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르소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르소곤주는 필리핀 루손 섬의 비콜 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주로, 1894년 알바이 주에서 분리되어 소르소곤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1570년 스페인 정복자들이 기독교를 전파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 미국 식민지 시대, 마르코스 독재 시대를 거쳐 2000년 바콘 시와 소르소곤 시가 합병되어 소르소곤 시가 설립되었다. 이 주는 총 14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루손 섬의 남동쪽 끝을 차지하며, 불루산 산과 소르소곤 만을 포함한다. 2020년 인구 조사에서 828,655명의 인구를 기록했으며, 비콜라노어가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경제는 소르소곤 시와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관광, 농업, 투자가 주요 성장 동력이다. 주요 축제로는 카상가야한 축제, 필리 축제 등이 있으며, 다양한 미신과 지역 전설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콜 지방 - 남카마리네스주
남카마리네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비콜 지방에 위치하며, 2개의 도시와 35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사록 아그타족과 이라야 아그타족의 거주지였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를 거쳐 현재의 경계로 확정되었고, 농업을 기반으로 쌀, 옥수수, 코코넛 등을 생산하며, 주민들은 주로 로마 가톨릭교를 믿고 비콜어를 사용한다. - 비콜 지방 - 마스바테주
마스바테주는 필리핀 비콜 지방의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주로, 스페인 식민 시대 항로의 정박지이자 필리핀 내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이며, 농업, 축산업,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특히 소 사육 규모가 크며,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매년 로데오 축제가 열린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소르소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국가 | 필리핀 |
지역 | 비콜 지방 |
설립일 | 1894년 10월 17일 |
중심지 | 소르소곤 시 |
정부 형태 | 지방 정부 |
주지사 | 호세 에드윈 B. 하모르 (NPC) |
부주지사 | 크루니마르 안토니오 D. 에스쿠데로 2세 (NPC) |
입법부 | 소르소곤 지방 의회 |
면적 | 2,119.01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81개 중 59위 |
최고 고도 | 1,565 미터 (불루산 산) |
인구 | 828,655 명 (2020년 기준) |
인구 순위 | 81개 중 36위 |
인구 밀도 | 390 명/제곱킬로미터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15위 |
행정 구역 | 도시: 1개 (소르소곤 시) 자치시: 14개 바랑가이: 541개 하원 의원 선거구: 소르소곤 주의 선거구 |
시간대 | PH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4700–4722 |
지역 번호 | 56 |
ISO 코드 | PH-SOR |
언어 | 북부 소르소곤어 비콜어 필리핀어 영어 와라이 소르소곤어 와라이와라이어 |
웹사이트 | 소르소곤 공식 웹사이트 |
찬가 | Marcha nin Sorsogon (소르소곤 행진) |
지리 | |
![]() | |
![]() | |
![]() | |
문화 및 관광 | |
![]() | |
![]() | |
![]() |
2. 역사
1570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 알론손 히메네스와 후안 오르타는 엔리케 데 구스만 대위와 함께 기낭그라 강 어귀 근처의 작은 어촌인 ''히발롱''에 도착하여 십자가를 세우고 루손 섬 최초의 예배당을 세웠다.[1] 이 마을에서 전체 지역을 지칭하는 이발롱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1]
이후 아부케이-카타믈랑간 선교회가 설립되었고, 초기에 설립된 마을은 다음과 같다.[1]
설립 연도 | 마을 이름 |
---|---|
1570년 | 기발론(현재 마갈라네스의 시티오)[1] |
1600년 | 카시구란[1] |
1631년 | 불루산[1] |
1635년 | 필라[1] |
1668년 | 돈솔[1] |
1754년 | 베이컨[1] |
1764년 | 구바트[1] |
1800년 | 후반 및 마트노그[1] |
1801년 | 불란[1] |
1827년 | 카스티야[1] |
1860년 | 마갈라네스[1] |
1866년 | 소르소곤[1] |
1880년 | 이로신[1] |
1894년 10월 17일, 알바이 주에서 분리되어 소르소곤 주가 설립되었고, 소르소곤 타운이 주도가 되었다.[1] 1935년 필리핀 제헌 의회에 소르소곤 주는 아돌포 그래필로, 프란시스코 아레야노, 호세 S. 레예스, 마리오 가우리노를 대표단으로 파견했다.
