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리가이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힐리가이논어는 필리핀 일로일로 지역에서 유래된 언어로, 일롱고어라고도 불린다. 스페인 탐험가들의 기록에 따르면 파나이 섬 일로일로 해안 사람들을 '힐리가이논'이라 불렀으며, 'Hiligaynon'은 강물이 흐르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힐리가이논어는 주로 일로일로주에서 사용되며, 방언 연구는 미미하지만 도시 힐리가이논어, 바콜로드논 힐리가이논어 등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문법적으로 세부아노어와 유사하며, 스페인어에서 파생된 어휘를 많이 사용한다.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동사의 초점을 나타내는 독특한 문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요 작가로는 피터 솔리스 네리, 안토니오 레데스마 하이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사야어군 - 타우수그어
타우수그어는 술루 제도 타우수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비사야어군에 속하며 술랏 수그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아랍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어가 많다. - 비사야어군 - 아클라논어
아클라논어는 필리핀 아클란 주에서 쓰이는 언어로 악란, 악라노 등으로도 불리며 21개 음소를 가지고 비사야어군 언어와 유사하고 말라이논어와 어휘 공유율이 높으며 아클라논어 시인 멜초르 F. 시촌의 시 "어머니"는 필리핀 콜레지언에 실린 첫 아클라논어 시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힐리가이논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힐리가이논어 |
다른 이름 | 일롱고어 |
고유 이름 | Hiniligaynon (힐리가이논어) Inilonggo (이롱고어) |
발음 | IPA: |
사용 국가 | 필리핀 |
사용 지역 | 서비사야 지방 네그로스 섬 지방 소크사르젠 지방 마스바테 주 남서부 해안 팔라완 주 민도로 주 남부 일부 롬블론 주 일부 북민다나오 지방 일부 |
사용자 | 힐리가이논족 |
언어 사용자 수 (2010년) | 약 780만 명 |
전체 사용자 수 | 910만 명 |
필리핀 내 모국어 화자 수 순위 | 4위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필리핀어군 |
하위 어군 | 중앙필리핀어군 |
세부 어군 | 비사야어군 |
더 세부 어군 | 중앙 비사야어군 |
방언 | 표준 힐리가이논어 (일로일로 주 방언) 도시 힐리가이논어 (메트로 일로일로 방언) 기마라스논 힐리가이논어 바콜로드논 힐리가이논어 (메트로 바콜로드 방언) 네그렌세 힐리가이논어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 방언) 민다나오 힐리가이논어 |
문자 | 라틴 문자 (힐리가이논 알파벳) 힐리가이논 점자 역사적으로 바Baybayin 문자 (c. 13세기–19세기) |
소수 언어 | 필리핀 |
관리 기관 | 필리핀 언어 위원회 |
ISO 639-2 | hil |
ISO 639-3 | hil |
Glottolog | hili1240 |
Glottolog 참조 | Hiligaynon |
언어 분포도 | |
![]() |
2. 명칭
힐리가이논어는 일로일로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일롱고어'''라고도 불린다.[9]
초기 스페인 탐험가들의 기록에 따르면, '힐리가이논'이라는 명칭은 파나이 섬 일로일로 해안('Ilawod') 사람들에게서 유래되었으며, 미겔 데 로아르카는 이들을 'Yligueynes'라고 불렀다.[10] 'Hiligaynon'은 강물이 흐르는 것을 의미하는 일릭/ilighil('아래로 내려가다')에서 유래했다.[11] 'Kinaray-a'는 스페인 식민지배자들이 'Arayas'라고 부르던 사람들이 사용하던 언어로, 이라야/Irayahil 또는 타가이라야/taga-Irayahil, 더 널리 사용되는 'Karay-a'('고지대 사람들' - 'Iraya'/'고지대' 사람들)에 대한 스페인어 오해일 수 있다.[11]
3. 역사
4. 분류
4. 1. 방언
많은 필리핀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힐리가이논어에 대한 방언학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표준 힐리가이논어는 주로 주 북부와 동부 지역인 일로일로주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이 방언은 더 전통적이고 광범위한 어휘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일로일로-기마라스 대도시권에서 사용되는 도시 힐리가이논어 방언은 더 단순화되거나 현대적인 어휘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 힐리가이논어에서 '방황하다', '걷다', '산책하다'라는 의미의 단어는 라가우/lágawhil이며, 이는 대부분의 힐리가이논어 사용자들이 널리 사용한다. 반면 표준 힐리가이논어에서는 다얀/dayánhil이 더 흔하게 사용되며, 다른 방언에서는 거의 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표준 힐리가이논어에서 아모 이니/amó iníhil('이것이다')는 도시 힐리가이논어에서는 모니/'mó'níhil로 단순화될 수 있다.
표준 힐리가이논어와 도시 힐리가이논어 외에도 널리 알려진 다른 방언으로는 바콜로드논 힐리가이논어(바콜로드 대도시권 방언), 네그렌세 힐리가이논어(북부, 중부, 남부 네그렌세 힐리가이논어의 세 가지 하위 변형으로 구성된 네그로스오시덴탈주 방언), 기마라스 힐리가이논어, 그리고 민다나오 힐리가이논어가 있다. 후자는 세부아노어와 기타 언어를 통합했는데, 이는 세부, 보홀, 시키호르 및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민다나오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소크사르겐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기 때문이다.[12]
일부 원어민들은 또한 키나라야어(히니라야 또는 안티케뇨라고도 함)와 카피스논어를 힐리가이논어의 방언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언어학자들은 키나라야어를 서부 비사야어, 카피스논어는 힐리가이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부 비사야어로 분류했다.[13][14]
4. 1. 1. 관련 언어
H. 오틀리 베이어(H. Otley Beyer)와 다른 인류학자들에 따르면, ‘''비사얀''’(''Visayan'')이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파나이섬 사람들과 네그로스의 동쪽에 있는 그들의 정착지, 현재의 롬블론 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북쪽의 작은 제도에만 적용되었다. 사실,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 초기에 스페인 제국 사람들은 ‘''비사얀''’(''Visayan'')이라는 그 용어를 단지 그 지역을 나타내는데만 사용했다. 반면 세부, 보홀, 레이테의 사람들은 오랫동안 핀타도스로만 알려져 왔다. ''비사얀''’(''Visayan'')이라는 이름은 이후 다른 지방까지 확장되었는데, 초창기 저자들이 언급한 것처럼, 그들의 언어가 파나이섬의 비사야 방언과 밀접하게 맺어져 있었기 때문이었다.[37]
5. 음운
5. 1. 자음
힐리가이논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순음 | 치음/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colspan="2" | | ŋ | ||||||
파열음 | p | b | t | d | colspan="2" | | k | ɡ | ʔ | ||
마찰음 | colspan="2" | | s | colspan="2" | | colspan="2" | | h | |||||
탄음 | colspan="2" | | ɾ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w | l | j | colspan="2" | |
/d/와 /ɾ/는 한때 이음이었으나, 현재는 상호 교환될 수 없다.
