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어리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어리프트는 산악 지역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는 교통 수단으로, 케이블에 매달린 의자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17세기부터 아시아에서 로프웨이가 사용되었으며, 1936년 미국 선밸리 스키장에 최초의 스키 리프트가 설치되었다. 체어리프트는 싱글, 페어, 트리플, 쿼드, 6인승, 8인승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안전을 위해 탈선 감지 장치, 풍속계, 비상 정지 장치, 추락 방지망 등 다양한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삭도 - 스키 리프트
    스키 리프트는 스키어나 스노보더를 슬로프 위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공중 리프트, 지상 리프트, 케이블 철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스키 리조트에 설치되어 극한 지역에도 존재한다.
  • 삭도 - 마오쿵 케이블카
    마오쿵 케이블카는 2007년 개통한 타이베이시의 곤돌라 시스템으로, 타이베이 동물원과 마오콩 지역을 연결하며 4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운영 재개 전 잦은 고장과 안전, 환경 문제 논란이 있었다.
체어리프트
개요
종류공중 리프트
속도최고 속도: 12 m/s(43.2 km/h)
일반적인 고정 그립 체어리프트: 2.5 m/s
일반적인 분리형 그립 체어리프트: 5 m/s
설명스키 리프트, 곤돌라 리프트와 유사한 공중 리프트의 한 종류
스키장, 놀이공원, 도시 교통 수단으로 사용됨
승객들을 태운 의자를 공중에 매달아 운송하는 시스템
유형
고정 그립 체어리프트의자가 케이블에 고정되어 있어 속도가 느림
주로 짧은 거리 또는 초보자용 슬로프에 설치됨
분리형 그립 체어리프트의자가 케이블에서 분리되어 승하차 시 속도를 줄일 수 있음
더 빠른 속도로 이동 가능
중급자 및 고급자용 슬로프에 적합
곤돌라 리프트밀폐된 캐빈(곤돌라)을 사용하여 승객을 운송
날씨에 영향을 덜 받음
좌석이 아닌 캐빈에 탑승
도시 교통 수단으로도 활용됨
기술적 특징
케이블강철 와이어 로프 사용
안전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 및 유지보수 필요
의자1인승에서 8인승까지 다양한 크기 존재
안전바와 발판을 갖춤
활용
스키장스키어와 스노보더를 산 위로 운송
가장 일반적인 사용 사례
놀이공원공원 전체 또는 특정 구역을 연결
관광용으로 활용
도시 교통도시의 언덕 지형이나 강을 가로질러 이동 가능
환경 친화적인 교통 수단으로 인식
최근에는 도시 교통으로도 활용 증가 추세
참고 자료
레트너-포마 (Leitner-Poma) 웹사이트공중 트램웨이
고정 그립 체어리프트
분리형 그립 체어리프트
트리케이블 및 바이케이블 곤돌라

2. 역사

애스펀의 스키 리프트 1호의 초기 싱글 체어


아시아에서는 17세기 이전부터 산악 지역의 협곡을 건너기 위해 공중 여객 로프웨이가 사용되었다. 사람들은 손으로 짜여진 섬유 로프를 이용해 건넜으며, 이후 화물 운송을 위한 안전벨트나 바구니가 추가되었다.[18]

최초로 기록된 기계식 로프웨이는 1616년 베네치아의 파우스토 베란치오(Fausto Veranzio)가 설계한 이중 케이블식 여객 로프웨이였다. 업계는 일반적으로 네덜란드인 아담 와이브(Adam Wybe)가 1644년 최초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보고 있다. 알프스 유럽 지역 주민들에 의해 와이어 로프와 전기 구동 장치를 발명하여 더욱 발전된 이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확장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간의 전쟁에서 군용 트램웨이의 광범위한 사용을 촉진했다.[18]

최초의 스키 리프트는 1936년 미국 아이다호주 선밸리 스키장에 설치되었다.[33] 1939년 이후 선밸리 리조트의 주요 스키 슬로프가 된 프로크터 마운틴(더 유명한 볼드 마운틴의 3km 동쪽에 위치)에 설치되었다.

유니온 퍼시픽 철도 기술부의 제임스 커런(James Curran)은 1936년 여름에 이 체어리프트를 개발했다. 커런은 유니온 퍼시픽에 근무하기 전에 바나나를 운반선에 싣는 운송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에 근무했으며, 바나나용 갈고리를 의자로 교체하여 당시 스키어 운송용으로 일반적이었던 토보건보다 수용 인원이 많고, J바 리프트보다 편안한 장비를 만들어냈다. 커런의 기본적인 설계는 오늘날의 체어리프트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최초의 스키 리프트 특허는 1939년 3월 커런, 고든 H. 배너먼(Gordon H. Bannerman), 글렌 H. 트라우트(Glen H. Trout)에게 주어졌다(U.S. Patent 2,152,235[34]). 이 프로젝트는 선밸리의 창설자이자 전 뉴욕주 주지사인 W. 에이버럴 해리먼(W. Averell Harriman)이 재정적으로 지원했다. 오리지널 1936년 리프트는 나중에 미시간주 보인 마운틴으로 이전되었고, 그 부품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35]

1938년 오리건주 매직 후드에 설치된 리블렛(Riblet) 사의 매직 마일(Magic Mile)이라는 체어리프트는 세계에서 두 번째 체어리프트였으며, 당시 세계 최장이었다.

구 삭도 규칙에 따른 일본 최초의 리프트


1940년 체코(당시 체코슬로바키아)에 유럽 최초의 체어리프트가 건설되었다. 일본 최초의 체어리프트는 1946년(쇼와 21년)에 홋카이도 삿포로시의 조잔산(藻岩山)에 주둔군 전용으로 만들어진 "삿포로 스키장"에 설치되었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고 콘크리트 기단의 유적만 남아 있다. 민간용으로 처음 설치된 리프트는 군마현의 "쿠사츠 국제 스키장"(1948년, 쇼와 23년)의 것이고, 1947년에 제정된 구 삭도 규칙으로 처음 인가된 리프트는 니가타현의 "아카쿠라 중앙 스키장"(1950년, 쇼와 25년) 및 "이케노다이라 카야바 스키장"(같은 해)의 것이다.

