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혀버섯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혀버섯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버섯으로, 참나무과 활엽수림의 노목이나 고목의 줄기 밑동에서 주로 발견된다. 혀 모양의 갓과 분홍색 포자를 가지며, 자르면 붉은 즙이 나온다. 갈색 부후균으로, 나무의 심재를 썩게 하는 갈색 부후를 일으킨다. 식용 버섯으로, 독특한 외형과 맛 때문에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특히 유럽에서는 브라운 오크라 불리는 소혀버섯이 기생한 참나무 목재를 가구재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4년 기재된 균류 - 느타리
    느타리는 플레우로투스 오스트레아투스 학명을 가진 식용 버섯으로, 굴 모양 갓을 가지며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썩은 활엽수에서 군생하며 면역력 강화와 항암 효과가 있고 국, 볶음,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1774년 기재된 균류 - 기와버섯
    기와버섯은 황갈색 또는 흑갈색 갓과 옅은 분홍색 주름이 특징인 무당버섯속 식용 버섯으로,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순한 맛과 다양한 영양 성분 및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여 여러 효능을 가진다.
  • 고기 대용품 - 배양육
    배양육은 동물의 세포 배양을 통해 생산되는 고기로, 환경 및 윤리적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세계 최초 배양 쇠고기 햄버거 공개와 일부 국가의 판매 승인으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 고기 대용품 - 콩고기
    콩고기는 196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텍스처드 식물성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식품으로, 주로 대두 단백질을 사용해 육류 대체재나 증량제로 활용되며, 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섭취를 피해야 한다.
  • 북아메리카의 균류 - 광대버섯
    광대버섯은 붉은 갓에 흰 점이 있는 외형과 향정신성 물질 함유로 유명한 전 세계적인 버섯으로, 섭취 시 메스꺼움, 환각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양한 나무와 균근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성 균류이다.
  • 북아메리카의 균류 - 그물버섯
    그물버섯은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며 소나무 등과 공생하는 식용 버섯으로, 특유의 향과 맛으로 널리 이용되지만 독버섯과 유사하여 주의가 필요하고 재배가 어려워 자연산으로 유통된다.
소혀버섯
기본 정보
소혀버섯
소혀버섯
카를로 비타디니: ''Fistulina hepatica'' (1835)
카를로 비타디니: Fistulina hepatica (1835)
학명Fistulina hepatica
명명자(Schaeff.) With. (1792)
이명Boletus hepaticus Schaeff. (1774)
Fistulina buglossoides Bull. (1790)
Boletus hepaticus Vent. (1812)
Hypodrys hepaticus (Schaeff.) Pers. (1825)
일본어カンゾウタケ
영어Beefsteak Fungus (비프스테이크 팡거스)
형태적 특징
갓의 특징편평하거나 옆으로 치우침
주름살 형태내리붙음
자실층 형태구멍
자루 특징밋밋함
생태적 유형기생
포자 무늬 색깔분홍색
식용 여부좋음 (choice)
생태 및 분포
생태기생
식용
식용 정보식용 가능

2. 분포 및 생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1]。주로 초여름(장마철), 드물게 가을에 참나무과 활엽수림의 밤나무,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마테바시이(구미에서는 참나무나 밤나무,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유칼립투스)의 노목이나 고목의 줄기 밑동에 생긴다[2][1][3][4]。특히 큰 나무의 뿌리 근처의 갈라진 부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5]。갈색 부후균(부생성[3])으로, 심재를 썩게 하는 갈색 부후를 일으킨다[4]

3. 형태

갓은 너비 7–30 cm, 두께 2–6 cm이다.[1] 모양은 큰 혀를 닮았으며, 표면은 거칠고 적갈색을 띤다. 포자는 분홍색이며[1] 자실체의 크림색 흰색 아랫면의 작은 구멍에서 방출된다. 어린 소혀버섯은 분홍빛을 띠며, 나이가 들수록 어두워진다. 자르면 칙칙한 붉은 즙이 흘러나와 얼룩을 남길 수 있으며,[1] 자른 살점은 더욱 고기처럼 보인다. 포자가 배출되는 자실체의 아랫면은 관 덩어리이다. 속명은 라틴어 단어 피스툴라의 축소형으로 "작은 튜브"를 의미하며, 종명 ''헤파티카''는 살점의 질감을 나타내는 "간과 같은"을 의미한다.

