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고스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고스(Logos)는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되어 기독교 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했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는 헤라클레이토스, 스토아 학파, 필론 등에 의해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었으며, 필론은 로고스를 신과 세계를 연결하는 중재자로 보았다. 기독교 신학에서는 요한복음에서 "말씀"으로 번역되어, 하나님과 동일시되며 예수 그리스도의 육화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 교부들은 로고스 개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설명하는 로고스 기독론을 발전시켰으며,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로고스 기독론이 확립되었다. 현대 신학에서도 로고스는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번역 문제와 삼위일체 논쟁과 관련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와 헬레니즘 철학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와 헬레니즘 철학 - 게미스토스 플레톤
    게미스토스 플레톤은 동로마 제국의 철학자, 학자, 정치 사상가로서 플라톤 철학 부흥을 주도하며 르네상스 시대 서유럽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피렌체 공의회에서 플라톤 철학을 서구에 재소개했으며, 미스트라스에서 다양한 분야를 가르치고 비잔티움 제국 개혁 사상을 제시했다.
  • 신약 그리스어 낱말과 구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 신약 그리스어 낱말과 구 - 코람 데오
    코람 데오는 "하나님 앞에서"라는 뜻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임재를 의식하고 그 뜻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강조하는 신학적 개념이다.
로고스 (기독교)
기본 정보
요한복음 1장 1절
요한복음 1장 1절, 초기 필사본 (약 200년)
로고스 (그리스어)Λόγος
로마자 표기Lógos
의미말씀, 담론, 이성
기원기원전 6세기
철학헤라클레이토스
종교유대교, 기독교, 영지주의
기독교적 의미
관련 인물예수 그리스도
중요 구절요한복음 1:1
설명기독교 신학에서 로고스는 하나님의 말씀이자 제2위격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지칭한다. 창조의 원리이자 하나님의 지혜를 나타내며, 인간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의미한다.
관련 개념삼위일체
신성
계시
구원
역사적 배경
초기 기독교로고스 개념은 초기 기독교 신학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를 로고스로 칭하며, 이는 예수가 하나님의 말씀이자 신성의 구현임을 강조한다.
헬레니즘 철학 영향로고스 개념은 헬레니즘 철학, 특히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스토아 철학에서 로고스는 우주의 이성적인 원리이자 질서를 의미하며, 기독교는 이를 차용하여 신학적 의미를 부여했다.
신학적 해석
삼위일체론로고스는 삼위일체론에서 성부, 성령과 함께 한 위격을 이룬다. 예수는 성부로부터 나온 로고스이며, 성부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창조론로고스는 창조의 도구로 간주된다. 하나님은 로고스를 통해 세상을 창조했으며, 로고스는 세상의 질서와 조화를 유지하는 원리이다.
구원론로고스는 인간 구원의 중재자이다. 예수는 로고스로서 세상에 와서 인간의 죄를 대속하고 구원의 길을 열었다.
다양한 관점
동방 정교회동방 정교회에서는 로고스를 '말씀' 또는 '이성'으로 이해하며, 하나님의 현현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를 강조한다.
개신교개신교에서는 로고스를 하나님의 계시이자 인간에게 주어진 말씀으로 이해하며, 성경을 통해 로고스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본다.
가톨릭 교회가톨릭 교회에서는 로고스를 삼위일체의 제2위격으로 이해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강조한다.
기타
관련 용어말씀 (Word)
이성 (Reason)
지혜 (Wisdom)
신성 (Divinity)

2.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의 로고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로고스는 우주의 근본 원리, 이성, 논리 등을 의미하는 중요한 개념이었다.