5. 2. 모음
힐리가이논어의 주요 모음은 /a/, /i ~ ɛ/, /o ~ ʊ/, /u/이다. /i/와 /ɛ/, /ʊ/와 /o/는 각각 변이음 관계이다. /i/는 음절의 시작과 중간, 때로는 마지막에 사용되고, /ɛ/는 마지막 음절에 사용된다. 모음 /ʊ/는 항상 음절의 시작 부분에 사용되고, /o/는 항상 음절의 끝 부분에 사용된다.6.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20세기 후반까지 힐리가이논어는 스페인어 표기법을 따라 널리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힐리가이논어에 대한 공식적으로 인정된 표준 표기법은 없으며, 필자마다 다른 표기법을 따를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세대에서는 필리핀어의 현재 표기 규칙을 기반으로 힐리가이논어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은 표기법에서 필리피노어의 표기법에서 나타나지 않는 두드러진 특징은 /k/를 나타낼 때 "c"와 "qu"를 사용하고 (현재는 모든 경우에 "k"로 대체됨) "w" 문자가 없다는 것이다 ("u"는 이전에는 특정 경우에 사용되었다).
핵심 알파벳은 힐리가이논어의 자음과 모음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20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자는 대문자와 소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기호 | A a | B b | K k | D d | E e | G g | H h | I i | L l | M m | |||
---|---|---|---|---|---|---|---|---|---|---|---|---|---|
이름 | 아 | 바 | 카 | 다 | 에 | 가 | 하 | 이 | 라 | 마 | |||
발음 | [a/ə] | [aw] | [aj] | [b] | [k] | [d] | [ɛ/e] | [ɡ] | [h] | [ɪ/i] | [ɪo] | [l] | [m] |
문맥 | a | aw/ao | ay | b | k | d | e | g | h | i | iw/io | l | m |
기호 | N n | Ng ng | O o | P p | R r | S s | T t | U u | W w | Y y | |||
---|---|---|---|---|---|---|---|---|---|---|---|---|---|
이름 | 나 | 응가 | 오 | 파 | 라 | 사 | 타 | 우 | 와 | 야 | |||
발음 | [n] | [ŋ] | [ɔ/o] | [oj] | [p] | [r] | [s] | [ʃʲ] | [t] | [ʊ/u] | [w] | [j] | |
문맥 | n | ng | o | oy | p | r | s | sy | t | u | ua | w | y |
작은따옴표(')와 하이픈(-)도 힐리가이논어 표기에 나타나며, 별도의 문자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하이픈은 ''san-o''(언제/san-ohil), ''gab-e''(저녁, 밤/gab-ehil)처럼 어떤 단어의 중간에 성문파열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adlaw-adlaw''(매일/adlaw-adlawhil)와 같이 중첩어가 존재하는 단어를 연결할 때도 사용된다. 그러나 ''pispis''(새/pispishil)와 같이 첩어를 표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것이 항상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이픈은 /g/와 /ŋ/의 연속적인 소리가 있는 단어에서도 사용되어 NG 이중 자음의 문자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gin-gaan''(주어졌다/gin-gaanhil)과 같이 하이픈이 없으면 gingaanhil (/gi.ŋaʔan/)으로 읽히지만, /gin.gaʔan/으로 읽어야 한다. 또한 일부 영어 문자가 차용어에 사용될 수 있다.
6. 1. 자모
힐리가이논어 알파벳은 20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은 표기법에서는 /k/를 나타낼 때 'c'와 'qu'를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k'로 대체되었다.기호 | A a | B b | K k | D d | E e | G g | H h | I i | L l | M m | |||
---|---|---|---|---|---|---|---|---|---|---|---|---|---|
이름 | 아 | 바 | 카 | 다 | 에 | 가 | 하 | 이 | 라 | 마 | |||
발음 | [a/ə] | [aw] | [aj] | [b] | [k] | [d] | [ɛ/e] | [ɡ] | [h] | [ɪ/i] | [ɪo] | [l] | [m] |
문맥 | a | aw/ao | ay | b | k | d | e | g | h | i | iw/io | l | m |
기호 | N n | Ng ng | O o | P p | R r | S s | T t | U u | W w | Y y | |||
---|---|---|---|---|---|---|---|---|---|---|---|---|---|
이름 | 나 | 응가 | 오 | 파 | 라 | 사 | 타 | 우 | 와 | 야 | |||
발음 | [n] | [ŋ] | [ɔ/o] | [oj] | [p] | [r] | [s] | [ʃʲ] | [t] | [ʊ/u] | [w] | [j] | |
문맥 | n | ng | o | oy | p | r | s | sy | t | u | ua | w | y |
작은따옴표(')와 하이픈(-)도 힐리가이논어 표기에 나타나며, 별도의 문자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하이픈은 ''san-o''(언제/san-ohil), ''gab-e''(저녁, 밤/gab-ehil)처럼 어떤 단어의 중간에 성문파열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adlaw-adlaw''(매일/adlaw-adlawhil)와 같이 중첩어가 존재하는 단어를 연결할 때도 사용된다. 그러나 ''pispis''(새/pispishil)와 같이 첩어를 표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것이 항상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이픈은 /g/와 /ŋ/의 연속적인 소리가 있는 단어에서도 사용되어 NG 이중 자음의 문자를 구분한다. 예를 들어 ''gin-gaan''(주어졌다/gin-gaanhil)과 같이 하이픈이 없으면 gingaanhil (/gi.ŋaʔan/)으로 읽히지만, /gin.gaʔan/으로 읽어야 한다. 또한 일부 영어 문자가 차용어에 사용될 수 있다.
