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모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음 모음은 입 안의 공기가 코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만들어지는 모음으로, 언어학에서 중요한 음성학적 특징을 갖는다. 비음화는 동화된 비음의 결과로 모음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모음의 높이에 따라 비음화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몇몇 언어에서는 비음화된 모음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구분하기도 한다. 비음 모음의 기원은 언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프랑스어의 경우 역사적으로 3단계의 변화를 거쳐 현재의 비음 모음 체계를 갖게 되었다. 비음 모음은 다양한 문자 체계로 표기되며,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는 틸데(~)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비음 모음을 사용하는 언어는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힌디어 등 매우 다양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모음 - 고모음
고모음은 혀의 위치가 가장 높은 모음들을 지칭하며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혀의 위치와 입술 모양에 따라 다양한 고모음을 정의하고, 전용 기호가 있는 6개의 대표적인 고모음 외에도 전용 기호가 없는 고모음과 반고모음이 존재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비모음 | |
---|---|
개요 | |
정의 | 입과 코를 통해 소리가 나는 모음의 발음 |
영어 | Nasal vowel |
특징 | |
설명 | 구개수막이 내려가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코 안의 공명 공간을 통해 소리가 구강과 비강을 통해 동시에 울려 퍼지는 발음이다. |
국제 음성 기호 | "◌̃" (IPA 번호 424, 10진수 771) |
예시 | /ɛ̃/, /æ̃/ |
언어별 예시 | |
프랑스어 | /bo/ (beau, "아름다운"), /bɔ̃/ (bon, "좋은") |
포르투갈어 | /pɐ̃w̃/ (pão, "빵") |
영어 (일부 방언) | /ˈmæ̃w̃/ (man) |
2. 비음화의 음성학적 특징
비음화는 주로 동화 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며, 모음의 높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몇몇 언어에서는 약하게 비음화된 모음과 강하게 비음화된 모음을 구별하기도 한다. 팔란틀라 치난테크어[5]가 그러한 예이다.
2. 1. 모음 높이에 미치는 영향
비음화는 동화된 비음의 결과로 모음의 높이를 높이는 경향이 있다. 음소적으로 구별되는 비음화는 모음을 낮추는 경향이 있다.[2] 다른 평가에 따르면, 고모음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저모음은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3]대부분의 언어에서 모든 높이의 모음은 무차별적으로 비음화되지만, 차모로어의 고모음이나 태국어의 저모음처럼 어떤 언어에서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4]
2. 2. 비음화 정도
몇몇 언어, 예를 들어 팔란틀라 치난테크어[5]는 약하게 비음화된 모음과 강하게 비음화된 모음을 구별한다. 이들은 인쇄물에서 비음화를 나타내는 IPA 부호를 두 번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3. 비음 모음의 기원
Rodney Sampson은 현대 프랑스어의 비음 모음이 역사적으로 3단계의 변화를 거쳐 형성되었다고 설명한다.[6] 고대 프랑스어 시대에는 후행 동화에 의해 모음이 비음화되었고, 중세 프랑스어 시대에는 비음 자음의 발현이 가변적이 되었다. 현대 프랑스어로 발전하면서 자음은 더 이상 발현되지 않게 되었다.
3. 1. 프랑스어 비음 모음의 역사적 발전
Rodney Sampson은 현대 프랑스어의 비음 모음 기원을 설명하는 3단계 역사적 설명을 제시했다. 아래에서는 구강 모음을 V, 비음 자음을 N, 비음 모음을 Ṽ(틸데 표시)로 나타내는 Terry와 Webb의 표기를 사용한다.[6]
고대 프랑스어 시대에, 후행 동화에 의해 모음이 비음화되어 VN > ṼN이 되었다. 중세 프랑스어 시대에는 비음 자음의 발현이 가변적이 되어 VN > Ṽ(N)이 되었다. 언어가 현대 형태로 발전함에 따라 자음이 더 이상 발현되지 않아 ṼN > Ṽ이 되었다.
4. 한글 표기
모음 한글 표기에 받침 ㅇ을 적는다. 예를 들어 ã은 '앙'으로 적는다. 단, ɛ̃은 '앵'으로 적는다.
5. 다양한 문자 체계에서의 표기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묵음 'n'이나 'm'을 붙여 비음 모음을 나타내거나, 구별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틸데(~)를 사용하고, 폴란드어, 나바호어, 엘르달리안어에서는 오고네크를 사용하며, 타이완어의 페호에지 로마자 표기에서는 위첨자 'n'을 사용한다.