2. 1. 초기 역사

아시아에서는 17세기 이전부터 산악 지역의 협곡을 건너기 위해 공중 여객 로프웨이가 사용되었다. 사람들은 손으로 짜여진 섬유 로프를 이용해 건너 다녔으며, 발전을 거듭하여 화물 운송을 위한 안전벨트나 바구니가 추가되었다.[18]

최초로 기록된 기계식 로프웨이는 1616년 베네치아의 파우스토 베란치오(Fausto Veranzio)가 설계한 이중 케이블식 여객 로프웨이였다. 업계는 일반적으로 네덜란드인 아담 와이브(Adam Wybe)가 1644년 최초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보고 있다. 와이어 로프와 전기 구동 장치의 발명으로 알프스 유럽 지역 주민들에 의해 더욱 발전된 이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확장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간의 전쟁에서 군용 트램웨이의 광범위한 사용을 촉진했다.[18]

최초의 스키 리프트는 1936년 미국 아이다호주 선밸리 스키장에 설치된 것이다.[33] 이 스키 리프트는 1939년 이후 선밸리 리조트의 주요 스키 슬로프가 된 프로크터 마운틴(더 유명한 볼드 마운틴의 3km 동쪽에 위치)에 설치되었다.

이 체어리프트는 1936년 여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있는 유니온 퍼시픽 철도 기술부의 제임스 커런(James Curran)에 의해 개발되었다. 커런은 유니온 퍼시픽에 근무하기 전에 바나나를 운반선에 싣는 운송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에 근무했으며, 바나나용 갈고리를 의자로 교체하여 당시 스키어 운송용으로 일반적이었던 토보건보다 수용 인원이 많고, J바 리프트보다 편안한 장비를 만들어냈다. 커런의 기본적인 설계는 오늘날의 체어리프트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최초의 스키 리프트 특허는 1939년 3월 커런, 고든 H. 배너먼(Gordon H. Bannerman), 글렌 H. 트라우트(Glen H. Trout)에게 주어졌다(U.S. Patent 2,152,235[34]). 이 프로젝트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것은 선밸리의 창설자이자 전 뉴욕주 주지사인 W. 에이버럴 해리먼(W. Averell Harriman)이었다. 오리지널 1936년 리프트는 나중에 미시간주 보인 마운틴으로 이전되었고, 그 부품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35]

세계에서 두 번째 체어리프트는 1938년 오리건주 매직 후드에 설치된 리블렛(Riblet) 사의 매직 마일(Magic Mile)이라는 체어리프트로, 당시 세계 최장이었다.

유럽 최초의 체어리프트는 1940년 체코(당시 체코슬로바키아)에 건설되었다. 일본 최초의 체어리프트는 1946년(쇼와 21년)에 홋카이도 삿포로시의 조잔산(藻岩山)에 주둔군 전용으로 만들어진 "삿포로 스키장"에 설치되었지만, 현재는 존재하지 않고 콘크리트 기단의 유적만 남아 있다. 민간용으로 처음 설치된 리프트는 군마현의 "쿠사츠 국제 스키장"(1948년, 쇼와 23년)의 것이고, 1947년에 제정된 구 삭도 규칙으로 처음 인가된 리프트는 니가타현의 "아카쿠라 중앙 스키장"(1950년, 쇼와 25년) 및 "이케노다이라 카야바 스키장"(같은 해)의 것이다.

2. 2. 최초의 체어리프트

세계 최초의 스키 체어리프트는 1936년과 1937년에 유니온 퍼시픽 철도가 소유했던 아이더호주 선밸리 스키 리조트에 설치되었다.[23] 최초의 체어리프트는 프로크터 산에 설치되었는데, 이 산은 선밸리 리조트의 주요 스키 산인 아이더호주 볼드 산에서 동쪽으로 3km 떨어져 있다. 1936년 여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있는 유니온 퍼시픽의 공학부 소속 제임스 마이클 커런이 이 체어리프트를 개발했다. 커런은 바나나 운반 시스템을 재설계하여 당시 가장 일반적인 스키어 이동 수단이었던 상승식 썰매(케이블카) 보다 수송 능력이 크고 J-바 리프트보다 편안한 기계를 만들었다. 그의 기본 설계는 오늘날에도 체어리프트에 사용되고 있다. 최초의 스키 리프트에 대한 특허는 1939년 3월 커런과 고든 H. 배너먼, 그리고 유니온 퍼시픽 철도의 수석 기술자였던 글렌 H. 트라우트에게 공동으로 허여되었다. 특허 명칭은 "Aerial Ski Tramway"(미국 특허)이다.[24][25] 이 프로젝트는 W. 에버렐 해리먼이 자금을 지원했다.[24][25]

퀘벡주 몽트랑블랑 리조트는 조셉 라이언이 건설한 캐나다 최초의 체어리프트와 함께 1938년 2월에 문을 열었다.[26] 이 스키 리프트는 약 1280.16m의 케이블을 사용했고, 시간당 250명의 스키어를 수송할 수 있었다.[27]

유럽 최초의 체어리프트는 1938년 체코슬로바키아(현재의 체코 공화국)의 라즈토카에서 푸스테브니까지 모라비아-실레시아 베스키디 산맥에 설치되었다.