균사의 전체는 붉다. 갓은 지름 10 - 20 cm, 두께 1 - 3 cm의 혀 모양에서 반원형, 부채꼴이며, 표면은 미세한 입자상이며 색은 붉은색, 미세한 입자상의 돌기와 미세한 짧은 털이 있어 거칠다, 처럼 보인다. 뒷면은 스펀지 모양의 관공이 밀생하며, 지름 0.2mm 정도의 가는 관의 집합체로, 황백색에서 짙은 분홍색, 이 내면에 포자를 형성한다. 오래되거나 상처가 나면 적갈색이 된다. 다른 주름버섯류와 달리, 이 관공은 튜브 모양으로 하나씩 분리되어 있다.

자루는 없거나, 짧다.

살은 선명한 붉은색의 육질이며 부드럽고, 절단하면 붉은 즙이 스며 나와 마치 우설처럼 보인다. 오래되면 섬유질이 된다.

4. 분류

''소혀버섯속''은 소혀버섯과에 속한다. 분자 연구에 따르면 갓버섯인 ''주름버섯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별개의 자매 분류군에 속한다. 소혀버섯속은 컵버섯류로, 주름이 있는 버섯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생식 표면은 주름 대신 매끄러운 컵 모양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아랫면(자실체)은 조상 주름의 "축소된" 형태를 나타내는 튜브 덩어리이다.

소혀버섯은 소혀버섯과에 분류되어 있으며[4], 최근 분자 계통 분석에서 붉은사슴뿔버섯속, 스에히로타케과 균류와 근연 관계에 있음이 밝혀졌다.[5]

5. 이용

소혀버섯은 식용이 가능하며 일부에서는 고급 식재료로 간주되지만, 오래된 표본은 즙이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하룻밤 동안 담가두어야 한다.[3] 맛은 시큼하다.[1]

마블링(霜降り肉)과 같은 독특한 색을 띠며 붉은 즙을 포함하고 있어, 영어 이름은 Beefsteak Fungus(비프스테이크 버섯)이다. 생으로 먹으면 약간의 산미가 있지만, 불에 익히면 미끄덩한 식감이 되며, 가열해도 산미는 남는다. 소화가 잘 안 되는 관공 부분을 제거한 후, 데친 다음 물에 담가 생선회나 된장국의 재료로 하거나, 무즙과 곁들여 먹거나, 카르파초샐러드나 마리네, 참기름이나 버터볶아서 먹기도 한다. 철판구이의 경우에는 생으로도 괜찮다. 불에 익히면 이 버섯의 붉은색은 옅어져 평범한 버섯과 같은 색이 되며, 산미는 남는다. 유럽미국에서는 생으로 슬라이스하여 샐러드에 넣어 먹지만, 데침으로써 살이 단단해진다. 혹시 모르니 살짝 익혀 먹는 편이 좋다고 한다.

6. 기타

참나무재 중 소혀버섯이 기생한 유럽산 참나무의 목재는 심재가 짙은 붉은 기운을 띤 갈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브라운 오크라고 불린다.[6] 브라운 오크는 목재 가구에 사용되었으며, 19세기에는 특히 높은 평가를 받았다.[6]

참조

[1] 서적 Field Guide to Mushrooms of Western North Americ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서적 Mushrooms and Other Fungi of North America Firefly Books
[3] 서적 North American Mushrooms: A Field Guide to Edible and Inedible Fungi FalconGuides
[4] 서적 Funga Nordica Nordsvamp
[5] 논문 One hundred and seventeen clades of euagarics
[6] 서적 日本の木と伝統木工芸 海青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