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프로농구(KBL)는 1997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농구 리그이다. 프로 출범 이전에는 농구대잔치라는 아마추어 대회가 존재했으며, 1993년 프로 리그 구상 이후 1996년 리그 기구 설립, 1997년 첫 리그가 개최되었다. 리그 초기에는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겨울철 주요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KBL은 10개 구단 체제를 유지하며,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 KBL 컵대회, 프로-아마농구 최강전 등의 경기를 진행한다. 국내 선수 드래프트와 외국인 선수 제도를 운영하며, KBL 올스타전과 시상식을 통해 기록을 기린다. 휠라, 현대전자, 삼성전자, KCC 등 다양한 기업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았으며, 몰텐 GL7X가 공인구로 사용된다. KBL은 FIBA 아시아 소속으로 국제 대회에도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농구연맹 - KBL D리그
KBL D리그는 한국프로농구 2군 리그로, KBL 소속 구단과 상무 농구단이 참가하여 이천 LG챔피언스파크 등에서 경기가 진행되며, 2024~2025 시즌은 2024년 10월 21일부터 2025년 4월 7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 한국농구연맹 - KBL 챔피언결정전
KBL 챔피언결정전은 한국프로농구의 최강팀을 가리는 최종 토너먼트 경기로, 정규리그 상위 팀들이 플레이오프를 거쳐 챔피언 자리를 놓고 경쟁하며,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내셔널 럭비 리그
내셔널 럭비 리그(NRL)는 1907년 시작된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 럭비 리그 대회로, 17개 팀이 참가하여 3월에 시작해 24경기를 치르고 9월부터 플레이오프를 거쳐 10월 그랜드 파이널에서 우승팀을 결정하며, 호주 럭비 리그 위원회(ARLC)가 운영한다. - 1997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중국 여자 슈퍼리그
중국 여자 슈퍼리그는 1997년 시작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2015년 여자 슈퍼 리그로 재출범했으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고, 상하이 셩리가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리그 - KBO 리그
KBO 리그는 1982년 출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로, 초기 6개 구단에서 현재 10개 구단이 단일 리그 체제로 운영되며 포스트시즌을 통해 우승팀을 가리고 올스타전이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리그 - K3리그
K3리그는 대한민국 3부 축구 리그로, 2007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2020년 내셔널리그와 통합되었으며, K4리그와의 승강제와 더불어 향후 K리그2와의 승강제 도입을 계획하고,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기본으로 다양한 구단들이 참가한다.
한국프로농구 | |
---|---|
기본 정보 | |
![]() | |
주최 | 대한민국농구협회 |
창립 | 1997년 |
첫 시즌 | 1997 |
참가 리그 | 농구 챔피언스 리그 아시아 동아시아 슈퍼 리그 |
국가 | 대한민국 |
협회 | 대한민국농구협회 |
연맹 | FIBA 아시아 |
디비전 | 1개 |
팀 수 | 10개 |
레벨 | 1개 |
국내 컵 대회 | KBL 컵 |
챔피언 | 부산 KCC 이지스 (6회 우승) |
시즌 | 2023–24 |
최다 우승 팀 | 울산 현대 모비스 피버스 (7회 우승) |
최다 출장 선수 | 주희정 (1,009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서장훈 (13,231점) |
회장 | 김희옥 |
TV 중계 | tvN 스포츠 IB 스포츠 티빙 |
웹사이트 | KBL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25 KBL 시즌 |
리그 역사 | |
시작 연도 | 1996년 |
리그 정보 | |
팀 수 | 10 |
첫 우승 팀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7) |
최근 우승 팀 | 부산 KCC 이지스 (2023~2024) |
최다 우승 팀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7회) |
하위 리그 | KBL D리그 |
2. 역사
대한민국 프로농구는 1997년에 창설되었다. 프로 시대 이전 한국 농구는 아마추어 스포츠였으며, 기업이나 대학교가 후원하는 모든 팀은 대한농구협회가 승인한 농구대잔치에 참가했다. 한국개발금융(KDB)과 한국산업은행(IBK)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농구팀을 창단했으며,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는 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농구를 도입하여 국내 대학 농구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기아자동차, 현대전자, 삼성전자와 같은 주요 기업들이 자체 농구팀을 창단했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안양 KGC인삼공사, 원주 DB 푸르미의 전신 팀들은 1990년대 "농구 열풍"을 이용하려는 중소기업들에 의해 설립되었다.[1]
프로 리그 구상은 1993년에 제기되었고, 1996년에 리그 기구가 설립되었으며, 1997년에 첫 리그 경기가 열렸다. 하지만 당시에는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여파로 리그 초기에는 재정적 불안정에 시달렸고, 참가했던 팀 대부분이 바뀌었다. 2005~2006 시즌에도 두 팀의 모기업이 바뀌었다. 현재 한국에서는 겨울철 주요 스포츠로 자리매김했지만, 2014년을 기점으로 관중 수가 감소하고 있다.
2. 1. 출범 배경
1997년 한국프로농구가 창설되기 전, 한국 농구는 아마추어 스포츠였다. 기업이나 대학교가 후원하는 팀들은 대한농구협회 주관 농구대잔치에 참가했다. 한국개발금융(KDB), 한국산업은행(IBK)은 1950~60년대 초 농구팀을 창단했고,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는 2차 세계 대전 이전 농구를 도입해 대학 농구 선구자로 꼽힌다. 1970~80년대 기아자동차, 현대전자, 삼성전자 등 주요 기업들이 자체 농구팀을 창단했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안양 KGC인삼공사, 원주 DB 푸르미의 전신 팀들은 1990년대 "농구 열풍"을 이용하려는 중소기업들에 의해 설립되었다.[1]1996-97 농구대잔치는 1997년 1월에 끝났고, 한 달 뒤 KBL 창립 시즌이 시작되었다. 농구대잔치는 현재까지 아마추어 대회로 남아, 대학교 예비팀, 아마추어 팀, 국군체육부대 농구팀이 참가한다.