2. 3. 현대의 체어리프트

1990년대 이후 건설된 새로운 체어리프트는 탈착식 체어리프트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아 고정식 그립 방식이 드물다. 고정식 그립 리프트는 설치, 유지 보수 및 운영 비용이 저렴하여 소규모 및 지역 스키장, 초보자 지형과 같이 짧은 거리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28]

3. 디자인 및 기능

체어리프트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송을 위해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체어리프트는 고정식 순환형 삭도로, 기점과 종점 정류장의 도르래 사이에 '''지지삭'''[30]을 설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의자를 고정하여 순환시키는 방식이다.[31]

파키스탄 무리의 체어리프트


곤돌라 리프트나 디태처블 리프트라고 불리는 자동 순환형 삭도는 운반기가 정류장에 도착하면 삭도에서 자동으로 분리되고, 출발 시에는 삭도에 자동으로 고정되는 방식이다.[31] 자동 순환형 중 운반기에 문이 있는 것은 곤돌라 리프트, 좌석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는 것은 디태처블 리프트라고 부른다.[31]

여객용 로프웨이는 가장 빠른 경우 초속 12m(시속 43.2km)에 달한다. 2인승 체어리프트는 시간당 약 1,200명을 최고 초속 2.3m(시속 8.28km)로, 자동 순환형 4인승 체어리프트는 시간당 약 2,400명을 최고 초속 5m(시속 18km)로 운송할 수 있다. 모든 리프트는 기상 변화에 따라 운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자동 순환형은 고정 순환형에 비해 약 2배의 속도로 운행이 가능하며, 승하차 시에는 더 저속으로 운행할 수 있다. 스키장에서는 자동 순환형 리프트를 '''고속 리프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키·스노보드 이용객이 로프를 직접 잡거나, 로프나 케이블에 부착된 운반기에 걸터앉는 활주식 리프트도 존재한다.

체어리프트의 주요 구조는 '''삭도''' 문서를 참조하고, 여기서는 삭도에 기술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다룬다.

'''기점·종점 정류장'''

  • 원동장치: 모터가 주로 사용되며, 정전 대비 디젤 엔진 등 예비 동력이 설치된다. 산정 쪽에 설치하는 것이 동력 효율이 좋지만, 전원 공급 문제로 산록 쪽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 긴장장치: 지지삭도 장력 조정 장치. 고정식이 많지만, 자동순환식 리프트는 자동 조정 방식도 있다. 고정순환식은 원동장치와 일체형이 많지만, 자동순환식은 별도로 설치하는 경향이 있다.
  • 환승장치(도르래): 기점·종점에서 지지삭도를 접어 돌리는 곳. 한쪽은 원동장치에 연결된다.
  • 건물: 고도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 풍설에 노출되는 경우, 승객과 정류장 보호를 위해 설치된다. 자동순환식 리프트는 곤돌라 보관창고도 병설된다.
  • 로딩 카펫: 고정순환식 페어리프트 이상에서 승차 보조를 위해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 형태의 장치. 상시 작동 또는 리프트 접근에 맞춰 자동 작동한다. 리프트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되어 초보자의 안전한 승차를 돕는다.[39]
  • 기타: 곤돌라 제설용 브러시, 좌석 상하 조절 장치, 압축 공기 분출 장치, 블로어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지주'''[40]

지지삭도를 지탱하기 위한 중간 지점. 철탑, 강관 원통형 지주, 강판 사각뿔형 지주에 도르래 열로 구성된 수압삭도 장치와 탈선 감지 장치가 조합되어 있다. 점검용 작업대,[41] 풍속계, 감시 카메라, 스피커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지주는 거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하중이 큰 곳은 지주와 도르래 수가 늘어난다. 탈선 감지 장치 제약으로 한쪽 팔당 도르래 수는 짝수이다. 2선 리프트를 1개 지주에 매달거나, 2선 리프트 지주 천정을 연결하여 문주형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트리플/쿼드 리프트 등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초기 도르래는 강철 바퀴였으나, 소음 감소를 위해 현재는 도르래 홈에 내유성 합성고무를 감은 것이 사용된다. 초기 지주는 트러스 구조 철탑이었고, 스키 스톡 등에 의한 사고 방지를 위해 상승측에 방호판이 설치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원통형/사각뿔형 지주로 사고 위험이 줄었다. 지주 천정부에 전선을 설치하여 탈선 감지 장치 배선, 정지 회로, 전화 회선, 풍속계, 감시 카메라 회선 등을 부설하지만, 전기 안전상 전력선은 부설되지 않는다.

'''곤돌라'''

하계 운행 시 지붕이 설치되기도 하며, 현재는 후드형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초기 싱글/페어리프트 좌석은 목판/플라스틱이었으나, 추위 대책으로 폴리우레탄 시트가 추가되기도 했다. 현재는 방한 시트가 붙은 좌석 구조이며, 본혁 레더 시트에 히팅 기능이 있는 것도 있다.[42] 세이프티 바 설치 곤돌라는 정원에 따른 구획이 있다. 최근 트리플 리프트 이상은 1명 또는 정원 승차 시 다리 사이에 구획이 들어가는 구조도 있으며, 좌석 구조가 평평하면 정원 미만 승차 시 구획 사이에 앉을 수 있는 유연한 운용도 가능하다.

체어리프트는 옥외 금속 구조물로, 지주 수명은 30~50년 정도이다. 지지삭도는 소모품으로 수년마다 교체해야 하며, 원동 도르래, 환승 도르래, 베어링도 장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스키 인구 감소로 유지 보수비 부족으로 스키 리프트나 스키장 폐쇄가 이어지고 있다.

3. 1. 용어

미국 스키 업계에서는 체어리프트를 부르는 속어가 있다. 1인용 리프트는 "싱글", 2인용은 "더블", 3인용은 "트리플", 4인용은 "쿼드", 6인용은 "식스팩"이라고 한다. 분리식 체어리프트의 경우 "고속" 또는 "익스프레스" 리프트라고 부르며, 예를 들어 "익스프레스 쿼드" 또는 "고속 식스팩"과 같이 사용한다.[5]

리프트의 성능과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다.[5]

용어설명
로프 속도로프가 이동하는 속도 (m/s 또는 ft/min)
적재 간격운반체 간의 간격 (거리 또는 시간)
수용력리프트가 시간당 운송하는 승객 수
효율최대 운영 중 완전히 적재된 운반체의 비율 (일반적으로 수용력의 백분율). 고정 그립 리프트는 효율이 80%까지 낮아질 수 있다.
고정 그립각 운반체가 로프의 고정 지점에 고정됨
분리식 그립각 운반체의 그립이 열리고 닫혀 로프에서 분리되고 적재 및 하역을 위해 천천히 이동. 분리식 체어리프트 참조.



