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코트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코트라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족, 남셈어 및 남아라비아어로 분류되는 언어이다. 예멘의 소코트라 섬에서 주로 사용되며, 아랍어의 영향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소코트라어는 공식적인 지위가 없으며, 북부, 남부, 섬 중앙, 압드 알 쿠리 등 4개의 방언 집단으로 나뉜다.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섬의 고립으로 인해 독특한 음성적 특징을 보인다. 2014년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멘의 언어 - 아랍어
    아랍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셈어어족의 언어로,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고 이슬람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소코트라섬 - 하디부
  • 소코트라섬 - 디라크마속
    디라크마속은 장미목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이며, 디라크마 소코트라나와 디라크마 소말렌시스의 두 하위 종을 포함하는 디라크마과의 한 속이다.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소코트라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소코트라어
사용 정보
사용 지역소코트라 군도, 예멘
사용자소코트리인
추정 화자 수111,000명 (2020년)
언어 분류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어파셈어파
어군서셈어군
하위 어군남셈어군
언어 그룹현대 남 아라비아어군
하위 언어압드 알 쿠리 방언
중앙 소코트라 방언
북부 소코트라 방언
북중앙 소코트라 방언
북서중앙 소코트라 방언
남부 소코트라 방언
서부 소코트라 방언
listclass = flatlist
언어 코드
ISO 639-3sqt
Glottologsoqo1240
Glottolog 참조Soqotri

2. 분류

소코트리어는 종종 아랍어의 방언으로 오해받지만, 공식적으로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족, 남셈어 및 남아라비아어로 분류된다.[2]

3. 현황

예멘의 소코트라 지역에 아랍어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영구적으로 정착하면서 아랍어가 섬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소코트라어는 아랍어와 그 문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 소코트라어는 아랍어로 대체되었으며, 학생들은 학교에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 취업을 원하는 소코트라인은 고용되기 전에 아랍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젊은 소코트라인들은 소코트라어보다 아랍어를 선호하며, 소코트라어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들은 종종 아랍어를 섞어서 사용하며 소코트라 구전 문학을 암송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3]

아랍어는 국가 정체성의 상징적 표현이자 국가의 공용어가 되었다. 예멘 정부는 소코트라어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소코트라어를 언어가 아닌 방언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멘에는 소코트라어와 메흐리 어를 포함한 비아랍어 구어에 대한 문화 정책이 없다. 이 언어는 신세대가 섬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에 무관하다고 판단하여 진보의 걸림돌로 여기기도 한다.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젊은이들은 문자를 통한 소통이 불가능한 소코트라어의 제약을 장애물로 보고 있다. 언어에 대한 문화적 감성이 존재하지만, 방치와 관련된 무관심과 방해라는 개념이 공존한다.[3]

소코트라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여겨지며, 소코트라어 연구 부족은 셈어족뿐만 아니라 소코트라 민속 유산 보존과도 관련이 있다. 이 고립된 섬은 현대화 압력이 높고, 문화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소코트라 민속 유산의 귀중한 계층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4]

시와 노래는 섬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일부분이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소코트라 시는 간과되었고, 섬 시인들의 기술은 무시되었다.[5] 유럽 연합 또한 군도 인구의 문화적 규범을 보존하는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6]

3. 1. 멸종 위기

아랍어를 사용하는 많은 예멘인들이 소코트라 지역에 영구적으로 정착하여 아랍어가 섬의 공식 언어가 되면서 소코트라어는 지배적인 아랍어와 문화의 엄청난 영향을 받고 있다. 소코트라어는 현재 학교 교육 수단으로 아랍어로 대체되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취업을 원하는 소코트라인은 고용되기 전에 아랍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젊은 소코트라인들은 심지어 소코트라어보다 아랍어를 선호하며, 현재 소코트라어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종종 아랍어를 섞어서 사용하며 소코트라 구전 문학을 암송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

아랍어는 현재 국가 정체성의 상징적, 또는 더 이념적인 표현이 되었으며, 국가의 특권적인 공용어가 되었다. 정부 또한 소코트라어에 대한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소코트라어가 언어 자체가 아닌 방언일 뿐이라는 시각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소코트라어와 메흐리 어를 포함하여 예멘의 남아 있는 비아랍어 구어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화 정책도 없다. 이 언어는 신세대가 섬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무관하다고 판단하여 진보의 걸림돌로 여겨진다.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젊은이들은 문자를 통한 소통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소코트라어의 제약이 장애물이라고 보고 있다. 언어에 대한 문화적 감성이 있는 듯하지만, 방치와 관련된 무관심과 방해라는 개념이 공존한다.[3]