프로 리그 출범(1993년 구상, 1996년 기구 설립, 1997년 첫 경기)과 함께, 후원 회사들은 농구팀을 프로 리그에 등록할 수 있었다. KDB와 IBK는 팀을 매각했으나, 새 소유주들은 선수와 직원만 인수하고 팀 역사나 기록은 승계하지 않아 완전히 새로운 프랜차이즈로 재창단했다.[2][3]
2. 2. 프로 리그 출범 (1997)
1996-97 전국 농구 축제는 1997년 1월에 끝났고, 창립 KBL 시즌은 한 달 후인 2월에 시작되었다. 전국 농구 축제는 오늘날까지 아마추어 대회로 남아 있으며, 대학교 예비팀, 아마추어 팀 및 국군체육부대 농구팀이 참가한다.후원 회사들은 다가오는 프로 리그에 농구팀을 등록할 수 있는 선택권을 받았다. KDB와 IBK는 팀을 매각하기로 했지만, 새로운 소유주들은 팀의 역사 또는 기록을 승계하지 않고 선수와 직원만 인수하여 완전히 새로운 프랜차이즈로 팀을 재창단하기로 결정했다.[2][3] 창단 팀은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경남 LG 세이커스, 대구 동양 오리온스, 수원 삼성 썬더스, 원주 나라 블루 버드, 안양 SBS 스타즈, 인천 대우 제우스, 대전 현대 다이너스(현 부산 KCC 이지스), 광주 나산 플레임스(현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였다. 안양 SBS 스타즈와 같이 일부 팀은 서울에 기반을 두고 있었지만 다른 도시로 이전하기로 했다. 계획은 서울 수도권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 팀을 두는 것이었다.[4] 1997-98 시즌은 첫 번째 완전한 시즌이었으며, 청주 SK 나이츠가 10번째 팀으로 추가되었다. KBL은 그 이후로 10개 팀을 유지해 왔다.[5]
리그 초기에는 특히 한국에 큰 타격을 준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로 인해 재정적 불안정에 시달렸다. 다른 국내 스포츠 리그와 마찬가지로 KBL도 경제적 여파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KBL은 1997-98 시즌을 위한 리그 스폰서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팀들은 비용 절감에 압박을 받았다.[6][7]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 재정 문제로 10개 팀 중 5개 팀이 소유주가 바뀌었다.
2. 3. 리그 발전과 변화
1990년대 후반, 한국 농구는 프로 리그 출범과 함께 큰 변화를 맞이했다. 1997년 2월, 한국프로농구(KBL)가 출범하면서 아마추어 대회였던 농구대잔치는 프로 리그와 분리되어 현재까지도 아마추어 대회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국군체육부대 농구팀을 비롯한 대학교 예비팀, 아마추어 팀들이 참가한다.[2][3]프로 리그 출범 당시, 기존 농구팀들은 후원 기업을 통해 프로 구단으로 전환할 기회를 얻었다.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경남 LG 세이커스, 대구 동양 오리온스, 수원 삼성 썬더스, 원주 나래 블루버드, 안양 SBS 스타즈, 인천 대우 제우스, 대전 현대 다이너스, 광주 나산 플레임스 등 9개 구단이 창단되었다. 안양 SBS 스타즈와 같이 일부 팀은 서울을 연고지로 했지만, 리그의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다른 도시로 연고지를 이전하기도 했다.[4] 1997-98 시즌은 첫 번째 완전한 시즌이었고, 청주 SK 나이츠가 합류하며 10개 구단 체제가 확립되었다.[5]
그러나 리그 초기에는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의 여파로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1997-98 시즌 리그 스폰서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팀들은 비용 절감 압박에 시달렸다.[6][7]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10개 팀 중 5개 팀의 모기업이 바뀌는 등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2000년대 이후에도 여러 변화가 있었는데, 2005-2006 시즌에도 두 팀의 모기업이 바뀌었다. 2014년을 기점으로 관중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의 겨울철 주요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 구성
한국프로농구는 10개의 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5] 각 구단은 연고지와 홈 경기장을 가지고 있다.
구단명 | 연고지 | 경기장 | 리그 참가 | 감독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고양 | 고양 소노 아레나 | 1997 | 김승기 |
수원 KT 소닉붐 | 수원 | 수원KT소닉붐아레나 | 1997 | 송영진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안양 | 안양 정관장 아레나 | 1997 | 김상식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울산 | 동천체육관 | 1997 | 조동현 |
원주 DB 프로미 | 원주 | 원주종합체육관 | 1997 | 김주성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대구 | 대구실내체육관 | 1997 | 강혁 |
부산 KCC 이지스 | 부산 | 사직실내체육관 | 1997 | 전창진 |
서울 삼성 썬더스 | 서울 | 잠실실내체육관 | 1997 | 김효범 |
서울 SK 나이츠 | 서울 | 잠실학생체육관 | 1997-1998 | 전희철 |
창원 LG 세이커스 | 창원 | 창원실내체육관 | 1997 | 조상현 |
각 구단은 다양한 명칭과 연고지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명칭 | 역대 명칭 | 연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기아자동차 농구단 | 1986년 ~ 1996년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997년 ~ 2001년 | |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 2001년 ~ 2004년 |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04년 ~ 2017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2017년 ~ 현재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동양제과 농구단 | 1995년 ~ 1996년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1996년 ~ 2003년 | |
대구 오리온스 | 2003년 ~ 2011년 | |
고양 오리온스 | 2011년 ~ 2015년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2015년 ~ 2022년 | |
