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순절은 한자로 "다섯 번의 열흘"이 지난 날을 의미하며, 헬라어 '펜테코스테'에서 유래한 용어로, 유대교의 칠칠절(샤부오트)을 가리키는 말이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의 제자들이 성령을 받아 방언으로 말하고 기독교가 시작된 사건을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이후 50일째 되는 날을 기념하는 절기인 성령강림절을 뜻한다. 오순절은 유대교의 수확 축제이자,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중요한 날로,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의 전례, 상징, 전통 등이 존재하며, 한국 교회에서도 성령 강림을 기념하며 사회 통합의 가치를 되새기는 날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레나다의 공휴일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네덜란드의 공휴일 - 박싱 데이
박싱 데이는 크리스마스 다음 날인 12월 26일로, 선물 상자를 의미하며 영국 등 여러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쇼핑, 스포츠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진다. - 네덜란드의 공휴일 - 새해 첫날
새해 첫날은 그레고리력 1월 1일로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기념되고, 각 문화권에서는 고유한 풍습과 전통을 바탕으로 새해맞이 행사를 개최하며,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다짐하는 의미있는 날로 여겨진다.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공휴일 -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은 기독교 축일로, 모든 성인과 순교자를 기념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11월 1일에, 동방 교회에서는 오순절 다음 주일에 기념하고,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어 묘지를 방문하여 고인을 기리는 풍습이 있다.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공휴일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오순절 | |
---|---|
종교 정보 | |
종류 | 기독교 |
기념 | 성령이 사도와 다른 예수의 추종자들에게 내려온 사건; 교회의 탄생 |
날짜 | 부활절 후 50일 |
날짜 | '}}' (서방) '}}' (동방) |
날짜 | ' |cite=y}}' (서방) '}}' (동방) |
날짜 | '}}' (서방) '}}' (동방) |
날짜 | '}}' (서방) '}}' (동방) |
관련 | 예수 데이 샤부오트 로살리아 녹색 주간 핑크스터 성령 강림절 월요일 성령 강림절 화요일 성령 강림절 금요일 삼위일체 주일 |
기념 행사 | |
기념 방법 | 기도 철야 기도 단식 (축제 전) 9일 기도 피정 성찬식 연도 |
축하 행사 | 교회 예배 축제 식사 행렬 세례 견진성사 서품 민속 풍습 춤 봄과 숲 의례 |
준수자 | 가톨릭교회 고 가톨릭교회 루터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미시 성공회 및 기타 기독교인 |
기타 | |
![]() | |
다른 이름 | 성령 강림절 (아일랜드, 영국) 삼위일체 주일 (동방 정교회) |
2. 어원
오순절은 한자로 다섯 번의 열흘(旬: 열흘 순)이 지난 날이라는 의미다. 70인역 성경에서 '50번째'라는 뜻의 '펜테코스테(Πεντηκοστή)'로 옮긴 것을 중역한 것이다. 70인역에서는 레위기 23장에서 50번째 되는 날인 칠칠절을 나타낼 때,[122] 그리고 레위기 25장에서 50번째 해가 되는 희년을 나타낼 때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123][124] 필론과 요세푸스 등 헬레니즘 유대인들 역시 이 단어를 사용하였으며,[125] 가톨릭 정경인 토비트와 마카베오하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했다.[124][126][127]
초실절(부활절)에 첫 열매로 부활한 예수께서 부활 후 40일째에 승천하시면서, 오순절까지 예루살렘에서 약속한 성령을 기다리라고 말씀하셨다.[128] 구약 시대의 칠칠절은 하나님께서 시내산에서 모세에게 십계명과 율법을 주신 날이다. 신약 시대의 오순절에는 칠칠절에 십계명과 율법을 주신 것처럼, 약속된 성령을 주셔서 하루에 3천 명, 5천 명씩 많은 사람들이 구원받게 되어 교회에 큰 부흥이 일어났고, 방언의 능력으로 이방인들에게까지 복음이 전파되었다.[129] 사도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 강림이 요엘 선지자의 예언(요엘 2:28)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설교하였다.[130]
“오순절”(Pentecost)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고대 공통어(Koine Greek) πεντηκοστή|펜테코스테grc(pentēkostē)에서 유래했으며, “50번째”를 의미한다. 구약 성경의 헬라어 번역본인 칠십인역에서 “오순절”은 세 가지 순례절기 중 하나인 샤부오트 축제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다. 신명기 16:10[4]과 출애굽기 34:22[5][22][6]에 따르면, 샤부오트는 유월절 후 50일째 되는 날에 지켜지는데, 이는 “주간의 절기”(ἑορτὴν ἑβδομάδων, heortēn hebdomádōn)로 불린다.[5][22][6]
칠십인역 번역자들은 또한 두 가지 다른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했다. 하나는 매 50년마다 일어나는 희년(레위기 25:10)[9][10]을 가리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러 연대기 구절에서 서수로 사용된 것이다. 이 용어는 헬레니즘 유대교 문헌에서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와 요세푸스에 의해 샤부오트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6]
역사적으로, 펜테코스테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50번째 (날)"을 의미하는 펜테코스테(·헤메라) "πεντηκοστή [ἡμέρα]"|펜테코스테 헤메라el에서 유래했다.[111] 이것은 유대교에서 보리의 첫 열매를 바치는 맥추절 50일 후에 지내는 축제인 샤부오트(Shavuot) "שבועות"|샤부오트he("주"를 뜻하는 샤부아 "שבוע"|샤부아he의 특수한 복수형)의 그리스어 번역이다.
3. 성경적 배경 및 의의
바벨탑 사건으로 사람들의 언어가 혼잡하게 되었는데, 오순절 성령 강림으로 언어의 장벽을 넘어 다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132]
3. 1. 신약 성경에 등장하는 오순절
사도행전 2장 1절에 따르면, 초대 교회 성도들이 오순절 예배를 드리는 장면은 다음과 같다.
