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뉴턴 역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정 뉴턴 역학(MOND)은 1983년 모르데카이 밀그롬이 제안한, 암흑 물질 없이 은하 회전 곡선을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뉴턴 역학의 수정으로, 중력이 약한 은하 외곽에서 가속도가 작아질 때 뉴턴의 중력 법칙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MOND는 은하 회전 곡선 문제 해결에 성공적이지만, 은하단 질량 불일치 문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설명의 어려움, 이론적 문제 등의 비판을 받는다. MOND와 암흑 물질 가설은 다양한 관측 결과와 실험을 통해 비교, 검증되고 있으며, 상대론적 MOND 이론 개발 및 추가적인 관측 및 실험을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미지의 에너지 형태로, 우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하며 우주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천문학의 미해결 문제 - 암흑물질
암흑물질은 전자기파와 상호작용하지 않아 직접 관측은 불가능하지만, 중력 효과를 통해 존재가 예측되며 우주 질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우주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상의 물질로, 윔프나 액시온 등이 그 구성 성분 후보로 연구되고 있다. - 중력 이론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중력 이론 - 중력장
중력장은 질량을 가진 물체에 의해 생성되어 다른 질량에 힘을 미치는 물리 현상이며, 고전역학에서는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된다. -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 암흑 에너지
암흑 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하는 미지의 에너지 형태로, 우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하며 우주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 중입자 비대칭
중입자 비대칭은 우주에서 물질이 반물질보다 훨씬 많은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사하로프는 이를 설명하기 위해 바리온 수 위반, C 및 CP 대칭성 위반, 비평형 상호작용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제시했으며, CP 대칭성 위반은 물질과 반물질 생성 비율의 차이를 유발하여 표준 모형을 넘어선 새로운 물리학 이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수정 뉴턴 역학 | |
---|---|
개요 | |
![]() | |
유형 | 수정 중력 이론 |
분야 | 천체물리학, 우주론 |
제안자 | 모르데하이 밀그롬 |
제안일 | 1983년 |
주요 내용 | 뉴턴 역학의 수정 |
세부 사항 | |
기본 가정 | 뉴턴의 제2법칙의 수정: F = ma → F = mμ(a/a₀)a, 여기서 μ(x)는 보간 함수이고 a₀는 새로운 자연 상수이다. |
적용 범위 | 주로 은하 회전 곡선 문제, 은하단의 질량 부족 문제, 우주 거대 구조 형성 등에 적용된다. |
주요 예측 | 외부장 효과 (EFE), 질량-광도 관계, 좁은 쌍성 |
장점 | 암흑 물질 없이 은하 회전 곡선 설명 가능, 경험적 법칙과의 일치 |
단점 | 중력 렌즈 효과,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우주 거대 구조 형성 등 우주론적 현상 설명에 어려움 |
대안 이론 | 암흑 물질 이론, ΛCDM 모형 |
수학적 공식 | |
뉴턴 역학 수정 | F = mμ(a/a₀)a |
보간 함수 | μ(x) = x / √(1 + x²) (표준 보간 함수 예시) |
임계 가속도 | a₀ ≈ 1.2 × 10⁻¹⁰ m/s² |
지지 및 비판 | |
지지 의견 | 일부 은하 현상에 대한 정확한 예측, 암흑 물질의 필요성 감소 |
비판 의견 | 표준 우주론과의 불일치, 중력 렌즈 효과 설명 불가, 상대론적 확장의 어려움 |
관련 연구 | |
주요 연구자 | 모르데하이 밀그롬, 제이콥 베켄슈타인, 코스타스 스코르디스, 톰 즐로스니크 |
관련 이론 | AQUAL, TeVeS |
실험적 검증 노력 | 은하 회전 곡선 데이터 분석, 중력 렌즈 효과 관측,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분석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암흑 물질, 수정 중력 이론, 우주론, 밀그롬의 법칙 |
2. 역사적 배경
뉴턴이 확립한 중력 법칙은 지상이나 태양계 규모에서는 잘 검증되었으며, 상대론이 필요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물체의 운동을 잘 설명한다. 그러나 은하 규모처럼 작용하는 힘이 매우 약한 경우에는 직접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력 자체가 매우 약한 힘이기 때문에, 은하 규모에서 다른 운동 법칙이 필요하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바로 이 점이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 중대한 변경을 요구하는 MOND가 과학적 가설로서 성립할 수 있는 이유이다.
하지만 MOND는 물리학의 틀에 주는 영향에 비해 그 변경이 다소 즉흥적이고 상대론적이지 않다는 점 때문에, 많은 물리학자나 우주론학자들의 지지를 쉽게 얻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몇몇 물리학자들에 의해 MOND의 상대론적 버전이 제시되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블랙홀의 엔트로피론으로 유명한 이스라엘의 야코프 베켄슈타인이 2004년에 발표한 TeVeS (Tensor-vector-scalar gravity)이다.[90] TeVeS는 중력에 여러 장을 도입하여 비상대론적 극한에서 MOND와 일치하는 한편, 중력 렌즈와 같은 상대론적 현상도 설명할 수 있으며, 그가 이끄는 우주론도 일반 상대성 이론이 예측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여겨진다.
2. 1. 수정 뉴턴 역학의 등장
'''수정 뉴턴 역학'''(MOND)은 암흑물질 없이 회전하는 은하를 설명하기 위해 1983년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모르더하이 밀그롬이 제안한 이론이다.뉴턴의 중력 이론에 따르면 행성의 공전 속도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느려진다. 그러나 은하 원반의 회전을 도플러 효과로 측정한 결과, 공전 속도는 느려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은하의 질량 분포가 태양계와 달리 일정하지 않더라도, 질량 중심에서 공전 속도는 빨라져야 한다. 천문학자들은 암흑물질을 도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관측 불가능한 영역에 분포하는 물질의 질량이 은하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밀그롬은 암흑물질 없이 은하의 회전을 설명하려 했다.
몇몇 독립적인 관측 결과는 뉴턴의 법칙으로 분석했을 때 은하와 은하단의 가시적인 질량이 그들의 역학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불일치는 "암흑 물질 문제"로 알려져 있으며, 1933년 스위스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가 코마 은하단을 연구하면서 처음으로 은하단에서 확인했다.[12][13] 이후 1939년 호레이스 밥콕이 안드로메다 은하를 연구하면서 나선 은하에도 이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14]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카네기 연구소의 베라 루빈은 대규모 나선 은하 샘플에서 별들의 회전 속도를 상세하게 측정했다. 뉴턴의 법칙은 별의 회전 속도가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감소해야 한다고 예측하지만, 루빈과 공동 연구자들은 회전 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15] 이를 회전 곡선이 "평탄하다"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관측 결과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필요로 한다.
(1) | 은하에 가시적인 질량만으로는 예상할 수 있는 것보다 별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대량의 보이지 않는 물질(암흑 물질)이 존재한다. |
(2) | 뉴턴의 법칙이 은하에 적용되지 않는다. |
(1)은 암흑 물질 가설로 이어지고, (2)는 MOND로 이어진다.
MOND의 기본적인 전제는 뉴턴의 법칙이 고가속 환경(태양계와 지구에서)에서는 광범위하게 검증되었지만, 은하 외부의 별과 같이 극도로 낮은 가속도를 가진 물체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밀그롬은 물체의 실제 가속도를 뉴턴 역학에 기초하여 예측할 수 있는 가속도와 연관시키는 새로운 유효 중력 법칙("'''밀그롬의 법칙'''")을 제안했다.[3] MOND의 핵심인 이 법칙은 고가속에서 뉴턴 결과를 재현하지만, 저가속에서는 다른 ("딥-MOND") 거동을 보인다.
밀그롬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은 뉴턴 힘, 은 물체의 (중력) 질량, 는 물체의 가속도, 는 보간 함수, 은 뉴턴 영역과 딥-MOND 영역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본 상수이다. 뉴턴 역학과의 일치를 위해 다음 조건이 필요하다.
