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항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항전차는 1930년대 영국에서 개발된 전차의 한 종류로, 속도를 위해 장갑을 희생하는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영국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순항전차와 보병전차를 운용했으며, 순항전차는 기동성을 중시하여 기병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기퍼드 르 퀘스네 마르텔은 순항전차 개념을 처음으로 고안했으며, 소수의 중형전차 대신 다수의 소형 전차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순항전차는 2파운더 포를 장착했으나, 전쟁 중 화력과 방어력 부족 문제가 발생하여 57mm 및 75mm 포를 장착하고 엔진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성능을 개선했다. 센추리온 전차는 순항전차의 기동성과 보병전차의 장갑을 결합하여 중(重)순항전차로 설계되었으며, 현대적인 영국 주력 전차의 시초가 되었다. 순항전차 개념은 영국 외에도 캐나다, 소련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으며, 램, 그리즐리, 센티넬 등의 전차가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항전차 - 크롬웰 전차
    크롬웰 전차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 개발된 순항전차로,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을 장착하여 뛰어난 기동성을 보였으며, 6파운더 포 또는 75mm 포를 장착하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한국 전쟁에 투입되었다.
  • 순항전차 - 7형 순항전차 A24 카발리어
    A24 카발리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 개발된 순항전차로, 크롬웰 전차 개발 과정에서 파생되었으나 성능이 미흡하여 훈련용이나 개조 차량으로 사용되었고, 실전에도 투입되었지만 한계가 있었으며 현재는 소수의 전차만 남아있다.
  • 기병전차 - BT 전차
    BT 전차는 1930년대 소련 기병 전차 부대의 주력이었으며, 크리스티 전차 기반의 변환식 주행 방식과 뛰어난 기동성을 가진 고속 전차로, T-34 전차 개발에 영향을 주었고 다양한 전장에 투입되었다.
  • 기병전차 - 2호 전차
    2호 전차는 1930년대 독일에서 개발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독일군의 주력 전차로 활약한 경전차이며, 3호, 4호 전차 개발 지연으로 1호 전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이후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조되어 전쟁 후반까지 운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무기 - SU-76
    SU-76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 자주포로, T-26, T-70 경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무기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순항전차
개요
유형전차
사용 기간1937년–1945년
사용 국가영국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제원
원산지영국
기타
크루세이더 마크 I과 보조 포탑
크루세이더 마크 I과 보조 포탑

2. 역사적 배경

1930년대 중반, 영국군은 실험적인 중형전차 설계에 대한 불만족으로 인해 전차 개발 방향을 이원화했다. 속도를 중시한 순항전차와 장갑을 중시한 보병전차로 나누어 개발하게 된 것이다. 이는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근접 지원과 돌파에 모두 적합한 차량을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정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군 전차 운용 교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순항전차는 1939년 4월 4일에 창설된 왕립 기갑군단의 장갑 연대에서 주로 운용되었으며, 일부 연대는 왕립 전차 연대(RTR)에서, 일부는 전쟁 중 개조된 기병 연대에서 나왔다. 보병전차는 육군 전차 대대에 배치되었으며, 때로는 RTR의 육군 전차 여단으로 행정적으로 묶였다. 경전차 Mk VI와 같이 작고 빠르며 가볍게 무장한 전차는 정찰 차량으로 운용되었다.

두 가지 임무에 모두 만족스러운 차량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 두 종류의 차량은 두 가지 이론과 절차로 이어졌으며, 보병 전차의 사고방식은 1916년부터 1918년까지 영국 전차가 보병 지원에 사용되었던 전차 작전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장갑 사단 이론은 순항 전차의 속도와 측면 보호, 적의 측면과 후방 공격, 반격 및 추격 작전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행동을 강조했다.

2. 1. 순항전차 개념의 등장

기퍼드 르 퀘스네 마르텔은 1930년대 육군성에서 기계화 부국장 및 부국장을 역임하면서 순항전차 개념을 처음으로 고안했다. 마르텔은 중형전차가 보병 지원에 너무 복잡하고 비싸며, 대전차 무기에 취약하고, 이동 중 정확하게 사격할 수 없어 속도에서 이점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소수의 중형전차 대신 다수의 더 작고 단순한 전차로 상대를 제압하는 것을 선호했다.

마르텔은 장기적으로는 범용 전차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지만, 1936년부터 1939년까지는 보병 전차에 대한 생각을 많이 했다. 그는 전차 개발에 대한 제약 조건을 고려하여 중형 전차 개발이 분열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지만, 그 논리를 이해했다. 전차는 장갑 사단의 기동 작전과 요새화된 방어 진지에 대한 공격에서 보병 지원에 필요했다. 두 가지 임무에 모두 만족스러운 차량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

1936년, 육군성은 기병대를 위한 경전차, 순항전차, 중형전차, 보병 또는 공격 전차를 결정했다. 1938년까지 중형전차는 더 무거운 순항전차와 보병전차를 선호하면서 연구 프로젝트로 정체되었고, 전쟁 발발 후에는 독일 국경의 지크프리트 선을 돌파할 수 있는 중(重) 보병전차로 전환되었다.

