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테르는 '구원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헬레니즘 시대의 신과 인물, 그리고 예수에게 사용되었다. 포세이돈, 제우스, 디오니소스, 아테나, 헤카테 등의 신들이 소테르 칭호를 받았으며, 프톨레마이오스 1세, 안티오코스 1세, 데메트리오스 1세 등 헬레니즘 시대의 왕들도 이 칭호를 얻었다. 또한 초기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인류의 구원자로 여겨 소테르라고 불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약 그리스어 낱말과 구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 신약 그리스어 낱말과 구 - 로고스 (기독교)
    로고스는 기독교 신학에서 하느님의 말씀, 지혜, 예수 그리스도와 동일시되는 핵심 개념으로, 창조와 구원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헬레니즘 시대 유대교 필론의 영향을 받아 초기 기독교 교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 헬레니즘 철학 - 이사고게
    이사고게는 포르피리오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입문서로 쓴 책으로, 술어 분류와 보편자 문제를 다루며 중세 철학의 보편 논쟁에 영향을 주었고,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읽혔으며 특히 아랍어 번역본인 "이사후지"는 이슬람 세계에서 논리학 입문서로 사용되었다.
  • 헬레니즘 철학 - 헬레니즘 점성술
    헬레니즘 점성술은 기원전 2세기경 헬레니즘 세계에서 바빌로니아와 이집트 점성술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천궁도 점성술의 형태를 확립하고 상승점과 하우스 개념을 도입, 이후 유럽과 중동으로 확산되어 현대 점성술에 영향을 미친 점성술 체계이다.
  • 고대 그리스의 관직과 칭호 - 에포로스
    에포로스는 고대 스파르타에서 왕을 견제하며 행정, 사법, 군사적 권한을 행사한 5인 집정관직으로, 국민회의에서 매년 선출되어 법률 제정, 사법 재판, 외교, 군사 원정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스파르타 정치 체제의 핵심 요소였다.
  • 고대 그리스의 관직과 칭호 - 호플리테스
    호플리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중장보병을 일컫는 말로, 팔랑크스 대형을 이루어 전투를 벌였으며, 시민의 의무로서 갑옷, 방패, 창, 검 등의 장비를 갖추고 싸웠다.
소테르
어원 및 칭호
의미그리스어로 "구원자"를 의미
사용제우스 및 다른 신들에게 주어진 칭호
다른 표기Σωτήρ (그리스어), Soter (라틴어)
여성형Σώτειρα (그리스어), Soteira (라틴어)
종교적 의미
기독교(유다서 1:25, 신약성서)
인물
왕조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조
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데메트리오스 1세 소테르
기타
교황소테르 (로마 교황)
다이몬소테르 (다이몬)

2. 소테르 칭호를 받은 신

포세이돈, 제우스, 디오니소스는 주요 신으로서 소테르 칭호를 받았고, 아테나(소테이라), 헤카테(소테이라)는 여성 신으로서 소테르 칭호를 받았다.

2. 1. 주요 신


  • 포세이돈: 바다의 신으로, 항해자와 어부들을 보호하는 구원자로 여겨졌다.
  • 제우스: 신들의 왕으로, 질서와 정의를 유지하며 인간을 보호하는 존재로 숭배되었다.
  • 디오니소스: 포도주와 풍요의 신으로, 억압으로부터 해방시키는 구원자로 여겨졌다.

2. 2. 여성 신


  • 아테나 (소테이라): 지혜와 전쟁의 여신으로, 도시와 시민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 헤카테 (소테이라): 마법과 교차로의 여신으로, 악령으로부터 보호하고 길을 안내하는 존재로 여겨졌다.

3. 소테르 칭호를 받은 인물

기원전 305년 로도스 섬이 데메트리오스 1세에게 포위되었으나(로도스 포위전),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원군에 의해 격파되자, 로도스 섬은 그에게 소테르 칭호를 수여했다. 예수를 의미하는 두문자어 "ΙΧΘΥΣ"의 마지막 Σ는 소테르를 의미한다.[1]

다음은 소테르 칭호를 받은 인물 목록이다.

이름왕조재위 기간
프톨레마이오스 1세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기원전 323년–기원전 283년
디오도토스 1세그레코-박트리아 왕국기원전 285년경–기원전 239년경
안티오코스 1세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281년–기원전 261년
아탈로스 1세아탈로스 왕조 페르가몬기원전 241년–기원전 197년
셀레우코스 3세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225년–기원전 223년
데메트리오스 1세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161년–기원전 150년
메난드로스 1세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15년경–기원전 130년경
Strato I|스트라토 1세영어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30년경–기원전 110년경
Strato II and III|스트라토 2세영어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25년–서기 10년
프톨레마이오스 9세프톨레마이오스 왕조기원전 116년–기원전 110년, 기원전 109년–기원전 107년, 기원전 88년–기원전 81년
Rabbel II Soter|라벨 2세영어나바테아 왕국70년–106년


3. 1. 헬레니즘 시대 왕조

이름왕조재위 기간
프톨레마이오스 1세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기원전 323년–기원전 283년
디오도토스 1세그레코-박트리아 왕국기원전 285년경–기원전 239년경
안티오코스 1세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281년–기원전 261년
아탈로스 1세아탈로스 왕조 페르가몬기원전 241년–기원전 197년
셀레우코스 3세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225년–기원전 223년
데메트리오스 1세셀레우코스 제국기원전 161년–기원전 150년
메난드로스 1세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15년경–기원전 130년경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30년경–기원전 110년경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25년–서기 10년
프톨레마이오스 9세프톨레마이오스 왕조기원전 116년–기원전 110년, 기원전 109년–기원전 107년, 기원전 88년–기원전 81년
나바테아 왕국70년–106년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기원전 305년 로도스 섬이 데메트리오스 1세에게 포위되었으나(로도스 포위전),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원군에 의해 격파되자, 로도스 섬은 그에게 소테르 칭호를 수여했다.

3. 2. 기타 왕조


  • 디오도토스 1세 -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의 왕 (기원전 285년경–기원전 239년경).
  • 메난드로스 1세 - 인도-그리스 왕국의 왕 (재위 기원전 115년경–기원전 130년경).
  • Strato I|스트라토 1세영어 - 인도-그리스 왕국의 왕 (재위 기원전 130년경–기원전 110년경).
  • Strato II and III|스트라토 2세영어 - 인도-그리스 왕국의 왕 (재위 기원전 25년경–서기 10년경).
  • Rabbel II Soter|라벨 2세영어 - 나바테아 왕국의 왕 (재위 70년–106년).

3. 3. 예수

예수는 ΙΧΘΥΣ라는 두문자어로 표현되는데, 마지막 글자 Σ(시그마)는 소테르를 의미한다.[1]

참조

[1] 서적 The combination Theos Soter as explanation of the primitive Christian use of Soter as title and name of Jesus https://archive.org/[...]
[2] bible Jude 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