'''페어리프트'''(ペアリフト)는 2인승 체어리프트를 가리키는 말로, "로맨스리프트"라고도 불린다. 일본 스키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리프트 유형이다.

3. 2. 로프

로프는 승객용 로프웨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로프는 장력이 변함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고, 시브(sheave)와 불휠(bullwheel)을 지나면서 굽혔다 펴지는 과정을 반복한다. 섬유심(fibre core)에는 로프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부드럽게 굽혀질 수 있도록 돕는 윤활제가 들어 있다. 안전한 작동과 긴 수명을 위해 로프에는 정기적으로 윤활유를 발라 주어야 한다.[6]

로프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다. 여러 개의 와이어를 꼬아 '스트랜드(strand)'를 만들고,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섬유심 주위로 다시 꼬아 로프를 완성한다. 이때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은 개별 와이어의 꼬임 방향과 같을 수도 있고 반대일 수도 있는데, 이를 각각 랭 레이(Lang lay)와 레귤러 레이(regular lay)라고 부른다.

로프는 직선 형태로 제작되며, 캐리어(carrier)를 부착하기 전에 이어 붙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음매 작업(Splicing)은 로프 양쪽 끝의 긴 부분을 풀고 각 스트랜드를 반대쪽 끝에서 심 주위에 감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음매 작업 과정에서 스트랜드가 겹치기 때문에 로프의 일부분은 제거해야 한다.[6]

3. 3. 터미널 및 타워

체어리프트는 최소 두 개의 터미널과 중간 지지 타워로 구성된다. 각 터미널의 풀리는 로프 방향을 바꾸고, 타워의 도르래(풀리 조립체)는 로프를 지면 위로 지지한다.[7] 타워 수는 로프 길이와 강도, 환경 조건, 지형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원동기가 있는 풀리는 '구동 풀리', 다른 하나는 '귀환 풀리'라고 한다. 체어리프트는 보통 전기로 작동하며, 디젤/가솔린 엔진 백업이나 수동 크랭크 백업이 있기도 하다. 구동 터미널은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상단 구동이 효율적이지만,[7] 전기 공급 문제로 하단 구동이 필요할 수 있다.

이탈리아식 체어리프트의 상부 터미널과 귀환 풀리. 분리형이 아닌 체어리프트에 주로 사용된다.


재건된 도르래 조립체를 제자리에 다시 설치하는 모습, S-리프트, 코퍼 마운틴


주요 구조는 '''삭도'''를 참조하고, 여기서는 '''삭도'''에 없는 내용을 다룬다.[38]

'''기점·종점 정류장'''

  • 원동장치: 지지삭도 동력원. 모터가 주로 사용되며, 정전 대비 디젤 엔진 등 예비 동력이 설치된다. 산정 쪽에 설치하는 것이 동력 효율이 좋지만, 전원 공급 문제로 산록 쪽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 긴장장치: 지지삭도 장력 조정 장치. 고정식이 많지만, 자동순환식 리프트는 자동 조정 방식도 있다. 고정순환식은 원동장치와 일체형이 많지만, 자동순환식은 별도로 설치하는 경향이 있다.
  • 환승장치(도르래): 기점·종점에서 지지삭도를 접어 돌리는 곳. 한쪽은 원동장치에 연결된다.
  • 건물: 고도가 높은 곳에 설치되어 풍설에 노출되는 경우, 승객과 정류장 보호를 위해 설치된다. 자동순환식 리프트는 곤돌라 보관창고도 병설된다.
  • 로딩 카펫: 고정순환식 페어리프트 이상에서 승차 보조를 위해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 형태의 장치. 상시 작동 또는 리프트 접근에 맞춰 자동 작동한다. 리프트보다 느린 속도로 설정되어 초보자의 안전한 승차를 돕는다.[39]
  • 기타: 곤돌라 제설용 브러시, 좌석 상하 조절 장치, 압축 공기 분출 장치, 블로어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지주'''[40]

지지삭도를 지탱하기 위한 중간 지점. 철탑, 강관 원통형 지주, 강판 사각뿔형 지주에 도르래 열로 구성된 수압삭도 장치와 탈선 감지 장치가 조합되어 있다. 점검용 작업대,[41] 풍속계, 감시 카메라, 스피커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지주는 거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하중이 큰 곳은 지주와 도르래 수가 늘어난다. 탈선 감지 장치 제약으로 한쪽 팔당 도르래 수는 짝수이다.

2선 리프트를 1개 지주에 매달거나, 2선 리프트 지주 천정을 연결하여 문주형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트리플/쿼드 리프트 등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초기 도르래는 강철 바퀴였으나, 소음 감소를 위해 현재는 도르래 홈에 내유성 합성고무를 감은 것이 사용된다.

초기 지주는 트러스 구조 철탑이었고, 스키 스톡 등에 의한 사고 방지를 위해 상승측에 방호판이 설치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원통형/사각뿔형 지주로 사고 위험이 줄었다.

지주 천정부에 전선을 설치하여 탈선 감지 장치 배선, 정지 회로, 전화 회선, 풍속계, 감시 카메라 회선 등을 부설하지만, 전기 안전상 전력선은 부설되지 않는다.

'''곤돌라'''

하계 운행 시 지붕이 설치되기도 하며, 현재는 후드형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초기 싱글/페어리프트 좌석은 목판/플라스틱이었으나, 추위 대책으로 폴리우레탄 시트가 추가되기도 했다. 현재는 방한 시트가 붙은 좌석 구조이며, 본혁 레더 시트에 히팅 기능이 있는 것도 있다.[42]

세이프티 바 설치 곤돌라는 정원에 따른 구획이 있다. 최근 트리플 리프트 이상은 1명 또는 정원 승차 시 다리 사이에 구획이 들어가는 구조도 있으며, 좌석 구조가 평평하면 정원 미만 승차 시 구획 사이에 앉을 수 있는 유연한 운용도 가능하다.