1969년 필리핀 국제 수지 위기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1969년 재선 캠페인을 위한 대출 자금 정부 지출 증가로 인해 필리핀의 전후 복구가 악화된 초기 획기적인 사건 중 하나였다.[3][4][5][6][7][8] 이후 2년 반 동안, 사회 각 부문에서 광범위한 빈곤을 야기하는 정책에 불만을 품고 거리로 나오면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었다.[2]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하여 14년을 더 집권했고, 소르소곤 주는 이 기간 동안 많은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9][2]
2000년, 바콘과 소르소곤 시를 합병하여 소르소곤 시가 설립되었다.[13]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70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 알론손 히메네스와 후안 오르타는 엔리케 데 구스만 대위와 함께 기낭그라 강 어귀 근처의 작은 어촌인 ''히발롱''에 도착하여 십자가를 세우고 루손 섬 최초의 예배당을 세웠다.[1] 이 마을에서 전체 지역을 지칭하는 이발롱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1]이후 아부케이-카타믈랑간 선교회가 설립되었고, 초기에 설립된 마을은 다음과 같다.[1]
설립 연도 | 마을 이름 |
---|---|
1570년 | 기발론(현재 마갈라네스의 시티오)[1] |
1600년 | 카시구란[1] |
1631년 | 불루산[1] |
1635년 | 필라[1] |
1668년 | 돈솔[1] |
1754년 | 베이컨[1] |
1764년 | 구바트[1] |
1800년 | 후반 및 마트노그[1] |
1801년 | 불란[1] |
1827년 | 카스티야[1] |
1860년 | 마갈라네스[1] |
1866년 | 소르소곤[1] |
1880년 | 이로신[1] |
1894년 10월 17일, 알바이 주에서 분리되어 소르소곤 주가 설립되었고, 소르소곤 타운이 주도가 되었다.[1]
2. 2. 미국 식민지 시대
1935년 필리핀 제헌 의회에 소르소곤 주는 아돌포 그래필로, 프란시스코 아레야노, 호세 S. 레예스, 마리오 가우리노를 대표단으로 파견했다.2. 3. 마르코스 독재 시대
1969년 필리핀 국제 수지 위기는 필리핀의 전후 복구가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에 악화된 초기 획기적인 사건 중 하나였다.[3] 경제 분석가들은 이것이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1969년 재선 캠페인을 위한 대출 자금 정부 지출 증가에 기인한다고 본다.[3][4][5][6][7][8] 이후 2년 반 동안, 사회 각 부문에서 광범위한 빈곤을 야기하는 정책에 불만을 품고 거리로 나오면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었다.[2]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에 계엄령을 선포했다.[9] 이로 인해 마르코스는 14년을 더 집권했고, 소르소곤 주는 이 기간 동안 많은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2] 노동 조합과 시위는 금지되었고, 언론은 폐쇄되었으며, 입법부는 해산되었고, 표현의 자유는 억압되었다. 정부나 정책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공산주의자로 몰려 영장 없이 체포되었다.[2]이 기간 동안, 많은 소르소곤 주민들이 민주주의 훼손에 저항했고, 그들 중 다수는 정치범이 되거나 독재 정권 군대에 의해 고문을 당하고 살해되었다.[2] 이들 중에는 마. 안토니아 테레사 "나네트" 비티아코, 토니 아리아도, 세사르 가반조 주니어, 마누엘 도라탄과 같은 지역 인사들과 마닐라에서 살해된 릴리오사 힐라오, 후안 에스칸도르 등이 있었다. 비티아코, 아리아도, 가반조, 도라탄, 힐라오, 에스칸도르는 모두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운 순교자와 영웅들을 기리는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에 이름이 새겨져 있다.[10][11][12]
2. 4. 현대
2000년, 바콘과 소르소곤 시를 합병하여 소르소곤 시가 설립되었다.[13]3. 지리
소르소곤 주는 루손 섬 비콜 반도의 남동쪽 끝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2119.01km2이다. 북쪽으로는 알바이 주, 동쪽으로는 필리핀 해, 남쪽으로는 산베르나르디노 해협, 서쪽과 북서쪽으로는 티카오 해협과 부리아스 해협과 접한다. 소르소곤 만이 주의 중앙에 위치한다.