3. 개발 과정

1940년 칼레에서 버려진 손상된 순항전차 Mk I 근접 지원.


순항전차 Mark I (A9)


순양함처럼 순항전차는 더 느린 보병과 그들의 더 무거운 보병전차 및 포병으로부터 독립적인 작전을 위해 빠르고 기동성이 좋았다. 보병전차에 의해 적 전선에 틈이 생기면 순항전차는 후방으로 침투하여 J.F.C. 풀러, 퍼시 호바트 및 바실 리델 하트의 이론에 따라 보급 및 통신 중심지를 공격해야 했다. 순항전차는 기병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로 인해 속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초기 순항전차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가볍게 장갑을 장착하고 무장했다.

최초의 순항전차는 2-파운더 (40 mm) 포로 무장했다. 이 포는 초기 전쟁 전차에 대한 적절한 장갑 관통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고폭탄 탄약은 지급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순항전차는 대전차포를 견디는 능력이 떨어졌는데, 이는 사막 전역 기간의 교전 거리에서 심각한 결함이었다.

전차 생산, 1938년 10월 – 1940년 6월
년도경전차I 전차/
순항전차
합계
1938
4/4분기
16929198
1939734235969
1940
6월까지
140418558
합계1,0436821,725



1936년, 육군성은 기병대를 위한 경전차, 순항전차, 중형전차, 보병 또는 공격 전차를 결정했다. 1938년까지 중형전차는 더 무거운 순항전차와 보병전차를 선호하면서 연구 프로젝트로 정체되었고, 전쟁 발발 후에는 독일 국경의 지크프리트 선 (''서부 방벽'')을 돌파할 수 있는 중(重) 보병전차로 전환되었다.

1934년, 비커스-암스트롱의 존 카든 경은 근접 지원 전차용 1934년 규격(참모총장 번호 A.9)에 따라 중형전차 Mk III 설계 요소(재정적 이유로 폐기됨)를 사용했지만 더 가볍고 상업용 엔진을 사용하여 더 저렴한 "울워스" 중형전차를 생산했다. 이것은 순항전차 마크 I으로 제한적인 생산을 위한 임시 설계로 받아들여졌다. 크리스티 서스펜션 설계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37년부터 1938년까지 125대의 A9가 제작되었다. A9는 장갑이 얇았지만 25mph의 속도를 낼 수 있었고 매우 효과적인 2파운더 대전차포를 장착했다.

순항전차 Mk II (A10)는 카든이 보병전차로 설계했으며, 30mm의 방호를 위해 추가 장갑을 갖춘 동일한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이 역할에 충분한 장갑을 갖추지 못했지만 "중(重) 순항전차"로 1938년 7월에 또 다른 임시 설계로 생산에 들어갔다. A9와 동일한 포를 장착했고, 베사 기관총을 처음으로 장착했으며, 1940년 9월까지 175대의 Mk II가 생산되었다. 1940년 프랑스 공방전 동안 A9 사용 경험은 부적절한 장갑과 승무원을 위한 공간 부족을 포함한 단점을 드러냈지만, 1941년 프랑스, 서부 사막, 그리스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Mk I 및 Mk II 순항전차 주문은 J. 월터 크리스티가 설계하고 더 나은 장갑을 갖춘 크리스티 서스펜션을 통합할 진보되고 더 빠른 순항전차로 제한되었다.

크리스티 서스펜션의 전형적인 대형 휠을 장착한 순항전차 마크 III (A13)


1936년, 장갑전차전에 대한 저서를 출판하고 보병 기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輕) 장갑 "탱크ette" 개념을 개척한 전차 설계의 선구자인 기파드 르퀘스네 마텔 장군이 육군성 기계화 부국장이 되었다. 그해 말, 마텔은 BT 전차를 포함한 붉은 군대의 가을 훈련에서 소비에트 전차를 관찰했는데, 이는 크리스티의 작업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이었다. 그는 서스펜션 시스템을 사용하고 리버티 L-12 엔진 또는 네이피어 라이언과 같은 경량 항공기 엔진을 사용하는 크리스티 방식을 따르는 전차를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정부는 누필드 기구를 통해 크리스티 디자인의 구매 및 라이선스를 승인했다.

A13 E1 전차는 초보적이고 영국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작았지만 누필드 서스펜션은 가장 효과적이었고, 이것이 순항전차 Mk III (A13)의 기반이 되었다. 누필드가 제작한 두 개의 프로토타입 (A13E2 및 A13E3) 테스트를 거쳐 A13은 생산을 명령받았고, 1939년 중반까지 65대가 생산되었다. Mk III는 약 14242.79kg의 무게, 4명의 승무원, 30mph의 최고 속도를 내는 340 마력 엔진, 2파운더 (40 mm) 포와 기관총으로 무장했다. 1937년에 도입되었을 때, 육군은 여전히 정식 전차 사단을 갖추지 못했다. 크리스티 서스펜션의 무궤도 요소는 추가적인 복잡성에 비해 가치가 거의 없어 폐기되었다. 순항전차 Mk IV (A13 Mk II)는 Mk III보다 더 무거운 장갑을 갖추었고 1938년에 생산이 시작되었다.

