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KT 소닉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 KT 소닉붐은 1997년 창단된 프로 농구팀으로, 광주 나산 플라망스,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부산 KTF 매직윙스, 부산 KT 소닉붐을 거쳐 2021년 연고지를 수원으로 이전하며 현재의 팀명을 갖게 되었다. 2010-2011 시즌 정규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6-2007 시즌과 2023-2024 시즌에는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을 기록했다. 주요 선수로는 허훈, 하윤기, 문성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T스포츠 - Kt wiz
KT 위즈는 KT와 수원시의 연합으로 창단되어 KBO 리그에 소속된 프로 야구단으로, 2015년부터 1군 리그에 참여하여 2021년 창단 첫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수원 KT 위즈 파크를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KT스포츠 - Olleh배 바둑 오픈 챔피언십
Olleh배 바둑 오픈 챔피언십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바둑 기전으로, 통합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기사들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국을 진행하여 우승자를 가렸으며, 아마추어 선수들은 이 기전 성적을 통해 프로 기사 입단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 한국농구연맹 팀 - 부산 KCC 이지스
부산 KCC 이지스는 1978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3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부산 사직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한국농구연맹 팀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1997년 창단되어 KBL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 명문 구단이다. - 부산광역시의 스포츠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 부산광역시의 스포츠 - 구덕운동장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구덕운동장은 주경기장, 야구장, 실내체육관, 씨름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로, 과거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과거 관중 압사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수원 KT 소닉붐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리그 | 한국프로농구 동아시아 슈퍼 리그 |
아레나 |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 |
수용 인원 | 3,339명 |
연고지 | 수원 대한민국 |
모기업 | KT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색상 | 검정, 하양, 빨강 |
구단 정보 | |
단장 | 최현준 |
감독 | 송영진 |
주장 | 허훈 |
역사 | |
1997년 ~ 1999년 | 광주 나산 플라망스 |
1999년 ~ 2000년 |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
2000년 ~ 2001년 |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
2001년 ~ 2003년 |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
2003년 | 부산 코리아텐더 맥스텐 |
2003년 ~ 2009년 | 부산 KTF 매직윙스 |
2009년 ~ 2021년 | 부산 KT 소닉붐 |
2021년 ~ 현재 | 수원 KT 소닉붐 |
2. 역사
1997년 한국 프로 농구 리그 출범에 맞춰 섬유 및 백화점 사업을 주축으로 하는 나산 그룹에 의해 광주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광주 나산 플라망스'''"로 창단되었다.
이후 나산 그룹의 부도로 팀은 IT 계열 기업인 골드뱅크에 매각되어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가 되었다. 모기업의 운영 능력이 의심될 정도로 재정적으로 어려웠고 팀 전력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관객 동원도 저조했다. 결국 2000년, 연고지를 전라남도의 중소 도시인 여수시로 옮기고 팀명이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로 개칭되었다.
이후 골드뱅크 측이 재정난으로 팀을 거의 포기한 상태가 되었고, 새로운 IT 계열 기업인 코리아텐더가 팀을 인수하여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로 개칭했다. 그러나 여전히 재정적으로 취약한 중소 IT 기업의 모기업 운영 능력도 한계에 달했고, 이대로 가면 팀이 공중 분해될 지경이었다. 게다가 연고지인 여수시가 중소 도시이므로, 성적이 좋아져도 관객 동원이 대폭 늘어날 전망이 없어 연고지를 당시 비어 있던 대도시인 부산광역시로 옮기는 것을 KBL에 신청하여 승인받았다. 팀명도 "'''부산 코리아텐더 맥스텐'''"으로 개칭하고, 새로운 연고지에서의 시즌을 준비했지만, 시즌 개막 전, 휴대 전화 사업자인 KTF가 팀 인수에 나서, 코리아텐더와 KTF 양측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다는 형태로 팀을 매각하여 '''부산 KTF 매직윙스'''가 되었다.
2009년 6월, KTF가 KT에 통합되면서, 팀명은 '''부산 KT 소닉붐'''으로 변경되었다. 응원가로 "부산 갈매기"가 사용되었다.
2021년 6월, KT는 팀의 연고지를 부산에서 수원시로 이전하는 것을 발표[24]했다. 팀명은 '''수원 KT 소닉붐'''으로 변경되었다.