사도 바울은 예루살렘에서 오순절을 지키기 위해 급히 이동했다. 또한, 에베소에서 오순절을 지키려고 하였다.
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 이야기는 바벨탑, 대홍수, 창조 등 이전 성경 이야기들을 언급하며, 십계명이 모세에게 주어졌을 때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성육신한 모습 등 특정한 신현들에 대한 언급도 포함되어 있다.[22] 신학자 스티븐 윌슨은 이 이야기를 "매우 모호하다"고 묘사했고, 성서 학자들 사이에는 여러 의견 차이가 존재한다.[26]
일부 성서 주석가들은 사도행전 2장 2절에 나오는 사건의 장소(οἶκος|오이코스|집grc)가 성전의 30개 현관 중 하나였다고 주장하지만, 본문 자체에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부족하다. 리처드 C. H. 렌스키와 다른 학자들은 사도행전 저자가 이러한 의미를 의도했다면 ἱερόν|히에론|성소 또는 성전grc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4][27] 이 "집"이 사도행전 1장 12절에서 언급된 "위층 방"(ὑπερῷον|휘페로온grc)일 수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장소를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문학적 증거는 없으며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남아 있다.[22][24]
사도행전 2장의 사건들은 예루살렘에서 오순절을 기념하는 배경 속에서 펼쳐진다. 저자는 예수의 제자들이 "오순절"(ἡμέρα τῆς Πεντηκοστῆς|헤메라 테스 펜테코스테스grc)에 "한 곳에 모여 있었다"고 언급하며 시작한다.[28] 사도행전 2장 1절에서 오순절의 도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동사는 성취의 의미를 지닌다.[27][29][30]
"큰 바람 소리"가 있고(바람은 성령의 일반적인 상징이다)[30][31] "불의 혀"가 나타났다.[32] 모인 제자들은 "성령으로 충만하여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 시작"했다.[33]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을 모인 제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언어를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반면,[34] 다른 학자들은 "방언"(γλῶσσαι|글로싸이grc)을 열광적인 말하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26][35]
기독교 전통에서 이 사건은 그리스도께서 그의 제자들을 성령으로 세례할 것이라는 약속의 성취를 나타낸다.[27][36]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만 물세례와 그리스도께서 "성령과 불"로 주시는 세례의 구별이 발견된다.[37][38]
사도행전의 이야기는 요르단 강에서 예수의 세례와 그의 사역의 시작을 환기시키며, 세례자 요한의 이전 예언을 오순절에 성령으로 제자들이 세례받는 것과 명시적으로 연결한다.[24][39] 율법 주는 절기인 오순절에 이 이야기의 시점은 율법 주는 것과의 연속성뿐만 아니라 초기 교회에 대한 성령의 중심적인 역할을 상징한다. 기독교 신앙에서 그리스도의 중심적인 역할은 토라와 모세 율법에 기반한 전통적인 유대교 신앙과의 근본적인 신학적 분리를 의미했다.[24]
베드로의 설교는 부활과 승천을 강조한다.[7] 그의 설교에서 베드로는 요엘 2:28–32과 시편 16편을 인용하여 첫 번째 오순절이 메시아 시대의 시작을 알린다고 말한다. 그리스도의 추종자 120명(사도행전 1:15)이 참석했는데, 12사도( 마태는 유다의 대체자였다)(사도행전 1:13, 26),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다른 여성 제자들과 그의 형제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성령이 임한 사람들이 여러 언어로 말하고 있었을 때, 사도 베드로는 열한 명의 사도들과 함께 일어서서 이 사건이 예언의 성취라고 군중에게 선포했다.[40]
사도행전 2:17절에는 "'마지막 날에 내가 내 영을 모든 혈육에게 부어 주리니 너희의 아들과 딸들은 예언할 것이요 너희의 젊은이들은 환상을 보고 너희의 노인들은 꿈을 꿀 것이다.'"라고 나와 있다. 또한 (사도행전 2:15) 낮의 세 번째 시간(오전 9시경)이었다고 언급한다. 사도행전 2:41은 "그 말씀을 받은 사람들은 세례를 받으니 이 날에 호된 무리가 더하여졌는데 그 수가 약 삼천이나 되더라."라고 보고한다.[41]
일부 비평 학자들은 이야기의 일부 특징이 신학적 구성이라고 믿는다. 그들은 오순절 이야기가 문자 그대로 사실이 아니더라도 초기 교회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을 의미하며 기독교의 빠른 확산을 가능하게 했다고 믿는다. 몇십 년 안에 로마 제국의 모든 주요 도시에 중요한 교회들이 설립되었다.[7]
사도행전 2장에 관하여 게르트 루데만은 오순절 모임이 매우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며,[42] 사도들의 가르침은 역사적으로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한다.[43] 웨더번은 ‘대규모 열광적인 경험’의 가능성을 인정하며,[44] 사도행전에 묘사된 것과 같은 오순절 사건이 없었다면 초기 기독교인들이 나중에 이 유대인 축제를 채택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한다.[45] 그는 또한 사도행전 2장에 나오는 초기 공동체에 대한 묘사가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46][47]
성서 주석가 리처드 C. H. 렌스키는 사도행전에서 "오순절"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유대인 축제를 언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독교인들이 "오순절"이라는 이름을 유지했지만 유월절이 아니라 부활절을 기반으로 축제 날짜를 계산하기 시작한 후까지는 잘 정의된 별개의 기독교 축제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썼다.[27]
베드로는 이 사건이 그때부터 유대인과 이방인을 막론하고 모든 신자들에게 제공될 지속적인 부어줌의 시작이라고 말했다.[53]
성령 강림에 관한 내용은 신약 성서의 『사도행전』 2장 1절-42절에 나온다. 그에 따르면, 부활한 예수는 제자들에게 "곧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리라"고 말씀하시고(사도행전 1장 8절), 하늘로 승천하신다(예수 승천). 그 후 10일 후, 유대교의 칠칠절에 사도들과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 그리고 예수를 따랐던 여자들이 모여 기도하고 있을 때, 갑자기 거센 바람 소리가 들리고 하늘로부터 불꽃 같은 혀들이 각 사람 위에 내려앉았다.[110] 모여 기도하던 신자들은 성령으로 충만해져 여러 나라의 언어로 말하기 시작했다(일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방언"이 아니라 "외국어"를 의미한다). 지중해 세계 전역에 흩어져 살던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오순절을 기념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모여 있었는데, (팔레스타인 출신) 신자들이 지중해 세계 각지의 언어로 말하는 것을 듣고 놀랐다. 베드로를 중심으로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자 많은 사람들이 믿고 세례를 받아 사도들의 그룹에 합류했다. 기독교는 세례를 통해 성령이 내린다고 주장하지만, 예수의 제자들은 세례를 받은 직후에는 성령이 내리지 않고 오순절에 처음으로 내렸다는 점에서 모순이 있다고 말해지지만, 요한복음 16장 7절에서 예수는 "내가 너희에게서 떠나가지 아니하면 보혜사가 너희에게로 오지 아니하겠고 내가 가면 보혜사를 너희에게 보내리라"라고 말씀하셨으므로 모순은 없다. 또한 물로 하는 세례와 성령의 세례는 별개의 것이다.