지형은 불규칙하며, 대부분의 마을은 해안을 따라 위치한다. 내륙에는 산악 지대가 있으며, 불루산 산은 해발 1560m로 가장 높다. 루손에서 비사야 제도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며, 마트노그, 필라, 불란 시에 롤온/롤오프 페리 터미널 시설이 있다.
북부는 알바이 주와 육지로 접하고, 서쪽은 티카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마스바테 주, 남쪽은 산베르나르디노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 비사야 지방의 북사마르 주와 해상으로 인접해 있다. 동쪽은 필리핀 해가 펼쳐져 있으며, 주 중앙에는 솔소곤 만이 있고, 불산 산을 품고 있다.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PAGASA)에 따르면 소르소곤 주는 유형 2 기후에 속한다. 건기가 없으며 11월부터 1월까지 강수량이 두드러진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31 | 31 | 32 | 34 | 34 | 33 | 33 | 33 | 33 | 33 | 32 | 31 | 34 |
최저 기온 (°C) | 23 | 23 | 24 | 25 | 26 | 25 | 25 | 25 | 25 | 25 | 25 | 24 | 24 |
강수량 (mm) | 150.8mm | 101.8mm | 82.3mm | 44.9mm | 132.5mm | 146mm | 196.9mm | 181.6mm | 168.5mm | 199.2mm | 191.2mm | 233.7mm | 152.45mm |
강우 일수 | 18 | 14 | 12 | 7 | 10 | 14 | 17 | 18 | 18 | 20 | 20 | 22 | 190 |
소르소곤 주는 매년 5~10개의 태풍이 발생한다. 1987년 슈퍼 태풍 니나는 200명의 사망자와 수백만 페소의 재산 피해를 냈으며, 2006년 9월에는 태풍 상산이 대규모 홍수와 기반 시설 및 농업 피해를 야기했다.
3. 1. 행정 구역
소르소곤 주는 14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도시 (소르소곤 시)로 구성되어 있다.도시 또는 지방 자치 단체 | 선거구 | 인구 (2020년) | 인구 (2015년) | 면적 (km2) | 면적 (mi2) | 인구 밀도 (/km2) | 인구 밀도 (/mi2) | 바랑가이 수 | 좌표 | ||
---|---|---|---|---|---|---|---|---|---|---|---|
바르셀로나 | 2구 | 20,987 | 20,990 | 61.18km2 | 약 61.18km2 | 340 | 890 | 25 | style="text-align:center;" | | ||
불란 | 2구 | 105,190 | 100,076 | 196.96km2 | 약 196.97km2 | 530 | 1400 | 63 | style="text-align:center;" | | ||
불루산 | 2구 | 23,932 | 22,884 | 96.3km2 | 약 96.30km2 | 250 | 640 | 24 | style="text-align:center;" | | ||
카시구란 | 1구 | 35,602 | 32,842 | 87.13km2 | 약 87.13km2 | 410 | 1060 | 25 | style="text-align:center;" | | ||
카스티야 | 1구 | 60,635 | 57,827 | 186.2km2 | 약 186.19km2 | 330 | 840 | 34 | style="text-align:center;" | | ||
돈솔 | 1구 | 50,281 | 49,711 | 156.2km2 | 약 156.20km2 | 320 | 830 | 51 | style="text-align:center;" | | ||
구바트 | 2구 | 60,294 | 59,534 | 134.51km2 | 약 134.50km2 | 450 | 1160 | 42 | style="text-align:center;" | | ||
이로신 | 2구 | 59,267 | 56,662 | 149.87km2 | 약 149.88km2 | 400 | 1020 | 28 | style="text-align:center;" | | ||
후반 | 1구 | 35,297 | 32,320 | 121.49km2 | 약 121.50km2 | 290 | 750 | 25 | style="text-align:center;" | | ||