3. 1. 성능 개선 노력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되면서, 영국군은 순항전차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초기 순항전차는 속도를 중시하여 장갑과 무장이 가벼웠지만, 독일 전차의 장갑이 강화되면서 화력 부족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영국군은 순항전차에 더 강력한 포를 장착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2-파운더 (40mm) 포를 사용했지만, 고폭탄 탄약이 없어 대전차포에 취약했다. 이후 Ordnance QF 6 파운더 포 (57mm)를 장착하여 장갑 관통력을 높였으나, 여전히 고폭탄 성능은 부족했다. 크롬웰 전차부터는 QF 75mm 포를 장착하여 화력과 고폭탄 성능을 모두 향상시켰다.

엔진 성능 개선도 중요한 과제였다. 초기 순항전차는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개량한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을 채택하여 출력 대 중량비를 높였다. 이는 크롬웰 전차의 속도 향상에 기여했으며, 도로에서 약 40mph의 최고 속도를 낼 수 있었다. 이는 M4 셔먼의 최고 속도(약 30mph)보다 빨랐으며, 비포장 도로에서도 더 우수한 기동성을 보였다. 새로운 엔진 덕분에 이전보다 더 무거운 장갑과 무장을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코멧 전차와 같은 발전된 순항전차가 등장했다. 코멧은 77mm HV 포를 장착하여 화력을 더욱 강화하고, 장갑 방호력도 향상시켰다. 그러나 센추리온 전차의 개발로 인해 코멧은 단기간만 사용되었다.

3. 2. 한계와 극복

순항전차는 초기에는 빠른 속도와 기동성을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나, 몇 가지 문제점에 직면했다. 우선, 제한된 엔진 출력으로 인해 속도를 확보하기 위해 장갑을 희생해야 했다. 이로 인해 독일 중형전차의 공격에 취약했다. 또한, 초기 순항전차는 2-파운더 (40 mm) 포를 장착하여 장갑 관통력은 충분했지만, 고폭탄이 없어 대전차포에 대한 대응 능력이 부족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국군은 더 강력한 57mm Ordnance QF 6 파운더 포를 장착한 순항전차를 개발했다. 그러나 여전히 고폭탄 성능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에 따라 Cromwell 전차에는 QF 75mm 포(미국 75mm 탄약 사용)를 장착하여 더 큰 고폭탄 성능을 확보했다.

2파운더포를 장착한 크루세이더(Crusader) 전차, 사막에서


화력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영국군은 강력한 17파운더 대전차포를 장착한 순항전차 Mk VIII 챌린저를 개발했다. 그러나 챌린저는 장갑이 얇고 궤도 이탈 문제가 잦았다. 이에 영국군은 M4 셔먼 전차에 17파운더 포를 장착한 셔먼 파이어플라이를 임시방편으로 활용했다.

코멧


전쟁 후반에는 17파운더 포의 개량형인 77mm HV 포를 장착한 코멧 전차가 등장했다. 코멧은 크롬웰의 발전형으로, 더 나은 장갑과 화력을 갖추었지만, 센추리온 전차의 개발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만 운용되었다.

4. 다른 국가의 순항전차

순항전차 개념은 영국뿐만 아니라 캐나다, 소련 등 다른 국가에서도 1930년대에 사용되었다. 소련의 BT 전차 계열(bystrokhodniy tank|고속 전차ru)이 그 예시이다.

5. 순항전차 목록

영국은 순항전차 개발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Mk.I(A9), Mk.II(A10), Mk.III(A13), Mk.IV(A13Mk.II), Mk.V 커버넌터(A13Mk.III), Mk.VI 크루세이더(A15), Mk.VII 캐벌리어(A24), Mk.VIII 센토어(A27L), Mk.VIII 크롬웰(A27M), 챌린저(A30), 코멧(A34), 센추리온(A41) 등이 개발되었다. 챌린저(A30)는 동일 국가의 3세대 주력 전차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전차이다.

5. 1. 영국


  • Mk.I(A9)
  • Mk.II(A10)
  • Mk.III(A13)
  • Mk.IV(A13Mk.II)
  • Mk.V 커버넌터(A13Mk.III)
  • Mk.VI 크루세이더(A15)
  • Mk.VII 캐벌리어(A24)
  • Mk.VIII 센토어(A27L)
  • Mk.VIII 크롬웰(A27M)
  • 챌린저(A30) (동일 국가의 3세대 주력 전차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전차)
  • 코멧(A34)
  • 센추리온(A41)

5. 2. 영국 외 국가

5. 3. 미국제 전차 (편의상 기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