4. 유대교의 샤부오트
유대교에서 샤부오트(Shavuot)는 유월절 첫날로부터 7주와 하루 후(신명기 16:9), 또는 안식일로부터 7주와 하루 후(레위기 23:16)에 기념하는 수확 축제이다.[17][18][19] 미슈나와 바빌로니아 탈무드, 아라킨 논문에서도 언급된다.[20] 50일이라는 실제 언급은 레위기 23:16에서 나온다.[5][21]
주간의 축제는 출애굽기 23:16에서는 수확의 축제로, 민수기 28:26에서는 첫 열매의 날로도 알려져 있다.[18] 출애굽기 34:22에서는 "밀 수확의 첫 열매"라고 불린다.[19]
헬레니즘 시대에 고대 수확 축제는 노아의 계약을 갱신하는 날이 되었다. 창세기 9:17에 묘사된 이 계약은 하나님과 "땅 위에 있는 모든 육체" 사이에 맺어진 계약이다.[22]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로는 예루살렘 성전에 제물을 바칠 수 없게 되었고, 축제의 초점은 농업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토라를 받은 것으로 옮겨갔다.[23]
이 무렵 이미 일부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에 살고 있었다. Acts|사도행전영어 2장 5절-11절에 따르면 예루살렘에는 "하늘 아래 모든 나라"의 유대인들이 있었는데, 오순절에 순례자로서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가능성이 있다.[24]
5. 기독교의 오순절 (성령강림절)
기독교에서 오순절은 부활절 후 50일째 되는 날에 기념하는 이동 축일이다.[112]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모두 중요하게 지킨다. 초실절(=부활절)에 첫 열매로 부활하신 예수가 승천하면서 오순절까지 예루살렘에서 약속한 성령을 기다리라고 말씀하셨다.[128] 칠칠절에 십계명과 율법을 주신 것처럼, 오순절에 약속된 성령을 주셔서 많은 사람들이 구원받고 교회가 부흥했으며, 방언의 능력으로 이방인들에게까지 복음이 전파되었다.[129] 사도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이 요엘 선지자의 예언이 이루어졌다고 설교하였다.[130]
많은 기독교에서 오순절을 성령 받는 날로 인식하며,[131] 바벨탑 사건으로 갈라진 언어가 오순절 성령으로 인해 다시 소통할 수 있게 된 사건으로 인식한다.[132] 역사적으로, 펜테코스테라는 이름은 그리스어로 "50번째 (날)"을 의미하는 펜테코스테(·헤메라) "πεντηκοστή [ἡμέρα]"el에서 유래했다.[111]
성령 강림에 관한 내용은 신약 성서의 『사도행전』 2장 1절-42절에 나온다. 부활한 예수는 제자들에게 "곧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리라"고 말씀하시고(사도행전 1장 8절), 하늘로 승천하신다(예수 승천). 그 후 10일 뒤, 유대교의 칠칠절에 사도들과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 그리고 예수를 따랐던 여자들이 모여 기도하고 있을 때, 갑자기 거센 바람 소리가 들리고 하늘로부터 불꽃 같은 혀들이 각 사람 위에 내려앉았다.[110] 모여 기도하던 신자들은 성령으로 충만해져 여러 나라의 언어로 말하기 시작했다.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오순절을 기념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모여 있었는데, 신자들이 지중해 세계 각지의 언어로 말하는 것을 듣고 놀랐다. 베드로를 중심으로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자 많은 사람들이 믿고 세례를 받아 사도들의 그룹에 합류했다.
기독교는 세례를 통해 성령이 내린다고 주장하지만, 예수의 제자들은 세례를 받은 직후에는 성령이 내리지 않고 오순절에 처음으로 내렸다는 점에서 모순이 있다고 말해지지만, 요한복음 16장 7절에서 예수는 "내가 너희에게서 떠나가지 아니하면 보혜사가 너희에게로 오지 아니하겠고 내가 가면 보혜사를 너희에게 보내리라"라고 말씀하셨으므로 모순은 없다. 또한 물로 하는 세례와 성령의 세례는 별개의 것이다.