고양 캐롯 점퍼스 | 2022년 ~ 2023년 | |
고양 데이원 점퍼스 | 2023년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2023년 ~ 현재 | |
창원 LG 세이커스 | LG반도체 농구단 | 1994년 ~ 1997년 |
경남 LG 세이커스 | 1997년 ~ 1998년 | |
창원 LG 세이커스 | 1998년 ~ 현재 | |
수원 KT 소닉붐 | 광주 나산 플라망스 | 1997년 ~ 1999년 |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 1999년 ~ 2000년 | |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 2000년 ~ 2001년 | |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 2001년 ~ 2003년 | |
부산 코리아텐더 맥스텐 | 2003년 | |
부산 KTF 매직윙스 | 2003년 ~ 2009년 | |
부산 KT 소닉붐 | 2009년 ~ 2021년 | |
수원 KT 소닉붐 | 2021년 ~ 현재 | |
부산 KCC 이지스 | 현대 농구단 | 1978년 ~ 1996년 |
대전 현대 다이냇 | 1997년 ~ 1999년 | |
대전 현대 걸리버스 | 1999년 ~ 2001년 | |
전주 KCC 이지스 | 2001년 ~ 2023년 | |
부산 KCC 이지스 | 2023년 ~ 현재 | |
서울 SK 나이츠 | 청주 진로 맥카스 | 1997년 |
청주 SK 나이츠 | 1997년 ~ 2001년 | |
서울 SK 나이츠 | 2001년 ~ 현재 | |
원주 DB 프로미 | 나래이동통신 농구단 | 1996년 |
원주 나래 블루버드 | 1996년 ~ 1999년 | |
원주 나래 해커스 | 1999년 | |
원주 삼보 엑써스 | 1999년 ~ 2002년 | |
원주 TG 엑써스 | 2002년 ~ 2003년 | |
원주 TG삼보 엑써스 | 2003년 ~ 2005년 | |
원주 동부 프로미 | 2005년 ~ 2017년 | |
원주 DB 프로미 | 2017년 ~ 현재 | |
서울 삼성 썬더스 | 삼성 남자 농구단 | 1978년 ~ 1982년 |
삼성전자 농구단 | 1982년 ~ 1996년 | |
수원 삼성 썬더스 | 1996년 ~ 2001년 | |
서울 삼성 썬더스 | 2001년 ~ 현재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대우증권 농구단 | 1994년 ~ 1997년 |
인천 대우 제우스 | 1997년 ~ 1999년 | |
인천 신세기 빅스 | 1999년 ~ 2001년 | |
인천 SK 빅스 | 2001년 ~ 2003년 | |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 2003년 ~ 2009년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2009년 ~ 2021년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2021년 ~ 현재 |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SBS 농구단 | 1992년 ~ 1997년 |
안양 SBS 스타즈 | 1997년 ~ 2005년 | |
안양 KT&G 카이츠 | 2005년 ~ 2010년 | |
안양 한국인삼공사 | 2010년 ~ 2011년 | |
안양 KGC인삼공사 | 2011년 ~ 2023년 |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2023년 ~ 현재 |
선수 제도는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선수를 대상으로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선수를 선발한다. 1998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매년 개최된다. 2009년에는 특별 드래프트가 도입되었으나, 선수 영입 규정에 대한 논란과 반발로 인해 2013년에 폐지되었다.[37][38]
2018년부터 팀당 2명의 외국인 선수를 자유롭게 영입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연봉 상한선은 700000USD이다. 각 쿼터에는 외국인 선수 1명만 출전할 수 있다. 2018-19 시즌부터는 외국인 선수 신장 제한(2m 이상 출전 불가)이 적용되었다.
2020-21 시즌부터 일본 B리그(B.League)에서 일본 선수 1명을 영입할 수 있는 "아시아 선수 쿼터" 제도가 도입되었다.[39][40] 원주 DB 프로미는 나카무라 타이치와 계약하며 이 제도를 통해 처음으로 일본 선수를 영입했다.[41] 2022-23 시즌부터 이 제도가 필리핀 선수들에게까지 확대되었다.[42]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SJ 벨엔젤과 계약하며 필리핀 선수를 영입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43]
각 팀은 최대 15명의 선수를 등록할 수 있으며, 외국인 선수는 2명까지 등록 가능하지만, 2009-2010 시즌부터는 1명만 출전 가능하다. 경기 시간은 1쿼터당 10분씩 총 4쿼터로 진행되며, 1쿼터와 2쿼터, 3쿼터와 4쿼터 사이에는 2분, 2쿼터와 3쿼터 사이에는 12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농구공은 둘레 754.3mm, 무게 615g이며, 심판은 3명, 공격 제한 시간은 24초이다. 팀 파울은 각 쿼터 5번째부터 적용되어 상대팀에 프리스로가 주어진다.[45]
3. 1. 경기 방식
한국프로농구는 한국농구연맹(KBL)이 주관하는 프로 농구 리그이며, 경기 규정과 코트 크기는 FIBA 규칙을 따른다.[8]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하며, 정규 시즌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3. 1. 1. 정규 시즌
정규 시즌은 10월부터 4월 초까지 진행된다. 각 팀은 다른 9개 팀과 각각 6번(홈 3경기, 원정 3경기)씩 경기를 치러 총 6라운드에 걸쳐 54경기를 진행한다.[1] 정규 시즌 종료 직후에는 매년 KBL 시상식이 열린다.[1]3. 1. 2.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는 일반적으로 정규 시즌이 끝난 후 일주일 뒤에 시작된다.[10] 정규 시즌 상위 6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1]6개 팀의 플레이오프 8강 또는 준결승 진출은 정규 시즌 순위에 따라 결정된다. 3위부터 6위까지의 팀은 8강에 진출하고, 1위와 2위 팀은 준결승에 자동 진출한다.
8강전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며, 여기서 승리한 두 팀이 준결승에 진출한다. 준결승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준결승에서 승리한 두 팀은 결승전에서 KBL 챔피언십 타이틀을 놓고 경쟁한다. 결승전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12]
플레이오프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플레이오프 1라운드 (8강)
- 정규 시즌 3위와 6위, 4위와 5위가 대결한다.