따라서 소코트라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여겨지며, 소코트라어 분야 연구 부족에 대한 주요 관심사는 셈어족뿐만 아니라 소코트라 민속 유산 보존과 관련이 있다. 이 고립된 섬은 현대화에 대한 압력이 높고, 문화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소코트라 민속 유산의 귀중한 계층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4]

시와 노래는 인간, 동물, 죽은 자의 영혼, 정령 마법사, 또는 신과 상관없이 섬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정상적인 부분이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소코트라 시는 간과되었고, 섬 시인들의 기술은 무시되었다.[5]

유럽 연합 또한 군도의 인구의 문화적 규범을 보존하는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6]

3. 2. 지리적 분포

예멘의 소코트라 지역에 아랍어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영구적으로 정착하면서 아랍어가 섬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소코트라어는 아랍어와 그 문화의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소코트라어는 현재 학교 교육에서 아랍어로 대체되었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소코트라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취업을 원하는 소코트라인은 고용되기 전에 아랍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젊은 소코트라인들은 소코트라어보다 아랍어를 선호하고, 소코트라어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들은 종종 아랍어를 섞어서 사용하며 소코트라 구전 문학을 암송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3]

아랍어는 현재 국가 정체성의 상징적 표현이자 국가의 공용어가 되었다. 예멘 정부는 소코트라어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소코트라어를 언어가 아닌 방언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멘에는 소코트라어와 메흐리 어를 포함하여 남아 있는 비아랍어 구어에 대한 문화 정책이 없다. 이 언어는 신세대가 섬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 무관하다고 판단하여 진보의 걸림돌로 여기기도 한다.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젊은이들은 문자를 통한 소통이 불가능한 것과 같은 소코트라어의 제약이 장애물이라고 보고 있다. 언어에 대한 문화적 감성이 있는 듯하지만, 방치와 관련된 무관심과 방해라는 개념이 공존한다.[3]

따라서 소코트라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여겨지며, 소코트라어 연구 부족은 셈어족뿐만 아니라 소코트라 민속 유산 보존과도 관련이 있다. 이 고립된 섬은 현대화 압력이 높고, 문화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소코트라 민속 유산의 귀중한 계층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4]

시와 노래는 섬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정상적인 부분이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소코트라 시는 간과되었고, 섬 시인들의 기술은 무시되었다.[5]

유럽 연합 또한 군도 인구의 문화적 규범을 보존하는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6]

199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예멘 전역의 소코트라어 사용 인구는 57,000명이며, 모든 국가의 총 사용 인구는 71,400명이다.[2]

3. 3. 공식 지위

예멘의 소코트라 주에 속하는 압드 알 쿠리, 다르사, 삼하, 그리고 소코트라 섬에서 주로 사용되는 소코트라어는 공식적인 지위가 없다.[2] 많은 예멘인들이 소코트라 지역에 영구 정착하면서 아랍어가 섬의 공식 언어가 되었고, 소코트라어는 아랍어와 그 문화의 큰 영향을 받고 있다.

현재 학교 교육에서 소코트라어는 아랍어로 대체되었으며, 학생들은 학교에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된다. 취업을 원하는 소코트라인은 고용되기 전에 아랍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젊은 소코트라인들은 소코트라어보다 아랍어를 선호하며, 소코트라어를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종종 아랍어를 섞어서 사용하며 소코트라 구전 문학을 암송하거나 이해하지 못한다.

