2018-04-07
[5] 간행물 삼국사기
[6] 서적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7] 논문 소금과 당적에 관한 재고 한국국악학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