마갈라네스 | 1구 | 37,411 | 37,038 | 150.09km2 | 약 150.09km2 | 250 | 640 | 34 | style="text-align:center;" | | ||
마트노그 | 2구 | 41,989 | 41,101 | 162.4km2 | 약 162.39km2 | 260 | 670 | 40 | style="text-align:center;" | | ||
필라르 | 1구 | 75,793 | 74,564 | 248km2 | 약 247.99km2 | 310 | 790 | 49 | style="text-align:center;" | | ||
프리에토 디아즈 | 2구 | 22,644 | 22,442 | 49.07km2 | 약 49.08km2 | 460 | 1200 | 23 | style="text-align:center;" | | ||
산타 마그달레나 | 2구 | 17,096 | 16,848 | 43.5km2 | 약 43.51km2 | 390 | 1020 | 14 | style="text-align:center;" | | ||
소르소곤 시 | 1구 | 182,237 | 168,110 | 276.11km2 | 약 276.12km2 | 660 | 1710 | 64 | style="text-align:center;" | | ||
합계 | 828,655 | 792,949 | 2119.01km2 | 약 2118.99km2 | 390 | 1010 | 541 | scope="col" style="font-style:italic;" | | |||
소르소곤 주는 2개의 하원 선거구로 나뉜다. 제1 하원 선거구는 소르소곤 시와 필라, 돈솔, 카스티야를 포함한다. '''소르소곤 주 청사'''는 소르소곤 시에 위치해 있다.
3. 2. 기후
소르소곤주는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PAGASA)의 필리핀 기후 지도에 따라 유형 2 기후에 속한다. 유형 2 지역인 소르소곤주는 건기가 없으며 11월부터 1월까지 강수량이 두드러진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C) | 31 | 31 | 32 | 34 | 34 | 33 | 33 | 33 | 33 | 33 | 32 | 31 | 34 |
최저 기온 (°C) | 23 | 23 | 24 | 25 | 26 | 25 | 25 | 25 | 25 | 25 | 25 | 24 | 24 |
강수량 (mm) | 150.8mm | 101.8mm | 82.3mm | 44.9mm | 132.5mm | 146mm | 196.9mm | 181.6mm | 168.5mm | 199.2mm | 191.2mm | 233.7mm | 152.45mm |
강우 일수 | 18 | 14 | 12 | 7 | 10 | 14 | 17 | 18 | 18 | 20 | 20 | 22 | 190 |
소르소곤주는 매년 5~10개의 태풍이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태풍은 1987년 소르소곤주에 큰 피해를 입힌 ''시상''이라는 슈퍼 태풍 니나이다. 이는 소르소곤주에서 발생한 주요 재앙으로, 재산 피해는 수백만 페소에 달했으며 200명의 사망자를 냈다. 시상은 특히 주도인 소르소곤 시를 강타한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PAGASA(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청)에 따르면 180km/h의 풍속과 200km/h의 돌풍을 동반했다. 수천 채의 주택과 상업 시설이 파괴되었으며, 특히 소르소곤 만 지역 주변에 대규모 폭풍 해일을 일으켜 많은 사망자를 초래했다. 태풍 시상은 오후 7시경 소르소곤 지역에 상륙하여 다음 날 새벽까지 지속되었다.
태풍 상산 (''밀레뇨'') 또한 2006년 9월에 폭우와 강풍으로 이 지역을 강타하여 대규모 홍수와 기반 시설 및 농업 피해를 야기했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소르소곤 주의 인구는 828,655명이며, 인구 밀도는 km²당 390명이다.[14]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는 소르소곤 시(168,110명)이고, 그 뒤를 불란(100,076명), 필라(74,564명), 구바트(59,534명), 카스티야(57,827명)가 잇고 있다. 2000년 인구 조사 이후 인구가 가장 적은 지방 자치 단체는 산타 막달레나이다.
- 1920년 이전의 수치는 마스바테가 된 지역을 제외한다.