7. 문법
이 언어는 세부아노어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단어는 다소 다르지만,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29]
또한 이 언어는 링커에서 -ng을 사용하지 않고, 모두 nga로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예: maayo nga tawo(좋은 사람)).[29]
=== 한정어 ===
힐리가이논어에는 세 가지 유형의 격조사(절대격, 능격, 간접격)가 있다.[38][15] 이러한 격조사는 인칭/비인칭, 단수/복수로 구분된다.[38][15] 복수 비인칭 격조사는 단수 비인칭 격조사에 'mga'(/maŋa/에서 줄임말)를 붙여 만든다.[38][15]
절대격 | 능격 | 사격 | |
---|---|---|---|
단수 비인칭 | 앙/anghil | 상/sanghil, 싱/singhil* | 사/sahil |
복수 비인칭 | 앙 망아/ang mgahil | 상 망아/sang mgahil, 싱 망아/sing mgahil* | 사 망아/sa mgahil |
단수 인칭 | 시/sihil | 니/nihil | 카이/kayhil |
복수 인칭** | 산다이/sandayhil | 난다이/nandayhil | 칸다이/kandayhil |
(*) 관사 싱/singhil와 싱 망아/sing mgahil는 뒤따르는 명사가 부정임을 의미하는 반면, 상/sanghil는 영어에서 "the"와 대조되는 "a"의 사용과 같이 특정 명사를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 언어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상/sanghil으로 대체된다. 힐리가이논어로 번역된 성경의 보수적인 번역과 전통적이거나 격식을 갖춘 연설에서 나타난다.[15]
(**) 복수 인칭 격 표시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며 모든 화자에 의해 사용되지도 않는다. 대부분 사용되지 않지만, 스페인어 차용어를 적게 사용하며 힐리가이논어의 더 전통적인 형태를 말할 때 가끔 사용되는 격 표지의 예이다.[15]
격 표지는 어떤 명사가 주어이고 어떤 명사가 목적어인지 결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동사의 접사가 이를 결정하지만, 앙/anghil로 표시된 명사는 항상 주제이다.[15]
≈ | |
'그 남자가 빵을 먹었다' | 빵은 그 남자에게 먹혔다 (직역) |
=== 대명사 ===
힐리가이논어의 인칭 대명사는 절대격, 능격(후치, 전치), 사격으로 구분된다.
절대격 | 능격₁ (후치) | 능격₂ (전치) | 사격 | |
---|---|---|---|---|
1인칭 단수 | 아코/akohil, 코/kohil | 나콘/nakonhil, 코/kohil | 아콘/akonhil | 사 아콘/sa akonhil |
2인칭 단수 | 이카우/ikawhil, 카/kahil | 니모/nimohil, 모/mohil | 이모/imohil | 사 이모/sa imohil |
3인칭 단수 | 시야/siyahil | 니야/niyahil | 이야/iyahil | 사 이야/sa iyahil |
1인칭 복수 포함 | 키타/kitahil | 나톤/natonhil, 타/tahil | 아톤/atonhil | 사 아톤/sa atonhil |
1인칭 복수 배타 | 카미/kamihil | 나몬/namonhil | 아몬/amonhil | 사 아몬/sa amonhil |
2인칭 복수 | 카모/kamohil | 닌요/ninyohil | 인요/inyohil | 사 인요/sa inyohil |
3인칭 복수 | 실라/silahil | 닐라/nilahil | 일라/ilahil | 사 일라/sa ilahil |
지시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와의 거리에 따라 구분된다.
절대격 | 능격/사격 | 처격 | 존재 | |
---|---|---|---|---|
''화자에게 가장 가까운 대상 (이것, 여기 | 이니/iníhil | 시니/siníhil | 디리/diríhil | (이)아리/(y)árihil |
''청자에게 가깝거나, 화자와 청자로부터 약간 떨어진 대상 (저것, 거기 | 이나/inâhil | 시나/sinâhil | 디라/dirâhil | (이)아라/(y)aràhil |
''멀리 떨어진 대상 (저쪽, 저기 | 아토/atóhil | 사드토/sadtóhil | 디드토/didtóhil | (이)아(드)토/(y)á(d)tohil |
이 외에도, '화자에게 오다'를 의미하는 카리/karíhil, '저쪽으로 가다'를 의미하는 카드토/kadtohil라는 두 개의 동사 지시사가 있다.
=== 동사 ===
힐리가이논어에서 동사는 문장의 초점(focus)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요소이다.[16] 초점은 행위자, 목표, 지시 대상, 부속물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동사 접사와 초점이 맞춰진 명사 앞에 오는 특수 입자를 통해 표시된다.[16]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그 남자'''가 누이를 위해 시장에서 쌀을 훔치고 있다."와 같이 억양 변화나 능동태/수동태 구문을 사용하여 문장의 특정 부분을 강조한다. 반면 힐리가이논어에서는 동사 접사를 사용하여 초점을 표현한다.
