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상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상록》은 1570년 미셸 드 몽테뉴가 집필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수정 및 증보를 거쳐 출간된 책이다. 1580년 1, 2권이 출간되었고, 1588년 3권이 파리에서 간행되었으며, 몽테뉴 사후 친구들에 의해 편집된 신판이 출간되었다. 《수상록》은 3권 10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몽테뉴의 개인적 경험, 사회 문제, 프랑스 종교 전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몽테뉴는 인간 본성의 다양성과 변동성을 강조하며 회의주의적 사상을 드러냈다. 이 책은 근대 수필 문학의 효시로 평가받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 르네 데카르트 등 많은 작가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필집 - 예언자 (책)
    칼릴 지브란의 대표작 《예언자》는 예언자 알 무스타파가 삶과 인간 조건에 대해 사람들과 나눈 대화를 담은 시집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 수필집 - 여록과 보유
    《여록과 보유》는 개화기 지식인들의 사상과 활동 기록인 《여록》과 쇼펜하우어 단상들을 정리한 《보유》로 구성되어, 당시 사회를 조명하고 한국 근대사 연구에 기여하는 책이다.
  • 16세기 책 - 성학집요
    《성학집요》는 율곡 이이가 붕당정치 시기에 선조의 인격적·정치적 개선과 인재 등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왕을 직접 독자로 삼아 저술한 정치·윤리서로, 시대적 상황 진단과 임금의 올바른 자세, 덕치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경연 교재로도 사용될 만큼 높이 평가받고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
  • 16세기 책 - 포폴 부
    《포폴 부》는 마야의 창조 신화, 역사, 우주론을 담은 중요한 문헌으로, 키체족의 역사와 영웅의 전설을 포함하며 창조, 인간의 기원, 지하 세계의 모험 등을 다룬다.
수상록 - [서적]에 관한 문서
책 정보
이름수상록
원제Essais
영어 표기Essays
저자미셸 드 몽테뉴 (1533-1592)
국가프랑스 왕국
언어중세 프랑스어
장르수필
출판일1580년 5월
표지 정보
『随想録』표지

2. 집필 배경 및 역사

몽테뉴는 1570년 보르도 고등법원 판사직을 사임한 후 《수상록》 집필을 시작했다.[9][10] 1580년, 보르도에서 《수상록》 1, 2권 초판이 간행되었다. 1588년에는 파리에서 3권을 집필하여 간행하였다. 몽테뉴 사후인 1595년, 그의 친구 피에르 드 브라슈(Pierre de Brach)와 마리 드 구르네(Marie de Gournay)가 편집한 신판이 출간되었다.[9][10]

몽테뉴는 생애 동안 《수상록》을 여러 차례 수정하고 증보했다. 때로는 단 한 단어를, 때로는 전체 문단을 삽입하기도 했다. 많은 판본은 이를 문자로 표시하는데, 다음과 같다.


  • A: 1571–1580년에 쓰여지고 1580년에 출판된 구절
  • B: 1580–1588년에 쓰여지고 1588년에 출판된 구절
  • C: 1588–1592년에 쓰여지고 1595년(사후)에 출판된 구절[9][10]


몽테뉴가 직접 손으로 "C"를 추가한 《수상록》 다섯 번째 판본의 사본은 보르도 시립 도서관 (보르도 사본으로 알려짐)에 보존되어 있다.[11] 판본 간의 차이점과 추가 사항을 분석하면 몽테뉴의 생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발전했는지 알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새로운 견해와 상충되는 이전의 글도 삭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3. 구성 및 내용

《수상록》은 총 3권 107장(1권 57장, 2권 37장, 3권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몽테뉴는 개인적인 경험, 사회 문제, 식민 정책의 비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격언, 일화, 시, 유머, 역설 등을 자유롭게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일인칭 시점으로 서술했으며, 독자와 대화하는 듯한 친근한 문체를 사용했다.