아랍어는 국가 정체성의 상징적, 또는 이념적인 표현이 되었으며, 국가의 특권적인 공용어가 되었다. 예멘 정부는 소코트라어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소코트라어를 언어가 아닌 방언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예멘에는 소코트라어와 메흐리어를 포함한 비아랍어 구어에 대한 문화 정책이 없다. 이 언어들은 신세대가 섬의 사회 경제적 지위 향상에 무관하다고 판단하여 진보의 걸림돌로 여겨지기도 한다.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젊은이들은 문자를 통한 소통이 불가능한 소코트라어의 제약을 장애물로 보고 있다. 언어에 대한 문화적 감성이 존재하지만, 방치와 관련된 무관심과 방해라는 개념이 공존한다.[3]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소코트라어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여겨진다. 소코트라어 연구 부족은 셈어족뿐만 아니라 소코트라 민속 유산 보존과도 관련하여 주요 관심사이다. 이 고립된 섬은 현대화 압력이 높고 문화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소코트라 민속 유산의 귀중한 층위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4]

시와 노래는 섬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일부분이었으며,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소코트라 시는 간과되었고, 섬 시인들의 기술은 무시되었다.[5] 유럽 연합 또한 군도 인구의 문화적 규범을 보존하는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6]

3. 4. 방언

소코트라어 방언학은 섬의 면적과 주민 수를 고려할 때 매우 풍부하다. 소코트라어 화자들은 주로 섬에 살며, 예멘 본토에서는 거의 살지 않는다. 소코트라어는 역사적으로 아라비아 본토와 격리되어 있었다. 아랍어도 소코트라에서 방언 형태로 사용된다.[7]

네 개의 주요 방언 집단이 존재한다.[8]

  • 북부 해안 방언
  • 남부 해안 방언
  • 섬 중앙의 산악 지역 베두인족 방언
  • 압드 알 쿠리 방언


삼하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소코트라 서부 해안 방언과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8]

이러한 방언에는 압드 알 쿠리어, 남부 소코트라어, 북부 소코트라어, 중부 소코트라어, 서부 소코트라어가 포함된다.[2]

학자들은 현대 남부 아라비아어들을 아랍어와 직접적으로 연관시킬 근거가 더 이상 없다고 믿는다. 그들은 이러한 방언들을 아랍어가 아닌, 고유한 셈어족 언어로 간주한다.[9]

4. 음운

소코트라어는 모음자음 체계를 가진다.

소코트라어의 음운 체계는 소코트라 섬의 고립된 환경으로 인해 본토의 다른 언어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특징을 보인다. 특히 치간음의 변화와 강세 자음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소코트라어는 치간음 ''θ'', ''ð'', ''θʼ''를 잃고 ''t'', ''d'', ''tˤ''와 합쳐졌으며,[11] 강세 자음( /lˠ/ 제외)은 원래 방출 자음이었으나, /kʼ/를 제외하고는 아랍어처럼 인두음화 자음이 되었다.[12]

4. 1. 자음



소코트라어는 셰리어, 메흐리어 등 본토의 관련 언어에는 없는 독특한 음성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코트라어는 치간음 ''θ'', ''ð'', ''θʼ''를 잃고 ''t'', ''d'', ''tˤ''와 합쳐졌다.[11]

소코트라어의 강세 자음( /lˠ/ 제외)은 원래 방출 자음이었으나, /kʼ/를 제외하고는 아랍어처럼 인두음화 자음이 되었다.[12]

4. 2. 모음

소코트라어 모음
전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
중고 모음
저중 모음()
저모음colspan="2" |
비모음colspan="2" |


5. 문법

소코트라어의 문법과 어휘는 문서화 및 배포가 매우 미흡하다. 언어 자료 수집에 대한 많은 제안이 있었다. 이는 소코트라어 사용자의 과학, 문학, 정신, 문화 등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소코트라어 보존은 미래 세대에게 이러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것이다.[1]

5. 1. 형태론

소코트라어의 문법과 어휘는 문서화 및 배포가 매우 미흡하며, 언어 자료 수집에 대한 많은 제안이 있었다. 이는 소코트라어 사용자의 과학, 문학, 정신, 문화 등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소코트라어 보존은 미래 세대에게 이러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할 것이다.