4. 1. 언어
비콜라노어는 소르소곤 주에서 주민들이 사용하는 주요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에서 사용되는 '비콜라노' 자체에는 많은 특징이 있다. "비콜 나가"로 알려진 언어는 일반적으로 문서상에서 사용되며, 구어체로도 널리 이해된다. 그러나 구밧과 같이 소르소곤 주의 최남단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와라이어를 사용한다. 어느 경우든, 영어와 필리피노어는 교육 및 정부 소통에 사용되는 공식 언어이다.[4]비콜어군은 일부 지역에서 특이하다. 예를 들어, 바콘, 프리에토 디아스, 마갈라네스의 사람들은 '알바이 비콜' 방언을 사용한다. 소르소곤 시, 카시구란, 후반에서는 비콜라노어가 일부 용어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서부 비사야스와 남서부 마스바테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힐리가이논어와 유사하다.[4]
바르셀로나, 구밧, 불루산, 마트노그, 이로신, 산타 막달레나에서는 동부 비사야스 (특히 북사마르)의 와라이어와 용어와 억양이 유사한 방언인 와라이 소르소곤어가 사용된다. 필라르와 돈솔의 사람들은 인근 알바이 주의 카말리그와 다라가에서 사용되는 방언인 "미라야 비콜"과 유사하지만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방언을 사용한다. '카스티야' 방언은 다르지만 다라가에서 사용되는 방언과 유사하다.[4]
2010년, 유네스코는 세계의 멸종 위기 언어 3차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필리핀에서 3개의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가 보고되었다. 이 중 하나는 2000년에 약 150명의 화자가 있는 ''남부 아에타어(소르소곤 아에타어)''였다. 이 언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가장 젊은 화자가 조부모 이상이며, 언어를 부분적으로 드물게 사용하고, 더 이상 자녀와 손자에게 거의 전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남아있는 150명이 소르소곤 아에타 원주민의 다음 세대에게 모국어를 전달하지 않는다면, 그들의 고유 언어는 1~20년 안에 멸종될 것이다.[4]
소르소곤 아에타족은 소르소곤 주, 프리토 디아스 지자체에만 거주한다. 그들은 필리핀 전체에서 최초의 네그리토 정착민 중 하나이다. 그들은 아에타족에 속하지만, 그들만의 문화와 유산에 고유한 독특한 언어와 신념 체계를 가지고 있다.[4]
4. 2. 종교
소르소곤 주는 주로 가톨릭 신자가 많은 지역이다. 소르소곤 주민의 93%가 가톨릭 신자이다.[1] 소르소곤 교구는 원래 누에바 카세레스 대교구의 일부였으나, 1951년 6월 29일 별도의 교구로 지정되었다.[1] 현재 소르소곤 교구는 소르소곤 민간 주와 소르소곤 시를 포함하며, 소르소곤 성당인 소르소곤 시의 성 베드로와 바오로 성당이 그 중심이다.[1]이글레시아 니 크리스토(그리스도의 교회)는 이 지역의 소수 종교로, 주 전체에 71개의 지역 예배당과 바랑가이 예배당이 있다.[1]
5. 경제
소르소곤 주의 경제 활동은 주도인 소르소곤 시와 불란, 이루신, 구밧, 필라 및 마트노그 시에 집중되어 있다. 소르소곤 주는 연평균 소득 3.3939999999999997억필리핀 페소(2000-2003 회계 연도 기준)로 2등급으로 분류된다.
2008년 1분기 소르소곤 주는 투자가 97% 성장하고 관광객이 증가하여 비콜 지방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이는 국가 경제 개발청(NEDA) 비콜 지역 사무소(NRO 5)에서 발표한 "분기별 지역 경제 상황 보고서"(QRES)에 따른 것이다. 소르소곤은 이전 연도에 비해 투자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293%)을 기록했으며, 카탄두아네스(280% 성장), 알바이 주(39% 기여, 221% 성장)가 그 뒤를 이었다.
비콜 지방은 아시아 최고의 익스트림 세일링 행사인 ''필리핀 호비 챌린지''를 구밧, 소르소곤에서 개최했다. 이 약 418.43km의 여정은 국내외 수상 스포츠 애호가들을 매료시켰다.
