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드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겨드랑이는 인체의 몸통과 팔이 연결되는 부위로, 해부학적으로는 흉벽과 상완에 둘러싸인 움푹한 곳을 의미한다. 겨드랑이는 겨드랑이 동맥과 정맥, 팔신경얼기, 림프절, 지방 등으로 구성되며, 앞겨드랑주름과 뒤겨드랑주름으로 경계가 나뉜다. 사춘기에는 겨드랑이 털이 자라고 아포크린 땀샘이 발달하며, 체온 측정, 땀 분비, 액취, 제모 등과 관련된다. 임상적으로는 유방암의 림프절 전이, 땀 분비와 공기 순환 부족으로 인한 겨드랑이 습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 - 팔꿈치
팔꿈치는 위팔과 아래팔을 굽힘, 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관절 부위로, 뼈, 인대, 근육, 혈관, 신경 등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 등의 부상과 류마티스 관절염, 주관 증후군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팔 - 손가락
손가락은 척추동물의 손에 있는 다섯 개의 부속 기관으로, 종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다양하며, 손톱, 지문, 외분비샘 등의 부속 기관을 포함하고, 물건을 잡거나 촉감을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질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상지해부학 - 쇄골
쇄골은 어깨뼈와 위팔을 연결하는 뼈로, 어깨 구조를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견쇄관절을 형성하고, 골절이 흔하게 발생하여 골절 유형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다. - 상지해부학 - 손목
손목은 팔과 손을 연결하는 부위로, 요골과 척골, 손목뼈, 중수골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손목 통증 등 여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겨드랑이 | |
---|---|
일반 정보 | |
라틴어 | axilla |
영어 | axilla |
일본어 | 腋の下 (와키노시타) |
구조 | |
전구체 | 해당 정보 없음 |
계통 | 해당 정보 없음 |
혈액 공급 | |
동맥 | 겨드랑동맥 |
정맥 | 겨드랑정맥 |
신경 분포 | |
신경 | 겨드랑신경 내측 신경 다발 후방 신경 다발 외측 신경 다발 |
림프 | |
림프절 | 겨드랑림프절 |
2. 구조
몸통의 가슴 좌우 측면에서 양쪽 팔이 몸통에서 갈라져 나오는 부분이다.
흉벽(앞: 대흉근, 뒤: 광배근, 하부: 전거근)과 상완에 둘러싸인 겨드랑이 밑의 움푹 들어간 곳을 '''액와'''라고 부른다. 액와에는 사춘기에 겨드랑이털이 나고, 아포크린 땀샘이 발달한다. 어깨 관절 안쪽에 해당하며, 경부·흉부와 상지를 잇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지나가며, 액와 림프절이 있다. 액와는 인체 중에서 표피에서 비교적 얕은 곳에 굵은 동맥이 지나가는 부위이며, 인체의 심부 온도에 가까운 수치를 얻기 쉬우므로 체온계를 이용한 체온 측정에 이용된다.
겨드랑이 바로 아래의 배나 허리에 가까운 부분은 '''옆구리'''라고 부른다.
2. 1. 경계
위쪽 | 첫 번째 갈비뼈의 바깥쪽 경계, 어깨뼈의 위쪽 경계, 쇄골의 뒤쪽 경계 | ||
---|---|---|---|
안쪽 | 앞톱니근과 갈비뼈 | 앞쪽 |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빗장밑근 |
뒤쪽 | 위쪽은 어깨밑근, 아래쪽은 큰원근과 광배근 | 가쪽 | 위팔뼈와 팔을 둘러싼 근육 (부리위팔근 및 위팔두갈래근) |
바닥/기저부 | 피부 (겨드랑이의 보이는 표면) |
아래쪽 뒤쪽 경계는 '''뒤겨드랑주름'''이라고 불리며, 이는 광배근과 큰원근으로 구성된 복합 구조이다. 체중 감량 후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앞쪽 경계는 '''앞겨드랑주름'''이라고 불리며, 둥근 모양이며 큰가슴근의 아래쪽 경계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자료에서는 작은가슴근도 포함한다. 체중 감량 후 길어질 수 있다.
2. 2. 구성 요소
- 겨드랑이 동맥 및 가지
- 겨드랑이 정맥 및 지류
- 상완 신경총의 빗장밑 부분
- 긴 가슴 신경 및 늑간상완 신경
- 다섯 그룹의 겨드랑이 림프절 및 관련 림프계
- 기타 내용물이 포함된 겨드랑이 성긴 결합 조직의 지방 및 결합 조직
3. 생리
액와에는 사춘기에 겨드랑이털이 나고, 아포크린 땀샘이 발달한다. 어깨 관절 안쪽에 있으며, 목, 가슴, 팔을 잇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지나가고, 액와 림프절이 있다.
3. 1. 체온 측정
액와는 인체 중에서 표피에서 비교적 얕은 곳에 굵은 동맥이 지나가는 부위이며, 인체의 심부 온도에 가까운 수치를 얻기 쉬우므로 체온계를 이용한 체온 측정에 이용된다.3. 2. 땀 분비와 액취
겨드랑이에서 나는 냄새를 액취라고 한다. 액취는 아포크린샘에서 나는 땀이 피부 세균과 결합해서 지방산과 암모니아를 분출하기 때문에 생긴다.[1]3. 3. 겨드랑이 털
겨드랑이 털은 보통 사춘기에 시작하여 여성과 남성 모두의 겨드랑이에서 자란다.[11]몇몇 현대 서구 문화에서 여성들이 겨드랑이 털을 제거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 행위를 미학적인 문제로 여기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건강 관련 우려로 인해 제거한다.[11] 겨드랑이 털은 빨리 자라기 때문에, 제거를 자주 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겨드랑이에 뻣뻣한 털이 나타난다.