:
천문학적 관측 결과와의 일치를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필요하다.
:
보간 함수는 가설에 의해 지정되지 않지만, 경험적으로 약하게 제한할 수 있다.[16][17] 일반적인 선택으로 "단순 보간 함수"와 "표준 보간 함수"가 있다.
단순 보간 함수:
:
표준 보간 함수:
:
딥-MOND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다.
:
질량 인 별이 질량 주위를 원형 궤도로 공전하는 경우, 다음 식이 유도된다.
:
밀그롬은 회전 곡선 데이터에 자신의 법칙을 맞춰 가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MOND는 값보다 작은 가속도의 경우, 가속도가 질량과 거리의 표준 뉴턴 관계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즉, 중력의 세기는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구체적으로, 중력이 값보다 훨씬 낮을 때, 중력의 ''변화율''(시공간의 곡률 포함)은 ''질량의 제곱근''에 따라 증가하고(뉴턴의 법칙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대신) ''거리에 선형적으로'' 감소한다(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대신).
MOND는 은하 규모의 관측을 설명하지만, 지구 근처에서는 뉴턴 중력과 구별하기 어렵다. MOND와 뉴턴 역학 사이의 1 대 1 대응은 의 가속도( 값)까지 유지된다. 가속도가 아래로 감소하면, MOND의 역학은 중력에 대한 뉴턴 설명에서 급격하게 벗어난다. 예를 들어, 은하 중심으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중력 가속도가 와 같아진다. 그 거리의 10배 거리에서 뉴턴 중력은 중력이 100배 감소한다고 예측하지만, MOND는 10배 감소한다고 예측한다.
MOND의 역학에서 뉴턴 구성 요소는 의 값보다 훨씬 낮은 가속도에서도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MOND의 잔여 뉴턴 유사 역학이 아래에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계속 감소하기 때문에, 이론의 더 강력한 "딥-MOND" 선형 역학에 압도되어 "상대적으로" 사라진다.
MOND는 은하 중심으로부터 매우 광범위한 거리에서 관측과 거의 일치하는 별의 속도를 예측한다. 의 크기는 뉴턴 역학과 MOND 역학이 갈라지는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는 ''속도/반경'' 그래프에서 비뉴턴 선형 기울기의 각도(로그/로그 스케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도 설정한다.
은하 규모의 관측을 설명하는 MOND를 따르는 중력은 지구에 더 가까운 곳에서는 이전에 감지되지 않았다. MOND의 역학이 뉴턴 역학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가속도인 가속도, 는 완벽한 무중력에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가깝다. 태양계 내에서, 방정식은 항의 효과를 거의 존재하지 않게 한다. 그것은 태양의 엄청나고 매우 뉴턴적인 중력적 영향과 지구 표면 중력의 가변성에 의해 압도된다.
지구 표면에서 값은 0.012 마이크로갈 (μGal)과 같으며, 이는 지구 중력의 십이조 분의 일에 불과하다. 이 가속도 미만의 중력 법칙의 변화는 가장 민감한 자유 낙하 스타일의 절대 중력계로도 해결하기에는 너무 작다. MOND의 효과가 지구에서 정밀 중력 측정으로 감지할 수 없는 이유를 고려할 때, 는 가짜 힘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MOND가 뉴턴 역학에서 크게 벗어나기 시작하는 중력의 세기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강도''는 0.04 mm의 고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지구 중력의 ''변화''와 같다. 이러한 미묘한 중력적 세부 사항은 현재의 중력계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 외에도, 달의 중력 조석으로 인한 지구 조석으로 인한 이틀에 두 번 발생하는 지구 모양의 왜곡에 의해 압도된다.
태양계의 가장자리에서도, MOND 역학이 뉴턴 역학에서 크게 벗어나는 지점은 뉴턴 중력을 따르는 태양과 행성의 훨씬 더 강한 중력장에 의해 압도되고 가려진다. 에 한 시간 동안 노출된 공간의 자유 부유 질량은 단지 0.8 밀리미터만큼 "떨어질" 것이다. 태양계의 황도면 위 (개별 행성의 중력적 영향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자유 비행 관성 경로에 있는 행성 간 우주선은, 해왕성과 같은 태양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을 때, 고전적인 뉴턴 중력의 세기를 경험할 것이고, 이는 보다 55,000배 더 강하다. 작은 태양계 소행성의 경우, 영역에서의 중력 효과는 야르코프스키 효과와 그 크기가 비슷하다. 태양의 항성간 은하 중력 기여는, MOND의 효과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임계값까지 감소하지 않는데, 이는 태양으로부터 41 광일 거리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보이저 2호가 2012년부터 성간 매질에 있었고, 2022년 11월에 있던 거리보다 태양에서 53배 더 멀다.
MOND는 지구상, 태양계 내, 심지어 태양계 및 다른 행성계 근처에 있는 물체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하고 감지할 수 없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은하 규모의 중요한 관측 회전 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한다. 이것은 MOND가 은하를 함께 유지하는 극도로 약한 은하 규모의 중력이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매우 느린 선형 관계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밀그롬의 법칙은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뉴턴의 제2법칙에 대한 수정으로 취급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입자의 가속도 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에 비례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경우, 수정된 역학은 중력 현상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자기력과 같은 다른 힘에 의해 생성된 현상에도 적용될 것이다.[18]
- 뉴턴의 제2법칙을 그대로 두고,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수정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질량 인 물체에 작용하는 질량 의 다른 물체로 인한 실제 중력은 대략 형태를 띤다. 이 해석에서, 밀그롬의 수정은 중력 현상에만 적용될 것이다.
밀그롬의 법칙 자체는 완전하고 자체 포함적인 물리 이론이 아니라, 고전 역학을 구성하는 여러 방정식 중 하나인 ad hoc 경험적으로 동기 부여된 변형이다. MOND의 일관된 비상대론적 가설 내에서의 지위는 뉴턴 역학 내의 케플러의 제3법칙과 유사하다. 그것은 관측 사실에 대한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지만, 기본 가설 내에 위치한 더 근본적인 개념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여러 완전한 고전 가설이 제안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수정된 관성" 대신 "수정된 중력" 계열을 따라), 이는 일반적으로 고대칭 상황에서 정확하게 밀그롬의 법칙을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약간 벗어난다. 이러한 비상대론적 가설의 하위 집합은, 비고전적 현상(예: 중력 렌즈) 및 우주론과 접촉할 수 있는 상대론적 이론 내에 더욱 포함되었다.[19]
대다수의 천문학자, 천체 물리학자, 그리고 우주론학자들은 은하 회전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암흑 물질을 받아들인다.[20] MOND 지지자들은 은하 규모에서 이루어진 예측을 강조하고, 은하 역학과 일치하는 우주론적 모형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믿는다. ΛCDM 지지자들은 높은 수준의 우주론적 정확도를 요구하고, 은하 규모 문제의 해결책이 은하 형성의 복잡한 중입자 천체 물리학에 대한 더 나은 이해에서 나올 것이라고 주장한다.[6][21]
태양계처럼 중심에 큰 질량이 집중되어 있을 때, 역제곱 법칙을 따르는 만유인력 하에서는, 그 중심 주위를 원운동하는 천체의 속도는 거리의 제곱근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반면에 실제 도플러 편이의 관측에서 얻어진 은하 원반 내의 천체의 운동 속도는,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다.
은하의 질량 분포는 태양계처럼 중심에 집중된 것이 아니지만, 추정되고 있는 은하의 질량 분포를 고려하더라도 은하 원반은 역시 중심에 가까울수록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으면 일관성이 맞지 않다. 이 "은하 회전 문제"는 천문학자에게 제기된 은하의 구조에 관한 패러독스이다. 이 문제에 대해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설명은 암흑 물질 즉, 현재 관측 불가능한 중력원을 가정하는 것이다. 즉, 은하를 둘러싼 은하 헤일로 부분에 은하의 가시적 부분을 훨씬 초과하는 거대한 질량이 분포하여, 일정한 회전 속도를 가져온다고 여겨진다.