2. 1. 스토아 학파의 로고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스토아 학파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답변은 정확합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2. 2. 필론의 로고스

필론은 유대교와 그리스 철학을 융합하여 로고스를 신과 세계를 매개하는 중재자, 즉 신의 창조력으로 해석했다. 알렉산드리아 학문의 특징은 이교 사상과 기독교 사상의 혼합이었으며, 이는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와 눈먼 디디모스의 저작에서 나타난다.[58]

3. 기독교 신학에서의 로고스

기독교 신학에서 로고스는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핵심적인 용어이다.[7] 신약 성경에서 로고스가 처음 언급된 것은 요한복음 1장 1절이지만, 최초의 언급은 요한계시록으로 보인다. 요한계시록에서 로고스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언급되며, 재림 때 백마를 타고 아마겟돈 전투에 들어가는 존재로 묘사된다.[8]

초기 교부들은 로고스 개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설명하는 로고스 기독론을 발전시켰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예수를 통해 하느님이 자신을 드러내셨다고 기록했다.[23] 유스티누스 순교자는 요한복음 1장에 따라 예수를 로고스와 동일시했다.[25][26][27]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는 로고스를 하나님의 아들로 식별하며, 로고스가 한때 아버지 안에 내재했지만 창조 이전에 아버지에 의해 낳아졌다고 말한다.[32] 아테나고라스는 로고스 교리를 명확히 설명하며, 로고스가 하나님의 아들이자 하나님이시며, 아버지의 아들이자 아버지와 하나라는 점을 드러냈다.[37]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에게서 "나신 분"이며, "창조되지 않으신 분"이라고 선언하여, 로고스 기독론을 확립했다.[61]

3. 1. 요한 복음서의 로고스

스티븐 L. 해리스는 요한이 필론의 로고스 개념을 차용하여 예수를 우주를 형성한 신성한 로고스의 화신으로 간주했다고 주장한다.[7]

요한복음 1장 1절은 일반적으로 신약 성경에서 로고스가 처음 언급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첫 번째 언급은 요한계시록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요한계시록에서 로고스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언급되며, 재림 때 백마를 타고 아마겟돈 전투에 들어가 많은 면류관을 쓰고 왕 중의 왕, 주 중의 주로 확인된다.[8]

요한복음 1장의 주제는 요한 1서에서 전개된다.[10][11][12][13] 요한복음 1장 1-5절과 유사하게, 요한 1서 1장 1절 또한 "태초"(archēgrc)와 "말씀"(ho lógosgrc)을 언급한다. 요한 1서 1장은 창조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요한복음 1:3 참조) 요한복음 1:4에서 발견되는 다른 두 가지 개념, 즉 "생명"과 "빛"(요한 1서 1:1–2, 5–7)을 확장한다. 따라서 요한 1서 1장 1절의 첫 구절 "태초부터 있었던 것"만이 선재하는 말씀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보이며, 요한 1서 1장의 나머지는 육화된 말씀을 묘사한다.[13]

요한복음 1장 1-5절과 마찬가지로, 누가복음 1장 1-2절 또한 '태초'와 '말씀'을 언급한다.

데이비드 라일 제프리[14]레온 모리스[15]는 "말씀"이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언급은 요한복음에서 묘사된 로고스의 중요한 신학적 의미와는 같지 않았다. 문맥상으로는 예수와 그의 가르침에 대한 복음 메시지를 언급하는 것이지, 그의 칭호나 정체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16][17][18]

기독교 신학에서 ''로고스''라는 용어에 대한 몇몇 언급은 칠십인역에서 가져온 것으로, 시편 33편 6절과 같이 창세기 창조 이야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신약 성경의 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는 저서 《아우톨리쿠스에게》 1장 7절에서 이러한 연관성을 언급한다.[19]

리옹의 이레네우스는 시편 33편 6절을 "만들어진 것이 아닌,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의 창조주이신 한 분 하나님 아버지께서는 ... [그] 말씀으로 만들어진 것들을 창조하셨고", "모든 것을 ... [그] 영으로 꾸미셨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말씀은 합당하게 아들로, 영은 하나님의 지혜로 불린다"라고 덧붙였다.[20]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겐 역시 시편 기자 다윗이 미리 암시한 신비인 삼위일체의 작용을 이 구절에서 본다.[21]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시편 33편 6절에서 ''로고스''와 ''프뉴마''가 모두 "인격화되려는 찰나에 있었다"고 여겼다.[22]

이레네우스 (c. 130–202)는 사도 요한의 제자인 폴리캅의 제자로, 로고스를 예수로 동일시하며, 예수는 만물을 창조했고,[40] 성육신 전에 테오파니 안에서 사람들에게 나타나 모세 이전 시대의 족장들과 대화했으며,[41] 타는 떨기나무 앞에서 모세와,[42] 맘레에서 아브라함과,[43] 그 외 다른 곳에서[44] 아버지의 보이지 않는 것들을 그들에게 드러냈다.[45] 이 일들 이후, 로고스는 사람이 되어 십자가의 죽음을 겪었다.[46] 이레네우스는 그의 저서 ''사도적 선포의 증거''에서 믿음의 두 번째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첫 번째는 아버지이다.)