성령강림절의 기념 방식은 국가마다 다양하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신약 성서에 기록된 불꽃 같은 혀를 상징하는 장미 꽃잎을 뿌리거나, 거센 바람 같은 소리를 표현한 나팔을 분다. 남독일이나 스위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암소에 화관을 씌우고 행렬을 한다.[114] 성령강림을 그린 예술 작품은 많지만, 특히 유명한 것으로 엘 그레코의 그림 「성령강림」이 있다.[115]
5. 1. 서방 교회의 전례

서방 교회의 오순절 예배는 동방 교회만큼이나 풍부하고 다양하다. 서방 교회에서 오순절의 전형적인 이미지는 제자들 사이에 중앙에 눈에 띄게 자리 잡은 성모 마리아와, 그들의 머리 위에 불꽃이 놓여 있는 모습이다. 때로는 "큰 바람"[61]의 움직임을 암시하는 갈라지는 구름, 빛줄기, 그리고 성령의 비둘기가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 서방의 성화 양식은 동방보다 정적이고 틀에 박히지 않았으며, 매우 다양한 표현들이 제작되었고, 티치아노, 조토, 엘 그레코의 오순절 작품처럼 일부는 큰 명성을 얻기도 했다.
바울로는 이미 1세기에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이 축제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사도행전 20:16 및 고린도전서 16:8 참조)
로마 가톨릭 교회 전례에서 오순절은 부활절 기간의 끝이자 교회의 탄생을 의미한다.[57]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오순절 월요일 또한 의무 축일이었으나, 공의회 이후로 오순절 월요일은 더 이상 엄숙하게 기념되지 않는다. 오순절 월요일은 스웨덴 루터 교회나 핀란드 복음 루터 교회 등 많은 개신교 교회에서 여전히 공식적인 축제로 남아 있다. 비잔틴 가톨릭 전례에서는 오순절 월요일이 더 이상 의무 축일이 아니고, 단순한 공휴일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특별 전례 양식에서는 부활절과 마찬가지로 오순절 주간 월요일과 화요일의 전례 등급이 1등급 이중 축일[58]이며, 많은 서방 교파에서 오순절은 팔일 축제로 기념되며 성삼위일주일에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현대 로마 전례(보통 전례)에서는 오순절은 축제일 저녁 기도 후에 끝나고 다음 날부터 평상시로 돌아간다.

복음주의 및 오순절 운동 교회 중 일부는 전례력을 덜 강조하는 곳에서 오순절은 여전히 독일이나 루마니아와 같이 일 년 중 가장 큰 축제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이러한 교회에서 오순절이 성일로 무시될 수도 있다. 미국의 많은 복음주의 교회에서는 성서의 오순절 축제보다 세속적인 휴일인 어머니날이 더 많이 기념될 수 있다.[59] 일부 복음주의자와 오순절 신자들은 전례력을 지키고 오순절을 성령의 은사를 가르치는 날로 삼고 있다.
교파를 초월하여 오순절은 그리스도인들이 삶에서 성령의 역할을 존중하고 에큐메니컬한 맥락에서 기독교 교회의 탄생을 축하할 수 있는 기회였다.[60]
서구 기독교 초기부터 오순절은 세례를 기념하는 날 중 하나로 정해졌다. 북유럽에서는 당시 관례였던 야외 침수 세례에 유리한 늦봄의 온도 때문에 부활절보다 오순절을 더 선호했다. 주일(Whit Sunday)이라는 용어는 새로 세례받은 사람들이 흰옷을 입는 풍습과 영국 전례에서 성직자들이 흰 제의를 입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84]
성찬식 또한 오순절을 지키는 개신교들에게 흔히 중요한 부분이다. 일부 개혁파 교단에서 성찬식을 드릴 수 있는 몇 안 되는 주일 중 하나이며, 모라비아인들이 사랑의 잔치(Love Feasts)를 기념하기 위해 특별히 정한 날 중 하나이기도 하다. 성직 서임은 다양한 서구 교단에서 오순절 또는 그 무렵에 거행된다. 예를 들어 루터교에서는 부제의 서임식이나 성별식이 오순절에 거행되지 않더라도 전례 색깔은 항상 붉은색이며 예배의 주제는 성령이다.
무엇보다도 오순절은 청소년을 위한 견진성사 기념식을 거행하는 날이다. 세례를 상기시키는 꽃, 흰 로브 또는 흰 드레스 착용, 안수와 같은 의식, 그리고 활기찬 찬송이 이러한 기쁜 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봄의 개화는 청소년의 성장과 같은 비유를 형성한다.
5. 2. 동방 교회의 전례
동방 정교회에서 오순절은 대축일 중 하나이며, 부활절(Pascha)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순위의 주님의 대축일로 여겨진다.[54] 전례색은 녹색이며, 성직자와 신자들은 예배 중에 손에 꽃과 푸른 가지를 들고 있다.[54]오순절 밤에는 "무릎 꿇고 드리는 기도"라는 특별한 예배가 드려진다.[55] 이는 바실리우스 대제가 지은 긴 시적인 기도 세 벌이 추가된 만과 예배이다. 예배 중 모든 사람은 바닥에 이마를 대고 완전히 땅에 엎드린다. (부활절(파스카(Pascha))부터 이때까지 교회에서 땅에 엎드리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다).[55] 특이하게도 이 기도에는 지옥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간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만약 하나님이 가능하다고 여기신다면, 그들이 구제받고 궁극적으로 감금에서 풀려날 수 있도록 간청하는 것이다.[55] 알렉산드리아의 콥트 정교회에서는 오순절 주일 9시(오후 3시)에 이 기도를 드린다.[55]
축일 자체는 3일간 지속된다. 첫째 날은 "성삼일 주일", 둘째 날은 "성령의 월요일", 셋째 날은 "성삼일의 셋째 날"이라고 한다.[54] 오순절의 축일 후 기간은 1주일 동안 지속되며, 수요일과 금요일조차도 금식이 허용되지 않는다.[54]
5. 3. 오순절의 상징과 전통
서구권에서 성령강림절의 주요 상징은 붉은색이다.[61] 이는 성령의 기쁨과 불을 상징한다.[62] 사제나 목사, 그리고 성가대는 붉은색 성의(vestments)를 착용하며, 현대에는 이러한 관습이 확대되어 회중의 평신도들도 기념 행사 시 붉은색 의복을 착용하기도 한다. "큰 바람"[61]과 성령의 자유로운 역동성을 상징하기 위해 붉은색 현수막이 벽이나 천장에 걸리기도 한다.[62]경우에 따라서는 붉은색 부채나 손수건이 회중에게 나누어져 행렬 등에서 흔들리기도 한다. 다른 교회에서는 "교회의 생일"을 상징하는 붉은색 풍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풍선들은 회중들이 들고 있거나, 예배당을 장식하거나, 한꺼번에 날려 보내기도 한다.