소코트라어의 형태론에 관한 일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독립 대명사: 딕섬(Diksam)과 칼란시야(Qalansiya), 카피즈(Qafiz)의 극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일부 방언을 제외하면, 2인칭 단수 독립 인칭 대명사 ē(남성)와 ī(여성)가 'het'과 'hit'보다 더 널리 사용된다.[1]
  • 접속사: 카피즈 방언은 소유 구문에서 연결사 'd-'와 대명사를 기반으로 하며, 단수형은 'd-', 복수형은 'l-'을 사용한다.[1]

5. 1. 1. 독립 대명사

2인칭 단수 독립 인칭 대명사 ē(남성)와 ī(여성)는 'het'과 'hit'보다 더 널리 사용된다. 마리클로드 시메오네세넬(Marie-Claude Simeone-Senelle)의 연구에 따르면, 'het'과 'hit'는 실제로 딕섬(Diksam)과 칼란시야(Qalansiya), 카피즈(Qafiz)의 극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일부 방언에 국한된다.[1] 그녀는 다른 지역에서는 2인칭 단수 남성과 여성의 형태가 ē와 ī임을 발견했다.[1] 최신 체계에서는 주어 대명사가 완전한 형태를 갖는다.[1]

5. 1. 2. 접속사

카피즈 방언의 또 다른 언어학적 특징은 소유 구문이다. 이 방언은 다른 모든 소코트라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연결사 'd-'와 대명사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이 방언에서 연결사는 (관계 대명사처럼) 가변적이다. 단수형은 'd-'를, 복수형은 'l-'을 사용한다.

dihet férham/ 소녀 >'너의 (남성) 소녀', 'des' '그녀의'...이지만, 'lḥan' '우리', 'ltan' '너희 (복수)', 'lyihan' '그들의 (남성)', 'lisan' '그들의 (여성)'이다.

이러한 변이는 연결사, 지시사 및 관계 대명사 간의 연관성을 강조한다. 다른 방언에서는 문법화 과정이 진행되어 단수 형태가 연결 불변사 'd-'로 고정되었다.

5. 2. 통사론

소코트라어의 통사론에 대한 정보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5. 2. 1. 일치

일부 방언에서는 관계대명사가 복수와 일치하지 않는다.[1]

: le-ēfœ d- izeˤem b-fídəhɔn|DEI(PL)-people/ REL(SG)-that sit/ in-mountain|'this people that stay in the mountain' (Rujed).sqt[1]

외딴 지역에서는 노인들이 동사, 명사 및 대명사 이중형을 사용한다.[1]

: [1]

하지만 많은 원어민(젊은이 또는 아랍어와 접촉하는 사람들)은 동사 이중형을 규칙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1]

: [1]

그리고 이중형 대신 복수 대명사를 사용한다.[1]

: ''tten férhem'' 'your girl' for /tti férhem/ 'your girl' (to you both).[1]

아랍어와 접촉하는 많은 사람들은 모든 경우(동사 또는 대명사)에 복수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명사 이중형만 규칙적으로 발생한다.[1]

5. 2. 2. 부정

위에서 언급했듯이, 두 가지 부정형에 대한 음성-형태학적 설명을 참고해야 한다. 많은 방언에서 동사 부정은 직설법과 금지법에서 동일하다.

6. 어휘

1835년 측량 임무에 참여했던 웰스테드 중위는 지명, 부족 이름, 식물 이름, 수치를 처음으로 수집했으며, 총 236개의 소코트리어 단어 목록을 작성했다. 이 단어들은 서부 방언의 특징이 없으며, 236개 단어 중 41개는 웰스테드에 의해 아랍어 차용어로 기록되었다. 일부는 실제로 아랍어 단어이다. 예를 들어, 'beïdh'(''bayḍ'') '달걀'(소코트리어로는 ḳehélihen) 또는 ˤajúz '늙은 여자'(소코트리어로는 śíbīb), thob(tob) '셔츠'(소코트리 자음 체계에는 없는 치간음 포함, 소코트리어에서는 tob가 '천'을 의미함) 등이 있다.[1] 많은 단어들이 고대 공통 셈어 어휘에 속하며, 아랍어와 소코트리어 모두에서 나타난다. edahn|에단sqt '귀'(정확히 ˤídəhen), ''ˤaṣábi'' '손가락' (''ˤəṣābe'') 등이 있다.[1] 종교 시는 고전 아랍어 어휘와 코란 표현에서 차용하여 아랍어의 영향을 보여준다.[1]