>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그들의 예언의 형식과 아버지의 경륜의 방법에 따라 예언자들에게 나타나셨습니다. 그를 통해 만물이 창조되었고, 또한 마지막 때에 모든 것을 완성하고 수집하기 위해 사람들 가운데 사람이 되어 보이고 만질 수 있게 되어 죽음을 없애고 생명을 드러내며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연합의 공동체를 창출하셨습니다.[47]

이레네우스는 로고스가 항상 아들이었고, 창조되지 않았으며, 영원히 공존하며,[48] 아버지와 하나라고 기록했다.[49][50][40][51] 아버지는 창조 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라고 말씀하셨다.[52] 이처럼 그는 피조물과 창조주를 구별하여,

> 모든 것을 만드신 분만이 그의 말씀과 함께 하나님과 주님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들어진 것들은 이 용어를 적용받을 수 없으며, 창조주에게 속한 칭호를 정당하게 가정해서도 안 됩니다.[53]

다시, 이단 반박 4권에서, 그는 그리스도를 말씀으로 식별한 후, 불타는 떨기나무 앞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신 분으로, 이렇게 기록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자신은 아버지와 함께 살아있는 자들의 하나님이시며, 모세에게 말씀하시고 족장들에게 나타나셨습니다."[54]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요한은 세린투스가 선포한 오류들을 반박하기 위해 요한복음 1장 1-5절을 기록했다.[55] 세린투스는 "세상이 주된 하나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그분과 멀리 떨어진 어떤 능력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가르쳤다. ... 그는 예수를 처녀에게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요셉과 마리아의 아들로서 일반적인 인간의 출생 과정을 거쳤다고 묘사했다."[56] 또한, 세린투스는 "창조주의 아들 예수"와 "위로부터 온 그리스도"를 구별하며, "예수님의 침례 후에 그리스도께서 지극히 높으신 통치자로부터 비둘기의 형상으로 그에게 내려오셨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예수님을 떠나신 후 ... 예수님은 고난을 받고 다시 살아나셨다."[56]

이레네우스는 요한이 이러한 오류들을 반박하고 다음과 같이 진술하기 위해 이 구절들을 기록했다고 썼다.

>"모든 것을 그의 말씀으로 만드신 한 전능하신 하나님이 계시다,"[55] 그리고 "하나님께서 창조를 만드신 말씀을 통해, 그는 또한 사람들에게 구원을 주셨다."[55]

따라서 세린투스는 세상이 전능하신 하나님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어떤 능력"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지만,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요한은 요한복음 1장 1-5절을 통해[55] 전능하신 하나님을 창조주로 제시했다 "그의 말씀으로." 그리고 세린투스는 사람 예수와 그의 침례 때 그에게 내려온 "위로부터 온 그리스도"를 구별했지만,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요한은 선재하는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를 동일한 존재로 제시했다.[57]

3. 2. 초기 교부들의 로고스 기독론

초기 교부들은 로고스 개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설명하는 로고스 기독론을 발전시켰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35–108)는 마그네시안인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한 분 하느님이 계시니, 그분은 자신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자신을 나타내셨고, 그분은 하느님의 영원한 말씀이시니, 침묵으로부터 나오신 분이 아니시다"[23]라고 기록했다. 즉, 하느님의 영원한 말씀이신 예수를 통해 하느님이 자신을 드러내셨다는 것이다.