- '''Naga'''kawat '''ang lalaki''' sang bugas sa tinda para sa iya utod.hil ('''Naga'''kawat: 행위자 초점)
- '''Gina'''kawat sang lalaki '''ang bugas''' sa tinda para sa iya utod.hil ('''Gina'''kawat: 목표 초점)
- '''Gina'''kawat'''an''' sang lalaki sang bugas '''ang tinda''' para sa iya utod.hil ('''Gina'''kawat'''an''': 지시 대상 초점)
- '''Gina'''kawat'''an''' sang lalaki sang bugas sa tinda '''para sa iya utod'''.hil ('''Gina'''kawat'''an''': 부속물 초점)
위 예시에서 lalakihil는 '남자', kawathil는 '훔치다', bugashil는 '쌀', tindahil는 '시장', utodhil는 '형제'를 의미한다.[16]
힐리가이논어의 동사 트리거, 모드 및 양상 접사는 아래 표와 같다.[17]
힐리가이논어는 중첩을 통해 문법적, 의미적 기능을 나타낸다. 동사 어근의 중첩은 주로 비완료성, 비종결성, 점진성 등을 나타낸다.[18][19] 예를 들어,
- Nag-a- hìbî-híbî ang bátâ.hil (아이가 계속 울고 있다.)[19]
- Nag-a- tinlò-tinlò akó sang lamésahil (나는 그냥 테이블을 닦고 있다(아무렇게나).)[19]
- Nag-a- kàon-káon lang silá sang nag-abót ang íla bisíta.hil (그들은 방문객이 도착했을 때 그냥 먹고 있었다.)[19]
형용사 어근과 함께 사용될 때는 품질의 점진성,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20][21]
- Iní nga kwárto ma-dulùm-dulúm sang sa sinâhil (이 방은 저 방보다 더 어둡다.)[20]
- Ma-àyo-áyo na ang reló.hil (시계가 거의 고쳐졌다.)
- Ma-àyo-ayó na akó.hil (나는 그럭저럭이다.)
=== 기타 품사 ===
힐리가이논어에는 영어 동사 "to be"에 해당하는 직접적인 번역어가 없다. 하지만 접두사 망인-/mangin-hil과 낭인-/nangin-hil은 각각 "될 것이다"와 "되었다"를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나미 망인 망가라논./Manamì mangín manggaránon.hil"(부자가 되는 것은 좋다)와 같이 쓰인다.
스페인어 동사 에스타르/estares ('to be')도 힐리가이논어 어휘의 일부가 되었지만, 그 의미와 발음은 변경되었다. 힐리가이논어에서는 이스타르/istarhil로 발음되며 '살다(in)/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나가이스타르 아코 사 타부크 수바./Nagaistar ako sa tabuk suba.hil"는 '나는 타부크 수바에 산다'를 뜻하며, 타부크 수바/Tabuk subahil는 '강 건너편'으로 번역되며 일로일로 자로에 있는 바랑가이이다.
개체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마이/mayhil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나는 개를 가지고 있다"는 "마이 이도 (아)코/May idô (a)kohil"이다.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연결사 응아/ngahil가 둘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이도 응아 이톰/Ido nga itomhil”은 '검은 개'를 의미한다. 때때로 연결사 앞에 모음, 성문 파열음 또는 문자 N으로 끝나는 단어가 오면, 필리핀어처럼 '-ng'로 축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사 카/kahil는 숫자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눔 카 이도/Anum ka idohil"는 '개 여섯 마리'를 뜻한다.
7. 1. 한정어
힐리가이논어에는 세 가지 유형의 격조사(절대격, 능격, 간접격)가 있다.[38][15] 이러한 격조사는 인칭/비인칭, 단수/복수로 구분된다.[38][15] 복수 비인칭 격조사는 단수 비인칭 격조사에 'mga'(/maŋa/에서 줄임말)를 붙여 만든다.[38][15]절대격 | 능격 | 사격 | |
---|---|---|---|
단수 비인칭 | 앙/anghil | 상/sanghil, 싱/singhil* | 사/sahil |
복수 비인칭 | 앙 망아/ang mgahil | 상 망아/sang mgahil, 싱 망아/sing mgahil* | 사 망아/sa mgahil |
단수 인칭 | 시/sihil | 니/nihil | 카이/kayhil |
복수 인칭** | 산다이/sandayhil | 난다이/nandayhil | 칸다이/kandayhil |
(*) 관사 싱/singhil와 싱 망아/sing mgahil는 뒤따르는 명사가 부정임을 의미하는 반면, 상/sanghil는 영어에서 "the"와 대조되는 "a"의 사용과 같이 특정 명사를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 언어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상/sanghil으로 대체된다. 힐리가이논어로 번역된 성경의 보수적인 번역과 전통적이거나 격식을 갖춘 연설에서 나타난다.[15]
(**) 복수 인칭 격 표시는 자주 사용되지 않으며 모든 화자에 의해 사용되지도 않는다. 대부분 사용되지 않지만, 스페인어 차용어를 적게 사용하며 힐리가이논어의 더 전통적인 형태를 말할 때 가끔 사용되는 격 표지의 예이다.[15]
격 표지는 어떤 명사가 주어이고 어떤 명사가 목적어인지 결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동사의 접사가 이를 결정하지만, 앙/anghil로 표시된 명사는 항상 주제이다.[15]
≈ | |
'그 남자가 빵을 먹었다' | 빵은 그 남자에게 먹혔다 (직역) |
7. 2. 대명사
힐리가이논어의 인칭 대명사는 절대격, 능격(후치, 전치), 사격으로 구분된다.절대격 | 능격₁ (후치) | 능격₂ (전치) | 사격 | |
---|---|---|---|---|
1인칭 단수 | 아코/akohil, 코/kohil | 나콘/nakonhil, 코/kohil | 아콘/akonhil | 사 아콘/sa akonhil |
2인칭 단수 | 이카우/ikawhil, 카/kahil | 니모/nimohil, 모/mohil | 이모/imohil | 사 이모/sa imohil |
3인칭 단수 | 시야/siyahil | 니야/niyahil | 이야/iyahil | 사 이야/sa iyahil |
1인칭 복수 포함 | 키타/kitahil | 나톤/natonhil, 타/tahil | 아톤/atonhil | 사 아톤/sa atonhil |
1인칭 복수 배타 | 카미/kamihil | 나몬/namonhil | 아몬/amonhil | 사 아몬/sa amonhil |
2인칭 복수 | 카모/kamohil | 닌요/ninyohil | 인요/inyohil | 사 인요/sa inyohil |
3인칭 복수 | 실라/silahil | 닐라/nilahil | 일라/ilahil | 사 일라/sa ilahil |
지시 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와의 거리에 따라 구분된다.