1983년에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모르데카이 밀그롬은 이 은하 회전 문제에 대해 전혀 다른 과감한 유효 이론을 제시했다.[89] 은하 스케일의 중력이, 일반적으로 믿어지고 있는 뉴턴 역학과는 다르다면, 미지의 중력원 가설 없이 관측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이 생각에 기초하여 운동의 기본 법칙에 변경을 가하는 현상론적 이론이 MOND이다. 간단히 말하면, MOND에서는 태양계 스케일처럼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에는 중력이 기존의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 거리의 역제곱에 비례하는 힘을 미치지만, 항성 사이처럼 거리가 커짐에 따라 그 실질적 효과가 거리의 역일제곱(반비례)에 점근한다고 생각한다. 즉, 원거리에서는 중력에 의한 영향은 기존의 뉴턴 역학에서 주어지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양이 된다. 거리에 반비례하는 가속도는 은하의 회전 속도를 매우 자연스럽게 설명하며, 암흑 물질을 가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뉴턴이 확립한 중력의 법칙은 지상이나 태양계의 스케일에서 잘 검증되어 있으며, 상대론이 필요한 특수한 현상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경우 물체의 운동을 잘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은하의 스케일이었다고 해서 다른 운동의 법칙이 필요하게 된다고 일반적으로는 믿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력은 그 자체가 극히 약한 힘이기 때문에, 은하처럼 작용하는 힘이 더 약한 경우의 직접적인 검증이 이루어져 온 것도 아니었다. 이 점에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 중대한 변경을 요구하는 MOND가 과학적 가설로서 성립할 수 있는 한 원인이 있다.
MOND가 요구하는 변경은 물리의 틀에 주는 영향의 중대성에 비해 다소 즉흥적인 변경이며, 또한 상대론적인 것도 아니기 때문에, 많은 물리학자나 우주론자의 지지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현재에는 몇몇 물리학자에 의해 MOND의 상대론적 버전이 제시되어 오고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블랙홀의 엔트로피론으로 유명한 이스라엘의 야코프 베켄슈타인이 2004년에 발표한 TeVeS (Tensor-vector-scalar gravity)이다.[90] 이는 중력에 여러 장을 도입하여, 비상대론적 극한에서 MOND와 일치하는 한편, 중력 렌즈와 같은 상대론적 현상도 설명할 수 있으며, 그것이 이끄는 우주론도 일반 상대성 이론이 예측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여겨진다.
2. 2. MOND의 발전과 비판
모르더하이 밀그롬이 1983년에 제안한 수정 뉴턴 역학(MOND)은 암흑물질 없이 은하 회전 곡선 문제를 설명하려는 시도였다.[3] 뉴턴 역학에 따르면, 은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별의 회전 속도는 감소해야 하지만, 실제 관측 결과는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탄한" 회전 곡선을 보여주었다.[15] 이는 (1) 눈에 보이지 않는 대량의 물질(암흑물질)이 존재하거나, (2) 뉴턴 법칙이 은하 규모에서 수정되어야 함을 의미했다.MOND는 후자의 입장을 취한다. MOND의 핵심은 극도로 낮은 가속도 환경에서는 뉴턴 법칙이 수정된다는 것이다. 밀그롬은 새로운 유효 중력 법칙(밀그롬의 법칙)을 제안했는데, 이는 고가속도에서는 뉴턴 역학과 일치하지만, 저가속도에서는 다른 ("딥-MOND") 거동을 보인다.
밀그롬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은 뉴턴 힘, 은 물체의 질량, 는 가속도, 는 보간 함수, 은 뉴턴 영역과 딥-MOND 영역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본 상수이다.
보간 함수는 경험적으로 선택되며, "단순 보간 함수"와 "표준 보간 함수"가 주로 사용된다. 딥-MOND 영역 ()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이 식을 질량 주위를 원형 궤도로 공전하는 질량 인 별에 적용하면,
:
를 얻는다. 즉, 별의 회전 속도()는 은하의 질량()과 기본 상수 에 의해 결정되며,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해진다. 밀그롬은 회전 곡선 데이터에 맞춰 값을 얻었다.
MOND는 보다 작은 가속도에서 중력이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뉴턴 법칙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중력의 변화율은 질량의 제곱근에 비례하고 거리에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MOND는 은하 규모의 관측을 설명하지만, 지구 근처나 태양계 내에서는 뉴턴 중력과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 는 매우 작은 값으로, 지구 중력의 십이조 분의 일에 불과하며, 정밀 중력 측정으로도 감지하기 어렵다.
밀그롬의 법칙은 뉴턴의 제2법칙을 수정하거나,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수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수정된 역학은 중력뿐만 아니라 다른 힘에도 적용되어야 한다.[18] 후자의 경우, 수정은 중력 현상에만 적용된다.
MOND는 완전한 이론이 아니라, 경험적으로 도출된 방정식이다. MOND를 설명하기 위한 여러 고전 가설이 제안되었으며, 일부는 상대론적 이론으로 확장되었다.[19]
대부분의 천문학자와 물리학자들은 암흑 물질을 은하 회전 곡선 문제의 해결책으로 받아들인다.[20] MOND 지지자들은 은하 규모의 예측을 강조하는 반면, ΛCDM 지지자들은 우주론적 정확도를 중시한다.[6][21]
MOND는 은하 회전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설명을 제시하지만, 암흑 물질 가설만큼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2004년 야코프 베켄슈타인은 MOND의 상대론적 버전인 TeVeS를 발표하여 중력 렌즈와 같은 현상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90]
3. MOND의 기본 원리
MOND의 기본적인 전제는 뉴턴의 법칙이 고가속 환경(태양계와 지구에서)에서는 광범위하게 테스트되었지만, 은하 외부의 별과 같이 극도로 낮은 가속도를 가진 물체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밀그롬이 새로운 유효 중력 법칙(때로는 "'''밀그롬의 법칙'''"이라고 함)을 가정하게 하였는데, 이는 물체의 실제 가속도를 뉴턴 역학에 기초하여 예측할 수 있는 가속도와 연관시킨다.[3] MOND의 핵심인 이 법칙은 고가속에서 뉴턴 결과를 재현하도록 선택되었지만, 저가속에서는 다른 ("딥-MOND") 거동을 보인다.
:
여기서 은 뉴턴 힘이고, 은 물체의 (중력) 질량이며, 는 물체의 가속도이고, 는 아직 지정되지 않은 함수(''보간 함수''라고 함)이며, 은 뉴턴 영역과 딥-MOND 영역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본 상수이다. 뉴턴 역학과의 일치는 다음과 같다.
:
천문학적 관측 결과와의 일치는 다음과 같다.
:
이 한계를 넘어, 보간 함수는 가설에 의해 지정되지 않지만, 경험적으로 약하게 제한할 수 있다.[16][17]
따라서 딥-MOND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다.
:
질량 인 별 또는 기타 물체가 질량 (은하의 총 중입자 질량) 주위를 원형 궤도에서 공전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밀그롬은 회전 곡선 데이터에 자신의 법칙을 맞춰서, 가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MOND는 대략 의 값보다 작은 가속도의 경우, 가속도가 질량과 거리의 표준 뉴턴 관계에서 점점 더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즉, 중력의 세기는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구체적으로, 이 이론은 중력이 값보다 훨씬 낮을 때, 중력의 ''변화율''—시공간의 곡률 포함—은 ''질량의 제곱근''에 따라 증가하고(뉴턴의 법칙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대신) ''거리에 선형적으로'' 감소한다고 한다(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대신).
어떤 작은 질량 이 은하 중심 근처의 별이나 지구 근처의 물체, 또는 지구상에 있는 물체 등 훨씬 더 큰 질량 에 가까울 때마다 MOND는 뉴턴 중력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가까운 역학을 생성한다. MOND와 뉴턴 역학 사이의 이러한 1 대 1 대응은 대략 의 가속도( 값)까지 유지된다. 가속도가 아래로 감소하면, MOND의 역학은 중력에 대한 뉴턴 설명에서 급격하게 벗어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중력 가속도가 와 같아진다. 그 거리의 10배 거리에서 뉴턴 중력은 중력이 100배 감소한다고 예측하지만, MOND는 10배 감소한다고 예측한다.