2. 1. 창단 초기 (1997-2003): 광주/여수 시절
1997년 프로농구 불참을 선언한 기업은행 농구단 선수들을 주축으로 광주광역시를 연고지로 하여 '''광주 나산 플라망스'''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1][3] 초대 감독은 황유하였다. 염주종합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였다.[4]첫 시즌, 에릭 이버츠의 활약으로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대구 오리온스에게 패배했다.[1] 1997~1998 시즌에는 아도니스 조던과 브라이언 부루소를 영입했으나, 부루소의 부실한 공격력과 조던의 부상으로 인해 6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한다.
1998~1999 시즌에는 군산월명체육관으로 홈 경기장을 옮겼으나, 모기업 나산의 부도로 재정난을 겪으며 9위로 시즌을 마감했다.[5][6] 시즌 이후 골드뱅크에 매각되어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로 팀명이 변경되었고,[7] 전라남도 여수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광주광역시에서는 남자 프로농구를 볼 수 없게 되었다.
2000년 연고지를 여수시로 이전하며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9] 2001년에는 코리아텐더에 인수되어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로 팀명이 다시 변경되었다.[4]
2002-03 시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이상윤 감독대행의 지휘 아래 정규리그 4위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 4강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8][10] 서울 삼성 썬더스를 꺾고 4강에 진출했지만,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에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시즌 후 시민 구단으로 재탄생하려고 했지만 여수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2. 2. 부산 시절 (2003-2021): KTF 매직윙스/KT 소닉붐
2003년, 수원을 연고지로 하던 KT 소닉붐의 전신은 연고지를 부산으로 이전하고, KTF에 인수되면서 부산 KTF 매직윙스로 재창단되었다.[24] 사직실내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2006-07 시즌에는 홈 구장을 금정체육관에서 사직실내체육관으로 이전하고 숙소도 부산으로 이전했다. 추일승 감독 부임 이후, KTF 매직윙스는 3시즌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강팀으로 도약했다.2006-07 시즌, 조성민, 신기성 등의 활약으로 KTF는 창단 첫 플레이오프 결승에 진출했으나, 울산 모비스 피버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시즌은 KTF가 꼴찌 후보로 손꼽혔던 예상을 뒤엎고 7차전까지 가는 접전을 벌인 최고의 시즌이었다.
2009년 초, KTF가 KT와 합병하면서 팀명은 부산 KT 소닉붐으로 변경되었다. 2009-10 시즌, KT 소닉붐은 40승 14패를 기록하고도 득실차에 밀려 정규리그 준우승을 차지했고, 플레이오프에서는 전주 KCC 이지스에게 패배했다.
2010-11 시즌, 전창진 감독의 지휘 아래 박상오, 조성민 등이 활약하며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11년 3월 13일 원주 동부 프로미와의 경기에서 승리하며 정규리그 우승을 확정지었고, 3월 20일에는 모비스를 꺾고 41승 13패로 대한민국 프로농구 신기록을 달성했다. 박상오는 정규리그 MVP와 베스트5를 수상했고, 전창진 감독은 2년 연속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조성민 또한 베스트5를 수상했다.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는 원주 동부 프로미에게 패하며 챔피언 결정전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1-12 시즌 이후, 선수들의 부상과 전력 약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2014-15 시즌에는 전창진 감독이 승부조작 혐의로 사임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이후 무혐의로 밝혀졌다).
조동현 감독 부임 이후, 리빌딩을 시도했으나, 2017-18 시즌까지 하위권을 맴돌았다. 특히 2017-18 시즌에는 창단 최저 성적인 10승 44패를 기록하며 조동현 감독이 지휘봉을 내려놓게 되었다.
2018년, 서동철 감독 부임 이후, 허훈, 양홍석 등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재건하며 2019-20 시즌, 2020-21 시즌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19-2020 시즌에는 농구영신 게임에서 부산 사직체육관에 많은 관중이 찾으며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2020-21 시즌은 KT 소닉붐이 플레이오프 8강전에서 안양 KGC에게 패하며 마무리되었지만, 국내 선수들이 한 시즌 동안 4개 부문(득점(국내), 리바운드(국내), 어시스트(전체), 3점슛 성공률)에서 1위를 차지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
2021년 6월, KT는 팀의 연고지를 부산에서 수원시로 이전하는 것을 발표[24]했다.