절대격 | 능격/사격 | 처격 | 존재 | |
---|---|---|---|---|
''화자에게 가장 가까운 대상 (이것, 여기 | 이니/iníhil | 시니/siníhil | 디리/diríhil | (이)아리/(y)árihil |
''청자에게 가깝거나, 화자와 청자로부터 약간 떨어진 대상 (저것, 거기 | 이나/inâhil | 시나/sinâhil | 디라/dirâhil | (이)아라/(y)aràhil |
''멀리 떨어진 대상 (저쪽, 저기 | 아토/atóhil | 사드토/sadtóhil | 디드토/didtóhil | (이)아(드)토/(y)á(d)tohil |
이 외에도, '화자에게 오다'를 의미하는 카리/karíhil, '저쪽으로 가다'를 의미하는 카드토/kadtohil라는 두 개의 동사 지시사가 있다.
7. 3. 동사
힐리가이논어에서 동사는 문장의 초점(focus)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요소이다.[16] 초점은 행위자, 목표, 지시 대상, 부속물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지며, 동사 접사와 초점이 맞춰진 명사 앞에 오는 특수 입자를 통해 표시된다.[16]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그 남자'''가 누이를 위해 시장에서 쌀을 훔치고 있다."와 같이 억양 변화나 능동태/수동태 구문을 사용하여 문장의 특정 부분을 강조한다. 반면 힐리가이논어에서는 동사 접사를 사용하여 초점을 표현한다.
- '''Naga'''kawat '''ang lalaki''' sang bugas sa tinda para sa iya utod.hil ('''Naga'''kawat: 행위자 초점)
- '''Gina'''kawat sang lalaki '''ang bugas''' sa tinda para sa iya utod.hil ('''Gina'''kawat: 목표 초점)
- '''Gina'''kawat'''an''' sang lalaki sang bugas '''ang tinda''' para sa iya utod.hil ('''Gina'''kawat'''an''': 지시 대상 초점)
- '''Gina'''kawat'''an''' sang lalaki sang bugas sa tinda '''para sa iya utod'''.hil ('''Gina'''kawat'''an''': 부속물 초점)
위 예시에서 lalakihil는 '남자', kawathil는 '훔치다', bugashil는 '쌀', tindahil는 '시장', utodhil는 '형제'를 의미한다.[16]
힐리가이논어의 동사 트리거, 모드 및 양상 접사는 아래 표와 같다.[17]
힐리가이논어는 중첩을 통해 문법적, 의미적 기능을 나타낸다. 동사 어근의 중첩은 주로 비완료성, 비종결성, 점진성 등을 나타낸다.[18][19] 예를 들어,
- Nag-a- hìbî-híbî ang bátâ.hil (아이가 계속 울고 있다.)[19]
- Nag-a- tinlò-tinlò akó sang lamésahil (나는 그냥 테이블을 닦고 있다(아무렇게나).)[19]
- Nag-a- kàon-káon lang silá sang nag-abót ang íla bisíta.hil (그들은 방문객이 도착했을 때 그냥 먹고 있었다.)[19]
형용사 어근과 함께 사용될 때는 품질의 점진성,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20][21]
- Iní nga kwárto ma-dulùm-dulúm sang sa sinâhil (이 방은 저 방보다 더 어둡다.)[20]
- Ma-àyo-áyo na ang reló.hil (시계가 거의 고쳐졌다.)
- Ma-àyo-ayó na akó.hil (나는 그럭저럭이다.)
7. 4. 기타 품사
힐리가이논어에는 영어 동사 "to be"에 해당하는 직접적인 번역어가 없다. 하지만 접두사 망인-/mangin-hil과 낭인-/nangin-hil은 각각 "될 것이다"와 "되었다"를 의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나미 망인 망가라논./Manamì mangín manggaránon.hil"(부자가 되는 것은 좋다)와 같이 쓰인다.스페인어 동사 에스타르/estares ('to be')도 힐리가이논어 어휘의 일부가 되었지만, 그 의미와 발음은 변경되었다. 힐리가이논어에서는 이스타르/istarhil로 발음되며 '살다(in)/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나가이스타르 아코 사 타부크 수바./Nagaistar ako sa tabuk suba.hil"는 '나는 타부크 수바에 산다'를 뜻하며, 타부크 수바/Tabuk subahil는 '강 건너편'으로 번역되며 일로일로 자로에 있는 바랑가이이다.
개체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마이/mayhil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나는 개를 가지고 있다"는 "마이 이도 (아)코/May idô (a)kohil"이다.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연결사 응아/ngahil가 둘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이도 응아 이톰/Ido nga itomhil"은 '검은 개'를 의미한다. 때때로 연결사 앞에 모음, 성문 파열음 또는 문자 N으로 끝나는 단어가 오면, 필리핀어처럼 '-ng'로 축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사 카/kahil는 숫자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눔 카 이도/Anum ka idohil"는 '개 여섯 마리'를 뜻한다.
8. 어휘
힐리가이논어는 santohil(santoes, '성인')와 같은 명사, berdehil(verdees, '녹색')와 같은 형용사, anteshil(anteses, '전')와 같은 전치사, perohil(peroes, '하지만')와 같은 접속사를 포함하여 스페인어에서 파생된 많은 단어를 가지고 있다.
근세 시대에 발명되거나 도입된 물질적 품목과 추상적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에는 barkohil (barcoes, '배'), sapatoshil (zapatoses, '신발'), kutsilyohil (cuchilloes, '칼'), kutsarahil (cucharaes, '숟가락'), tenedorhil ('포크'), platohil ('접시'), kamisetahil (camisetaes, '셔츠'), kambiyohil (cambioes, '변화', 돈과 같은 의미) 등이 있다. 스페인어 동사는 힐리가이논어로 부정사 형태로 통합된다: edukarhil, kantarhil, mandarhil, pasarhil. 이는 세부아노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도 해당된다. 반면에, 스페인어 동사가 타갈로그어에 통합되는 것은 대부분, 비록 반드시 파생된 것은 아니지만, vos 형태와 유사하다 명령법: edukátl, kantátl, mandátl, pasátl. 주목할 만한 예외로는 andartl, pasyaltl (paseares에서 유래) 및 sugaltl (jugares에서 유래)이 있다.