- 3전 2선승제로 승리한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플레이오프 2라운드 (준결승)
- 플레이오프 1라운드 승자와 정규 시즌 2위, 다른 1라운드 승자와 정규 시즌 1위가 대결한다.
- 5전 3선승제로 승리한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 파이널 (결승)
- 플레이오프 2라운드 승자들이 대결한다.
- 7전 4선승제로 승리한 팀이 우승한다.
- 2005-2006 시즌부터 우승팀은 bj-KBL 챔피언십 게임즈에 진출했다.
3. 1. 3. KBL 컵대회
KBL 컵대회는 2020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정규 시즌 시작 전 모든 팀이 자신의 강점을 시험해 볼 수 있는 프리시즌 대회로 개최되었다.일반적으로 9월에 열린다. KBL 리그의 10개 팀 모두 참가하는 것 외에도 상무 농구단도 KBL컵에 참가하여 총 11개 팀이 참여한다.[9]
3. 1. 4. 프로-아마농구 최강전
프로-아마농구 최강전은 한국농구연맹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주관한 농구 대회이다. 프로와 아마추어를 아우르는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프로 10개 구단과 대학리그 상위 5개 학교, 신협 상무 등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3. 2. 참가 구단
현재 명칭 | 역대 명칭 | 연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기아자동차 농구단 | 1986년 ~ 1996년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997년 ~ 2001년 | |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 2001년 ~ 2004년 |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04년 ~ 2017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2017년 ~ 현재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동양제과 농구단 | 1995년 ~ 1996년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1996년 ~ 2003년 | |
대구 오리온스 | 2003년 ~ 2011년 | |
고양 오리온스 | 2011년 ~ 2015년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2015년 ~ 2022년 | |
고양 캐롯 점퍼스 | 2022년 ~ 2023년 | |
고양 데이원 점퍼스 | 2023년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2023년 ~ 현재 | |
창원 LG 세이커스 | LG반도체 농구단 | 1994년 ~ 1997년 |
경남 LG 세이커스 | 1997년 ~ 1998년 | |
창원 LG 세이커스 | 1998년 ~ 현재 | |
수원 KT 소닉붐 | 광주 나산 플라망스 | 1997년 ~ 1999년 |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 1999년 ~ 2000년 | |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 2000년 ~ 2001년 | |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 2001년 ~ 2003년 | |
부산 코리아텐더 맥스텐 | 2003년 | |
부산 KTF 매직윙스 | 2003년 ~ 2009년 | |
부산 KT 소닉붐 | 2009년 ~ 2021년 | |
수원 KT 소닉붐 | 2021년 ~ 현재 | |
부산 KCC 이지스 | 현대 농구단 | 1978년 ~ 1996년 |
대전 현대 다이냇 | 1997년 ~ 1999년 | |
대전 현대 걸리버스 | 1999년 ~ 2001년 | |
전주 KCC 이지스 | 2001년 ~ 2023년 | |
부산 KCC 이지스 | 2023년 ~ 현재 | |
서울 SK 나이츠 | 청주 진로 맥카스 | 1997년 |
청주 SK 나이츠 | 1997년 ~ 2001년 | |
서울 SK 나이츠 | 2001년 ~ 현재 | |
원주 DB 프로미 | 나래이동통신 농구단 | 1996년 |
원주 나래 블루버드 | 1996년 ~ 1999년 | |
원주 나래 해커스 | 1999년 | |
원주 삼보 엑써스 | 1999년 ~ 2002년 | |
원주 TG 엑써스 | 2002년 ~ 2003년 | |
원주 TG삼보 엑써스 | 2003년 ~ 2005년 | |
원주 동부 프로미 | 2005년 ~ 2017년 | |
원주 DB 프로미 | 2017년 ~ 현재 | |
서울 삼성 썬더스 | 삼성 남자 농구단 | 1978년 ~ 1982년 |
삼성전자 농구단 | 1982년 ~ 1996년 | |
수원 삼성 썬더스 | 1996년 ~ 2001년 | |
서울 삼성 썬더스 | 2001년 ~ 현재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대우증권 농구단 | 1994년 ~ 1997년 |
인천 대우 제우스 | 1997년 ~ 1999년 | |
인천 신세기 빅스 | 1999년 ~ 2001년 | |
인천 SK 빅스 | 2001년 ~ 2003년 | |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 2003년 ~ 2009년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2009년 ~ 2021년 |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2021년 ~ 현재 |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SBS 농구단 | 1992년 ~ 1997년 |
안양 SBS 스타즈 | 1997년 ~ 2005년 | |
안양 KT&G 카이츠 | 2005년 ~ 2010년 | |
안양 한국인삼공사 | 2010년 ~ 2011년 | |
안양 KGC인삼공사 | 2011년 ~ 2023년 |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2023년 ~ 현재 |
구단명 | 연고지 | 경기장 | 리그 참가 | 감독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고양 | 고양 소노 아레나 | 1997 | 김승기 |
수원 KT 소닉붐 | 수원 | 수원KT소닉붐아레나 | 1997 | 송영진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안양 | 안양 정관장 아레나 | 1997 | 김상식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울산 | 동천체육관 | 1997 | 조동현 |
원주 DB 프로미 | 원주 | 원주종합체육관 | 1997 | 김주성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대구 | 대구실내체육관 | 1997 | 강혁 |
부산 KCC 이지스 | 부산 | 사직실내체육관 | 1997 | 전창진 |
서울 삼성 썬더스 | 서울 | 잠실실내체육관 | 1997 | 김효범 |
서울 SK 나이츠 | 서울 | 잠실학생체육관 | 1997-1998 | 전희철 |
창원 LG 세이커스 | 창원 | 창원실내체육관 | 1997 | 조상현 |
KBL은 1997년 출범 이후 현재까지 10개 구단을 유지하고 있다.[5]
3. 3. 선수 제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내 선수들은 국제농구연맹(FIBA) 규정에 따라 매년 실시되는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선발된다. 이 드래프트는 1998년부터 시행되었다. 2009년에는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거나 부모 중 한 명이 한국인인 선수들을 위한 특별 드래프트가 도입되었으나,[37] 영입 규정에 대한 논란과 반발로 인해 2013년에 폐지되었다.[38]2018년부터 모든 팀은 외국인 선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으며, 팀당 "외국인 선수 2명" 제한과 700000USD의 연봉 상한선이 적용된다. 단, 각 쿼터마다 코트에는 외국인 선수 1명만 출전할 수 있다.