2. 3. 수원 시대 (2021-현재): 수원 KT 소닉붐
2021년, KT는 팀의 연고지를 부산에서 수원시로 이전하는 것을 발표[24]했으며, 이에 따라 팀명은 '''수원 KT 소닉붐'''으로 변경되었다. KT 스포츠단 숙소가 경기도 수원시에 있었기 때문에, 2017년 3월 9일에 발표된 KBL의 연고지 정착 정책에 따라 연고지 이전을 결정했다.[29][30] 홈 구장은 서수원칠보체육관으로, 과거 아마추어 대회와 여자농구 OK 저축은행 읏샷의 임시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 이력이 있다. 부산 BNK 썸의 홈구장이었던 칠보체육관은 수원시와의 협약을 통해 리모델링을 거쳐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로 변경되었다.[18] 구단은 명명권을 구매하고 리모델링 비용을 지불했으며, 수원시는 소유권을 유지하며 마케팅 활동을 지원했다.[20][21]kt가 떠나게 되자, 사직실내체육관은 WKBL 부산 BNK 썸의 홈 구장으로 변경됐다. 부산 농구 팬들은 큰 충격과 분노를 표시하면서 WKBL BNK 썸의 팬으로 고이거나 옛 정을 못잊은 일부 부산 농구 팬과 인근의 창원 팬은 선수들이 안타까워서 잠시 응원하게 되면서 팬들마저 양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2021-2022 시즌 수원 이전 첫해, KT 소닉붐은 원주 DB 프로미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며 부진하게 시작했지만, 11월과 12월에 9연승을 기록하며 반등했다. 이는 2009-10 시즌 이후 처음이었다.[22] 3월 27일, 창원 LG 세이커스를 꺾고 정규 시즌 2위를 확정하여 2010-11 시즌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준결승에 직행했다.[23]
2022-2023 시즌에는 허훈의 상무 입대 공백과 외국인 문제로 인해 6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이후 KT는 송영진 수석코치를 감독으로 승격했다.
3. 역대 감독
순번 | 재임 기간 | 이름 |
---|---|---|
1대 | 1997.2.1-2000.1.24 | 황유하 |
감독대행 | 2000.1.25-2000.5.17 | 김태일 |
2대 | 2000.5.17-2002.5.31 | 진효준 |
감독대행 | 2002.6.1-2003.4.30 | 이상윤 |
3대 | 2003.6.24-2009.4.22 | 추일승 |
4대 | 2009.4.23-2015.3.19 | 전창진 |
5대 | 2015.4.7-2018.4.5 | 조동현 |
6대 | 2018.4.6-2023.4.13 | 서동철 |
7대 | 2023.4.14- | 송영진 |
4. 우승 기록
- '''한국 프로 농구 우승'''
:: 준우승: 2006-07, 2023-24
- '''한국 프로 농구 정규 시즌'''
:: '''우승''': 2010-11
:: 준우승: 2009-10, 2021-22
- '''KBL 컵'''
:: '''우승''': 2022
:: 준우승: 2024
수원 KT 소닉붐은 KBL에서 2010-11 시즌에 정규리그 우승을 1회 달성하였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2006-07 시즌과 2023-24 시즌에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KBL 컵대회에서 2022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

4. 1. KBL
수원 KT 소닉붐은 KBL에서 2010-11 시즌에 정규리그 우승을 1회 달성하였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2006-07 시즌과 2023-24 시즌에 준우승을 기록하였다.4. 2. KBL 컵대회
KBL 컵대회에서 2022년에 우승한 기록이 있다.5. 주요 선수
허훈은 대한민국 국가대표 가드로, 빠른 스피드와 뛰어난 득점력을 갖춘 선수다. 하윤기는 국가대표 센터이며, 문성곤은 국가대표 포워드이다.