몽테뉴는 자신을 완벽하게 솔직하고 정직하게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6]. 그는 자신의 에세이가 측근 외에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하고, "나는 이 책의 내용 자체이다. 그렇게 부질없고 헛된 주제에 당신의 여가를 할애하는 것은 비합리적일 것이다."라는 서문을 남기기도 했다.

몽테뉴의 에세이 주제는 "슬픔과 비탄에 관하여", "양심에 관하여"부터 "냄새에 관하여", "우편물 보내기에 관하여" 등 심오한 주제에서 사소한 주제까지 다양하다.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권'''

제목
"다양한 방식으로 같은 목적지에 도달하는 인간"
"슬픔 또는 비탄에 관하여"
"우리의 애정은 우리를 넘어선다"
"영혼은 잘못된 대상에 정념을 쏟는다"
"지배자 자신이 협상하러 나갈 것인가"
"협상 시간은 위험하다"
"의도가 우리의 행동을 판단한다"
"나태함에 관하여"
"거짓말쟁이에 관하여"
"빠르거나 느린 말에 관하여"
"예언에 관하여"
"불변성에 관하여"
"군주의 면담 의식"
"인간은 완고한 것에 대해 정당하게 벌을 받는다"
"비겁함의 처벌에 관하여"
"어떤 대사들의 절차"
"공포에 관하여"
"죽음 이후까지 우리의 행복을 판단하지 말 것"
"철학을 공부하는 것은 죽음을 배우는 것이다"
"상상력에 관하여"
"한 사람의 이익은 다른 사람의 손해이다"
"관습에 관하여; 우리는 쉽게 수용된 법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
"같은 조언에서 비롯된 다양한 사건들"
"현학에 관하여"
"어린이 교육에 관하여"
"진실과 오류를 우리 자신의 능력으로 측정하는 것은 어리석다"
"우정에 관하여"
"에티엔 드 라 보에티의 29개의 소네트"
"절제에 관하여"
"식인종에 관하여"
"인간은 신성한 규정을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우리는 생명을 희생하더라도 쾌락을 피해야 한다"
"운은 종종 이성의 법칙에 따라 작용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우리 정부의 한 가지 결함에 관하여"
"옷을 입는 관습에 관하여"
"카토 더 영거에 관하여"
"우리는 같은 일에 웃고 운다"
"고독에 관하여"
"키케로에 대한 고찰"
"선과 악에 대한 기호는 우리의 의견에 달려 있다"
"인간의 명예를 알리지 말 것"
"우리 사이의 불평등에 관하여"
"사치 금지법에 관하여"
"수면에 관하여"
"드뢰 전투에 관하여"
"이름에 관하여"
"우리 판단의 불확실성에 관하여"
"전쟁 말, 또는 데스트리에에 관하여"
"고대 관습에 관하여"
"데모크리토스헤라클레이토스에 관하여"
"말의 허영에 관하여"
"고대인들의 검소함에 관하여"
"카이사르의 말에 관하여"
"헛된 미묘함에 관하여"
"냄새에 관하여"
"기도에 관하여"
"나이에 관하여"



'''2권'''

제목
"우리 행동의 변덕에 관하여"
"술 취함에 관하여"
"케아 섬의 관습"
"내일은 새로운 날"
"양심에 관하여"
"사용이 완벽을 만든다"
"명예에 대한 보상에 관하여"
"아버지의 자녀에 대한 애정에 관하여"
"파르티아인의 무기에 관하여"
"책에 관하여"
"잔혹함에 관하여"
"레이몽드 세본 변호"
"다른 사람의 죽음을 판단하는 것에 관하여"
"우리 마음이 스스로를 방해한다"
"우리의 욕망은 어려움에 의해 증가한다"
"영광에 관하여"
"추정에 관하여"
"거짓말을 하는 것에 관하여"
"양심의 자유에 관하여"
"우리는 순수한 것을 맛보지 못한다"
"나태함에 반하여"
"우편 발송에 관하여"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나쁜 수단에 관하여"
"로마의 웅장함에 관하여"
"아픈 척하지 말 것"
"엄지에 관하여"
"비겁함은 잔혹함의 어머니"
"모든 것에는 계절이 있다"
"미덕에 관하여"
"괴물 아이에 관하여"
"분노에 관하여"
"세네카와 플루타르크의 변호"
"스푸리나의 이야기"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따른 전쟁에 대한 관찰"
"세 명의 훌륭한 여성에 관하여"
"가장 훌륭한 남성에 관하여"
"자녀가 아버지와 닮은 점에 관하여"