유스티누스 순교자(서기 150년경)는 초기 기독교 변증가로서, 요한복음 1장에 따라 예수를 로고스와 동일시했다.[25][26][27] 필로처럼 유스티누스는 로고스를 주의 천사와 동일시했으며, 로고스를 구약성경의 여러 신현들과 동일시하여 유대인들에게 기독교를 변증했다.[28][29]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 ~ 180년경)는 ''아우톨리쿠스에게 보내는 변증서''에서 로고스를 하나님의 아들로 식별하며, 로고스가 한때 아버지 안에 내재했지만 창조 이전에 아버지에 의해 낳아졌다고 말한다.[32] 그는 시편 33:6의 본문에서 삼위일체의 작용을 보았으며, 초기 관행에 따라 성령을 하나님의 지혜(소피아)로 식별한다.[33]

아테나고라스는 초기 기독교 변증가로서, 로마 신을 부인하고 황제 숭배에 참여하지 않는 기독교인들이 "무신론자"로 박해받는 상황에서[35] 기독교 신앙을 변론했다. 그는 로고스 교리를 명확히 설명하며, 로고스가 하나님의 아들이자 하나님이시며, 아버지의 아들이자 아버지와 하나라는 역설을 드러냈다.[37] 그는 당시의 철학(Nous|누스|이성grc, Logos|로고스|말씀grc, Logikos|로기코스|이성적인grc, Sophia|소피아|지혜grc)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하여, 기독교 교리를 당시의 철학에 연관시켜 이해시키고자 했다.

리옹의 이레네우스 (130년경–202년경)는 사도 요한의 제자인 폴리캅의 제자였다. 그는 로고스를 예수와 동일시하며, 예수는 만물을 창조했고,[40] 성육신 전에 테오파니 안에서 사람들에게 나타나 모세 이전 시대의 족장들과 대화했으며,[41] 타는 떨기나무 앞에서 모세와,[42] 맘레에서 아브라함과,[43] 그 외 다른 곳에서[44] 아버지의 보이지 않는 것들을 그들에게 드러냈다고 설명했다.[45] 이레네우스는 로고스가 항상 아들이었고, 창조되지 않았으며, 영원히 공존하며,[48] 아버지와 하나라고 기록했다.[49][50][40][51]

3. 3. 니케아 공의회와 로고스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에게서 "나신 분"이며, "창조되지 않으신 분"이라고 선언하여, 로고스 기독론을 확립했다.[61]

3. 4. 비삼위일체론에서의 로고스

파우스토 소치니예수를 로고스로 보았지만, 그리스도의 선재성은 부인했다. 그는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뜻을 해석하는 자(interpres divinae voluntatisla)로 이해했다.[66] 나다니엘 라드너와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로고스를 하느님의 지혜가 의인화된 것으로 보았다.[67]

4. 현대 신학에서의 로고스

현대 신학에서도 로고스는 여전히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2005년 4월 1일, 추기경 요제프 라칭거(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기독교를 로고스의 종교라고 언급했다. 그는 기독교가 "창조주 스피리투스", 즉 창조주 영에 대한 믿음이라고 설명하며, 세계가 이성에서 비롯되었고 그 결과 세계가 이성의 기준이자 목표인지에 대한 문제에서 기독교 신앙은 이성적인 명제에 기울어진다고 주장했다.[64]

미하우 헬러는 "그리스도가 로고스라는 것은 하느님의 세상 내재성이 그의 합리성임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65]

가톨릭에서는 인간의 마음에 기록된 도덕률을 지칭하기 위해 로고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성 유스티누스는 그리스도를 받아들이지 않았더라도 마음(로고스)의 도덕률을 따르는 사람들은 하느님을 따른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각 사람의 마음에 도덕률을 기록한 분이 하느님이시기 때문이다.

4. 1. 칼 바르트의 로고스 신학

칼 바르트는 로고스를 계시의 주체이자 객체인 예수 그리스도로 이해하고, 이를 중심으로 신학을 전개했다.[3]

4. 2. 폴 틸리히의 로고스 개념

폴 틸리히는 로고스를 존재의 근거이자 궁극적 실재인 신의 자기 계시로 보았다.[1]

5. 한국에서의 로고스

한국에서 로고스는 개신교가톨릭 모두에게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양 교단 모두 로고스 개념을 받아들여 신학과 신앙생활에 활용하고 있다.[1]

5. 1. 개신교에서의 로고스

개신교에서는 요한복음 1장 1절의 "말씀"을 로고스로 번역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복음주의 신학에서 중요하게 다룬다.