체어리프트는 옥외 금속 구조물로, 지주 수명은 30~50년 정도이다. 지지삭도는 소모품으로 수년마다 교체해야 하며, 원동 도르래, 환승 도르래, 베어링도 장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스키 인구 감소로 유지 보수비 부족으로 스키 리프트나 스키장 폐쇄가 이어지고 있다.

3. 3. 1. 제동 시스템

구동 터미널에는 리프트의 주요 제동 시스템이 있다. 서비스 브레이크는 메인 드라이브 옆, 기어박스 앞의 구동축에 위치한다. 비상 브레이크는 도르래(bullwheel)에 직접 작용한다. 기술적으로 브레이크는 아니지만, 역주행 방지 장치(보통 캠)도 도르래에 작용하여 잠재적인 역주행 상황을 방지한다.[8]

3. 3. 2. 장력 시스템

로프는 바람의 영향과 탑승객의 무게로 인해 처짐 현상이 발생하고,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가 변한다. 이러한 변화를 보상하고 로프와 구동 풀리 사이의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장력을 가해야 한다. 장력은 추(counterweight) 시스템이나, 풀리 캐리지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계 장력을 유지하는 유압 또는 공압 램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대부분의 체어리프트에서 장력은 톤 단위로 측정된다.[38]

3. 4. 원동기 및 기어박스

체어리프트의 주 동력 장치로는 디젤 엔진이나 전동기가 사용된다. 동력은 소형 리프트의 경우 7.5 kW(10 hp) 미만에서부터, 경사가 가파른 8인승 분리식 리프트의 경우 750 kW(1000 hp) 이상까지 다양하다. DC 전동기와 DC 드라이브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일부 소형 체어리프트에는 AC 전동기와 AC 드라이브가 경제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DC 드라이브는 AC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보다 저렴하여 21세기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나, AC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 기술의 발전으로 비용이 낮아지면서 상황이 변했다. DC 모터는 AC 모터보다 시동 토크가 커서, 체어리프트에 AC 모터를 사용하는 것은 소형 설비에 국한된다. 그렇지 않으면 동일 마력의 DC 모터보다 AC 모터의 크기를 상당히 크게 해야 한다.[38]

드라이브 샤프트는 높은 RPM으로 회전하지만 토크는 낮다. 기어박스는 높은 RPM/낮은 토크 회전을 낮은 RPM/높은 토크 구동으로 변환하여 벌휠(bullwheel)에 전달한다. 더 큰 동력은 더 무거운 하중을 끌어올리거나 더 빠른 로프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일률은 힘이 일을 하는 속도이며, 구동력과 케이블 속도의 곱으로 나타낸다).[38]

체어리프트에는 모터가 주로 사용되며, 정전 등 비상시에는 디젤 엔진 등의 예비 동력이 설치된다. 동력 계산상으로는 산정 쪽에 원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동력이 적게 들지만, 전원 공급이 용이한 산록 쪽에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39]

3. 4. 1. 보조 동력 장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주 동력 장치에 예비 구동 장치가 필요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정전 시 작동할 수 있는 디젤 엔진으로 제공된다. 예비 구동 장치의 목적은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로프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훨씬 낮은 출력을 가지고 정상 작동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보조 동력 장치는 일반적으로 체인 커플링을 사용하여 기어 박스 앞의 구동축에 연결된다.[38]

일부 체어리프트에는 주 동력 장치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정상 작동을 계속하기 위해 보조 구동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일부 리프트는 설상차의 구동축이 체어리프트를 구동할 수 있도록 유압 커플링을 사용하기도 한다.

3. 5. 운반체 및 그립

체어리프트의 운반체(캐리어)는 1인용, 2인용, 3인용, 4인용, 6인용, 8인용 등으로 설계된다. 각 운반체는 강철 그립을 통해 케이블에 고정된다. 이 그립은 볼트 시스템, 코일 스프링, 또는 자석을 사용하여 클램핑력을 제공하는 클램프 방식으로 케이블에 연결되거나 케이블에 짜여진다.[38] 유지보수나 정비를 위해 그립을 풀어 운반체를 로프에서 제거하거나 로프를 따라 재배치할 수 있다.

3. 5. 1. 안전 바

안전바 또는 보호대[9]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놀이공원 놀이기구의 안전바와 같은 방식으로 탑승객을 의자에 고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장착된 경우 각 의자에는 접이식 바가 있으며, 때로는 발받침대가 부착되어 있다. 대부분의 구성에서 탑승객은 머리 뒤쪽으로 손을 뻗어 바 또는 손잡이를 잡고 구속대를 앞으로 아래로 당길 수 있다. 바가 충분히 회전하면 중력이 바를 하단 제한까지 위치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하차하기 전에 바를 위로 들어 올려야 한다.

체어리프트를 탄 6세 어린이 스키어


탑승객이 체어리프트에 제대로 앉아 있는 물리적 원리는 구속 바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체어리프트가 갑자기 정지하는 경우(시스템 비상 브레이크 사용으로 인해), 그립에 연결된 운반대 암은 의자의 관성에 의해 부드럽게 앞으로 회전하여 좌석과 탑승객 사이의 마찰(및 착석 각도)을 유지한다. 구속 바는 어른 크기 의자에 편안하게 앉지 못하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불안해하는 탑승객과 가만히 앉아 있을 의향이나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또한, 발받침대가 있는 구속 바는 특히 긴 리프트 탑승 중에 스노보드나 스키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 인한 근육 피로를 줄여준다. 구속 바는 매우 강한 바람과 의자가 얼음으로 뒤덮인 경우에도 유용하다.

일부 스키장에서는 위험하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리프트에서 안전 바 사용을 의무화하며, 위반 시 리프트 티켓을 몰수하는 벌칙을 적용한다. 버몬트주와 매사추세츠주 법률도 안전 바 사용을 요구하며,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퀘벡주 대부분도 마찬가지이다.

체어리프트의 구속 바(종종 발받침대 포함)는 유럽에서 더 흔하며 모든 연령대의 탑승객이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일부 체어리프트에는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속 바가 있다.