7. 문자 체계

소코트라어의 문자 체계는 2014년, 비탈리 나움킨 박사가 이끄는 러시아 연구팀이 5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했다. 이 문자 체계는 그의 저서 《소코트라 구술 문학 전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텍스트는 영어아랍어로 번역되어 나타난다. 이 아랍어 기반의 표기법은 구술 설화의 수동적인 화자들이 연구자들과 협력하여 그 기원에 충실한 문학 작품을 구성하는 데 기여했다.[13]

}

| lˠ|sqt

| ڸ

|-

| ŝ|sqt

| ɬ|sqt

| ڛ

|-

| ṣ̌|sqt

| ʃˤ|sqt

| ڞ

|-

| ž|sqt

| ʒ|sqt

| چ

|-

| g|sqt

| ɡ|sqt

| ﺝ

|}

8. 예시

다음은 소코트라 시와 노래의 기본 구성 요소인 짝구절의 예시이다. 이는 섬 주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언어로 구두쇠 어부에 대한 직설적이고 유머러스한 내용을 담고 있다.[5]


  • ber tībeb di-ģašonten|Abdullah di-halēhnsqt
  • d-iķor di-hi sode|af teķolemen ٚeyh il-ārhensqt


번역:

  • 모두가 압둘라가 상당히 멍청하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으며, 여기저기를 돌아다닌다.
  • 그는 그의 물고기를 너무 오랫동안 숨겨두어서 파리 떼가 그의 주위를 맴돌고 있다!


다음은 대부분의 소코트라인들이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 구절의 예시이다.

  • selleman enhe we-mātA|le-ha le-di-ol yahtitesqt
  • di-ol ināsah ki-yiķtīni|lot erehon ki-gizol šebersqt


직역:

  • 내 이름을 불러주고, 내 인사가 저기 부끄러움이 없는 사람에게 전달되도록 해줘.
  • 그가 먹고 나서 염소들이 셰버 식물을 먹을 때처럼 그의 얼굴을 닦지 않는 사람


그러나 이 내용을 이해하려면 셰버 식물의 중요성을 알아야 한다. 유포르비아 식물 그룹에 속하는 이 식물은 건조한 계절을 여러 달 동안 견디며 염소들이 먹을 것이 부족할 때 종종 먹는 유백색의 라텍스를 가지고 있다. 영양학적인 이점은 없지만, 염소의 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염소들이 손상된 식물에서 나온 라텍스를 먹으면 주둥이가 얼룩지고 입 안과 주변에 궤양이 생긴다. 이 구절은 자신의 연인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승리를 자랑한다는 것을 알게 된 한 여성이 만들었다(그는 먹이를 먹는 염소에 비유되고 있다). 그녀는 이것을 지적하고 다른 여성들에게 그와 같은 남자들을 조심하라고 경고하고 있다.[5]

참조

[1]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Taylor & Francis 2019-01-01
[2] 뉴스 Soqotri https://www.ethnolog[...] 2017-05-04
[3] 간행물 Cultural Accommodation to State Incorporation in Yemen: Language Replacement on Soqotra Island 2012-06-01
[4] 간행물 Communal Identity Transformation in Soqotra: From Status Hierarchy to Ethnic Ranking 2016-01-01
[5] 간행물 The use of 'veiled language' in Soqoṭri poetry 2013-01-01
[6] 웹사이트 EU to protect Socotra archipelago environment http://www.sabanews.[...] 2008-04-16
[7] 웹사이트 Discover the Soqotri Language – Cultural Treasure of Socotra Island https://socotrabooki[...] 2024-10-24
[8] 웹사이트 Foundation For Endangered Languages. Home https://www.ogmios.o[...] 2017-05-04
[9] 간행물 Review of Comparative Vocabulary of Southern Arabic: Mahri, Gibbali and Soqotri 1988-01-01
[10] 간행물 The vowels of Soqotri as a phonemic system https://www.jstor.or[...] 2014
[11] 서적 Genealogical Classification of Semitic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15-05-19
[12]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Taylor & Francis 2019-01-01
[13] 서적 Corpus of Soqotri oral literature BRILL 2014-01-01
[14] 문서 Soqotri at Ethnologue (17th ed., 2013)
[15] 문서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005
[16] 뉴스 The Advance of Russian Orientalists http://journal-neo.o[...] New Eastern Outlook 2015-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로마자 표기국제 음성 기호(IPA)추가/수정된 소코트라 문자
{{lang|sqt|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