5. 2. 가톨릭에서의 로고스

가톨릭 교회에서는 요한복음 1장 1절을 "한처음에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는데 말씀은 하느님이셨다."로 번역한다. 여기서 '말씀'은 로고스를 의미하며, 하느님과 함께 계시며 하느님 자신이신 존재로 묘사된다. 이는 삼위일체 교리의 중요한 근거가 되며, 예수가 하느님의 아들이자 하느님 자신이라는 믿음을 나타낸다.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인 로고스 기독론을 따르면서도 현대 신학적 해석을 수용한다.[1]

6. 로고스와 관련된 논쟁

로고스 개념은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초기 기독교에서 로고스는 삼위일체 교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요한복음 1장 1절의 "말씀(로고스)이 곧 하나님"이라는 구절은, 예수가 하나님과 동일한 본질을 지닌 존재인지, 아니면 하나님에게서 비롯된 별개의 존재인지에 대한 논쟁을 낳았다.[1]

이러한 논쟁은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 "동일본질"(homoousios) 교리가 채택되면서 일단락되는 듯했지만, 이후에도 다양한 신학적 해석과 논쟁이 계속되었다.

6. 1. 로고스의 번역 문제

코이네 그리스어 logosgrc불가타에서 라틴어 verbumla으로 번역된다. logosgrc와 verbumla 모두 히브리어 성경에서 דָּבָרhbo(dabarhbo)을 번역하는 데 사용된다.[80]

요한복음 1장 1절의 마지막 네 단어(θεὸς ἦν ὁ λόγοςgrc)의 번역은 현대 서방 기독교에서 특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논쟁은 주로 절 안에서 관사 ὁgrc의 사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어떤 사람들은 θεόςgrc ('하나님') 앞에 관사가 없다는 것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말씀은 ''한 신''이었다"로 번역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번역은 여호와의 증인신세계역과 유니테리언 토마스 벨샴이 윌리엄 뉴컴의 번역을 1808년에 개정한 판본에서 찾아볼 수 있다.[69] 제이슨 베드헌과 같은 그리스어 학자들 또한 전통적인 번역에 반대했다.

> 문법적으로 요한복음 1:1은 번역하기 어려운 구절이 아니다. 그것은 익숙하고 일반적인 그리스어 표현 구조를 따른다. 논란이 되는 구절에 대한 어휘(대역) 번역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신이 말씀이었다." 최소한의 문자적(형식적 등가) 번역은 적절한 영어 표현에 맞춰 어순을 재배열할 것이다. "그리고 말씀은 한 신이었다." 그리스어 문법, 문학적 맥락, 문화적 환경에서 볼 때 증거는 이러한 번역을 뒷받침하며, "말씀은 신성했다"는 표현은 동일한 기본 의미를 전달하는 약간 더 세련된 변형일 것이다. 이 두 가지 해석 모두 정확한 번역을 안내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에 반하는 전통적인 번역보다 우수하다. NASB, NIV, NRSV 및 NAB는 KJV 번역자가 만들어낸 번역을 따릅니다. 이 번역은 그리스어 문법, 요한의 문학적 맥락 또는 요한이 글을 쓰고 있는 문화적 환경에서 명확한 근거가 나오지 않으므로 적절한 변호를 기다리고 있다. (제이슨 베드헌, ''진실한 번역'')

다른 사람들은 관사의 기능을 완전히 무시하고, "하나님은 말씀이셨다"라는 번역을 제안하여 주어와 술어를 혼동했다. 콜웰의 규칙에 따르면, 등가 동사와 강조된 위치의 술어 보어가 포함된 이러한 구조에서 관사는 주어(말씀)와 술어(하나님)를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강조된 위치에 있는 술어는 부정적이라고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71]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영어 번역은 "말씀은 하나님이셨다"[72]이지만, "말씀은 하나님 자신이셨다"(증폭 성경) 또는 "말씀...은 참으로 하나님이셨다"(현대 영어 버전)와 같은 더 강조된 번역도 존재한다. 동방/그리스 정교회 성경 번역에 따르면, "그리고 말씀은 [무엇] 하나님 [이셨다]"이며, 이 구절에 대한 각주에서는 어려움을 설명한다.