3. 5. 2. 캐노피

일부 체어리프트에는 악천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릴 수 있는 개별 캐노피가 있다. 캐노피 또는 버블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아크릴 유리 또는 섬유유리로 제작된다. 대부분의 디자인에서 승객의 다리는 보호되지 않지만, 비나 강풍이 부는 경우 캐노피가 없는 것보다 훨씬 편안하다. 주목할 만한 버블 리프트로는 북미 최초의 고속 8인승 리프트인 빅 스카이 리조트의 Ramcharger 8과 세계에서 가장 긴 버블 리프트인 코퍼 마운틴의 American Flyer 고속 6인승 리프트가 있다.

3. 6. 제어 시스템

안전 운행을 위해 체어리프트의 제어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시스템을 감시하고 제어한다. 예측 범위를 벗어나거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은 정지된다. 시스템이 정지되는 예외적인 경우에는 기술자의 검사, 수리 또는 대피가 필요할 수 있다. 고정식 및 분리식 리프트 모두 로프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정해진 시스템 작동 속도 한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센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최소 및 최대 로프 장력과 속도 피드백 중복성이 감시된다.[10]

대부분의 설비는 로프가 개별 시브에서 빠져나오는 것과 같이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황을 감지하는 수많은 안전 센서를 갖추고 있다.

분리식 체어리프트 제어 시스템은 각 분리 및 부착 주기 동안 캐리어 그립 장력을 측정하고, 적절한 캐리어 간격을 확인하며, 터미널을 통과하는 분리된 캐리어의 올바른 움직임을 확인한다.[11]

3. 7. 안전 시스템

체어리프트는 수십 년 동안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를 갖추고 있다. 1990년 6월, 윈터파크 리조트는 1963년산 리블렛 트램웨이 회사의 2인승 고정 그립식 중앙 지주 리프트인 "에스키모"에 대한 파괴적 안전 시험을 실시했다.[12][13] 이 시험은 제동, 역행, 유성 로프, 선로 위 나무, 화재, 타워 풀 등 실제 작동 시나리오를 모방하여, 기존 및 차세대 케이블카의 안전성과 구조 개선에 기여했다.[14]
기점·종점 정류장

  • 원동장치: 지지삭도의 동력원으로, 모터가 주로 사용되며, 비상시에는 디젤 엔진 등의 예비 동력이 설치된다.
  • 긴장장치: 지지삭도의 장력을 조정하며, 자동순환식 리프트의 경우 상시 자동 조정 방식이 사용된다.
  • 환승장치(도르래): 지지삭도를 접어 돌리는 곳으로, 한쪽은 원동장치에 연결된다.
  • 건물: 승객과 정류장 보호를 위해 설치되며, 자동순환식 리프트의 경우 곤돌라 보관창고가 병설된다.
  • 로딩 카펫: 승차 보조 장치로, 벨트 컨베이어와 유사하며, 리프트 곤돌라 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되어 안전한 승차를 돕는다.[39]
  • 기타: 제설용 브러시, 좌석 상하 조절 장치, 압축 공기 분출 장치, 블로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페어리프트·기점 정류장(函館七飯スノーパーク, 2018년 3월 촬영)


쿼드리프트·기점 정류장(函館七飯スノーパーク, 2018년 3월 촬영)


기점 정류장에 설치된, 곤돌라 제설용 블로어(函館七飯スノーパーク, 2018년 3월 촬영)

지주[40]

  • 철탑, 강관 원통형 지주, 강판 사각뿔형 지주에 도르래 열로 구성된 수압삭도 장치와 탈선 감지 장치가 조합되어 있다.
  • 점검용 작업대[41], 풍속계, 감시 카메라, 스피커 등이 설치될 수 있다.
  • 초기에는 트러스 구조 철탑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원통형 및 사각뿔형 지주가 주로 사용된다.


체어리프트(쿼드리프트) 지주(函館七飯スノーパーク, 2018년 3월 촬영)

곤돌라

  • 초기에는 지붕이 설치된 타입이 있었으나, 현재는 후드형으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다.
  • 좌석은 방한 시트가 부착된 구조이며, 고급형은 가죽 시트와 히팅 기능이 제공된다.[42]
  • 세이프티 바에는 정원에 따른 구획이 설치된다.


체어리프트는 설비 수명이 길지만, 일본에서는 스키 인구 감소로 유지 보수 비용 문제로 휴폐지되거나 스키장 자체가 폐쇄되는 경우가 많다.
안전 대책

  • 탈선 감지 장치: 출발점, 종착역, 지주의 도르래에 설치되어 탈선 시 자동으로 리프트를 정지시킨다.
  • 풍속계·풍향풍속계: 곤돌라의 과도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기준 초과 시 자동으로 감속 또는 정지시킨다.
  • 담당자 대기실: 출발점과 종착역에 담당자가 상주하여 비상 상황에 대응한다.
  • 비상 정지 스위치·감속 스위치: 담당자가 응급 상황 발생 시 작동시켜 리프트를 정지시키거나 감속시킨다.
  • 비상 정지 장치: 승객이 하차하지 못했을 때 자동으로 리프트를 정지시킨다.
  • 추락 방지 대책: 삭도 아래 출입 금지, 추락 방지망, 금속 펜스 등으로 추락 사고를 예방한다.
  • 감시 카메라: 장대 리프트의 경우,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곳의 이상을 발견하기 위해 설치된다.