국내 농구 수준 향상을 위해 2020-21 시즌을 앞두고 일본 선수들을 위한 "아시아 선수 쿼터" 제도가 도입되었다.[39] 이 제도는 각 팀이 일본 B리그(B.League)에서 일본 선수 1명(귀화 선수, 이중 국적자, 혼혈 선수 제외)을 영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40] "아시아 선수 쿼터" 제도에 따라 영입된 선수는 외국인 선수 쿼터에 포함되지 않고 국내 선수 연봉 상한선에 포함된다. 원주 DB 프로미는 나카무라 타이치와 1년 계약을 맺으며 리그 최초로 일본 선수를 영입한 팀이 되었다.[41] 2022-23 시즌을 앞두고 이 제도는 필리핀 선수들에게까지 확대되었다 (필리핀 여권 소지자이며, 양쪽 부모 모두 필리핀 시민권 또는 여권을 소지해야 함).[42] 2022년 6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SJ 벨엔젤과 2년 계약을 발표하며 필리핀 선수를 영입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43]
각 팀은 선수 15명까지 등록할 수 있다. 외국인 선수는 각 팀 2명까지 등록할 수 있으나, 2009-2010 시즌부터는 1명만 출전할 수 있다. 단, 2018-19 시즌부터 외국인 선수에 대해 신장 제한이 새롭게 적용되어 2m 이상의 선수는 출전할 수 없다. 경기 규정은 농구 경기 규칙에 따른다.
3. 4. 기타
경기 시간은 1쿼터에 10분씩 4쿼터를 치르는데, 1쿼터와 2쿼터, 3쿼터와 4쿼터 사이에는 각 2분씩, 그리고 2쿼터와 3쿼터 사이에는 12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농구공은 둘레 754.3mm, 무게 615g이며, 심판은 3명, 공격 제한 시간은 24초이다. 팀 파울은 각 쿼터마다 5번째 파울부터 적용하여 상대팀에 프리스로를 주게 되어 있다.[45]4. 역대 기록
KBL은 다양한 기록들을 보유하고 있다.
=== 역대 우승팀 ===
=== 정규시즌 우승팀 ===
횟수 | 팀 | 비고 |
---|---|---|
7회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7회 | 원주 DB 프로미 | 2019-2020 정규시즌 공동 1위 포함 |
5회 | 부산 KCC 이지스 | |
3회 | 서울 SK 나이츠 | 2019-2020 정규시즌 공동 1위 포함 |
2회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
1회 | 창원 LG 세이커스 수원 KT 소닉붐 서울 삼성 썬더스 |
=== KBL 올스타전 ===
KBL 올스타전은 매년 1월 중순에 열린다. 서울에서 개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울산(2007년), 부산(2017년), 대구(2021년)와 같이 서울 외 지역에서 열린 경우도 있었다.
2021-22 올스타전 방식을 기준으로, 10개 팀에서 각각 5명의 선수가 올스타 팬 투표 후보로 지명된다. 팬 투표 순위 상위 24명의 선수만 올스타전에 참가할 수 있다.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두 선수는 각각 11명의 선수를 영입하여 팀을 구성하며, 원 소속팀은 고려하지 않는다.[13]
=== 개인 기록 ===
KBL 시상식은 매년 정규 시즌이 끝날 무렵에 열리며, 최우수선수(MVP), 신인상, 최우수 외국인 선수상, 베스트 5, 최우수 수비 선수상, 수비 베스트 5, 식스맨상, 기량 발전상, 페어플레이상, 올해의 명장면상, 인기상, 감독상 등이 수여된다.[15]
년도 | 선수 | 소속팀 | 경기당 평균 득점 |
---|---|---|---|
1997 | Carl Ray Harris영어 | 원주 나라 블루버드 | 32.3[16] |
1997–98 | Larry Davis (basketball, born 1973)영어 | 안양 SBS 스타즈 | 30.6[17] |
1998–99 | Bernard Blunt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9.9[18] |
1999–2000 | Eric Eberz영어 |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 27.7[19] |
2000–01 | Dennis Edwards (basketball)영어 | 안양 SBS 스타즈 | 33.4[20] |
2001–02 | Eric Eberz영어 (2) | 여수 코리아 텐더 프루미 | 28.3[19] |
2002–03 | Leon Trimmingham영어 | 서울 SK 나이츠 | 27.4[21] |
2003–04 | Charles Minlend영어 | 전주 KCC 이지스 | 27.1[22] |
2004–05 | Nate Johnson (basketball)영어 | 대구 오리온스 | 28.7[23] |
2005–06 | Dontae' Jones영어 | 안양 KT&G 나이츠 | 29.2[24] |
2006–07 | Pete Mickeal영어 | 대구 오리온스 | 35.1[25] |
2007–08 | Terrence Shannon (basketball)영어 | 인천 전자랜드 블랙 슬래머 | 27.2[26] |
2008–09 | Terrence Leather영어 | 서울 삼성 썬더스 | 27.5[27] |
2009–10 | Greg Stevenson (basketball)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1.9[28] |
2010–11 | Aaron Haynes영어 | 서울 삼성 썬더스 | 23.1[29] |
2011–12 | Aaron Haynes영어 (2) | 창원 LG 세이커스 | 27.6[29] |
2012–13 | Jasper Johnson영어 | 부산 KT 소닉붐 | 19.7[30] |
2013–14 | Tyler Wilkerson영어 | 전주 KCC 이지스 | 21.5[31] |
2014–15 | Davon Jefferson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1.3[32] |
2015–16 | Andre Emmett영어 | 전주 KCC 이지스 | 26.2[33] |
2016–17 | Andre Emmett영어 (2) | 전주 KCC 이지스 | 28.8[34] |