> 이 두 번째 theosgrc는 "theos에 대한 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구조이므로 '신성한'으로 번역될 수도 있다. 말씀은 1:1a에 언급된 theosgrc와 ''동일한 인물''이라는 의미에서 하나님이 ''아니다''; 그는 하나님 아버지가 아니다 (일반적인 NT 용법에서와 같이 절대적인 하나님) 또는 삼위일체. 요점은 로고스가 하나님 아버지와 '동일한 창조되지 않은 본성' 또는 본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분과 영원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구절은 니케아 신조에서 다음과 같이 반복된다. "하나님(질적 또는 파생)은 하나님(인격적, 아버지)으로부터, 빛은 빛으로부터, 참 하나님은 참 하나님으로부터... 아버지와 ''homoousion''."[73]

명사 logosgrc의 가장 일반적인 번역은 ''말씀''이지만, 그리스어에 대한 이해가 서방 세계에서 증가함에 따라 문법적으로 덜 받아들여지는 다른 번역들이 사용되어 왔다.[74][75] 예를 들어, 칼뱅주의 신학자이자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전문가인 고든 클락 (1902–1985)은 logosgrc를 '논리'로 번역하여, "태초에 로고스가 있었고, 로고스는 하나님과 함께 있었으며, 로고스는 하나님이셨다"라고 했다.[76]

미국 번역 (1935)[77] 및 모파트, 신약 번역과 같은 다른 번역본에서는[78] "말씀은 신성했다"로 번역한다.[79]

로고스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괴테의 ''파우스트''에서도 다루어지며, 주인공 하인리히 파우스트는 마지막으로 die Tatde('행위' 또는 '실행')을 선택한다.

로고스의 개념은 또한 탈굼 (서기 1세기에 쓰여진 히브리어 성경의 아람어 번역)에서도 나타나는데, 여기서 memraarc (아람어로 '말씀')라는 용어는 특히 하나님의 현현이 의인화될 수 있을 때 '주님' 대신 자주 사용된다.[81]