3. 7. 1. 제동

체어리프트에는 여러 중복 제동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제어반에서 정상 정지(Normal Stop) 신호가 발생하면, 기어박스와 전기 모터 사이의 고속축에 위치한 서비스 브레이크와 전기 모터를 통한 회생 제동을 통해 리프트의 속도를 줄여 정지시킨다. 비상 정지(Emergency Stop) 신호가 발생하면 모터로 가는 모든 전원이 차단되고 비상 브레이크나 벌휠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역회전(rollback) 발생 시, 일부 리프트는 벌휠이 뒤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 래칫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고, 최신 설비는 하나 이상의 벌휠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센서를 사용한다. 모든 제동 시스템은 전력 또는 유압이 손실될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안전 장치를 갖추고 있다.[51]

예를 들어 1960년대 리블릿 트램웨이社(Riblet Tramway Company) 리프트와 같은 구형 체어리프트는 유압 솔레노이드에 의해 유지되는 압력을 가진 유압 방출 비상 브레이크를 사용했다. 어떤 제어반에서든 비상 브레이크/정지 버튼을 누르면 유압 브레이크를 수동 펌프로 적절한 작동 압력까지 올려야 리프트를 다시 시작할 수 있었다.

3. 7. 2. 취성 바

일부 설비에서는 여러 위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취성 바(brittle bar)'를 사용한다. 쉬브 옆에 있는 취성 바는 로프가 트랙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한다. 또한 안전 매개변수를 넘어선 추가 추 또는 유압 램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이 용도로는 '취성 포크(brittle fork)'라고도 함) 그리고 터미널 트랙을 이탈한 분리된 캐리어를 감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도 있다. 취성 바가 부러지면 회로가 차단되어 시스템 제어기가 시스템을 즉시 정지시킨다.[15]

왕복식 케이블 로프의 쉬브 열 옆에 있는 케이블 캐처 내의 '취성 바'의 예시. 가장 가까운 쉬브의 오른쪽에 취성 바에 연결된 배선이 보인다. 상단에는 탈선 방지판이 보인다.

3. 7. 3. 케이블 캐처

케이블 캐처는 로프가 궤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르래 옆에 설치되는 작은 갈고리이다. 리프트가 정지하여 대피할 때 의자 그립이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6] 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2006년 5월, 오스트레일리아 아서스 시트 체어리프트에서 케이블이 도르래에서 이탈하여 의자 네 개가 서로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승객 13명이 4시간 동안 고립되었지만, 다행히 부상자는 없었다. 운영업체는 도로 상부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타워의 높이를 변경하도록 한 의무 규정을 사고 원인으로 지목했다.[17]

3. 7. 4. 충돌

리프트 운영자는 승객의 탑승과 하차를 감독한다. 이들의 주요 목적은 승객들이 날씨에 적합한 복장을 하고 의자, 타워, 나무 등에 걸릴 수 있는 물건을 착용하거나 운반하지 않는지 확인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만약 부적절한 탑승이나 하차 누락이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운영자는 운반체가 사람과 충돌하거나 사람을 끌지 않도록 리프트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시킨다. 또한, 하차 구역이 혼잡해지면 안전한 상황이 조성될 때까지 의자 리프트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시킨다.

'''탈선 사고 대책'''

  • 탈선 감지 장치

: 출발점·종착역 및 지주(支柱)의 도르래에 설치되어 있다. 탈선 시 벗어난 지지삭(支曳索)이 감지 장치에 접촉하거나, 탈선 시 지지삭으로부터 받던 장력이 해제될 때 도르래의 급격한 동요 또는 각 도르래의 하중 불균형을 감지했을 때 작동하여 자동으로 리프트를 정지시킨다.

  • 풍속계·풍향풍속계

: 리프트 1선(線)의 정류장이나 일부 지주에 최소 1개, 경우에 따라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 곤돌라의 과도한 흔들림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기준을 초과하는 풍속이나 풍향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리프트를 감속시키고, 더 강한 풍속에서는 정지시킨다. 풍속 설정은 리프트 설치 장소의 지형 및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진다.

'''기타 안전 대책'''

  • 담당자 대기실

: 기존부터 있다. 출발점·종착역에 담당자가 1명 이상 상주하여 감시하고, 승하차객의 넘어짐·탑승 실패·하차 실패·추락(정류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무대 형태인 경우) 등의 응급 상황 시 비상 정지 등의 대응을 한다. 승차용 매표소를 겸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 비상 정지 스위치·감속 스위치

: 승하차객의 넘어짐·탑승 실패·하차 실패·추락(정류장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진 무대 형태인 경우) 등의 응급 상황을 담당자가 발견했을 때 작동시켜 리프트를 정지시킨다. 또한, 초보자 등이 리프트를 이용할 때 감속용 스위치가 병설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안전한 승하차를 유도한다. 승하차 시 안전을 위해 감속 스위치는 최근의 고정 순환식 리프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승객의 승하차 시 적극적으로 속도를 낮추어, 적다고는 하지만 삭도 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승객의 넘어짐 사고[65]를 담당자의 손으로 근절하려는 사업자가 많다.

  • 비상 정지 장치

: 승객이 하차 지점에서 내리는 타이밍을 놓쳐 하차하지 못한 경우 그대로 탑승한 상태에서, 승객의 발이 닿도록 설치된 막대형 비상 정지 장치이다. 막대가 물리적으로 닿거나, 또는 투광기·수광기로 구성된 가상 막대가 승객의 다리 등에 가려지면 작동하여 리프트를 정지시킨다. 아주 초기의 체어리프트를 제외하고 체어리프트에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다. 일부 체어리프트나 로프투 리프트의 경우, 회전 장치에 이르는 직전에 커넥터에 부착한 와이어를 팽팽하게 늘어뜨려, 발이 와이어에 닿아 커넥터가 빠짐으로써 정지시키는 유형도 있다.

  • 추락 방지 대책

: 승객의 소지품 및 승객 자신이 추락하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삭도 아래는 출입 금지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도로나 통로, 활주 코스를 넘는 곳에서는 추락 사고 방지망이나 금속 펜스 등으로 충분히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또한, 하차 정류장이 무대 형태로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추락 사고 방지망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 감시 카메라

: 장대 리프트인 경우,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리프트 중간의 이상을 발견하기 위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3. 7. 5. 통신

체어리프트의 각 정류장 리프트 운영자들은 시스템 재가동 시 모든 정류장이 안전하고 준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서로 소통한다. 또한, 스키를 놓치거나, 구조용 썰매로 이송되는 환자처럼 효율적인 하차가 불가능한 승객이 탑승한 캐리어가 도착한다는 경고를 하기 위해서도 소통이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는 각 캐리어에 보이는 식별 번호를 부착하는 주된 목적이다.