소르소곤 주 가족의 40%는 기업 활동, 33%는 급여 및 임금, 27%는 임대 소득, 이자, 해외 필리핀인 송금과 같은 기타 소스에서 소득을 얻었다.[21]
5. 1. 빈곤
소르소곤 주의 빈곤율[27]연도 | 2000 | 2003 | 2006 | 2009 | 2012 | 2015 | 2018 |
---|---|---|---|---|---|---|---|
빈곤율(%) | 53.8 | 57.6 | 51.1 | 45.0 | 41.8 | 32.40 | 28.81 |
6. 교통
소르소곤주는 루손에서 비사야 제도로 가는 관문으로, 마트노그, 필라르, 불란 시에 롤온/롤오프 페리 터미널 시설을 갖추고 있다. 마트노그 페리 터미널에서는 북사마르 알렌행 페리를 운행한다.
6. 1. 도로
필리핀 횡단 고속도로(N1/AH26)는 주요 간선 도로망이며, 2차 및 3차 도로가 필라르, 카스티야, 소르소곤시, 카시구란, 후반, 이로신 등 대부분의 도시와 지방 자치 단체를 연결하며 페리 터미널이 있는 마트노그에서 끝난다.소르소곤주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유료도로 규제 위원회는 남 루손 고속도로의 연장선으로 유료 도로 5를 선언했다.[22] 420km의 4차선 고속도로는 현재 건설 중인 SLEX 유료 도로 4의 종점인 케손 시의 바랑가이 마야오에서 마트노그, 소르소곤, 마트노그 페리 터미널 근처까지 시작된다. 2020년 8월 25일, 산 미구엘 코퍼레이션은 루세나에서 마트노그까지의 이동 시간을 9시간에서 5.5시간으로 줄이는 이 프로젝트에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3]
6. 2. 항구
소르소곤주는 루손에서 비사야 제도로 가는 관문이며, 마트노그, 필라르, 불란 시에 롤온/롤오프 페리 터미널 시설을 갖추고 있다. 마트노그 페리 터미널은 북사마르 알렌으로 가는 페리를 운행한다.7. 문화
소르소곤 주민들은 비콜어와 비스아콜어를 사용하는 민족-언어 집단에 속하며, 대부분 로마 가톨릭교 신자이다. 이들은 1년 내내 축제에 활발하게 참여한다.
각 마을은 수호성인의 축일에 맞춰 축제를 연다. 예를 들어, 소르소곤 시에서는 매년 6월 28~29일에 베드로와 바울로를 기리는 축제를, 구밧에서는 6월 13일에 구밧 축제를 연다.[24] 마을 축제의 주요 볼거리 중 하나는 마을 중심부 근처에 설치되는 이동식 유원지이다.
식민지화 이전, 이 지역은 다양한 신들을 믿는 복잡한 종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17][18]
신 | 설명 |
---|---|
구구랑 | 마욘 산 안에 살며, 성스러운 불을 지키는 최고의 신. 사람들이 죄를 지으면 마욘 산에서 용암을 분출시켜 경고했다. |
아스왕 | 악신으로, 구구랑으로부터 마욘 산의 성스러운 불을 훔치려 했다. 말리나오 산에 살며 사람들에게 불행을 초래한다. |
할리야 | 달빛의 가면을 쓴 여신이자 바쿠나와의 숙적. 불란을 보호하며, 그녀의 숭배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된다. |
불란 | 창백한 달의 신. 사나운 짐승과 인어(마긴다라)를 길들일 만큼 아름다운 소년으로 묘사된다. |
마긴당 | 바다와 그 안의 모든 생물의 신. 달의 신 불란을 쫓지만 잡지 못한다. |
오콧 | 숲과 사냥의 신. |
바쿠나와 | 일식을 일으키는 거대한 바다 뱀 신. 할리야의 적이다.[20] |
소르소곤주에는 민다나오 출신의 무슬림 이민자, 중국인, 인도인 등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7. 1. 축제
소르소곤 주민들은 비콜어와 비스아콜어에 속하는 언어-민족 집단에 속하며,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 신자들이다. 이들은 1년 내내 축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각 마을은 수호성인의 축일에 맞춰 축제를 연다. 소르소곤 시에서는 매년 6월 28~29일에 베드로와 바울로를 기리는 축제를 연다. 마을 축제의 주요 볼거리 중 하나는 마을 중심부 근처에 설치되는 이동식 유원지이다. 구밧에서는 6월 13일에 구밧 축제가 열린다.[24]- '''카상가야한 축제''' — 10월 마지막 주에 주 전체에서 열리며, 소르소곤이 주로 지정된 것을 기념한다. 축제에는 문화, 역사, 종교, 농업 및 경제 활동이 포함되며, 특히 음식과 장식품과 같은 주의 풍부한 농산물을 선보인다. 축제의 주요 활동이자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이 지역 고유의 문화-민족 거리 춤인 판토미나 사 팀포이다. 수백 명의 남녀가 화려한 필리핀 전통 의상을 입고 맨발로 춤을 추며 도시를 행진한다.