MOND의 역학에서 뉴턴 구성 요소는 의 값보다 훨씬 낮은 가속도에서도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MOND의 방정식은 뉴턴 구성 요소에 대한 최소 가속도를 주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MOND의 잔여 뉴턴 유사 역학이 아래에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계속 감소하기 때문에—위에 있는 것처럼—이론의 더 강력한 "딥-MOND" 선형 역학에 압도되어 "상대적으로" 사라진다.
밀그롬의 법칙은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한 가지 가능성은 뉴턴의 제2법칙에 대한 수정으로 취급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입자의 가속도 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에 비례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경우, 수정된 역학은 중력 현상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자기력과 같은 다른 힘에 의해 생성된 현상에도 적용될 것이다.[18]
- 또는, 밀그롬의 법칙은 뉴턴의 제2법칙을 그대로 두고,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수정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질량 인 물체에 작용하는 질량 의 다른 물체로 인한 실제 중력은 대략 형태를 띤다. 이 해석에서, 밀그롬의 수정은 중력 현상에만 적용될 것이다.
밀그롬의 법칙 자체는 완전하고 자체 포함적인 물리 이론이 아니라, 고전 역학을 구성하는 여러 방정식 중 하나인 ad hoc 경험적으로 동기 부여된 변형이다. MOND의 일관된 비상대론적 가설 내에서의 지위는 뉴턴 역학 내의 케플러의 제3법칙과 유사하다. 그것은 관측 사실에 대한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지만, 기본 가설 내에 위치한 더 근본적인 개념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뉴턴이 확립한 중력의 법칙은 지상이나 태양계의 스케일에서 잘 검증되어 있으며, 상대론이 필요한 특수한 현상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경우 물체의 운동을 잘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은하의 스케일이었다고 해서 다른 운동의 법칙이 필요하게 된다고 일반적으로는 믿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력은 그 자체가 극히 약한 힘이기 때문에, 은하처럼 작용하는 힘이 더 약한 경우의 직접적인 검증이 이루어져 온 것도 아니었다. 이 점에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 중대한 변경을 요구하는 MOND가 과학적 가설로서 성립할 수 있는 한 원인이 있다.
MOND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 (운동의 제2법칙) 에 대한 수정으로 기술되며, 이를
:
로 변경한다. 단, 는 어떤 함수이며, 그 구체적인 표기는 주어지지 않지만, 일 때 , 에서 임을 요한다. 또한, 는 어떤 기본적인 물리 상수가 되며, 매우 작은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밀그롬은 이처럼 MOND를 운동 방정식에 대한 변경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주로 검토되는 것은 중력의 상호 작용뿐이다. 태양이 행성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와, 은하 전체가 태양에 미치는 중력 가속도 사이에는 1만 배 이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MOND에서는 일상적인 현상과 은하의 현상에서는 에 의한 효과가 전혀 다르다고 한다. 즉, 태양계를 포함한 일상적인 규모에서는, 보다 가 훨씬 크고 로 간주된다. 이 경우, 뉴턴 역학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한편, 항성간이나 은하, 은하간의 규모에서는 에 가깝거나 그것을 밑돌며, , 즉 힘이 가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영향이 무시할 수 없다.
MOND는 은하 회전을 설명하기 쉽다.[91] 뉴턴의 만유인력 에 의한 상호 작용만 고려하면, 보다 가 충분히 작을 경우 (), 이러한 변경으로부터 이체 문제의 운동 방정식
:
가 즉시 얻어진다 (단, 는 가속도, 은 만유인력 상수와 작용하는 물체의 질량의 곱, 은 두 물체 사이의 거리). 중심력을 받아 속도 로 등속 원운동하는 천체를 생각하면, 일반적으로 이 성립하므로, 속도는
:
가 되며, 이는 거리 에 의존하지 않는 상수이다. 즉, 중력이 미치는 가속도가 거리에 반비례하면 회전 속도는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이 자연스럽게 유도되며, 적어도 은하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은하를 질점으로 간주하는 근사가 성립하는 한 회전의 관측 사실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반대로 이 식으로부터 을 추정할 수 있으며, 밀그롬에 따르면 이는 이다.
4. MOND의 여러 형태
야코프 베켄슈타인은 텐서-벡터-스칼라 중력을 발표하여 수정 뉴턴 역학을 일반화했다. 밀그롬 법칙은 보존 법칙을 충족하고 임의의 물리 시스템의 시간 진화에 대한 고유한 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가설에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각 이론은 대칭성이 높은 상황에서 밀그롬 법칙으로 축소되며 세부 사항에서 다른 동작을 생성한다.
수정 뉴턴 역학(MOND)의 첫 번째 가설(AQUAL)은 1984년 밀그롬과 야코프 베켄슈타인에 의해 만들어졌다.[45] AQUAL은 고전적인 라그랑지 역학에서 중력 항을 뉴턴 퍼텐셜의 기울기의 2차 함수에서 더 일반적인 함수로 수정하여 MOND적 거동을 생성한다. (AQUAL은 A QUAdratic Lagrangian의 약자이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표준 뉴턴 중력 퍼텐셜이고 ''F''는 새로운 무차원 함수이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표준 방식으로 적용하면 뉴턴-푸아송 방정식의 비선형 일반화로 이어진다.
:
이것은 적절한 경계 조건과 F의 선택이 주어지면 밀그롬의 법칙을 산출하도록 풀 수 있다(고도의 대칭성을 가진 상황에서 사라지는 회전장 보정까지).
라그랑지안에서 중력 항을 수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진정한(MOND) 가속도장 '''a'''와 뉴턴 가속도장 '''aN''' 간의 구별을 도입하는 것이다. 라그랑지안은 '''aN'''이 일반적인 뉴턴-푸아송 방정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어서 밀그롬의 법칙을 만족하도록 선택된 추가적인 대수적이지만 비선형적인 단계를 통해 '''a'''를 찾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을 "MOND의 준선형 공식" 또는 QUMOND라고 하며,[46] 주어진 물리적 상황에 대한 뉴턴적 분석에서 추론될 "유령" 암흑 물질의 분포를 계산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2]
AQUAL과 QUMOND는 모두 고전적 물질 작용의 중력 부분에 대한 변경을 제안하므로 밀그롬의 법칙을 뉴턴의 제2법칙이 아닌 뉴턴 중력의 수정으로 해석한다. 대안은 작용의 운동 항을 입자의 궤적에 의존하는 범함수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된 관성" 이론은 시간 비국소적이므로, 에너지와 운동량을 자명하지 않게 재정의하여 보존해야 하며, 입자 궤도의 전체에 따라 예측이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2]
2004년, 야코프 베켄슈타인은 MOND적 행동을 사용하는 최초의 완전한 상대론적 가설인 TeVeS를 공식화했다.[47] TeVeS는 국소 라그랑지안(따라서 보존 법칙을 준수)으로 구성되었으며, 비상대론적 극한(낮은 속도와 약한 중력)에서 AQUAL을 생성하기 위해 단위 벡터장, 동적 및 비동적 스칼라장, 자유 함수 및 비 아인슈타인 계량을 사용한다.
BIMOND 및 일반화된 아인슈타인 에테르 이론을 포함하여 MOND의 여러 다른 상대론적 일반화가 존재한다.[2] 또한 MOND 현상의 물리적 기초로 로렌츠형 불변성을 가정하는 MOND의 상대론적 일반화도 있다.[52]
5. MOND와 관측 증거
MOND의 기본 전제는 뉴턴의 법칙이 고가속 환경(태양계와 지구에서)에서는 광범위하게 테스트되었지만, 은하 외부의 별과 같이 극도로 낮은 가속도를 가진 물체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밀그롬이 새로운 유효 중력 법칙(때로는 "'''밀그롬의 법칙'''"이라고 함)을 가정하게 하였는데, 이는 물체의 실제 가속도를 뉴턴 역학에 기초하여 예측할 수 있는 가속도와 연관시킨다.[3] MOND의 핵심인 이 법칙은 고가속에서 뉴턴 결과를 재현하도록 선택되었지만, 저가속에서는 다른 ("딥-MOND") 거동을 보인다.