'''3권'''

제목
"이익과 정직에 관하여"
"후회에 관하여"
"세 가지 거래에 관하여"
"기분 전환에 관하여"
"베르길리우스의 어떤 구절에 대하여"
"마차에 관하여"
"위대함의 불편함에 관하여"
"회의 기술에 관하여"
"허영에 관하여"
"의지를 관리하는 것에 관하여"
"절름발이에 관하여"
"관상에 관하여"
"경험에 관하여"



몽테뉴는 자신의 빈약한 기억력, 감정적이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고 중재하는 능력, 죽음에 대비하여 세속에서 벗어나려는 시도 등에 대해 썼다.

당시 가톨릭교회와 프로테스탄트 사이의 폭력적인 분쟁을 혐오했고, 그의 글에는 르네상스 시대와는 다른 비관주의와 회의주의가 나타난다. 몽테뉴는 인문주의를 지지했지만, 을 믿고 가톨릭 교회를 받아들였음에도 신의 섭리가 역사적 사건에 영향을 미쳤다는 언급은 거부했다.

thumb]]

3. 1. 주요 사상

Que sais-je?프랑스어(나는 무엇을 아는가?)라는 몽테뉴의 좌우명은 그의 회의주의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그는 인간의 이성과 경험의 확실성을 불신했다. 인간은 유한하지만 진실은 무한하므로, 인간의 능력은 본질적으로 현실을 완전하게 파악하는 데 제약이 있다고 보았다.[7] 그는 절대적 진리의 존재를 믿었지만, 인간은 신의 계시를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문제에 대해 우리는 어둠 속에 있다고 믿었다.[7]

몽테뉴는 마르탱 게르의 사례를 예로 들면서, 인간이 확실성에 도달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의 철학적 회의론은 긴 에세이 "레이먼드 세본드에 대한 변명"(제2권 12장)에서 가장 잘 표현되어 있는데, 그는 피론주의 철학을 받아들였다. 몽테뉴는 우리가 생각을 진정으로 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의 추론을 믿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우리가 동물보다 우월하다고 간주할 좋은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8]

몽테뉴는 인간 본성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다양성과 변동성을 꼽았는데, 이는 인간의 취약성에 대한 르네상스 사상과 공명한다. 학자 폴 오스카르 크리스텔러에 따르면 "당시의 작가들은 우리의 지상적 삶의 고통과 질병을 예리하게 인식했다." 몽테뉴의 대표적인 인용문은 "나는 나 자신보다 더 큰 괴물이나 기적을 본 적이 없다"이다.

몽테뉴는 프랑스 종교 전쟁(1562–1598) 시대에 가톨릭교도와 개신교 위그노 사이에 저술했다. 그는 최선을 다하고 여러 번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사물의 본질에 대한 어떤 탐구에서도 확실성을 찾지 못했다.[7]

몽테뉴는 어린이를 키우는 데 결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낭만적 사랑의 강한 감정이 자유에 해롭다고 생각하여 싫어했다.

교육에서 그는 비판적으로 수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추상적인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구체적인 예와 경험을 선호했다. 몽테뉴의 에세이 "어린이 교육에 관하여"는 푸아의 다이애나에게 헌정되었다.

그는 아메리카 대륙의 유럽 식민지화에 반대하며, 원주민들에게 가져온 고통에 개탄했다.