구 아이슬란드어의 최초 문법 논문에서는 모음 글자 위에 점을 찍어 비음 모음을 나타냈다. (예: a /ɑ/ vs ȧ /ɑ̃/, ǫ /ɔ/ vs ǫ̇ /ɔ̃/, e /e/ vs. ė /ẽ/, ı /i/ vs i /ĩ/, o /o/ vs ȯ /õ/, ø /ø/ vs. ø̇ /ø̃/, u /u/ vs u̇ /ũ/, y /y/ vs ẏ /ỹ/.) 여기서 오고네크는 후설 모음 또는 장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5. 1. 라틴 문자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롬바르드어(중앙 고전 표기법), 바마나어, 브르타뉴어, 요루바어에서는 뒤에 붙는 묵음 'n'이나 'm'으로 비음 모음을 나타낼 수 있다.다른 경우에는 구별 부호로 표시한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비음 모음을 모음 기호 위에 틸데(~)를 붙여 표기한다. 포르투갈어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중 모음에 틸데를 붙이거나(/ɐ̃/로 끝나는 단어(예: ''manhã'', ''irmã'')에 틸데를 붙인다. 틸데는 파라과이 과라니어에서도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볼리비아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투피-과라니어 방언의 표준 표기법에서는 음소적 비음성을 분음 부호(¨)로 표시한다. 폴란드어, 나바호어, 엘르달리안어는 ''ą, ę''와 같이 문자 아래에 갈고리(오고네크)를 사용한다. 타이완어(Amoy 방언)의 페호에지 로마자 표기에서는 위첨자 'n'(''aⁿ'', ''eⁿ'', ...)을 사용한다.
5. 2. 아랍 문자
우르두어, 펀자비어, 사라키어 등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고 인도에서도 사용되는 아랍 문자 기반 언어에서는 비음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점 없는 눈(ن) (눈 군나)을 사용한다. 이는 어말에 나타나는 ں|눈 군나ur 또는 중간 형태인 ن٘|눈 군나ur이다. 신드어에서는 표준 눈 문자로 비음화를 나타낸다.[1]고전 아랍어에는 비음화된 모음이 존재했지만, 현대 구어체나 현대 표준 아랍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비음화를 표기하는 정형적인 방법은 없지만, 《꾸란》 낭송에 사용되는 '''타즈위드'''의 필수 규칙 중 하나로 체계적으로 가르친다. 비음화는 낭송에서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어미 눈 다음에 야(ي)가 오는 경우이다.[1]
5. 3. 인도 문자
대부분의 인도어에서는 브라마 문자를 사용하여 비음화를 표시한다. 이때 안누스와라(◌ं)를 사용하여 모음 다음에 오는 자음군에서 동소음적으로 사용되는 동소음 비음화를 나타내거나, 찬드라빈두(◌ँ) 부호(및 지역 변종)를 사용한다.[1]6. 음운론적 비음 모음을 사용하는 언어
언어 | 비고 |
---|---|
아베나키어 | |
아체어 | |
아삼어 | |
발루치어 | |
바이에른어 | |
벨리즈 크리올어 | |
벵골어 | [7] |
브르타뉴어 | |
버마어 | |
중원관화 | |
체로키어 | |
촉토어 | |
교회 슬라브어 | |
네덜란드 저지역 사투리 | |
엘프달리안어 | |
프랑코-프로방스어 | |
프랑스어 | |
그베어군 | |
게그 알바니아어 | |
과라니어 | |
구자라트어 | |
아이티 크리올어 | |
힌디어 | |
몽어 | |
호키엔어 | |
자메이카 마룬 크리올어 | |
자메이카 파투아 | |
일본어 | |
자오리야오 관화 | |
지루 관화 | |
진어 | |
카슈브어 |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
콘카니어 | |
크리오어 | |
라코타어 | |
라틴어 | |
레키틱어파 | |
롬바르드어 | |
루이지애나 크리올어 | |
만데어군 | |
막사칼리어 | |
미란데스어 | |
모호크어 | |
문다어족 | |
나바호어 | |
엔디유카어 | |
네팔어 | |
네엥가투어 | |
오크어 | |
고대 노르드어 | |
오리야어 | |
파항 말레이어 | |
파이치어 | |
폴란드어 | |
포르투갈어 | |
펀자브어 | |
산 안드레스 이 프로비덴시아 크리올어 | |
사라마칸어 | |
스코틀랜드 게일어 | [8] |
세네카어 | |
실레시아어 | |
스라난 톤고 | |
타이완어 | |
텔루구어 | |
트렝가누 말레이어 | |
우어 | |
자반테어 | |
샹어 | |
옐리어 | |
요루바어 |
참조
[1]
서적
Nasal
Blackwell Publishing
[2]
논문
Phonological and phonetic effects of nasalization on vowel height
[3]
논문
Lingual response to vowel nasalization
https://www.eva.mpg.[...]
[4]
웹사이트
Vowel Nasalization
https://wals.info/ch[...]
2019-03-30
[5]
서적
Evolutionary Phonology: The Emergence of Sound Patter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Modeling the emergence of a typological anomaly: Vowel nasalization in French
[7]
문서
Nasalization is weak in Indian Bengali, and mostly absent in Bangladeshi Bengali
[8]
학술지
Vowel nasalisation in Scottish Gaelic: No evidence for incomplete neutralisation in initial mutation
2021-00-00 #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서 00-00-00으로 설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