여기서 은 뉴턴 힘이고, 은 물체의 (중력) 질량이며, 는 물체의 가속도이고, 는 아직 지정되지 않은 함수(''보간 함수''라고 함)이며, 은 뉴턴 영역과 딥-MOND 영역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본 상수이다. 뉴턴 역학과의 일치는 다음과 같다.
:
천문학적 관측 결과와의 일치는 다음과 같다.
:
이 한계를 넘어, 보간 함수는 가설에 의해 지정되지 않지만, 경험적으로 약하게 제한할 수 있다.[16][17] 두 가지 일반적인 선택은 "단순 보간 함수"이다.
:
그리고 "표준 보간 함수"이다.
:
따라서 딥-MOND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다.
:
질량 인 별 또는 기타 물체가 질량 (은하의 총 중입자 질량) 주위를 원형 궤도에서 공전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밀그롬은 회전 곡선 데이터에 자신의 법칙을 맞춰서, 가 최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MOND는 대략 1.2e-10m/s2의 값보다 작은 가속도의 경우, 가속도가 질량과 거리의 표준 뉴턴 관계에서 점점 더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즉, 중력의 세기는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구체적으로, 이 이론은 중력이 값보다 훨씬 낮을 때, 중력의 ''변화율''—시공간의 곡률 포함—은 ''질량의 제곱근''에 따라 증가하고(뉴턴의 법칙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대신) ''거리에 선형적으로'' 감소한다고 주장한다(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대신).
어떤 작은 질량 이 은하 중심 근처의 별이나 지구 근처의 물체, 또는 지구상에 있는 물체 등 훨씬 더 큰 질량 에 가까울 때마다 MOND는 뉴턴 중력과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가까운 역학을 생성한다. MOND와 뉴턴 역학 사이의 이러한 1 대 1 대응은 대략 1.2e-10m/s2의 가속도( 값)까지 유지된다. 가속도가 아래로 감소하면, MOND의 역학은 중력에 대한 뉴턴 설명에서 급격하게 벗어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거리에서 중력 가속도가 와 같아진다. 그 거리의 10배 거리에서 뉴턴 중력은 중력이 100배 감소한다고 예측하지만, MOND는 10배 감소한다고 예측한다.
MOND의 역학에서 뉴턴 구성 요소는 1.2e-10m/s2의 값보다 훨씬 낮은 가속도에서도 활성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MOND의 방정식은 뉴턴 구성 요소에 대한 최소 가속도를 주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MOND의 잔여 뉴턴 유사 역학이 아래에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계속 감소하기 때문에—위에 있는 것처럼—이론의 더 강력한 "딥-MOND" 선형 역학에 압도되어 "상대적으로" 사라진다.
MOND는 은하 중심으로부터 매우 광범위한 거리에서 관측과 거의 일치하는 별의 속도를 예측한다. 의 1.2e-10m/s2 크기는 뉴턴 역학과 MOND 역학이 갈라지는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는 ''thumb의 관측 회전 곡선과 예상 회전 곡선 비교[11]]]''과 같은 ''속도/반경'' 그래프에서 비뉴턴 선형 기울기의 각도(로그/로그 스케일로 표시되지 않은 경우)도 설정한다.
은하 규모의 관측을 설명하는 MOND를 따르는 중력은, 국립 연구소 또는 행성 간 우주선의 궤도와 같이 지구에 더 가까운 곳에서는 이전에 감지되지 않았다. MOND의 역학이 뉴턴 역학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가속도인 가속도, 1.2e-10m/s2는—실질적인 문제로—완벽한 무중력에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가깝기 때문이다. 태양계 내에서, 방정식은 항의 효과를 거의 존재하지 않게 한다. 그것은 태양의 엄청나고 매우 뉴턴적인 중력적 영향과 지구 표면 중력의 가변성에 의해 압도된다.
지구 표면에서—그리고 국립 연구소에서 초정밀 중력 측정을 수행할 때— 값은 0.012 마이크로갈 (μGal)과 같으며, 이는 지구 중력의 십이조 분의 일에 불과하다. 이 가속도 미만의 중력 법칙의 변화는 FG5-X와 같이 ±2 μGal의 정확도를 가진, 국립 연구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민감한 자유 낙하 스타일의 절대 중력계로도 해결하기에는 너무 작다. MOND의 효과가 지구에서 정밀 중력 측정으로 감지할 수 없는 이유를 고려할 때, 는 스퓨리어스(spurious)한 힘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MOND가 뉴턴 역학에서 크게 벗어나기 시작하는 중력의 세기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강도''는 0.04 mm—가느다란 머리카락 굵기—의 고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지구 중력의 ''변화''와 같다. 이러한 미묘한 중력적 세부 사항은, 현재의 중력계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 외에도, 달의 중력 조석으로 인한 지구 조석으로 인한 이틀에 두 번 발생하는 지구 모양의 왜곡에 의해 압도된다. 이것은 국소 고도 변화를 0.04 mm보다 거의 10,000배 더 크게 일으킬 수 있다. 조석 왜곡으로 인한 국소 중력의 이러한 교란은, 1920년대 후반의 국립 시계 표준이었던 쇼트 이중 진자 시계의 시계율 변화로도 감지할 수 있다.
태양계의 가장자리에서도, MOND 역학이 뉴턴 역학에서 크게 벗어나는 지점은 뉴턴 중력을 따르는 태양과 행성의 훨씬 더 강한 중력장에 의해 압도되고 가려진다. 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1.2e-10m/s2에 한 시간 동안 노출된 공간의 자유 부유 질량은 단지 0.8 밀리미터—신용 카드 두께 정도—만큼 "떨어질" 것이다. 태양계의 황도면 위 (개별 행성의 중력적 영향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자유 비행 관성 경로에 있는 행성 간 우주선은, 해왕성과 같은 태양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을 때, 고전적인 뉴턴 중력의 세기를 경험할 것이고, 이는 보다 55,000배 더 강하다. 작은 태양계 소행성의 경우, 영역에서의 중력 효과는 야르코프스키 효과와 그 크기가 비슷하다. 야르코프스키 효과는 비대칭적인 열 광자 방출로 인한 운동량 전달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소행성의 궤도를 미묘하게 교란한다. 태양의 항성간 은하 중력 기여는, MOND의 효과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임계값까지 감소하지 않는데, 이는 태양으로부터 41 광일 거리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보이저 2호가 2012년부터 성간 매질에 있었고, 2022년 11월에 있던 거리보다 태양에서 53배 더 멀다.
MOND는, 지구상, 태양계 내, 심지어 태양계 및 다른 행성계 근처에 있는 물체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하고 감지할 수 없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매우 성공적인 표준 모형의 입자 물리학 밖에 있는 아직 감지되지 않은 암흑 물질 입자의 존재를 언급하지 않고도 은하 규모의 중요한 관측 회전 효과를 성공적으로 설명한다. 이것은 MOND가 은하를 함께 유지하는 극도로 약한 은하 규모의 중력이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매우 느린 선형 관계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밀그롬의 법칙은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한 가지 가능성은 뉴턴의 제2법칙에 대한 수정으로 취급하여,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입자의 가속도 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에 비례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경우, 수정된 역학은 중력 현상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전자기력과 같은 다른 힘에 의해 생성된 현상에도 적용될 것이다.[18]
- 또는, 밀그롬의 법칙은 뉴턴의 제2법칙을 그대로 두고,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수정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질량 인 물체에 작용하는 질량 의 다른 물체로 인한 실제 중력은 대략 형태를 띤다. 이 해석에서, 밀그롬의 수정은 중력 현상에만 적용될 것이다.