- '''필리 축제''' — 소르소곤 시에서 개최되며, 이 지역 고유의 필리 너트와 나무를 기린다. 이 축제는 소르소곤 시의 마을 축제와 동시에 열린다. 축제에는 필리 너트 의상을 입은 지역 주민들의 거리 춤, 요리 경연, 불꽃놀이, 컬러 런,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길가 너트 깨기 행사 등이 포함된다.[24] 2024년 2월 21일, 농무부는 SM 시티 소르소곤에서 소르소고논의 필리 밀크를 공식적으로 출시했다. 이 제품은 필리 너트의 단단한 껍질 (외과피) 또는 커널로 만들어진다. 현재, 비콜 지역에는 142405ha 규모의 필리 농장을 경작하는 13,435명의 농부가 있다. 따라서 소르소곤 주 필리 개발 위원회는 이 지역을 "필리 필리핀 수도"로 선언해 줄 것을 청원할 것이다.[25]
- '''파라우 축제''' – 소르소곤 주 필라에서는 매년 10월 파라우 축제를 기념한다. 이 축제는 필라의 마을 축제와 동시에 열린다. 행사에는 고등학교 간 스포츠 축제, DLC 대회, 파라우 거리 춤 경연, 컬러 런, 팔라롱 바얀이 포함된다.
- '''기구밧 축제''' – 소르소곤 주 구밧에서 열리는 축제로, 마을 이름의 기원을 바탕으로 한다. 문화 거리 퍼레이드, 전시회, 범선 경주, 미인 대회, 축제 기념, 그리고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발릭 구밧과 같은 활동이 특징이다.
7. 2. 미신, 지역 전설 및 신념
식민지화 이전, 이 지역은 다양한 신들을 믿는 복잡한 종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신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7][18]- 구구랑: 마욘 산 안에 살며, 아스왕(마녀와 괴물의 지역 버전)과 그의 형제가 훔치려 했던 성스러운 불을 지키고 보호하는 최고의 신이다. 사람들이 그의 명령과 소망을 어기고 수많은 죄를 저지를 때마다, 마욘 산에서 용암을 분출시켜 사람들이 그릇된 길을 고치도록 경고했다. 고대 비콜라노족은 그를 위해 아탕이라고 불리는 의식을 수행했다.
- 아스왕: 악신으로, 항상 그의 형제인 구구랑으로부터 마욘 산의 성스러운 불을 훔치려고 한다. 때때로 아스왕이라고 불리며, 주로 말리나오 산 안에 산다. 그는 사람들에게 불행을 초래하고 죄를 짓게 한다.
- 할리야: 구구랑의 적이자 달의 신인 불란의 친구. 달빛의 가면을 쓴 여신이자 바쿠나와의 숙적이며 불란을 보호한다. 그녀의 숭배는 주로 여성으로 구성된다. 바쿠나와에 대한 대책으로 수행되는, 그녀의 이름을 딴 의식 춤도 있다.[19]
- 불란: 창백한 달의 신으로, 사나운 짐승과 사악한 인어(마긴다라)를 길들일 만큼 비범한 아름다움을 가진 사춘기 소년으로 묘사된다. 마긴당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지만, 마긴당이 그를 잡지 못하도록 도망가는 방식으로 그를 놀린다. 그 이유는 사랑하는 남자에게 수줍어하기 때문이다. 마긴당이 불란을 잡으면, 할리야는 항상 그를 마긴당의 손아귀에서 풀어준다.