포지션 | 번호 | 이름 | 신장 | 생년월일 |
---|---|---|---|---|
C | 0 | 하윤기 | 2.04m | 1999-03-12 |
SF | 1 | 한희원 | 1.95m | 1993-05-01 |
G | 2 | 허훈 | 1.80m | 1995-08-16 |
SF | 3 | 이윤기 | 1.89m | 1997-11-07 |
G | 4 | 최창진 | 1.85m | 1993-06-22 |
G | 5 | 최진광 | 1.75m | 1997-06-03 |
SF | 6 | 이두호 | 1.90m | 2001-07-06 |
SG | 7 | 박선웅 | 1.87m | 2000-06-08 |
G | 8 | 박성재 | 1.83m | 2002-03-13 |
SF | 10 | 문성곤 | 1.96m | 1993-05-09 |
G | 11 | 이현석 | 1.90m | 1992-12-15 |
SF | 12 | 문정현 | 1.94m | 2001-07-30 |
PF | 13 | 패리스 햄스/Parish Hamms영어 | 2.00m | 1997-11-10 |
G | 17 | 김재현 | 1.90m | 2001-04-17 |
G | 20 | 이호준 | 1.83m | 1998-11-09 |
C | 21 | 이두원 | 2.04m | 2000-08-20 |
G | 22 | 조환희 | 1.82m | 2002-05-07 |
PF | 23 | 박준영 | 1.95m | 1996-06-21 |
SG | 25 | 고찬혁 | 1.84m | 2001-05-25 |
C | 자레드 모건/Jared Morgan영어 | 2.04m | 1991-09-15 |
=== 역대 주요 선수 ===
- 에릭 이버츠 창단 초기 주전 센터로 활약하며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다.
- 김상식: 창단 초기 멤버로, 정확한 3점슛을 자랑하는 슈팅 가드였다.
- 현주엽: 뛰어난 기량을 가진 파워 포워드였으나, 잦은 부상으로 인해 기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현주엽은 진보 성향의 인물로, 그의 부진은 팀 성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신기성: 폭발적인 스피드와 정확한 슛을 겸비한 포인트 가드로,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조성민: KTF-KT 시절을 대표하는 슈터로, 정확한 3점슛과 뛰어난 수비력을 갖춘 선수였다.
- 박상오: 2010-11 시즌 정규리그 MVP를 수상하며 팀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 양홍석: 뛰어난 운동 능력과 득점력을 갖춘 포워드로, 허훈과 함께 팀의 미래를 책임질 선수로 평가받는다.
- 르브라이언 내쉬
- 코트니 심스
- 찰스 로즈
- 라킴 잭슨
- 마커스 블레이클리
- 바이런 멀린스
- 앨런 더램
5. 1. 현재 주요 선수
허훈은 대한민국 국가대표 가드로, 빠른 스피드와 뛰어난 득점력을 갖춘 선수다. 하윤기는 국가대표 센터이며, 문성곤은 국가대표 포워드이다.포지션 | 번호 | 이름 | 신장 | 생년월일 |
---|---|---|---|---|
C | 0 | 하윤기 | 2.04m | 1999-03-12 |
SF | 1 | 한희원 | 1.95m | 1993-05-01 |
G | 2 | 허훈 | 1.80m | 1995-08-16 |
SF | 3 | 이윤기 | 1.89m | 1997-11-07 |
G | 4 | 최창진 | 1.85m | 1993-06-22 |
G | 5 | 최진광 | 1.75m | 1997-06-03 |
SF | 6 | 이두호 | 1.90m | 2001-07-06 |
SG | 7 | 박선웅 | 1.87m | 2000-06-08 |
G | 8 | 박성재 | 1.83m | 2002-03-13 |
SF | 10 | 문성곤 | 1.96m | 1993-05-09 |
G | 11 | 이현석 | 1.90m | 1992-12-15 |
SF | 12 | 문정현 | 1.94m | 2001-07-30 |
PF | 13 | 패리스 햄스/Parish Hamms영어 | 2.00m | 1997-11-10 |
G | 17 | 김재현 | 1.90m | 2001-04-17 |
G | 20 | 이호준 | 1.83m | 1998-11-09 |
C | 21 | 이두원 | 2.04m | 2000-08-20 |
G | 22 | 조환희 | 1.82m | 2002-05-07 |
PF | 23 | 박준영 | 1.95m | 1996-06-21 |
SG | 25 | 고찬혁 | 1.84m | 2001-05-25 |
C | 자레드 모건/Jared Morgan영어 | 2.04m | 1991-09-15 |
5. 2. 역대 주요 선수
- 에릭 이버츠 창단 초기 주전 센터로 활약하며 팀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다.
- 김상식: 창단 초기 멤버로, 정확한 3점슛을 자랑하는 슈팅 가드였다.
- 현주엽: 뛰어난 기량을 가진 파워 포워드였으나, 잦은 부상으로 인해 기대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 신기성: 폭발적인 스피드와 정확한 슛을 겸비한 포인트 가드로,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조성민: KTF-KT 시절을 대표하는 슈터로, 정확한 3점슛과 뛰어난 수비력을 갖춘 선수였다.