페미니즘 운동, 히피 문화, 그리고 펑크 록 신에서 일부 여성들은 전복, 평등주의, 편안함 등 다양한 이유로 겨드랑이 털을 유지한다.[12] 반대로 드물지만, 어떤 남성들은 미적인 이유나 수영과 같은 스포츠에서 마찰을 줄이기 위해 겨드랑이 털을 제거하기도 한다.
4. 사회와 문화
"겨드랑이"라는 용어는 보통 겨드랑이 바깥쪽을 가리키지만, 격식 없는 자리에서는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구어체에서 '겨드랑이'는 팔과 어깨가 만나는 곳 아래의 움푹 들어간 부분을 의미한다.[10] 씨름에서 겨드랑이를 조이는 것은 상대에게 샅바를 잡히지 않게 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체격이 좋은 씨름꾼은 "겨드랑이가 헐렁하다"고 평가받는다.[1] 주변의 기대를 받으면서도 자신의 부주의로 실패하는 경우에도 "겨드랑이가 헐렁하다"는 표현을 사용한다.[1]
4. 1. 미용과 제모
현대 서양에서는 대부분의 여성이 미학적인 이유로 액모(겨드랑이 털)를 제거하지만, 남성은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다.[11]겨드랑이 털은 빨리 자라기 때문에 자주 제거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뻣뻣한 털이 나타난다.
페미니즘 운동, 히피 문화, 펑크 록 신에서는 일부 여성들이 전복, 평등주의, 편안함 등 다양한 이유로 겨드랑이 털을 유지하기도 한다.[12] 반대로 드물지만, 어떤 남성들은 미적인 이유나 수영과 같은 스포츠에서 마찰을 줄이기 위해 겨드랑이 털을 제거하기도 한다.
4. 2. 간지럼
겨드랑이는 신경이 많이 모여 있어 간지럼을 잘 타는 부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부위를 간지럽히면 특히 불쾌하게 느낀다.4. 3. 속담 및 관용구
씨름에서 겨드랑이를 조이는 것은 상대에게 샅바를 잡히지 않게 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체격이 좋은 씨름꾼은 "겨드랑이가 헐렁하다"고 평가받는다.[1]주변의 기대를 받으면서도 자신의 부주의로 실패하는 경우에도 "겨드랑이가 헐렁하다"는 표현을 사용한다.[1]
5. 임상적 중요성
사타구니, 오금, 팔꿈치 굽힘과 같이 겨드랑이는 혈관과 신경이 비교적 얕게 지나가며 림프절이 많은 부위이다. 흉벽(앞: 대흉근, 뒤: 광배근, 하부: 전거근)과 상완에 둘러싸인 겨드랑이 밑의 움푹 들어간 곳을 '''액와'''라고 부른다. 액와에는 사춘기에 겨드랑이털이 나고, 아포크린 땀샘이 발달한다. 어깨 관절 안쪽에 있으며, 경부·흉부와 상지를 잇는 혈관, 림프관, 신경이 지나가고, 액와 림프절이 있다. 액와는 인체 중에서 표피에서 비교적 얕은 곳에 굵은 동맥이 지나가는 부위이며, 인체의 심부 온도에 가까운 수치를 얻기 쉬우므로 체온계를 이용한 체온 측정에 이용된다.
5. 1. 림프절 전이
유방암은 일반적으로 림프관을 통해 림프절로 전파되며, 림프절은 겨드랑이에서 발견된다.[13]5. 2. 겨드랑이 습진 (Intertrigo)
과도한 땀 분비와 적절한 공기 순환 부족은 겨드랑이 습진을 유발할 수 있다. 습진은 열과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마찰이나 연화에 노출된 피부 주름의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14] 감염, 대개 곰팡이(칸디다 효모 종),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악화된다. 따뜻하고 축축한 겨드랑이는 이러한 성장을 촉진한다. 이 질환은 발진과 유사한 증상, 농포, 또는 만성적인 가려움증이나 겨드랑이의 타는 듯한 느낌을 유발한다.[14] 어떤 부위든 습진은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선호도가 없다.[14] 겨드랑이 습진은 필수적인 의류나 안전 장비로 인해 공기 순환이 제한되는 더운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흔하다.[15]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skin and skin disorders
Facts on File
[2]
논문
D'scent of man: A comparative survey of primate chemosignaling in relation to sex
2015-02-00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Anaesthesia UK :AnaesthesiaUK: Applied anatomy for upper limb blocks
http://www.anaesthes[...]
2007-12-23
[5]
웹사이트
LAB #4 PECTORAL REGION & Introduction to the Axilla
http://anatomy.iupui[...]
2007-12-23
[6]
웹사이트
Dissector Answers - Axilla and Arm
http://anatomy.med.u[...]
2007-12-23
[7]
서적
Regional Anatomy
Galén
[8]
웹사이트
NormanAnatomy lesson 3 axilla
NormanAnatomy lesson[...]
[9]
논문
Body Contouring of the Arms and Brachioplasty
[10]
웹사이트
Definition of armpit -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w.com/d[...]
2007-12-23
[11]
논문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of different hair removal procedures and their impact on axillary odor reduction in men
[12]
뉴스
The new feminist armpit hair revolution: half-statement, half-ornament
https://www.theguard[...]
2019-06-24
[13]
논문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patients affected by breast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 and without microinvasion: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https://pubmed.ncbi.[...]
2019-01-00
[14]
웹사이트
Intertrigo
http://emedicine.med[...]
2007-03-09
[15]
웹사이트
Intertrigo
https://www.webmd.co[...]
2020-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