- 마긴당: 바다와 그 안의 모든 생물의 신이다. 달의 신 불란에게 깊은 애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를 잡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쫓는다. 이 때문에 비콜라노족은 먼 지평선에서 볼 때 파도가 달에 닿기 위해 솟아오르는 이유라고 추론했다. 그가 불란을 따라잡을 때마다, 할리야는 불란을 구출하고 즉시 그를 풀어준다.
- 오콧: 숲과 사냥의 신이다.
- 바쿠나와: 일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자주 여겨지는 거대한 바다 뱀 신으로, 태양과 정오를 삼키는 자이며, 영원히 불란을 보호하겠다고 맹세한 할리야의 적이다.[20]
7. 3. 소수 민족
소르소곤주에는 길거리 노점상과 소규모 상점을 운영하는 민다나오 출신의 무슬림 이민자들이 있다. 모스크는 시 외곽의 시티오 볼랑간 내부에 위치해 있다. 상당수의 소규모 중국인들은 철물점과 상품점을 소유하고 있으며, 상업 중심지에 거주하고 있다. 인도인 공동체도 존재하며 힌두교 신자들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파이브-식스"라고 불리는 고리대금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Sorsogon
http://sorsogon.gov.[...]
2010-06-06
[2]
웹사이트
Sorsogon, Where Comes the World's Largest Fish
http://philagribiz.c[...]
2010-06-06
[3]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https://dirp4.pids.g[...]
1992
[4]
서적
The Philippine Economy: Development, Policies, and Challen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6]
서적
Rebellion and repression in the Philippin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7]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
[8]
서적
The Philippines reader : a history of colonialism, neocolonialism, dictatorship, and resistance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7
[9]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0]
웹사이트
Jesse Robredo: What is it about Naga? -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3
[11]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Three Martyrs of Bulan
https://bulanobserve[...]
2013-01-10
[12]
웹사이트
A nation of heroes
https://mb.com.ph/20[...]
[1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8806 - An Act Creating the City of Sorsogon by Merging the Municipalities of Bacon and Sorsogon in the Province of Sorsogon and Appropriating Funds Therefor
http://www.congress.[...]
2000-08-16
[14]
웹사이트
Census 2000; Population and Housing; Region V
http://www.nsobicol.[...]
[15]
웹사이트
2007 Census
https://www.census.g[...]
[16]
웹사이트
Sts. Peter and Paul Cathedral Sorsogon City, Sorsogon, Bicol, Philippines
http://www.gcatholic[...]
[17]
웹사이트
Asuang Steals Fire from Gugurang by Damiana L. Eugenio
http://www.ourownvoi[...]
[18]
Youtube
The Aswang Phenomenon
https://www.youtube.[...]
2011
[19]
웹사이트
Inquirer NewsInfo: Bicol Artist protest Natl. Artist awardees
http://newsinfo.inqu[...]
[20]
웹사이트
GMANews: Eclipse; Bakunawa eats the sun behind a curtain of clouds
http://www.gmanews.t[...]
2010-01-15
[21]
웹사이트
Sorsogon
https://pia.gov.ph/p[...]
[22]
웹사이트
SLEX Toll Road 5 to connect Quezon province to Sorsogon
https://www.yugatech[...]
2020-08-18
[23]
웹사이트
San Miguel investing P122B for SLEX Toll Road 5, Pasig River Expressway projects
https://www.gmanetwo[...]
2020-08-25
[24]
웹사이트
Festivals in Sorsogon
http://www.sorsogont[...]
2010-06-06
[25]
뉴스
DA readies interventions for farmers eyeing pili milk production
https://www.pna.gov.[...]
2024-02-27
[26]
웹인용
Census 2000; Population and Housing; Region V
http://www.nsobicol.[...]
2016-06-29
[27]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8]
Wikidata
2000
[29]
Wikidata
2003
[30]
Wikidata
2006
[31]
Wikidata
2012
[32]
Wikidata
2015
[33]
Wikidata
2018
[34]
Wikidata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