오순절 축하 행사에는 성령의 상징인 비둘기나 불꽃, 노아의 방주와 석류와 같은 교회의 상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개혁 전통(Reformed tradition)과 복음주의(Evangelicalism) 전통의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는 이미지보다는 성령의 일곱 은사나 성령의 열매와 같은 단어가 사용될 수 있다.[63]
제단/설교단에 빨간 꽃, 그리고 교회 주변에 빨간 꽃이 피는 식물, 예를 들어 제라늄을 장식하는 것 또한 오순절 미사/예배의 전형적인 장식이다.[63] 이것은 최초의 오순절 이후 생명의 갱신, 여름의 따뜻함의 도래, 교회의 성장을 상징한다.[63] 예를 들어 남반구, 특히 호주 남부에서는 오순절이 여름의 뜨거운 열기 이후 온화한 가을에 오며, 그때는 종종 빨간색 잎을 가진 포인세티아로 교회를 장식하는 데 사용된다.
이 꽃들은 종종 특정 교회의 조상 의례 및 기타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프로테스탄트 교회와 가톨릭 교회 모두에서 휴일 장식을 위해 가져온 식물은 각각 특별한 사랑하는 사람을 기리거나, 견진성사와 같이 중요한 행사를 맞이하는 산 사람을 기리는 등 개인이 후원할 수 있다.[63]
독일어권 국가 및 중앙 유럽 국가들과 이민을 통해 이들 국가에서 유래한 해외 교회들에서는 오순절을 위해 교회를 장식하는 데 전통적으로 푸른 가지가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자작나무가 이 관습과 가장 일반적으로 관련된 나무이지만, 다른 기후에서는 다른 종류의 나무가 사용된다.
중세 시대에 서유럽의 대성당과 큰 교회들에는 ‘성령의 구멍(Holy Ghost hole)’이라 알려진 독특한 건축적 특징이 있었다. 이것은 지붕에 있는 작은 원형 구멍으로, 성령이 회중 한가운데로 들어오는 것을 상징했다. 오순절에는 이 성령의 구멍을 꽃으로 장식하고, 때로는 오순절 이야기를 낭독하는 동안 비둘기 모형을 교회 안으로 내려 보내기도 했다. 캔터베리 대성당과 같은 유럽 교회에서 오늘날에도 성령의 구멍을 볼 수 있다.[64]
마찬가지로, 크고 2차원적인 비둘기 모형을 나무로 만들어 페인트칠을 하고 꽃으로 장식하여, 특히 시퀀스 찬송가 또는 '성령 창조주시여 (Veni Creator Spiritus)'를 부르는 동안 회중 위로 내리는 풍습이 있었고, 어떤 곳에서는 아직도 행해지고 있다. 다른 곳들, 특히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장식실에서 회중 위로 장미 꽃잎을 뿌리는 풍습이 있었고 현재도 있다. 이것은 불의 혀를 연상시킨다. 현대에는 이러한 관행이 부활하여 적용되었으며, 위에서 오리가미 비둘기를 뿌리거나, 때로는 수백 개의 비둘기를 천장에 매달아 놓는 것도 포함된다.[65]
서쪽과 동쪽 모두에서 오순절에 교회를 장미로 장식하는 인기 있는 전통이 생겨나면서 오순절을 (장미 축제)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화되었다.[85] 그리스어로는 ρουσάλιαel ()가 되었다.[85] 이로 인해 ''Rusalii''는 오순절을 가리키는 루마니아어 용어가 되었고, 나폴리어에서는 ''Pasca rusata''("장미빛 부활절")라는 일반적인 명칭이 생겨났다. 현대 그리스어에서 이 용어는 오순절 자체가 아니라 오순절 전날을 가리키거나, 아티카의 메가라의 경우에는 ''파스카''(부활절) 다음 월요일과 화요일을 가리킨다.[86] 장미는 오순절만이 아니라 오순절 전례서의 전체 전례 기간 동안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요한 크리소스토모스는 자신의 신자들에게 이러한 관습이 성령의 열매를 받아들임에 있어 미덕으로 자신을 영적으로 장식하는 것을 대체하지 않도록 경고했다.[85]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는 신약 성서에 기록된 불꽃 같은 혀를 상징하는 장미 꽃잎을 뿌리거나, 거센 바람 같은 소리를 표현한 나팔을 분다. 남독일이나 스위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는 암소에 화관을 씌우고 행렬을 한다.[114]
5. 4. 오순절과 관련된 음악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의 "Komm, Heiliger Geist, Herre Gott"(오소서, 거룩하신 성령이여, 하나님이시여)[66][67], 찰스 웨슬리(Charles Wesley)의 "신앙의 영이여 내려오소서(Spirit of Faith Come Down)"[68][69], "오소서 거룩한 성령이여 우리 마음을 감동케 하소서(Come Holy Ghost Our Hearts Inspire)"[70], 힐데가르트 폰 빙겐(Hildegard von Bingen)의 "오 거룩하신 성령이여 생명의 뿌리여(O Holy Spirit Root of Life)"[71][72] 등 오순절과 관련된 찬송가들이 널리 불린다. 9세기 라바누스 마우루스가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Veni Creator Spiritus''(오소서, 창조주 성령이여)는 오늘날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찬송가 중 하나이며, 여러 세기에 걸쳐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78][79]루터교는 바로크 시대에 오순절을 사흘 동안 지켰으며, 일부 작곡가들은 이 기간 동안 교회 예배에서 연주할 성스러운 칸타타를 작곡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오순절을 위해 ''Erschallet, ihr Lieder, erklinget, ihr Saiten!'' BWV 172(1714년)와 ''Also hat Gott die Welt geliebt'', BWV 68(1725년) 등 여러 칸타타를 작곡했다.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톨첼은 1737년에 ''Werdet voll Geistes''(정신으로 가득 차라)와 같은 칸타타를 작곡했다.[89] 모차르트는 1768년에 ''Veni Sancte Spiritus'' 반주곡을 작곡했다.