2017–18 | David Simon (basketball)영어 | 안양 KGC인삼공사 | 26.1[35] |
2018–19 | James Mays (basketball)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6.6[36] |
=== 역대 타이틀 스폰서 및 리그명 ===
시즌 | 타이틀 스폰서 | 리그명 |
---|---|---|
1997 ~ 1997-1998 | 휠라코리아 | FILA배 프로농구 |
1998-1999 | 현대전자 | 현대 걸리버 프로농구 |
1999-2000 ~ 2004-2005 | 삼성전자 | 삼성 애니콜 프로농구 |
2005-2006, 2009-2010, 2014-2015 ~ 2016-2017, 2024-2025 | KCC | KCC 프로농구 |
2006-2007, 2010-2011, 2019-2020 ~ 2020-2021 | 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 프로농구 |
2007-2008 | SK텔레콤 | SK텔레콤 T 프로농구 |
2008-2009 | 동부화재 | 동부프로미 프로농구 |
2011-2012 ~ 2013-2014 | KB국민카드 | KB국민카드 프로농구 |
2017-2018, 2023-2024 | 한국인삼공사 | 정관장 프로농구 |
2018-2019 | SK텔레콤 | SKT 5GX 프로농구 |
2021-2022 | 한국인삼공사 | KGC인삼공사 정관장 프로농구 |
2022-2023 | SK텔레콤 | SKT 에이닷 프로농구 |
=== 공인구 ===
KBL에서 사용된 역대 공인구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제작사 | 공인구 | 비고 |
---|---|---|---|
1997년 ~ 2014년 | 스타스포츠 | BB207 (KBLgame) | |
2014년 ~ 2015년 | 나이키 | 4005 Tournament | |
2015년 ~ 현재 | 몰텐 | GL7X | 국제농구연맹(FIBA) 공인구. |
=== 상금 ===
구분 | 1997년~2005년 | 2005년~현재 |
---|---|---|
우승팀 (결승 진출팀) | 1억원 + 트로피 | |
준우승팀 (결승 진출팀) | 5000만원 | |
정규 시즌 1위 | 5000만원 + 트로피 | 1억원 + 트로피 |
정규 시즌 2위 | 3000만원 | 5000만원 |
정규 시즌 3위 | 2000만원 | 3000만원 |
=== 국제 관계 ===
국내 농구 수준 향상을 위해 2020-21 시즌을 앞두고 일본 선수들을 위한 "아시아 선수 쿼터" 제도가 도입되었다.[39] 이 제도는 각 팀이 일본 B리그에서 일본 선수 1명(귀화 선수, 이중 국적자, 혼혈 선수 제외)을 영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40] 원주 DB 프로미는 나카무라 타이치와 1년 계약을 맺으며 리그 최초로 일본 선수를 영입했다.[41] 2022-23 시즌을 앞두고 이 제도는 필리핀 선수들에게까지 확대되었다.[42] 2022년 6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SJ 벨란겔과 2년 계약을 발표하며 필리핀 선수를 영입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43]
4. 1. 역대 우승팀
구단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7 | 3 | 1997, 2006-07, 2009-10, 2012-13, 2013-14, 2014-15, 2018-19 | 1997-98, 1998-99, 2005-06 |
부산 KCC 이지스 | 6 | 5 | 1997-98, 1998-99, 2003-04, 2008-09, 2010-11, 2023-24 | 1999-2000, 2004-05, 2009-10, 2015-16, 2020-21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4 | 1 | 2011-12, 2016-17, 2020-21, 2022–23 | 2021–22 |
원주 DB 프로미 | 3 | 6 | 2002-03, 2004-05, 2007-08 | 1997, 2003-04, 2010-11, 2011-12, 2014-15, 2017-18 |
서울 SK 나이츠 | 3 | 3 | 1999-2000, 2017-18, 2021–22 | 2001-02, 2012-13, 2022–23 |
서울 삼성 썬더스 | 2 | 3 | 2000-01, 2005-06 | 2007-08, 2008-09, 2016-17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2 | 1 | 2001-02, 2015-16 | 2002-03 |
창원 LG 세이커스 | 0 | 2 | — | 2000-01, 2013-14 |
수원 KT 소닉붐 | 0 | 2 | — | 2006-07, 2023-24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0 | 1 | — | 2018-19 |
4. 2. 정규시즌 우승팀
횟수 | 팀 | 비고 |
---|---|---|
7회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7회 | 원주 DB 프로미 | 2019-2020 정규시즌 공동 1위 포함 |
5회 | 부산 KCC 이지스 | |
3회 | 서울 SK 나이츠 | 2019-2020 정규시즌 공동 1위 포함 |
2회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
1회 | 창원 LG 세이커스 수원 KT 소닉붐 서울 삼성 썬더스 |
4. 3. KBL 올스타전
KBL 올스타전은 매년 1월 중순에 열린다. 서울에서 개최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울산(2007년), 부산(2017년), 대구(2021년)와 같이 서울 외 지역에서 열린 경우도 있었다.2021-22 올스타전 방식을 기준으로, 10개 팀에서 각각 5명의 선수가 올스타 팬 투표 후보로 지명된다. 팬 투표 순위 상위 24명의 선수만 올스타전에 참가할 수 있다. 가장 많은 표를 얻은 두 선수는 각각 11명의 선수를 영입하여 팀을 구성하며, 원 소속팀은 고려하지 않는다.[13]
1월 마지막 토요일과 일요일에 개최되며, 남부 선발팀과 중부 선발팀이 대결한다. 2005년부터는 중국 프로농구 리그와의 올스타전도 함께 개최되었다.