힐리가이논어는 고유어와 스페인어 계열의 숫자 체계를 모두 사용한다.
수 | 힐리가이논 |
---|---|
1 | Isá |
2 | Duhá |
3 | Tatlo |
4 | Apat |
5 | Limá |
6 | Ánom |
7 | Pitó |
8 | Waló |
9 | Siyám |
10 | Púlô |
100 | Gatús |
1000 | Libó |
첫째 | Tig-una |
둘째 | Ika-duhá |
셋째 | Ikatlo / Ika-tatlo |
넷째 | Ikap-at / ika-apat |
다섯째 | Ika-limá |
여섯째 | Ikan-um / ika-anum |
일곱째 | Ika-pitó |
여덟째 | Ika-waló |
아홉째 | Ika-siyám |
열번째 | Ika-pulò |
8. 1. 수사
힐리가이논어는 고유어와 스페인어 계열의 숫자 체계를 모두 사용한다.수 | 힐리가이논 |
---|---|
1 | Isá |
2 | Duhá |
3 | Tatlo |
4 | Apat |
5 | Limá |
6 | Ánom |
7 | Pitó |
8 | Waló |
9 | Siyám |
10 | Púlô |
100 | Gatús |
1000 | Libó |
첫째 | Tig-una |
둘째 | Ika-duhá |
셋째 | Ikatlo / Ika-tatlo |
넷째 | Ikap-at / ika-apat |
다섯째 | Ika-limá |
여섯째 | Ikan-um / ika-anum |
일곱째 | Ika-pitó |
여덟째 | Ika-waló |
아홉째 | Ika-siyám |
열번째 | Ika-pulò |
9. 예시
9. 1. 기본 표현
영어 | 힐리가이논어 |
---|---|
예. | 후오./Húo.hil |
아니요. | 인디./Indî.hil |
감사합니다. | 살라맛./Salamat.hil |
정말 감사합니다! | 살라맛 깃. / 마다모 깃 응아 살라맛!/Salamat gid. / Madamò gid nga salamat!hil |
죄송합니다. | 파타와론 모 아코. / 파사이로하 코. / 파센샤혼 모 아코. / 파센샤 나./Patawaron mo ako. / Pasayloha 'ko. / Pasensyahon mo ako. / Pasensya na.hil |
도와주세요! | 불리기 (아)코! / 타방기 (아)코!/Buligi (a)ko! / Tabangi (a)ko!hil |
맛있어요! | 나밋!/Namit!hil |
안녕히 가세요 (작별을 의미하는 데에도 사용됨) | 할롱./Halong.hil |
화났어요/무서워요? | 아키그/하들록 카?/Akig/hadlok ka?hil |
기뻐요/슬퍼요? | 날리파이/나수보안 카?/Nalipay/Nasubo-an ka?hil |
모르겠어요/몰랐어요 | 암봇 / 왈라 코 카발로 / 왈라 코 나발안/Ambot / Wala ko kabalo / Wala ko nabal-anhil |
상관없어요 | 와아이 코 라봇!/Wa-ay ko labot!hil |
정말 훌륭해요/놀라워요! | 나미나미 바!/Námì-námì ba!hil / 나미 아!/Nami ah!hil |
이것/저것이 좋아요! | 나나미안 코 시니/시나!/Nanámìan ko sini/sina!hil |
사랑해요. | 팔랑가 타 카. / 기나히구그마 코 이카우./Palangga ta ka. / Ginahigugma ko ikaw.hil |
안녕! | 쿠무스타/마아용 아들라우/Kumusta/Maayong adlawhil () |
좋은 아침입니다. | 마아용 아가./Maayong aga.hil |
점심 식사 맛있게 드세요. | 마아용 우그토/마아용 우드토/Maayong ugto/Maayong udtohil |
안녕하세요. | 마아용 하폰./Maayong hapon.hil |
좋은 저녁입니다. | 마아용 가브이./Maayong gab-i.hil |
어떻게 지내세요? | 카무스타 카?/카무스타 이카우?/무스타 나?/Kamusta ka?/Kamusta ikaw?/Musta na?hil (격식없이) |
저는 괜찮아요. | 마아요 만./Maayo man.hil |
저는 괜찮아요, 당신은요? | 마아요 만, 이카우 야?/Maayo man, ikaw ya?hil |
몇 살이세요? | 필라 나 앙 에다드 (니)모? / 아노 앙 에다드 모? / 필라 카 투이그 카 나?/Pila na ang edad (ni)mo? / Ano ang edad mo? / Pila ka tuig ka na?hil |
저는 24살입니다. | 베인테 콰트로 아뇨스 나 (아)코./ 두하 카 풀로 카그 아파트 카 투이그 나 (아)코./Beinte kwatro anyos na (a)ko./ Duha ka pulo kag apat ka tuig na (a)ko.hil |
제 이름은 ... 입니다. | 앙 응알란 코.../Ang ngalan ko...hil |
저는 에르만입니다. | 아코 시 에르만. / 시 에르만 아코./Ako si Erman. / Si Erman ako.hil |
이름이 무엇입니까? | 아노 이모 응알란? / 아노 응알란 (니)모?/Ano imo ngalan? / Ano ngalan (ni)mo?hil |
다음에 또 만나요. | 아스타 사 리왓./Asta sa liwat.hil |
살 수 있습니까? | |
이것/저것은 얼마입니까? | |
...을 사겠습니다. | |
이것은 비쌉니까? | |
저것은 쌉니까? |
9. 2. 요일
힐리가이논어의 요일 이름은 스페인어에서 파생되었다.요일 | 원어 이름 | 의미 | 카스티야어 파생 |
---|---|---|---|
일요일 | Tigburukadhil | 어근: bukadhil, 열다; '시작하는 날' | Domingohil |
월요일 | Dumasaonhil | 어근: dasonhil 다음; '다음 날' | Luneshil |
화요일 | Dukot-dukothil | 글자 그대로의 의미 바쁜 날; '가장 바쁜 날' | Marteshil |