구스타프 말러는 1910년 초연된 그의 8번 교향곡의 첫 번째 부분으로 마우루스의 찬송가 "Veni, Creator Spiritus"를 작곡했다.
올리비에 메시앙은 1949/50년에 오르간 미사곡 ''Messe de la Pentecôte''를 작곡했다. 1964년 프리츠 베르너는 곡조 ''Veni Sancte Spiritus''를 바탕으로 오순절 오라토리오 ''Veni, sancte spiritus''(오소서, 성령이시여)를 작곡했고, 야니 크리스투는 오순절 오라토리오 ''Tongues of Fire''(불의 혀들)를 작곡했다. 리처드 힐러트는 1969년에 합창, 비브라폰, 그리고 준비된 전자 테이프를 위한 ''오순절 기념 모테트''를 작곡했다. 비올레타 디네스쿠는 1993년에 5명의 독창자, 혼성 합창단,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한 오순절 오라토리오 ''Pfingstoratorium''을 작곡했다. 다니엘 엘더의 21세기 작품인 무반주 합창을 위한 "Factus est Repente"는 2013년에 초연되었다.
6. 한국 교회의 오순절
한국 교회는 오순절을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중요한 절기로 지킨다. 칠칠절에 십계명과 율법을 주신 것처럼, 오순절에 약속된 성령을 주셔서 하루에 3천, 5천 명씩 많은 영혼들이 구원받게 되어 교회에 큰 부흥이 일어났고, 방언의 능력으로 이방인들에게까지 복음이 전파되었다.[129] 사도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이 요엘 선지자의 예언이 이루어졌다고 설교하였다.[130] 그래서 많은 기독교에서 오순절을 성령 받는 날로 인식하고 있다.[131] 또한 바벨탑 사건으로 사람들의 언어가 갈라지게 되었는데, 오순절 성령으로 인하여 다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다.[132]
오순절교는 개인적인 성령의 역사를 강조하며, 방언과 같은 신적인 체험을 중시한다. 그 중요성 때문에 자신의 교회 이름에 오순절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성화를 강조하는 복음주의 교회에서도 개인적인 성령의 역사를 강조하지만, 마음속의 자아(자기중심적인 생각)가 정결하게 되고, 하나님 중심으로 사는 사람으로 변화되는 “순간적 성화”와, 삶이 조금씩 성화되어 깨끗한 삶을 살게 되는 “점진적 성화”를 강조한다. 그 때문에 “성결파”라고 불리기도 한다. 복음주의 및 오순절교를 제외한 많은 기독교 교파에서는 성령 강림은 교회가 설립된 날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7. 오순절 관련 문화 및 풍습
이탈리아에서는 불의 혀를 상징하기 위해 교회 천장에서 장미꽃잎을 뿌리는 관습이 있었다. 시칠리아와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이 축제를 "Pasqua rosatum"이라고 불렀으며, 이탈리아어 "Pasqua rossa"는 오순절에 사용되는 적색 제의에서 유래했다.[90]
프랑스에서는 성령 강림을 동반한 강한 바람 소리를 상기시키기 위해 미사 중에 나팔을 부는 관습이 있었다.[90]
잉글랜드 북서부에서는 오순절(때로는 오순절 다음 금요일인 오순절 금요일)에 휘트 워크(Whit Walks)라고 불리는 교회 및 예배당 행렬이 열린다.[91] 일반적으로 행렬에는 취주악단과 합창단이 참여하며, 소녀들은 흰색 옷을 입는다. 전통적으로 휘트 페어(Whit Fairs)(때로는 휘트선 에일(Whitsun Ales)이라고도 함)[92]가 열렸으며, 모리스 댄스[93]와 치즈 굴리기[94]와 같은 관습도 오순절과 관련이 있다.
헝가리에서는 (헝가리어로 Pünkösd라고 함) 이 날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독특한 의식이 행해지는데, 고대 헝가리 관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축제복을 입은 소녀들은 작은 여왕(Kiskirályné, Pünkösdi Királyné와 혼동해서는 안 됨)을 뽑아 높이 들어 올린다. 동물로 분장한 인물이 등장하여 죽었다가, 시종이 농담 같은 주문을 외우면서 다시 살아난다.[95]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Pentecost?
https://www.christia[...]
Christianity.com
2019-06-09
[2]
성경
Acts 2:1–31
[3]
성경
Acts 1:14
[4]
성경
Exodus 34:22
[5]
서적
A handbook on Deuteronomy
United Bible Societies
2000
[6]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7]
백과사전
Pentecost
W.B. Eerdmans
2009
[8]
성경
Tobit 2:1 & 2 Maccabees 12:32
[9]
성경
Leviticus 25:10
[10]
백과사전
Pentecost
Eerdmans
2006
[11]
웹사이트
Septuagint (LXX), 1 Maccabees 6:20
https://www.academic[...]