4. 4. 개인 기록
KBL 시상식은 매년 정규 시즌이 끝날 무렵에 열리며, 2020-21 시즌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상이 수여된다.[15]- 최우수선수(MVP)
- 신인상
- 최우수 외국인 선수상
- 베스트 5
- 최우수 수비 선수상
- 수비 베스트 5
- 식스맨상
- 기량 발전상
- 페어플레이상
- 올해의 명장면상
- 인기상
- 감독상
시상식은 플레이오프가 시작되기 전 정규 시즌 종료 후에 열린다. 플레이오프 MVP는 최종 챔피언십 경기 종료 후에만 수여된다.
년도 | 선수 | 소속팀 | 경기당 평균 득점 |
---|---|---|---|
1997 | 칼 레이 해리스|Carl Ray Harris영어 | 원주 나라 블루버드 | 32.3[16] |
1997–98 | 래리 데이비스|Larry Davis (basketball, born 1973)영어 | 안양 SBS 스타즈 | 30.6[17] |
1998–99 | 버나드 블런트|Bernard Blunt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9.9[18] |
1999–2000 | 에릭 에버즈|Eric Eberz영어 |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 27.7[19] |
2000–01 | 데니스 에드워즈|Dennis Edwards (basketball)영어 | 안양 SBS 스타즈 | 33.4[20] |
2001–02 | 에릭 에버즈|Eric Eberz영어 (2) | 여수 코리아 텐더 프루미 | 28.3[19] |
2002–03 | 레온 트리밍엄|Leon Trimmingham영어 | 서울 SK 나이츠 | 27.4[21] |
2003–04 | 찰스 민렌드|Charles Minlend영어 | 전주 KCC 이지스 | 27.1[22] |
2004–05 | 네이트 존슨|Nate Johnson (basketball)영어 | 대구 오리온스 | 28.7[23] |
2005–06 | 돈테 존스|Dontae' Jones영어 | 안양 KT&G 나이츠 | 29.2[24] |
2006–07 | 피트 마이컬|Pete Mickeal영어 | 대구 오리온스 | 35.1[25] |
2007–08 | 테렌스 섀넌|Terrence Shannon (basketball)영어 | 인천 전자랜드 블랙 슬래머 | 27.2[26] |
2008–09 | 테렌스 레더|Terrence Leather영어 | 서울 삼성 썬더스 | 27.5[27] |
2009–10 | 그렉 스티븐슨|Greg Stevenson (basketball)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1.9[28] |
2010–11 | 에런 헤인즈|Aaron Haynes영어 | 서울 삼성 썬더스 | 23.1[29] |
2011–12 | 에런 헤인즈|Aaron Haynes영어 (2) | 창원 LG 세이커스 | 27.6[29] |
2012–13 | 재스퍼 존슨|Jasper Johnson영어 | 부산 KT 소닉붐 | 19.7[30] |
2013–14 | 타일러 윌커슨|Tyler Wilkerson영어 | 전주 KCC 이지스 | 21.5[31] |
2014–15 | 데이본 제퍼슨|Davon Jefferson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1.3[32] |
2015–16 | 안드레 에멧|Andre Emmett영어 | 전주 KCC 이지스 | 26.2[33] |
2016–17 | 안드레 에멧|Andre Emmett영어 (2) | 전주 KCC 이지스 | 28.8[34] |
2017–18 | 데이비드 사이먼|David Simon (basketball)영어 | 안양 KGC인삼공사 | 26.1[35] |
2018–19 | 제임스 메이스|James Mays (basketball)영어 | 창원 LG 세이커스 | 26.6[36] |
4. 5. 역대 타이틀 스폰서 및 리그명
시즌 | 타이틀 스폰서 | 리그명 |
---|---|---|
1997 ~ 1997-1998 | 휠라코리아 | FILA배 프로농구 |
1998-1999 | 현대전자 | 현대 걸리버 프로농구 |
1999-2000 ~ 2004-2005 | 삼성전자 | 삼성 애니콜 프로농구 |
2005-2006, 2009-2010, 2014-2015 ~ 2016-2017, 2024-2025 | KCC | KCC 프로농구 |
2006-2007, 2010-2011, 2019-2020 ~ 2020-2021 | 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 프로농구 |
2007-2008 | SK텔레콤 | SK텔레콤 T 프로농구 |
2008-2009 | 동부화재 | 동부프로미 프로농구 |
2011-2012 ~ 2013-2014 | KB국민카드 | KB국민카드 프로농구 |
2017-2018, 2023-2024 | 한국인삼공사 | 정관장 프로농구 |
2018-2019 | SK텔레콤 | SKT 5GX 프로농구 |
2021-2022 | 한국인삼공사 | KGC인삼공사 정관장 프로농구 |
2022-2023 | SK텔레콤 | SKT 에이닷 프로농구 |
4. 6. 공인구
KBL에서 사용된 역대 공인구는 다음과 같다.연도 | 제작사 | 공인구 | 비고 |
---|---|---|---|
1997년 ~ 2014년 | 스타스포츠 | BB207 (KBLgame) | |
2014년 ~ 2015년 | 나이키 | 4005 Tournament | |
2015년 ~ 현재 | 몰텐 | GL7X | 국제농구연맹(FIBA) 공인구. |
4. 7. 상금
구분 | 1997년~2005년 | 2005년~현재 |
---|---|---|
우승팀 (결승 진출팀) | 1억원 + 트로피 | |
준우승팀 (결승 진출팀) | 5000만원 | |
정규 시즌 1위 | 5000만원 + 트로피 | 1억원 + 트로피 |
정규 시즌 2위 | 3000만원 | 5000만원 |
정규 시즌 3위 | 2000만원 | 3000만원 |
4. 8. 국제 관계
국내 농구 수준 향상을 위해 2020-21 시즌을 앞두고 일본 선수들을 위한 "아시아 선수 쿼터" 제도가 도입되었다.[39] 이 제도는 각 팀이 일본 B리그에서 일본 선수 1명(귀화 선수, 이중 국적자, 혼혈 선수 제외)을 영입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40] 이때 영입된 선수는 외국인 선수 쿼터에 포함되지 않고 국내 선수 연봉 상한선에 포함된다. 원주 DB 프로미는 나카무라 타이치와 1년 계약을 맺으며 리그 최초로 일본 선수를 영입했다.[41] 2022-23 시즌을 앞두고 이 제도는 필리핀 선수들에게까지 확대되었다(필리핀 여권 소지자이며, 양쪽 부모 모두 필리핀 시민권 또는 여권을 소지해야 함).[42] 2022년 6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는 SJ 벨란겔과 2년 계약을 발표하며 필리핀 선수를 영입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43]참조
[1]
뉴스
나래이동통신, '남자 농구팀' 창단
https://www.hankyung[...]