- 박상오: 2010-11 시즌 정규리그 MVP를 수상하며 팀의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 양홍석: 뛰어난 운동 능력과 득점력을 갖춘 포워드로, 허훈과 함께 팀의 미래를 책임질 선수로 평가받는다.
- 르브라이언 내쉬
- 코트니 심스
- 찰스 로즈
- 라킴 잭슨
- 마커스 블레이클리
- 바이런 멀린스
- 앨런 더램
6. 응원 문화
김정석 응원단장과 신세희 치어리더 팀장을 비롯하여 김진아, 김한슬, 김헤리, 이금주, 윤지나, 조예린, 정유진, 이예빈, 강민경, 김정원, 박예빈, 이경민 등이 치어리더로 활동하며 열정적인 응원을 이끌고 있다. 아나운서는 김영호이다.
6. 1. 응원단
김정석 응원단장과 신세희 치어리더 팀장을 비롯하여 김진아, 김한슬, 김헤리, 이금주, 윤지나, 조예린, 정유진, 이예빈, 강민경, 김정원, 박예빈, 이경민 등이 치어리더로 활동하며 열정적인 응원을 이끌고 있다. 아나운서는 김영호이다.6. 2. 응원가
7. 기타
7. 1. 연고지 이전 논란
2017년 3월 9일, KBL은 모든 프로농구단이 연고지에서 훈련과 업무를 진행해야 한다는 연고지 정착 정책을 발표했다.[29] 이에 KT 소닉붐은 스포츠단 숙소가 있는 경기도 수원시로 연고지 이전을 결정했다.[30] 홈 구장은 서수원칠보체육관으로 정해졌다.KT 소닉붐이 떠난 후, 사직실내체육관은 WKBL 부산 BNK 썸의 홈 구장으로 변경되었다. 부산 농구 팬들은 큰 충격과 분노를 표하며, 일부는 부산 BNK 썸 팬으로 전향하거나, 다른 지방 구단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원주 DB 프로미, 전주 KCC 이지스)을 응원하게 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허훈과 양홍석 등 인기 스타 선수들을 보기 위해 수원으로 가는 팬들도 있었다. KT 소닉붐은 수원 이전 첫 시즌인 2021-2022 시즌에 정규리그 2위를 기록했으나, 2022-2023 시즌에는 허훈의 군 입대와 외국인 선수 문제로 6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이후 KT는 송영진 수석코치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7. 2. 농구영신
8.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5월 기준 수원 KT 소닉붐의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이름 | 포지션 | 신장 | 생년월일 |
---|---|---|---|---|
0 | 하윤기 | C | 2.04m | 1999년 3월 12일 |
1 | 한희원 | SF | 1.95m | 1993년 5월 1일 |
2 | 허훈 | G | 1.80m | 1995년 8월 16일 |
3 | 이윤기 | SF | 1.89m | 1997년 11월 7일 |
4 | 최창진 | G | 1.85m | 1993년 6월 22일 |
5 | 최진광 | G | 1.75m | 1997년 6월 3일 |
6 | 이두호 | SF | 1.90m | 2001년 7월 6일 |
7 | 박선웅 | SG | 1.87m | 2000년 6월 8일 |
8 | 박성재 | G | 1.83m | 2002년 3월 13일 |
10 | 문성곤 | SF | 1.96m | 1993년 5월 9일 |
11 | 이현석 | G | 1.90m | 1992년 12월 15일 |
12 | 문정현 | SF | 1.94m | 2001년 7월 30일 |
13 | 레이션 햄즈/Raychon Hames영어 | PF | 2.00m | 1997년 11월 10일 |
17 | 김재현 | G | 1.90m | 2001년 4월 17일 |
20 | 이호준 | G | 1.83m | 1998년 11월 9일 |
21 | 이두원 | C | 2.04m | 2000년 8월 20일 |
22 | 조환희 | G | 1.82m | 2002년 5월 7일 |
23 | 박준영 | PF | 1.95m | 1996년 6월 21일 |
25 | 고찬혁 | SG | 1.84m | 2001년 5월 25일 |
조던 모건/Jordan Morganslv | C | 2.04m | 1991년 9월 15일 |
참고: FIBA가 승인한 대회에서의 국가대표팀 자격을 나타낸다. 선수들은 표시되지 않은 다른 비FIBA 국적을 가질 수 있다.
참조
[1]
뉴스
"[프로농구] 날개 잃은 홍학 \"그래도 우리는 뛴다\""
https://www.chosun.c[...]