German Bible Society
2017-06-09
[12]
성경
1 Maccabees 6:20
[13]
성경
1 Maccabees 7:1
[14]
성경
1 Maccabees 9:3
[15]
성경
1 Maccabees 9:54
[16]
성경
2 Maccabees 14:4
[17]
서적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1994
[18]
서적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Hendrickson Publishers
2011
[19]
서적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with the New International Version of the Holy Bible in twelve volum
Zondervan
1984
[20]
웹사이트
Mishnah Arakhin 7:1–9:8; Tosefta Arakhin 5:1–19; Babylonian Talmud Arakhin 24a–34a
http://www.sefaria.o[...]
[21]
서적
NIV archaeological study Bible an illustrated walk through biblical history and culture : New International Version.
Zondervan
2005
[22]
웹사이트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02
[23]
웹사이트
Shavuot - The Holiday of the Giving of the Torah - Chabad.org
https://www.chabad.o[...]
[24]
서적
Acts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7
[25]
서적
Jerusalem: Points Beyond Friction, and Beyond
Brill
2000
[26]
학술지
The List of Nations in Acts 2: Roman Propaganda and the Lukan Response
2002
[27]
서적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s of the Apostles 1-14
Augsburg Fortress
2008
[28]
성경
Acts 2:1
[29]
서적
Vine's Expository Dictionary of the Old & New Testament Words
Thomas Nelson Incorporated
2003
[30]
웹사이트
Commentary on Acts – Volume 1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18-12-02
[31]
성경
Acts 2:2
[32]
성경
Acts 2:3
[33]
성경
Acts 2:4
[34]
성경
Acts 2:6–11
[35]
성경
1 Corinthians 14
[36]
성경구절
[37]
성경구절
[38]
서적
Expositor's Bible Commentary
[39]
성경구절
[40]
성경구절
[41]
성경구절
[42]
논문
Acts and the History of the Earliest Jerusalem Church
2004
[43]
논문
Acts and the History of the Earliest Jerusalem Church
2004
[44]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45]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46]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47]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48]
논문
Acts and the History of the Earliest Jerusalem Church
2004
[49]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50]
서적
A History of the First Christians
2004
[51]
서적
Paul Between Damascus and Antioch: the unknown years
1997
[52]
서적
Paul Between Damascus and Antioch: the unknown years
1997
[53]
성경구절
[54]
웹사이트
Trinity Week – 3rd Day of the Trinity
http://ocafs.oca.org[...]
Ocafs.oca.org
2013-12-21
[55]
웹사이트
Pentecost Prayers of Kneeling
http://www.stnichola[...]
[56]
서적
Patrologia Graecae
[57]
서적
The New Sunday Missal: Texts approved for use in England and Wales, Ireland, Scotland and Africa
Geoffrey Chapman
1982
[5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entecost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2-10-01
[59]
웹사이트
Pentecost: All About Pentecost (Whitsunday)!
http://www.churchyea[...]
ChurchYear.net
2010-05-17
[60]
웹사이트
Pentecost Picnic 2009
http://www.themint.o[...]
Themint.org.uk
2010-05-17
[61]
성경구절
[62]
성경구절
[63]
웹사이트
St. Catherine of Sweden Roman Catholic Church – Bulletin
https://web.archive.[...]
StCatherineofSweden.org
2010-05-17
[64]
웹사이트
Seeing red, and other symbols of Pentecost - On The Way e-zine
https://web.archive.[...]
www.ontheway.us
2012-05
[65]
웹사이트
The Episcopal Church and Visual Arts
http://www.ecva.org/[...]
Ecva.org
2010-05-17
[66]
웹사이트
200–299 TLH Hymns
https://web.archive.[...]
Lutheran-hymnal.com
2010-05-17
[67]
웹사이트
Come, Holy Ghost, God and Lord
https://web.archive.[...]
Lutheran-hymnal.com
2010-05-17
[68]
웹사이트
HymnSite.com's Suggested Hymns for the Day of Pentecost (Year C)
http://www.hymnsite.[...]
Hymnsite.com
2010-05-17
[69]
웹사이트
Spirit of Faith, Come Down
http://www.hymntime.[...]
Hymntime.com
2010-05-17
[70]
웹사이트
Come, Holy Ghost, Our Hearts Inspire
http://www.hymntime.[...]
Hymntime.com
2010-05-17
[71]
웹사이트
O Holy Spirit, Root of Life
http://www.hymnsite.[...]
Hymnsite.com
2010-05-17
[72]
웹사이트
Texts > O Holy Spirit, root of life
http://www.hymnary.o[...]
Hymnary.org
2010-05-17
[73]
웹사이트
Hymns and Hymnwriters of Denmark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eb.archive.[...]
Hymnary.com
2009-08-11
[74]
웹사이트
O That I Had a Thousand Voices
http://www.hymntime.[...]
Hymntime.com
2010-05-17
[75]
웹사이트
O daß ich tausend Zungen hätte gospel christian songs free mp3 midi download
http://ingeb.org/spi[...]
Ingeb.org
2010-05-17
[76]
웹사이트
Lutheran Worship Online Hymnal – section MO
https://web.archive.[...]
Lutheranhymnal.com
2010-05-17
[7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5-31
[78]
웹사이트
Rhabanus Maurus
https://web.archive.[...]
Hymntime.com
2010-05-17
[7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Veni Creator Spiritus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0-05-17
[80]
웹사이트
Moravian Music Foundation
http://www.moravianm[...]