밀그롬의 법칙 자체는 완전하고 자체 포함적인 물리 이론이 아니라, 고전 역학을 구성하는 여러 방정식 중 하나인 ad hoc 경험적으로 동기 부여된 변형이다. MOND의 일관된 비상대론적 가설 내에서의 지위는 뉴턴 역학 내의 케플러의 제3법칙과 유사하다. 그것은 관측 사실에 대한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지만, 기본 가설 내에 위치한 더 근본적인 개념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여러 완전한 고전 가설이 제안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수정된 관성" 대신 "수정된 중력" 계열을 따라), 이는 일반적으로 고대칭 상황에서 정확하게 밀그롬의 법칙을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약간 벗어난다. 이러한 비상대론적 가설의 하위 집합은, 비고전적 현상(예: 중력 렌즈) 및 우주론과 접촉할 수 있는 상대론적 이론 내에 더욱 포함되었다.[19] 이러한 대안을 이론적 및 관측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현재 연구의 대상이다.
MOND는 평탄한 은하 회전 곡선을 생성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가설에 대한 증거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치하는 모든 관측은 경험적 법칙에 대한 지지를 더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옹호자들은 은하 규모의 광범위한 천체 물리학적 현상이 MOND 프레임워크 내에서 깔끔하게 설명된다고 주장한다.[19][22] 이러한 현상 중 다수는 Milgrom의 최초 논문 출판 이후에 밝혀졌으며, 암흑 물질 가설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다음과 같다.
- MOND에서 회전 곡선이 평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외에도, 방정식 2는 은하의 총 바리온 질량(별과 가스의 질량의 합)과 그 점근 회전 속도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를 제공한다. 이 예측된 관계는 Milgrom에 의해 질량-점근 속도 관계(MASSR)라고 불렸고, 관측적 현상은 바리온 Tully–Fisher 관계(BTFR)[23]로 알려져 있으며, MOND 예측과 매우 밀접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4]
- 밀그롬의 법칙은 은하의 바리온 질량 분포만 주어지면 은하의 회전 곡선을 완전히 특정한다. 특히, MOND는 암흑 물질 가설보다 바리온 질량 분포의 특징과 회전 곡선의 특징 사이에 훨씬 더 강력한 상관 관계를 예측한다(암흑 물질이 은하의 질량 예산을 지배하고 통상적으로 바리온의 분포를 면밀히 추적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밀접한 상관 관계는 여러 나선 은하에서 관측되는 것으로 주장되며, 이 사실은 "Renzo의 규칙"이라고 불려 왔다.[2]
- MOND는 가속도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뉴턴 역학을 수정하기 때문에, 은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반경에 있는 별의 가속도와 뉴턴식 분석에서 추론될 보이지 않는(암흑 물질) 질량 사이의 특정 관계를 예측한다. 이것은 질량 불일치-가속도 관계라고 알려져 있으며, 관측적으로 측정되었다.[25][26] MOND 예측의 한 가지 측면은 별의 구심 가속도가 보다 커지면 추론된 암흑 물질의 질량이 0으로 수렴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MOND는 뉴턴 역학으로 되돌아간다. 암흑 물질 가설에서, 이 질량이 가속도와 매우 밀접하게 상관 관계가 있어야 하는 이유와 암흑 물질이 필요하지 않은 임계 가속도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2]
- MOND와 암흑 물질 헤일로는 모두 원반 은하를 안정시켜, 회전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유지하고 타원 은하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MOND에서, 이 추가적인 안정성은 딥-MOND 영역 내의 은하 영역(즉, )에만 적용되므로, 중심 영역에서 인 나선 은하는 불안정성에 취약하여 현재까지 생존할 가능성이 낮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27] 이것은 나선 은하의 관측된 중심 표면 질량 밀도에 대한 "Freeman 한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대략 이다.[28] 이 규모는 암흑 물질 기반 은하 형성 모델에서 수동으로 입력해야 한다.[29]
- 특히 질량이 큰 은하는 바리온 질량의 대다수를 둘러싼 반경까지 뉴턴 영역() 내에 있다. 이러한 반경에서, MOND는 회전 곡선이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1/로 감소해야 한다고 예측한다. 반대로, 암흑 물질 관점에서 볼 때, 헤일로가 회전 속도를 상당히 높여 덜 질량이 덜한 은하에서와 같이 일정한 값으로 점근하게 될 것으로 예상할 것이다. 고질량 타원 은하의 관측은 MOND 예측을 뒷받침한다.[30][31]
- MOND에서, 인 모든 중력으로 묶인 물체는 - 그 기원에 관계없이 - 뉴턴 역학을 사용하여 분석할 때 질량 불일치를 보이고 BTFR 위에 놓여야 한다. 암흑 물질 가설에 따르면, 두 은하의 병합 또는 조석 상호 작용 동안 방출된 바리온 물질로 형성된 물체("조석 왜소 은하")는 암흑 물질이 없어야 하므로 질량 불일치를 보이지 않아야 한다. 조석 왜소 은하로 명확하게 확인된 세 개의 물체는 MOND 예측과 매우 유사한 질량 불일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2][33][34]
-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주변의 많은 왜소 은하는 단일 평면에 우선적으로 위치하고 상관된 운동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다른 은하와의 근접 조우 동안 형성되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조석 왜소 은하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스템에서 질량 불일치의 존재는 MOND에 대한 증거를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은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궤도를 유지하려면 뉴턴의 중력보다 더 강한 중력(Milgrom의 중력과 같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5]
- 2020년, Spitzer 광도 측정 및 정확한 회전 곡선(SPARC) 샘플의 데이터를 전천 은하 카탈로그에서 얻은 대규모 외부 중력장 추정치와 함께 분석한 천문학자 그룹은 회전으로 지지되는 은하 근처의 약한 중력장에서 강한 등가 원리의 위반에 대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거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36] 그들은 표준 우주론 모델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Lambda-CDM 모델 패러다임에서 조석 효과와 일치하지 않고 MOND의 외부장 효과와 일치하는 효과를 관찰했다.