수요일 | Baylo-baylohil | 어근: baylohil, 교환; 물물 교환 또는 '장날' | Miyerkoleshil |
목요일 | Danghoshil | 글자 그대로의 의미: 서두름; '일과의 서두름' | Huwebeshil |
금요일 | Hingot-hingothil | 글자 그대로의 의미: '일과의 마무리' | Biyerneshil |
토요일 | Ligid-ligidhil | 어근: ligidhil, 휴식을 취하다; '휴식의 날' | Sábadohil |
9. 3. 월
힐리가이논어에서 월 이름은 고유어와 스페인어/스페인어es 계열이 모두 사용된다.월 | 원어 | 카스티야어 파생어 |
---|---|---|
1월 | 울라롱/울라롱hil | 에네로/에네로hil |
2월 | 다강 카호이/다강 카호이hil | 페브레로/페브레로hil |
3월 | 다강 불란/다강 불란hil | 마르소/마르소hil |
4월 | 킬링/킬링hil | 아브릴/아브릴hil |
5월 | 히마부얀/히마부얀hil | 마요/마요hil |
6월 | 카바이/카바이hil | 후뇨/후뇨hil |
7월 | 히다파판/히다파판hil | 훌리오/훌리오hil |
8월 | 루바드-루바드/루바드-루바드hil | 아고스토/아고스토hil |
9월 | 캉구룰솔/캉구룰솔hil | 세티엠베르/세티엠베르hil |
10월 | 바교-바교/바교-바교hil | 옥투브레/옥투브레hil |
11월 | 팡롯 디유타이/팡롯 디유타이hil | 노비엠브레/노비엠브레hil |
12월 | 팡롯 다코/팡롯 다코hil | 디시엠브레/디시엠브레hil |
9. 4. 시각
힐리가이논어에는 전통적인 시간 표현 방식이 존재한다. 오전 6시는 부틀락 아들라우/Butlak Adlawhil라고 하며 해 돋이를 의미한다. 오전 10시는 티그-일리트로그/Tig-ilitloghil 또는 티그-이리트로그/Tig-iritloghil라고 하며 닭이 알을 낳을 시간을 의미한다. 정오 12시는 우드토 아들라우/Udto Adlawhil 또는 우그토 아들라우/Ugto Adlawhil라고 하며 정오 또는 한낮을 의미한다. 오후 2시는 후요그 아들라우/Huyog Adlawhil라고 하며 초저녁을 의미한다. 오후 4시는 티그바라호그/Tigbarahoghil라고 하며 돼지에게 먹이를 줄 시간을 의미한다. 오후 6시는 시롬/Siromhil으로 황혼을 의미한다. 오후 8시는 팅판야폰/Tingpanyaponhil 또는 티그-인야폰/Tig-inyaponhil으로 저녁 식사 시간을 의미한다. 오후 10시는 티그바라니그/Tigbaranighil라고 하며 바니그 또는 매트리스를 깔 시간을 의미한다.시간 | 이름 | 의미 |
---|---|---|
오전 5시 | 티그불루그타우/Tigbulugtawhil 또는 티그부루그타우/Tigburugtawhil | 기상 시간 |
오후 11시 | 우낭 파말로/Unang Pamalòhil | 첫 번째 수탉의 울음소리 |
자정 12시 | 퉁앙 가브-이/Tungang Gab-ihil | 자정 |
오전 2시 | 이카두항 파말로/Ikaduhang Pamalòhil | 두 번째 수탉의 울음소리 |
오전 4시 | 이카타트롱 파말로/Ikatatlong Pamalòhil | 세 번째 수탉의 울음소리 |
9. 5. 문장
힐리가이논어로 번역된 주요 텍스트로는 주기도문과 십계명, 세계 인권 선언 제1조 등이 있다.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이름을 거룩하게 하옵시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옵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옵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아멘.

일로일로 시 몰로에 있는 힐리가이논어 십계명은 다음과 같다.
# 오직 신을 믿고 그분만을 숭배하라
# 목적 없이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지 말라
# 주님의 날을 존경하라
# 네 부모를 공경하라
# 살인하지 말라
# 순결을 해치는 결혼을 가장하지 말라 (간음하지 말라)
# 훔치지 말라
# 거짓말하지 말라
# 네 이웃의 아내를 탐내지 말라
# 네 이웃의 재물을 탐내지 말라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는 Ang Kalibutánon nga Pahayag sang mga Kinamaatárung sang Katáwhanhil이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모든 사람은 존엄성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났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
10. 주요 작가
- 피터 솔리스 네리(1969년 출생)는 다작의 작가, 시인, 극작가, 소설가, 편집자이며, "비날라이바의 왕"이자 힐리가이논어의 챔피언이다. 둠가스 출생이다.
- 안토니오 레데스마 하이메(1854–1937)는 변호사, 혁명가, 주지사 및 국회의원이다. 하로에서 태어나 바콜로드에서 거주했다.
- 그라시아노 로페스 하에나(1856–1896)는 일로일로 출신의 언론인, 웅변가, 혁명가이며, 라 솔리다리다드와 ''프라이 보토드''의 저자로 유명하다. 하로 출생이다.
- 플라비오 사라고사 이 카노(1892–1994)는 변호사, 언론인, 그리고 "비사얀 시인의 왕자"이다. 카바투안의 자니판 출생이다.
- 콘라도 사키안 노라다(1921년 출생)는 변호사, 정보 장교이며, 1969년부터 1986년까지 일로일로 주지사를 역임했다. ''유훔'' 잡지의 공동 창립자이자 편집자이다. 미아고 출생이다.
- 라몬 무조네스(1913–1992)는 다작의 작가이자 변호사이며, 필리핀 국립 예술가 문학상을 수상했다. 미아고 출생이다.