MoravianMusic.org
2010-05-17
[81]
서적
To Dance With God: Family Ritual and Community Celebration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2010-05-17
[82]
웹사이트
Litany
http://www.ccel.org/[...]
Ccel.org
2010-05-17
[83]
서적
The Holyday Book
Harcourt, Brace and Company
1956
[84]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Frequent Communion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0-05-17
[85]
웹사이트
Byzantine Catholics and the Feast Of Pentecost: "Your good Spirit shall lead me into the land of righteousness. Alleluia, Alleluia, Alleluia!"
http://www.archpitt.[...]
Byzantine Catholic Archdiocese of Pittsburgh
2015-12-28
[86]
웹사이트
ρουσάλια
http://greek_greek.e[...]
[87]
웹사이트
Encyclical "Mystici Corporis Christi"
http://www.vatican.v[...]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43-03-02
[88]
웹사이트
General audience of Wednestay 28 May 1997
http://www.vatican.v[...]
Libreria Editrice Vaticana
[89]
웹사이트
Cantatas for Pentecost
http://www.musicweb-[...]
2005-05
[90]
웹사이트
Heortology; a history of the Christian festivals from their origin to the present day
http://archive.org/d[...]
London, K. Paul, Trench, Trübner & co., limited
1908-05-11
[91]
웹사이트
Whit Friday: Whit Walks
https://web.archive.[...]
Whitfriday.brassbands.saddleworth.org
2013-12-21
[92]
웹사이트
'Feasts and Festivals': 23 May: Whitsun Ales
http://feastsandfest[...]
Feastsandfestivals.blogspot.com
2013-12-21
[93]
웹사이트
Foresters Morris Men
http://www.cs.nott.a[...]
[94]
웹사이트
Cheese Rolling
https://www.bbc.co.u[...]
BBC
2005-05-30
[95]
서적
Magyar Népszokások
Corvina
[96]
웹사이트
Did You Ever Wonder... about Pentecost Traditions?
https://www.trinityi[...]
2019-06-17
[97]
서적
Festive Ukrainian Cooking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90
[98]
백과사전
Pentecost
https://www.britanni[...]
2017-06-03
[99]
백과사전
Pentecost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6-07
[100]
웹사이트
Easter: A Moveable Feast
http://www.huffingto[...]
2013-03-28
[101]
서적
Liturgical Year: The Worship of God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2
[102]
웹사이트
Vasárnap, hétfőn nem lesz bolt!
https://telex.hu/gaz[...]
2024-05-18
[103]
웹사이트
¿Qué se celebra por la Segunda Pascua?
https://www.barcelon[...]
2023-05-24
[104]
웹사이트
Décision du Conseil d'Etat
https://web.archive.[...]
2009-11-05
[105]
서적
Le Morte d'Arthur
http://www.arthurian[...]
[106]
웹사이트
Das Gedicht Pfingsten, das liebliche Fest... von Johann Wolfgang von Goethe
http://www.gedichte-[...]
[107]
웹사이트
Nachrichten – Kultur
http://gutenberg.spi[...]
Projekt Gutenberg.spiegel.de
2009-08-17
[108]
웹사이트
Nachrichten – Kultur
http://gutenberg.spi[...]
Projekt Gutenberg.spiegel.de
2009-08-17
[109]
웹사이트
Romeo and Juliet Text and Translation – Act I, Scene V
http://www.enotes.co[...]
Enotes.com
[110]
웹사이트
聖霊降臨とは?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111]
웹사이트
Pentecôte ou le cinquantième jour
https://www.lexilogo[...]
lexilogos.com
[112]
웹사이트
五旬祭(ペンテコステ0)
https://www.pauline.[...]
Laudate 女子パウロ会
[113]
웹사이트
「ペンテコステの日程を東西共通に」 WCC トゥヴェイト総幹事 2011年6月25日
http://www.kirishin.[...]
kirishin
2011-06-25
[114]
웹사이트
聖霊降臨祭(ペンテコステ)の歴史や由来について
https://gift-manners[...]
Shaddy
2018-04-11
[115]
웹사이트
6月9日はペンテコステ
https://christianpre[...]
クリスチャンプレス
2019-06-08
[116]
웹인용
개역한글판/출애굽기 34:22
https://ko.wikisourc[...]
[117]
웹인용
개역한글판/민수기 28:26
https://ko.wikisourc[...]
[118]
웹인용
개역한글판/히브리서 7:12
https://ko.wikisourc[...]
2020-03-21
[119]
성경
출애굽기 19장 1,11,16절
[120]
성경
사도행전 2장
[121]
글로벌2
펜테코스테(오순절)
[122]
웹인용
성경/사전/주석 - 두란노닷컴
http://www.duranno.c[...]
2022-12-05
[123]
성경
레위기 25:10
[124]
백과사전
Pentecost
Eerdmans
2006
[12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126]
백과사전
Pentecost
W.B. Eerdmans
2009
[127]
성경
토빗 2:1, 마카비 2서 12:32 (NRSV)
[128]
웹인용
개역한글판/사도행전 1:4-5
https://ko.wikisourc[...]
2020-03-21
[129]
웹인용
오순절 - 초대교회 사도들과 성도들이 성령을 허락받은 날
https://pasteve.com/[...]
2020-03-21
[130]
웹인용
개역한글판/사도행전 2장 16-18
https://ko.wikisourc[...]
2020-03-21
[131]
웹인용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이 왜 중요할까
http://www.newsnjoy.[...]
2020-03-21
[132]
웹인용
성경 -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주석
http://reformedjr.co[...]
2020-03-21
[133]
웹인용
성경 -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주석
http://reformedjr.co[...]
2020-03-21
[134]
웹인용
개역한글판/사도행전 10:45-47
https://ko.wikisourc[...]
2020-03-21
[135]
웹인용
개역한글판/사도행전 7장
https://ko.wikisourc[...]
2020-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