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환 (숙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환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오나라의 종실로, 자는 숙무이다. 손견의 먼 친척인 손화의 아들이며, 원래 유씨였으나 손견의 명으로 손씨 성을 받았다. 손권에게 총애를 받아 무위도위로 발탁되었으며, 219년 여몽의 형주 침공에 참여하여 관우 토벌에 기여했다. 222년에는 육손과 함께 이릉 전투에 참전하여 유비의 군대를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웠고, 건무장군과 단도후에 봉해졌다. 그는 용모가 단정하고, 총명하며 박식하여 손권으로부터 칭찬을 받았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이릉 전투에서 유비군을 맞아 싸우는 인물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년 출생 - 등애
등애는 위나라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농업 관리에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전략적 식견으로 중용되어 강유의 북벌을 막고 촉한 정벌에 공헌했으나 종회의 모함으로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 197년 출생 - 헌목황후
헌목황후는 후한 헌제의 황후이자 조조의 딸로, 복황후 폐위 후 황후가 되어 조비의 위나라 건국 시도에 저항했으며, 헌제 강등 후에는 산양공 부인으로서 백성을 보살폈고, 헌제 사후 합장되었다. - 동오의 중랑장 - 한당
한당은 삼국 시대 오나라의 무장으로, 활약과 충성심으로 손견, 손책, 손권 삼대를 섬기며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도독에 이르렀으나 질병으로 사망했다. - 동오의 중랑장 - 하제 (동오)
하제는 후한 말부터 삼국 시대 동오의 장수로 손책과 손권 휘하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헌했으며, 특히 남부 군현과 산월 정벌에 큰 역할을 했다. - 3세기 사망 - 갈레노스
갈레노스는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그의 방대한 저술은 서구 및 이슬람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부학적 관찰과 동물 실험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발전시키고 인체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3세기 사망 - 디오 카시우스
디오 카시우스는 22년에 걸쳐 80권의 《로마사》를 저술한 그리스계 로마인 역사가이며,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원로원 의원을 지내고 아프리카 속주와 판노니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그의 저서는 로마 제정 중기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손환 (숙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손환 |
본관 | 孫 |
이칭 | 유환 (俞桓) |
자 | 숙무 (叔武, Sugu) |
작위 | 단도후 (丹徒侯) |
생년 | 건안 3년 (197년/198년) |
몰년 | 황무 2년 (224년?) |
직업 | 장군 |
아버지 | 손하 |
친척 | 동오 손씨 가계도 참고 |
관직 | |
임관 시작 | 223년 |
임관 종료 | 224년? |
관직 | 건무장군 (建武將軍) |
군주 | 손권 |
2. 생애
손환의 생애는 주로 《삼국지》 종실전과 주석으로 인용된 《오서》의 기록을 통해 전해진다.
손환은 거동과 용모가 단정했고, 총명하고 박학강기하며 논의와 응대에 능했다. 손권은 그를 “종실 중의 안연”이라고 칭찬했다.