6. 2. 로고스와 삼위일체 논쟁

로고스 기독론은 삼위일체 논쟁의 핵심적인 주제 중 하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Entry at LSJ online https://www.perseus.[...]
[2] 성경 John 1:1
[3] 성경 John 1:1
[4] 성경 John 1:1
[5]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11 http://www.newadvent[...]
[6]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3.4 http://www.newadvent[...]
[7]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8] 성경 Revelations 19:11-16
[9] 성경 Revelation 19:13, 16
[10] 서적 1, 2, and 3 John 2002
[11] 서적 First, Second, and Third John 1991
[12] 서적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000
[13] 서적 1, 2, 3 John 2008
[14] 서적 A Dictionary of biblical tradition in English literature 1992
[15]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1995
[16] 서적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InterVarsity Press 2013
[17] 서적 "Neither Jew nor Greek: Christianity in the Making, Volume 3" Wm. B. Eerdmans 2015
[18] 웹사이트 Luke 1 https://bible.org/se[...] 2012
[19] 서적 In the shadow of the temple: Jewish influences on early Christianity
[20]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21] 웹사이트 De Principiis http://www.newadvent[...]
[22] 서적 The Trinity 1991
[23] 웹사이트 Epistle to the Magnesians, 8 http://www.newadvent[...]
[24] 웹사이트 Epistle to the Ephesians, 7 http://www.newadvent[...]
[25] 서적 The Theology of Justin Martyr BiblioBazaar, LLC 1923
[2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Justin Martyr http://www.newadvent[...] 1910
[27] 간행물 "Filiation divine du Christ et filiation divine des chrétiens dans les écrits de Justin Martyr" https://www.academia[...] Madrid
[28] 웹사이트 Dialogue with Trypho http://www.newadvent[...]
[29] 웹사이트 dialogue online https://www.academia[...]
[30] 웹사이트 Dialogue With Trypho, 128, 129 http://www.newadvent[...]
[31] 웹사이트 Greek edition Ph. Bobichon https://www.academia[...]
[32] 웹사이트 To Autolycus, 2.10, 22 http://www.newadvent[...]
[33] 웹사이트 To Autolycus, 1.7 http://www.newadvent[...]
[34] 웹사이트 To Autolycus, 2.15 http://www.newadvent[...]
[35] 웹사이트 Plea For the Christians, 4 http://www.newadvent[...]
[36] 웹사이트 Church Fathers: A Plea for the Christians https://www.newadven[...] 2023-11-07
[37] 문서 See also Plea, 24: "For, as we acknowledge God, and the Logos his Son, and a Holy Spirit, united in power—the Father, the Son, the Spirit, because the Son is the Intelligence [Nous], Word [Logos], Wisdom [Sophia] of the Father, and the Spirit an effluence, as light from a fire". Adapted from the translation of B. P. Pratten, Ante-Nicene Fathers, Vol. 2, being corrected according to the original Greek.
[38] 웹사이트 Plea for the Christians http://www.newadvent[...] Athenagoras
[39] 웹사이트 Plea for the Christians http://www.newadvent[...] Athenagoras
[40]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8.3 http://www.newadvent[...] Irenaeus
[41]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11.8 http://www.newadvent[...] Irenaeus
[42]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Irenaeus
[43]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6.1 http://www.newadvent[...] Irenaeus
[44]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Irenaeus
[45]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2.30.9 http://www.newadvent[...] Irenaeus
[46]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Irenaeus
[47]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Irenaeus
[48]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2.30.9." http://www.newadvent[...] Irenaeus
[49]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Irenaeus
[50]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4.5.2 http://www.newadvent[...] Irenaeus
[51]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5.22.1 http://www.newadvent[...] Irenaeus
[52] 웹사이트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https://www.ccel.org[...] Irenaeus
[53]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8.3 http://www.newadvent[...] Irenaeus
[54]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4.5.2 http://www.newadvent[...] Irenaeus
[55] 서적 Against Heresies Irenaeus
[56] 서적 Against Heresies Irenaeus
[57]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3.11.1 http://www.newadvent[...]
[58] 서적 Nag Hammadi Codices III, 2 and IV, 2 - The Gospel of the Egyptians (the Holy Book of the Great Invisible Spirit) - Volumes 2-3 Brill
[59] 서적 Introduction to De immortalitate animae of Augustine: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C. W. Wolfskeel
[60] 웹사이트 The 21 Ecumenical Council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Catholic Encyclopedia
[61] 문서 John 1:1;14 NIV with Greek inserted.
[62] 서적 The Person of Christ Intervarsity Press
[63] 웹사이트 Cardinal Ratzinger On Europe's Crisis of Culture https://www.catholic[...] 2005-04-01
[64] 서적 Creative Tension: Essays on Religion and Science Templeton Foundation Press
[65] 문서 The Catholic Encyclopedia
[66] 문서 Joseph Priestley, scientist, philosopher, and theologian Isabel Rivers, David L. Wykes
[67] 웹사이트 John 1:1 (New World Translation) http://wol.jw.org/en[...]
[68] 웹사이트 The New Testament: in an improved version upon the basis of Archbishop Newcome's new translation, with a corrected text, and notes critical and explanatory https://archive.org/[...] 2012-03-14
[69] 서적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s: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Zondervan
[71] 논문 "A Definite Rule for the Use of the Article in the Greek New Testament"
[72] 서적 King James Version, Revised Standard Version,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 New Living Translation, English Standard Version, and Young's Literal Translation
[73] 간행물 New Testament https://web.archive.[...] Eastern Orthodox Bible 2009
[74] 서적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s: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Zondervan
[75] 논문 "A Definite Rule for the Use of the Article in the Greek New Testament"
[76] 서적 Who's Afraid of the Holy Spirit? Biblical Studies Press
[77] 웹사이트 An American Translation (Smith-Goodspeed) http://www.innvista.[...] Innvista 2015-04-27
[78] 웹사이트 Moffatt, New Translation http://www.innvista.[...] Innvista 2012-03-14
[79] 서적 The Gospel of John Liturgical Press
[80] 서적 Hebrew Thought Compared with Greek W. W. Norton & Company
[81] 간행물 Memra ("Ma'amar" or "Dibbur", "Logos") http://www.jewishenc[...] Funk & Wagnalls 1901-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