- 2022년에 발표된 Fornax Deep Survey (FDS) 카탈로그의 왜소 은하 조사에서 천문학자 및 물리학자 그룹은 'Fornax Cluster의 왜소 은하의 관측된 변형과 중심을 향한 낮은 표면 밝기 왜소 은하의 부재는 ΛCDM 기대치와 일치하지 않지만 MOND와 매우 일치한다'는 결론을 내렸다.[37]
- 2022년, Kroupa et al.은 열린 성단을 연구하여, 선행 및 후행 조석 꼬리의 개체군에서의 비대칭과 이러한 성단의 관측된 수명이 뉴턴 역학과 일치하지 않지만 MOND와 일치한다고 주장했다.[38][39]
- 2023년, 한 연구는 차가운 암흑 물질이 은하 회전 곡선을 설명할 수 없는 반면, MOND는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0]
- 2023년, 한 연구는 200 파섹 내의 26,615개의 넓은 쌍성계의 가속도를 측정했다. 이 연구는 1nm/s2 미만의 가속도를 가진 쌍성계가 뉴턴 역학에서 체계적으로 벗어나지만, 특히 AQUAL에 대한 MOND 예측을 따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1] 이 결과에 대해, 일부 저자는 탐지가 열악한 품질 관리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하며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42] 한편, 원저자는 추가된 품질 관리가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43]
- 2024년, 한 연구는 우주의 가장 초기 은하가 Lambda-CDM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형성되고 성장했지만, 이러한 빠른 성장은 MOND에서 예측된다고 주장했다.[44]
6. MOND에 대한 비판과 반론
밀그롬의 법칙이 여러 은하 현상을 잘 설명하지만, 많은 물리학자들은 고전 역학을 수정하는 대신 암흑 물질로 설명하려 한다. 암흑 물질 헤일로의 행동으로 가속도 척도의 존재를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밀그롬은 이러한 주장이 MOND 현상의 일부만 설명한다고 주장했다.[58] 암흑 물질의 속성을 수정하거나,[59] 암흑 물질을 일반 물질에 의해 중력적으로 편극되게 하는 아이디어도 제안되었다.[60]
MOND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은하단의 질량 불일치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다.[2] 이는 MOND가 암흑 물질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적절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2 eV 중성미자가 은하단 관측을 설명할 수 있다는 추측도 있지만,[61][62] 렌즈 효과 데이터 분석 결과 MOND는 중심에서 Mpc 거리에서만 특징을 나타내므로 츠비키의 수수께끼는 여전히 남는다.[63]
총알 은하단의 관측은[65] MOND를 포함한 수정 중력 이론에 큰 문제를 제기한다. MOND에서는 "잃어버린 질량"이 가시 질량 영역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ΛCDM에서는 암흑 물질이 가시 질량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관측 결과는 ΛCDM의 예측과 더 일치한다. 그러나 MOND 기반 모델이 총알 은하단과 같은 시스템에서 이러한 오프셋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제안도 있다.[66]
NGC 1052-DF2와 같은 일부 초확산 은하는 처음에는 암흑 물질이 없는 것처럼 보였지만, 추가 연구 결과 은하가 다른 거리에 있고 암흑 물질을 위한 공간이 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67][68]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은 표준 암흑 물질을 지지하는 중요한 증거이다.[70] ΛCDM은 관측된 각도 스펙트럼을 설명할 수 있지만, MOND는 더 어려운 문제를 겪는다.[71] MOND는 구조 형성을 설명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는다.[72]
다른 연구들은 MOND가 구상 성단의 속도 분산 프로파일과 은하단의 온도 프로파일에 잘 맞지 않고,[74][75] 서로 다른 은하의 회전 곡선과 일치하려면 a0의 서로 다른 값이 필요하며,[76] MOND가 우주론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77] 또한 MOND의 많은 버전은 빛의 속도가 중력의 속도와 다르다고 예측하지만, 2017년 중력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78]
이러한 관측적 문제 외에도 MOND는 이론적 어려움도 겪고 있다.[2][80]
7. MOND와 암흑물질의 비교
'''수정 뉴턴 역학'''(MOND)은 암흑물질 없이 회전하는 은하를 설명하기 위해 1983년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모르더하이 밀그롬이 제안한 이론이다.[89] 뉴턴 중력 이론에 따르면 행성의 공전 속도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느려져야 하지만, 은하 원반의 회전을 도플러 효과로 측정한 결과 공전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은하 회전 곡선 문제로 불리는 현상으로, 천문학자들은 암흑물질을 도입하여 이 문제를 설명하려 했다. 그러나 밀그롬은 암흑물질 대신 뉴턴 역학을 수정하여 은하의 회전을 설명하고자 했다.
thumb
MOND의 핵심은 은하와 같이 가속도가 매우 낮은 환경에서는 뉴턴의 법칙이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밀그롬은 새로운 유효 중력 법칙("'''밀그롬의 법칙'''")을 제안했는데, 이 법칙은 물체의 실제 가속도를 뉴턴 역학에서 예측되는 가속도와 연결한다.[3] 이 법칙은 높은 가속도에서는 뉴턴 역학과 일치하지만, 낮은 가속도에서는 다른 ("딥-MOND") 거동을 보인다.
딥-MOND 영역에서 질량 m인 별이 질량 M 주위를 원형 궤도로 공전할 때, MOND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제시한다.
:
여기서 G는 중력 상수, r은 궤도 반지름, v는 별의 속도, a0은 뉴턴 영역과 딥-MOND 영역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본 상수이다. 밀그롬은 회전 곡선 데이터에 맞춰 a0 ≈ 1.2e-10m/s2가 최적임을 발견했다.
MOND는 a0보다 작은 가속도에서 중력의 세기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뉴턴의 법칙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한다. 즉, 중력이 매우 약할 때 중력의 변화율은 질량의 제곱근에 따라 증가하고 거리에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밀그롬의 법칙은 뉴턴의 제2법칙을 수정하거나, 중력의 역제곱 법칙을 수정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18] 그러나 밀그롬의 법칙 자체는 완전한 이론이 아니며, 고전 역학의 방정식 중 하나를 경험적으로 수정한 것이다.
MOND는 은하 규모의 관측을 설명하는 데 성공적이지만, 몇 가지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 MOND는 은하단의 질량 불일치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다.[2]
- 총알 은하단의 관측 결과는 MOND에 대한 도전 과제를 제기한다.[65]
- 일부 초확산 은하는 암흑 물질이 없는 것처럼 보여 MOND에 어려움을 준다.[67][68][69]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과 구조 형성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70][72]
- 구상 성단의 속도 분산 프로파일과 은하단의 온도 프로파일에 대한 적합도가 낮다.[74][75]
- 서로 다른 은하의 회전 곡선과 일치하려면 a0의 서로 다른 값이 필요하다.[76]
대부분의 천문학자, 천체 물리학자, 우주론학자들은 은하 회전 곡선과 암흑 물질 문제의 해결책으로 암흑 물질을 받아들인다.[20] MOND 지지자들은 은하 규모에서 이루어진 예측을 강조하는 반면, ΛCDM 지지자들은 높은 수준의 우주론적 정확도를 요구한다.[6][21]
8.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암흑 물질 입자 탐지는 ΛCDM이 옳고 뉴턴의 법칙을 수정할 필요가 없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81]
MOND를 수정된 관성 이론으로 간주하면 특정 장소와 연도에 지구에서 비정상적인 가속도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가속도는 정밀 실험으로 감지할 수 있다. MOND가 수정된 중력 이론으로 간주되는 경우, 지구에 의해 생성된 외부장 효과가 지구 표면에서 MOND 효과를 상쇄하므로 이 예측은 유효하지 않다.[82][83]
MOND는 LISA Pathfinder 임무(2015년 발사)를 사용하여 태양계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특히, MOND가 예측하는 뉴턴 중력 위치의 지구-태양 안장점에서 존재하는 비정상적인 조석 응력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84] 또한 근일점 세차 운동에 대한 MOND 보정을 측정할 수도 있고,[85] 또는 목적에 맞게 제작된 우주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86]
MOND의 잠재적인 천체물리학적 테스트 중 하나는 고립된 은하가 강력한 외부장의 영향을 받는 그렇지 않은 동일한 은하와 다르게 행동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다른 테스트는 별의 가속도가 a0보다 충분히 작도록 별이 분리된 이중성계의 움직임에서 비뉴턴적 행동을 찾는 것이다.[87]
사비네 호센펠더와 토비아스 미스텔레는 방사형 가속도의 적색 편이 의존성을 사용하여 MOND를 테스트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Covariant Emergent Gravity라고 부르는 무매개변수 MOND 모델을 제안하고, 방사형 가속도 측정이 개선됨에 따라 MOND가 훨씬 작은 적색 편이 의존성을 예측하기 때문에 다양한 MOND 모델과 입자 암흑 물질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88]
참조
[1]
웹사이트
Cosmic combat: delving into the battle between dark matter and modified gravity
https://physicsworld[...]
physicsworld
2024-02-06
[2]
웹사이트
Why modifying gravity doesn't add up
https://bigthink.com[...]
2022-10-19
[3]
논문
A modification of the Newtonian dynamics as an alternative to the hidden mass hypothesis
1983
[4]
논문
MOND theory
http://www.nrcresear[...]
2015-02
[5]
논문
Modified Newtonian Dynamics as an Alternative to the Planet Nine Hypothesis
2023-09-22
[6]
논문
A Tale of Two Paradigms: the Mutual Incommensurability of LCDM and MOND
2015
[7]
논문
The failures of the standard model of cosmology require a new paradigm
[8]
웹사이트
https://iopscience.i[...]
[9]
문서
Mordehai, M. (2014) "The MOND paradigm of modified dynamics".
http://www.scholarpe[...]