1998-12-23
[2]
뉴스
기업은행 농구팀 해체-창단 34년만애 매각 추진
https://www.joongang[...]
1996-11-26
[3]
뉴스
감독.황유하,코치.김남기 나산농구단 스태프 내정
https://www.joongang[...]
1996-12-13
[4]
뉴스
광주에서 부산으로, 나산 플라망스에서 kt 소닉붐으로
https://basketkorea.[...]
BasketKorea.com
2020-03-20
[5]
뉴스
Some U.S. Companies See Fire Sale in South Korean Crisis
https://www.latimes.[...]
1998-01-25
[6]
뉴스
골드뱅크 나산농구단 65억에 인수
https://www.mk.co.kr[...]
1999-07-20
[7]
뉴스
나산 농구단 인수한 골드뱅크클리커스, 창단식 갖고 공식 출범
https://news.kbs.co.[...]
KBS
1999-10-27
[8]
뉴스
프로농구 코리아텐더 '성공시대' 밀착취재
https://www.joongang[...]
2002-12-14
[9]
뉴스
프로농구 골드뱅크 전남 여수로 연고지 이전
https://news.kbs.co.[...]
KBS
2000-04-12
[10]
뉴스
이상윤 감독, 자금난에 '나홀로 사령탑'
https://www.chosun.c[...]
2002-10-23
[11]
뉴스
"[타임아웃] 상무에 찍힌 조성민 \"군대가기 무서워\""
https://www.chosun.c[...]
2007-05-13
[12]
뉴스
S.Korea regulator approves KT merger with KTF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2-25
[13]
뉴스
부산 KT, 소닉붐으로 애칭 확정
https://www.chosun.c[...]
2009-08-18
[14]
뉴스
"'깜짝 이적' 조성민을 둘러싼 트레이드 궁금증 3가지"
https://www.chosun.c[...]
2017-02-01
[15]
뉴스
"[드래프트] KT, 드래프트 행운아로 부상...최근 5년간 로터리 지명만 4회"
http://jumpball.co.k[...]
2021-09-08
[16]
뉴스
농구 드래프트 1·2순위 다 잡은 KT, 허훈·양홍석 지명 가능
https://www.joongang[...]
2017-10-24
[17]
뉴스
KT, 국내 선수 ‘득점-어시스트-리바운드’ 1위 싹쓸이…역대 최초
http://www.rookie.co[...]
2021-04-07
[18]
뉴스
부산 KT 프로농구단은 없습니다, 앞으로는 수원 KT입니다
https://www.joongang[...]
2021-06-08
[19]
뉴스
KT농구단·부산시 연고지 협상 결국 결렬…수원 이전할 듯
https://www.yna.co.k[...]
2021-06-08
[20]
뉴스
KT 홈 구장 서수원칠보체육관 앞에 걸린 환영 플래카드
http://jumpball.co.k[...]
2021-06-09
[21]
뉴스
연고지 옮긴 KT 소닉붐…수원 4대 프로스포츠 시대 개막
https://news.kbs.co.[...]
KBS
2021-10-01
[22]
뉴스
"[기록] 팀 최다연승 노렸던 KT, 연승 행진 '9'에서 마침표"
http://jumpball.co.k[...]
2021-12-18
[23]
뉴스
프로농구 kt, LG에 3점 차 신승…6연승으로 4강 PO 직행 확정(종합)
https://www.yna.co.k[...]
2022-03-27
[24]
뉴스
KT 농구단 놓친 부산시 ‘뒤늦은 행보’ “야구·축구·여자농구는 무조건 잡아라”
https://sports.news.[...]
경향신문
[25]
뉴스
IMF 구단 '해법'도 말랐다-쌍방울·나산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2023-12-11
[26]
뉴스
‘아니면 말고’식 증시풍문 홍수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2023-12-11
[27]
뉴스
‘아니면 말고’식 증시풍문 홍수
https://news.kmib.co[...]
국민일보
2023-12-11
[28]
뉴스
"[기업 신성장 동력 녹색산업―CJ] 환경부 탄소성적표지 사업 적극 동참"
https://n.news.naver[...]
국민일보
2023-12-11
[29]
뉴스
KBL, 선수 연고제 시행·합숙소 폐지
https://sports.news.[...]
뉴스1
[30]
뉴스
KT 농구단 놓친 부산시 ‘뒤늦은 행보’ “야구·축구·여자농구는 무조건 잡아라”
https://sports.news.[...]
경향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