1996-09-03
[2]
뉴스
[탐방! 프로농구 TG삼보] '나래 블루버드'로 출발…
https://www.joongang[...]
2005-03-03
[3]
뉴스
기업은행 농구팀 해체-창단 34년만애 매각 추진
https://www.joongang[...]
1996-11-26
[4]
뉴스
프로농구 연고지 확정-서울은 공동.부산은 기아자동차
https://www.joongang[...]
1996-11-27
[5]
뉴스
청주에서 시작한 SK 나이츠, 서울로 정착하다
http://www.basketkor[...]
2020-03-26
[6]
뉴스
IMF 한파 농구코트도 '꽁꽁'
https://www.hani.co.[...]
1997-12-12
[7]
뉴스
IMF 한파에 체육기반 흔들
http://news.imaeil.c[...]
1997-12-17
[8]
웹사이트
Rule Differences
https://www.fiba.bas[...]
FIBA
2022-04-04
[9]
웹사이트
Sangmu - Basketball, South Korea: Results, Fixtures - Soccerstand.com
https://www.soccerst[...]
2022-06-21
[10]
뉴스
[프로농구]프로농구 45경기 늘어난다…팀당 54경기 6라운드
https://www.donga.co[...]
2001-10-17
[11]
웹사이트
Knights beat Anyang in first best-of-seven playoff match
https://koreajoongan[...]
2022-06-21
[12]
웹사이트
Korea Herald
http://www.koreahera[...]
2022-06-21
[13]
웹사이트
KBL All Star match rosters have been finalized
https://www.donga.co[...]
2022-06-21
[14]
웹사이트
프로농구 KCC, 정규리그 5위 최초 챔프전 우승…MVP 허웅(종합2보)
https://www.yna.co.k[...]
2024-05-05
[15]
뉴스
2020–2021 현대모비스 프로농구 시상식 개최 안내
https://kbl.or.kr/me[...]
Korean Basketball League
2021-03-29
[16]
웹사이트
Calray Harris
http://english.world[...]
2019-11-18
[17]
웹사이트
Laray Davis
http://english.world[...]
2019-11-18
[18]
웹사이트
Bernard Blunt
http://english.world[...]
2019-11-18
[19]
웹사이트
Eric Eberz
http://english.world[...]
2019-11-18
[20]
웹사이트
Dennis Edwards
http://english.world[...]
2019-11-18
[21]
웹사이트
Leon Trimmingham
http://english.world[...]
2019-11-18
[22]
웹사이트
Charles Minlend
http://english.world[...]
2019-11-18
[23]
웹사이트
Nathanel Johnson
http://english.world[...]
2019-11-18
[24]
웹사이트
Dantae Jones
http://english.world[...]
2019-11-18
[25]
웹사이트
Fenton Mickeal
http://english.world[...]
2019-11-18
[26]
웹사이트
Terrence Shannon
http://english.world[...]
2019-11-18
[27]
웹사이트
Terrence Leather
http://english.world[...]
2019-11-18
[28]
웹사이트
Gregory Stevenson
http://english.world[...]
2019-11-18
[29]
웹사이트
Aaron Haynes
http://english.world[...]
2019-11-18
[30]
웹사이트
KBL 2012-2013
https://www.asia-bas[...]
2019-11-18
[31]
웹사이트
KBL 2013-2014
https://www.asia-bas[...]
2019-11-18
[32]
웹사이트
KBL 2014-2015
https://www.asia-bas[...]
2019-11-18
[33]
웹사이트
KBL 2015-2016
https://www.asia-bas[...]
2019-11-18
[34]
웹사이트
KBL 2016-2017
https://www.asia-bas[...]
2019-11-18
[35]
웹사이트
KBL 2017-2018
https://www.asia-bas[...]
2019-11-18
[36]
웹사이트
KBL 2018-2019
https://www.asia-bas[...]
2019-11-18
[37]
웹사이트
KBL Finalizes Rules for Ethnic Korean Draft
https://www.koreatim[...]
2022-06-22
[38]
웹사이트
막 내리는 '귀화혼혈선수' 시대의 명과 암
http://star.ohmynews[...]
2022-06-22
[39]
웹사이트
KBL, 일본선수 대상으로 아시아쿼터 시행…DB는 영입 추진 중
https://sports.news.[...]
2022-06-22
[40]
웹사이트
Korea, Japan cooperate with implementation of ''Asian Player Quotas'' in professional leagues
https://www.fiba.bas[...]
2022-06-21
[41]
웹사이트
[구단소식] 원주 DB, 아시아쿼터제로 나카무라 타이치 공식 영입
https://sports.news.[...]
2022-06-22
[42]
웹사이트
KBL expands Asian Quota to Filipinos
https://tiebreakerti[...]
2022-06-22
[43]
웹사이트
[단독] 한국가스공사, KBL 1호 필리핀 선수 영입
http://www.rookie.co[...]
2022-06-22
[44]
웹사이트
프로농구 KCC, 정규리그 5위 최초 챔프전 우승…MVP 허웅(종합2보)
https://www.yna.co.k[...]
2024-05-05
[45]
unknown
[46]
뉴스
KBL의 엉뚱한 「통일」 논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1-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