[10]
논문
Generalizing MOND to explain the missing mass in galaxy clusters
[11]
논문
The extended rotation curve and the dark matter halo of M33
[12]
논문
Die Rotverschiebung von extragalaktischen Nebeln
1933
[13]
논문
On the masses of nebulae and of clusters of nebulae
1937
[14]
논문
The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15]
논문
Rotation of the Andromeda Nebula from a spectroscopic survey of emission regions
1970-02
[16]
논문
THINGS about MOND
[17]
논문
Modified Newtonian dynamics in the Milky Way
[18]
논문
MOND – Particularly as modified inertia
[19]
논문
Modified Newtonian dynamics (MOND): Observational phenomenology and relativistic extensions
[20]
논문
History of dark matter
American Physical Society
[21]
논문
A historical perspective on modified Newtonian dynamics
[22]
논문
MOND laws of galactic dynamics
[23]
논문
The Baryonic Tully-Fisher Relation
[24]
논문
The Baryonic Tully-Fisher Relation of Gas-Rich Galaxies as a Test of Λcdm and Mond
[25]
간행물
Mass discrepancies in galaxies: dark matter and alternatives
1990
[26]
논문
The Mass Discrepancy–Acceleration Relation: Disk Mass and the Dark Matter Distribution
[27]
arXiv
Disk stability under MONDian gravity
[28]
논문
Testing the Hypothesis of Modified Dynamics with Low Surface Brightness Galaxies and Other Evidence
1998
[29]
논문
Balance of Dark and Luminous Mass in Rotating Galaxies
2005
[30]
논문
A Dearth of Dark Matter in Ordinary Elliptical Galaxies
2003
[31]
논문
Modified Newtonian Dynamics and the 'Dearth of Dark Matter in Ordinary Elliptical Galaxies'
2003
[32]
논문
Missing Mass in Collisional Debris from Galaxies
[33]
논문
Tidal dwarf galaxies as a test of fundamental physics
[34]
논문
The Dark Matter Crisis: Falsification of the Current Standard Model of Cosmology
[35]
서적
Lessons from the Local Group
[36]
논문
Testing the Strong Equivalence Principle: Detection of the External Field Effect in Rotationally Supported Galaxies
[37]
논문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es of Fornax Cluster dwarf galaxies suggest they lack dark matter
[38]
논문
Asymmetrical tidal tails of open star clusters: stars crossing their cluster's práh† challenge Newtonian gravitation
https://academic.oup[...]
2022-10-26
[39]
웹사이트
Astrophysicists make observation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an alternative theory of gravity
https://phys.org/new[...]
2022-11-02
[40]
논문
Distinguishing Dark Matter, Modified Gravity, and Modified Inertia with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Galactic Rotation Curves
2022-10-18
[41]
논문
Breakdown of the Newton–Einstein Standard Gravity at Low Acceleration in Internal Dynamics of Wide Binary Stars
[42]
논문
Strong constraints on the gravitational law from ''Gaia'' DR3 wide binaries
2024
[43]
논문
Robust Evidence for the Breakdown of Standard Gravity at Low Acceleration from Statistically Pure Binaries Free of Hidden Companions
[44]
논문
Accelerated Structure Formation: The Early Emergence of Massive Galaxies and Clusters of Galaxies
2024-11-01
[45]
논문
Does the missing mass problem signal the breakdown of Newtonian gravity?
1984
[46]
논문
Quasi-linear formulation of MOND
[47]
논문
Relativistic gravitation theory for the MOND paradigm
2004
[48]
논문
Modified gravity and cosmology
[49]
논문
Test of modified Newtonian dynamics with recent Boomerang data
[50]
논문
Stability of spherically symmetric solutions in modified theories of gravity
2007
[51]
논문
Probing Gravity at Cosmological Scales by Measurements which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Gravitational Lensing and Matter Overdensity
2007
[52]
논문
Modified Newtonian Dynamics (MOND) as a Modification of Newtonian Inertia
[53]
웹사이트
The EFE in MOND
http://www.astro.umd[...]
2017-07-16
[54]
arXiv
The MOND paradigm
[55]
논문
Gravity from transactions: Fulfilling the entropic gravity program
2023
[56]
논문
How Cold Dark Matter Theory Explains Milgrom's Law
[57]
논문
Using the topology of large-scale structure in the WiggleZ Dark Energy Survey as a cosmological standard ruler
[58]
논문
Do Modified Newtonian Dynamics Follow from the Cold Dark Matter Paradigm?
[59]
문서
Self-Interacting Dark Matter
http://www.cfa.harva[...]
2014
[60]
논문
Gravitational polarization and the phenomenology of MOND
[61]
논문
On the Proof of Dark Matter, the Law of Gravity, and the Mass of Neutrinos
2007
[62]
논문
Neutrinos as cluster dark matter
2007
[63]
논문
How Zwicky already ruled out modified gravity theories without dark matter
2016
[64]
논문
Dirac neutrino mass from a neutrino dark matter model for the galaxy cluster Abell 1689
2015
[65]
논문
A Direct Empirical Proof of the Existence of Dark Matter
2006
[66]
논문
Can MOND take a bullet? Analytical comparisons of three versions of MOND beyond spherical symmetry
2006-09
[67]
논문
A distance of 13 Mpc resolves the claimed anomalies of the galaxy lacking dark matter
https://academic.oup[...]
2019-03-14
[68]
논문
A new formulation of the external field effect in MOND and numerical simulations of ultra-diffuse dwarf galaxies – application to NGC 1052-DF2 and NGC 1052-DF4
2019-08-14
[69]
논문
The ultradiffuse galaxy AGC 114905 needs dark matter
2022-06
[70]
문서
Dark matter#Cosmic microwave background
[71]
논문
New Relativistic Theory for Modified Newtonian Dynamics
2021
[72]
논문
A tale of two paradigms: The mutual incommensurability of ΛCDM and MOND
2015
[73]
논문
The Impossibly Early Galaxy Problem
2016
[74]
서적
Alpha and Omega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004
[75]
논문
Problems for Modified Newtonian Dynamics in Clusters and the Lyα Forest?
2001
[76]
간행물
Dark matter in spiral galaxies. II - Galaxies with H I rotation curves
1987
[77]
arXiv
Cosmological Difficulties with Modified Newtonian Dynamics (or: La Fin du MOND?)
2001
[78]
논문
GW170817 Falsifies Dark Matter Emulators
[79]
논문
New Relativistic Theory for Modified Newtonian Dynamics
2019
[80]
논문
TeVeS gets caught on caustics
[81]
논문
Testing Gravity in the Outer Solar System: Results from Trans-Neptunian Objects
2007-05-23
[82]
논문
Testing MOND on Earth
[83]
논문
Testing the Newton second law in the regime of small accelerations
[84]
arXiv
Testing MOND/TEVES with LISA Pathfinder
[85]
arXiv
Testing MOND in the Solar System
[86]
논문
Apsis: An Artificial Planetary System in Space to Probe Extra-Dimensional Gravity and Mond
[87]
논문
Wide binaries as a critical test of classical gravity
[88]
논문
The redshift-dependence of radial acceleration: Modified gravity versus particle dark matter
[89]
논문
A modification of the Newtonian dynamics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hidden mass hypothesis
https://ui.adsabs.ha[...]
[90]
논문
Relativistic gravitation theory for the MOND paradigm
[91]
논문
A modification of the Newtonian dynamics: Implications for galaxies
[92]
논문
Indication, from Pioneer 10/11, Galileo, and Ulysses data, of an apparent anomalous, weak, long-range acceleration
[93]
웹사이트
パイオニア・アノマリーの原因が解明される スラド サイエンス
https://science.srad[...]
2021-08-24
[94]
논문
The WMAP data and results
[95]
논문
A direct empirical proof of the existence of dark matter
[96]
논문
Laboratory test of Newton's second law for small accelerations
http://woodahl.physi[...]
[97]
저널
A modification of the Newtonian dynamics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hidden mass hypothesis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