4. 문체

몽테뉴는 대화체와 격식 없는 문체를 사용하여 독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갔다. 그는 고도로 문학적인 어휘와 대중적인 격언, 지역 속어를 결합하여 독특한 문체를 창조했다.[3] 초기 에세이는 비교적 형식적이고 구조화되어 있었지만, 후기 에세이와 후기 판본에서는 더 길고 복잡해졌다. 몽테뉴는 하나의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자유롭게 넘나들며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탐구하는 방식을 사용했다.[3]

몽테뉴는 고대 그리스, 라틴, 이탈리아 문학 작품에서 인용문을 자주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했다. 특히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와 플루타르코스의 작품을 많이 인용했다.[3]

5. 영향

몽테뉴의 《수상록》은 프랑스 철학에서 계몽주의 시대까지 가장 두드러진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프랑스 교육과 문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프랑수아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의 공식 초상화에는 그가 《수상록》을 펼쳐 들고 카메라를 정면으로 응시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12]

J. M. 로버트슨은 몽테뉴의 에세이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언어, 주제, 구조 면에서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13]

6. 한국어 번역본


  • 정영훈 편집, 안혜린 역, 《몽테뉴의 수상록》 (메이트북스, 2019)
  • 손우성 역, 《몽테뉴의 수상록 1》 (동서문화사, 2016)
  • 하라 지로|하라 지로|일본어 역, 『에세이』 이와나미 문고 (전 6권)[23]
  • 세키네 히데오|세키네 히데오|일본어 역, 『몽테뉴 전집 제1-7권 수필집』 하쿠스이샤, 1982-1983년[24]
  • 아라키 쇼타로|아라키 쇼타로|일본어 편역, 『에세이』 주오코론 신서 (전 3권), 2002-2003년
  • 미야시타 시로|미야시타 시로|일본어 역, 『에세이』 하쿠스이샤 (전 7권), 2005-2016년

참조

[1] book Essais de messire Michel de Montaigne,... livre premier et second http://gallica.bnf.f[...] impr. de S. Millanges (Bourdeaus) 2017-06-01
[2] book The Western Canon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3] 웹사이트 Titi Lucretii Cari De rerum natura libri sex (Montaigne.1.4.4) http://cudl.lib.cam.[...] Cambridge Digital Library 2015-07-09
[4] 뉴스 Michel de Montaigne French writer and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2018-02-05
[5] 뉴스 Guide to the Classics: Michel de Montaigne's Essay http://observer.com/[...] 2018-02-17
[6] book The Fabulous Imagination: On Montaigne's Essays Columbia University Press
[7] book Montaigne & Melancholy: The Wisdom of the Essays Penguin Books
[8] journal What Does It Mean to be Human, and Not Animal? Examining Montaigne's Literary Persuasiveness in 'Man is No Better Than the Animals' https://www.animalsa[...] 2018
[9] book The Complete Essays Penguin
[10] book Les Essais (1595 text) Hachette, Pochothèque
[11] book Essais de Michel seigneur de Montaigne. Cinquiesme edition, augmentée d'un troisiesme livre et de six cens additions aux deux premiers. http://gallica.bnf.f[...] A Paris, Chez Abel L'Angelier, au premier pillier de la grand Salle du Palais. Avec privilege du Roy. 2017-06-01
[1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mitterra[...] 2022-05-15
[13] book Montaigne and Shakespeare: And Other Essays on Cognate Ques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14] 웹사이트 Essays of Montaigne - Volume 2 https://www.worldcat[...] 2021-06-28
[15] 웹사이트 The essays of Montaigne / translated by E. J. Trechmann ; with an introduction by the Rt. Hon. J. M. Robertson https://catalogue.nl[...] 2021-06-28
[16] 뉴스 Prof. Jacob Zeitlin, Educator 30 Years, Head of English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37-12-09
[17]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7
[18] 웹사이트 ウィキソース原文 http://fr.wikisource[...]
[19] 웹사이트 ウィキソース原文 http://fr.wikisource[...]
[20] 웹사이트 ウィキソース原文 http://fr.wikisource[...]
[21] book The Complete Essays Penguin
[22] book Les Essais (1595 text) Hachette, Pochothèque
[23] book モンテーニュ 筑摩書房
[24] book モンテーニュ全集 (Unspecified)
[25] book モンテーニュ電子書籍 グーテンベルク21, 国書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