이릉 전투 이후 손환은 건무장군에 임명되고 단도후에 봉해졌으며, 우저독으로 횡강오를 수축하다가 사망했다.[9]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손환은 손하의 셋째 아들로, 원래 성씨는 "유"(俞)였다. 손하는 손견의 먼 친척이었으며, 손견은 손화의 성을 '유'에서 '손'으로 바꾸었다.[3][4][5] 일본 위키백과에는 손환의 아버지가 손책에게 총애를 받아 손씨 성을 하사받았다는 설과, 원래 손씨였으나 유씨 가문에 양자로 들어간 뒤 손씨로 복성하는 것을 허락받았다는 설이 있다.손환은 잘생긴 외모, 사교적인 성격, 박식함과 토론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권은 그를 "종실 중의 안연"이라고 칭찬하며 무위도위(武衞都尉)로 발탁했다.[6]
2. 2. 관우 토벌전
219년, 여몽의 형주 침공에 손환도 참전하여 관우의 잔당 5천 명을 항복시키고 많은 군수 물자를 노획하는 공을 세웠다.[6] 이 공으로 손권에게 "종실 중의 안연"이라는 칭찬을 받았다.2. 3. 이릉 전투
222년, 손환은 안동중랑장(安東中郎將)으로 임명되어 육손과 함께 유비의 침공을 막았다. 이도(夷道)에서 촉군에게 포위되었으나, 분전하여 육손과 함께 유비를 패주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7][8][10] 이 과정에서 손환은 육손에게 지원군을 요청했으나, 육손은 손환이 충분히 버틸 수 있다며 거절했다. 결국 손권군은 이릉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이도에 대한 포위는 풀렸다. 손환은 군대를 이끌고 유비의 퇴각로를 차단하려 했지만, 유비는 산악 지역을 통해 탈출했다. 유비는 "내가 경성(京城)에 이르렀을 때는, 손환은 오히려 어린 아이였는데, 지금은 나를 추격하여 여기까지 이르렀구나!"라고 탄식했다고 한다.[7][8]2. 4. 이릉 전투 이후
222년, 24세의 손환은 안동중랑장(安東中郎將)으로 임명되었고, 촉한의 유비가 동오를 침공하자 육손과 함께 이릉 전투에 참전했다.[7][8] 손환은 별동대를 이끌고 의도에서 유비의 선봉대를 공격했지만, 오히려 촉군에게 포위되었다. 그는 육손에게 지원군을 요청했으나, 육손은 손환이 충분히 버틸 수 있다고 판단하여 거절했다. 결국 동오군은 이릉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의도에 대한 포위도 풀렸다.[7][8]손환은 군대를 이끌고 유비의 퇴각로를 차단하려 했지만, 유비는 산악 지역을 통해 탈출했다. 유비는 "내가 형주를 방문했을 때는 아직 어린아이였던 손환에게, 이제 이렇게까지 몰리다니!"라고 탄식했다고 한다.[7][8]
이릉 전투의 공으로 손환은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단도후(丹徒侯)에 봉해졌다.[9] 그는 우저(牛渚)에 주둔하며 횡강오(橫江塢)를 수축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9] 그는 육손을 찾아가 "아까 당신이 저를 돕기를 거부했을 때 정말 화가 났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승리하고 나니, 당신만의 군대 지휘 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7][8]
3. 평가
손환은 궁마술에 뛰어났고, 거동과 용모가 단정하였다. 또한 두뇌가 명석하고 박식하며, 논쟁에도 뛰어났다. 손권은 손환을 "황족의 안연"이라고 칭찬하며 무위도위로 발탁했다.[3][4][5]
4. 삼국지연의에서의 등장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이릉 전투 때 주연과 함께 유비를 맞이하는 임무를 맡는다. 부하로 세 명의 맹장(이이, 사정, 담웅)을 거느리고 있지만, 그들은 모두 첫 전투에서 관흥과 장포에게 패한다. 그 후, 육손이 대도독으로서 출진하여 유비를 격퇴할 때까지 이릉성에서 방어전을 계속한 것으로 묘사된다. 주연과 달리, 전사하는 설정은 아니다.
5. 친족 관계
- 아버지: 손하
- 형: 손조
- 형: 손의
- 아우: 손준
- 조카: 손건 (손준의 아들)
- 조카: 손신 (손준의 아들)
- 종손: 손승 (손준의 아들 손건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으나, 손준의 아들 손신의 아들로 추정됨.)
참조
[1]
기록
Sun Huan's biography in ''Sanguozhi''
[2]
기록
Sun Huan's biography in ''Sanguozhi''
[3]
역사서
Sanguozhi vol. 51
[4]
역사서
Sanguozhi vol. 51
[5]
역사서
Wu S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1
[6]
역사서
Wu Shu annotation in Sanguozhi vol. 51
[7]
역사서
Sanguozhi vol. 58
[8]
역사서
Sanguozhi vol. 51
[9]
역사서
Sanguozhi vol. 51
[10]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