- 마그달레나 할란도니(1891–1978)는 다작의 작가, 소설가 및 페미니스트이다. 하로 출생이다.
- 안헬 마가훔 시니어(1876–1931)는 작가, 편집자, 그리고 작곡가이다. 일로일로의 비공식적인 노래인 고전 ''일로일로 앙 반와 코''를 작곡했다. 몰로 출생이다.
- 발렌테 크리스토발(1875–1945)은 저명한 힐리가이논 극작가이다. 불라칸의 폴로(현재 발렌수엘라시) 출생이다.
- 엘리자베스 바티두안 나바로는 봄보 라디오 필리핀의 라디오 프로그램을 위한 힐리가이논 드라마 작가이다.
- 제네비브 L. 아센호는 키나라야, 힐리가이논, 그리고 필리핀어로 활동하는 필리핀 시인, 소설가, 번역가 및 문학 학자이다. 그녀의 첫 번째 소설인 룸베이 응 딜라/Lumbay ng Dilahil (C&E/DLSU, 2010)는 전국 도서상에서 필리핀 언어 소설 부문 우수상을 위한 후안 C. 라야 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https://psa.gov.ph/s[...]
2022-05-02
[2]
웹사이트
Hiligaynon
http://www.ethnologu[...]
2022-12-27
[3]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https://psa.gov.ph/s[...]
2022-05-02
[4]
웹사이트
Hiligaynon
http://www.ethnologu[...]
2011-07-23
[5]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6]
웹사이트
Islas de los Pintados: The Visayan Islands
http://www.admu.edu.[...]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13-03-29
[7]
웹사이트
Ang Pagpangayaw sa Dutang Ginsaad: A History of Migration and Settlement of Ilonggos in Central Mindanao, 1951-1960s
https://www.research[...]
2023-10-16
[8]
문서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9]
웹사이트
My Working Language Pairs
http://www.bj-inform[...]
2011-01-03
[10]
문서
Cf. BLAIR, Emma Helen & ROBERTSON, James Alexander, eds. (1903).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Volume 05 of 55 (1582–1583). Historical introduction and additional notes by Edward Gaylord BOURNE. Cleveland, Ohio: Arthur H. Clark Company.
[11]
문서
Cf. Miguel de Loarca, Relacion de las Yslas Filipinas (Arevalo, June 1582) in BLAIR, Emma Helen & ROBERTSON, James Alexander, eds. (1903).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Volume 05 of 55 (1582–1583). Historical introduction and additional notes by Edward Gaylord BOURNE. Cleveland, Ohio: Arthur H. Clark Company.
[12]
웹사이트
Ang Pagpangayaw sa Dutang Ginsaad: A History of Migration and Settlement of Ilonggos in Central Mindanao, 1951-1960s
https://www.research[...]
2020
[13]
웹사이트
Capiznon
http://www.ethnologu[...]
[14]
웹사이트
Kinaray-a
http://www.ethnologu[...]
[15]
서적
Hiligaynon Reference Gramma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6]
서적
Hiligaynon Lessons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서적
Hiligaynon Reference Gramma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18]
Thesis
Lost Causes: Morphological Causative Constructions in Two Philippine Languages
http://scholarship.r[...]
Digital Scholarship Archive, [[Rice University]]
1997-02
[19]
Thesis
Lost Causes: Morphological Causative Constructions in Two Philippine Languages
http://scholarship.r[...]
Digital Scholarship Archive, [[Rice University]]
1997-02
[20]
Thesis
Lost Causes: Morphological Causative Constructions in Two Philippine Languages
http://scholarship.r[...]
Digital Scholarship Archive, [[Rice University]]
1997-02
[21]
Thesis
Lost Causes: Morphological Causative Constructions in Two Philippine Languages
http://scholarship.r[...]
Digital Scholarship Archive, [[Rice University]]
1997-02
[22]
웹사이트
FLAVIO ZARAGOSA Y CANO: (1892-1965)
http://www.nhi.gov.p[...]
[23]
웹사이트
Conrado Saquian Norada
https://www.panitika[...]
2022-11-26
[24]
서적
History & Society in the Novels of Ramon Muzones
https://books.google[...]
Ateneo University Press
2001
[25]
웹사이트
MAGDALENA G. JALANDONI: (1891-1978)
http://www.nhi.gov.p[...]
2022-11-26
[26]
웹사이트
Angel M. Magahum Sr.
https://www.thenewst[...]
2022-11-26
[27]
웹사이트
Today in History
http://bayanihan.org[...]
2010-05-21
[28]
문서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29]
문서
タガログ語やセブアノ語などで見られる、前後の単語を繋げて一つの単語表現とするもの。セブアノ語の例を挙げると、maayo'''ng''' tawo(良い人)の、maayo(良い)とtawo(人)を繋ぐ'''-ng'''がリンカーである。また、tinuod '''nga''' gugma(真実の愛)の場合、tinuod(真実の)とgugma(愛)を繋ぐ'''nga'''がリンカーである。なお母音で終わる単語が前に来る場合は-ngを、子音で終わる単語が前に来る場合はngaをリンカーとする。
[30]
문서
Mikael Parkvall,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The World's 100 Largest Languages in 2007), in Nationalencyklopedin
[31]
웹인용
Hiligaynon
http://www.ethnologu[...]
www.ethnologue.com
2011-07-23
[32]
웹인용
Islas de los Pintados: The Visayan Islands
http://www.admu.edu.[...]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13-03-23
[33]
문서
Philippine Census, 2000.
[34]
웹인용
My Working Language Pairs
http://www.bj-inform[...]
www.bj-informatique.com/
2011-01-03
[35]
문서
Cf. BLAIR, Emma Helen & ROBERTSON, James Alexander, eds. (1903).
[36]
간행물
Relacion de las Yslas Filipinas
BLAIR, Emma Helen & ROBERTSON, James Alexander
1582-06
[37]
서적
A History of the Orient
Ginn and Company
1929
[38]
서적
Hiligaynon Reference Grammar
https://archive.org/[...]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