3. 7. 6. 대피

삭도는 주 동력 장치 고장 시 여러 가지 백업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추가적인 전기 모터, 디젤 또는 가솔린 엔진, 심지어 손으로 돌리는 크랭크까지도 로프를 움직여 승객을 내리게 할 수 있다. 로프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고장이 발생할 경우, 스키 순찰대는 간단한 로프 하네스를 삭도 로프에 걸어 승객을 한 명씩 지상으로 내리는 비상 대피를 실시할 수 있다.[18]

등반 장비를 이용한 체어리프트 대피 훈련, 체코 클리노베츠

3. 7. 7. 접지

산 옆에 설치된 강철 와이어로프는 낙뢰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방지하고 정전기 축적을 막기 위해 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으며, 리프트 시스템을 지면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접지 시스템에 연결된다. 낙뢰가 잦은 지역에서는 공중 로프웨이 위에 보호용 공중 와이어를 설치한다. 붉은색 도르래는 접지 도르래일 수 있다.

3. 7. 8. 하중 시험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 체어리프트는 주기적으로 하중 검사 및 시험을 받아야 한다. 일반적인 시험은 최악의 경우 승객 적재 시나리오보다 무거운 물주머니(상자에 고정)로 상부 방향의 체어를 적재하는 것이다. 시스템의 시동, 정지 및 역방향 작동 방지 기능은 시스템 설계 매개변수에 따라 신중하게 평가된다.[19] 새로운 리프트의 하중 시험은 짧은 비디오에 나와 있다.[20]

3. 7. 9. 로프 시험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는 밧줄에 대한 빈번한 시각 검사와 주기적인 비파괴 검사가 필요하다. 전자기 유도 검사는 끊어진 와이어, 부식이나 마모로 인한 피팅, 단면적의 변화, 와이어 배열 또는 스트랜드 배열의 조임이나 느슨해짐과 같이 가닥 내부에 숨겨진 불리한 상태를 감지하고 정량화한다.[21]

3. 7. 10. 안전 게이트

상부 종착역의 안전 게이트는 하차하지 않는 승객을 감지합니다. 열린 구속 바도 보입니다.


승객이 하차하지 않으면 다리가 가벼운 막대나 줄에 닿거나 광선을 통과하여 리프트가 정지된다. 그러면 리프트 운전자가 승객의 하차를 돕고 안전 게이트를 재설정한 후 리프트 재시작 절차를 시작한다. 체어리프트의 다른 승객들에게는 다소 불편할 수 있지만, 안전 게이트에 부딪히는 것(즉, 안전 게이트를 피해서는 안 됨)보다 리프트를 정지시키는 것이 예상치 못한 내리막길 승객이 되는 것보다 낫다. 많은 리프트는 하차 용량에 제한이 있으며, 다른 리프트는 양방향으로 100% 용량으로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22]

3. 7. 11. 무빙워크

분리식 체어리프트의 탑승구에는 승객을 입구에서 탑승구까지 이동시키는 무빙워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모든 승객의 정확하고 안전하며 신속한 탑승을 보장한다. 고정 그립 리프트의 경우, 의자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무빙워크를 설계할 수 있다. 승객은 의자가 다가오는 동안 무빙워크에 서 있으므로, 체어리프트의 상대 속도가 느려져 탑승 과정이 용이해진다.

4. 구조

체어리프트(또는 리프트)는 일반적으로 고정식 순환형 삭도로, 기점·종점 정류장의 도르래 사이에 '''지지삭'''[30]을 설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운반기(의자)를 삭도 장치에 고정하여 순환시킨다.[31]

곤돌라 리프트나 디태처블 리프트라고 불리는 자동 순환형 삭도도 있다.[31] 자동 순환형은 운반기가 도착하면 삭도에서 자동으로 분리되고, 출발할 때 자동으로 고정되는 방식이다. 운반기에 문이 있으면 곤돌라 리프트, 좌석이 외부에 개방되어 있으면 디태처블 리프트라고 부른다.[31]

여객용 로프웨이는 최대 초속 12m(시속 43.2km)까지 운행 가능하다. 스키장에서 주로 사용되던 2인승 체어리프트는 시간당 약 1,200명을 최고 초속 2.3m(시속 8.28km)로, 자동 순환형 4인승 체어리프트는 시간당 약 2,400명을 최고 초속 5m(시속 18km)로 운송할 수 있다. 모든 리프트는 기상 변화에 따라 운행 속도를 조절한다.

자동 순환형은 고정 순환형보다 약 2배 빠른 속도로 운행하면서도 승하차 시에는 더 느리게 운행할 수 있어, 스키장에서 '고속 리프트'로 불리기도 한다. 과거 삭도 장치 노후화나 정비 불량으로 인한 곤돌라 리프트 사고가 발생하여 문제가 된 적도 있다.

스키스노보드 이용객이 로프를 직접 잡거나, 로프나 케이블에 부착된 운반기를 이용하는 활주식 리프트도 있다.

체어리프트의 주요 구조는 '''삭도''' 참조.

체어리프트는 옥외 금속 구조물로, 설비 수명은 지주의 경우 약 30~50년이다. 지지삭도는 소모품으로 수년에 한 번씩 교체해야 하며, 원동기, 원동 도르래, 환승 도르래 및 베어링도 장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스키 인구 감소로 유지 보수 비용을 조달하지 못해 스키 리프트나 스키장 자체가 폐쇄되는 경우가 많다.

4. 1. 기점·종점 정류장

일반적으로 체어리프트는 기점 정류장과 종점 정류장의 도르래 사이에 지지삭을 설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운반기(의자)를 삭도 장치에 고정하여 순환시키는 고정식 순환형 삭도이다.[30][31]

기본적으로는 시점과 종점에서만 승하차하지만, 드물게 중간 승하차가 가능한 리프트도 존재한다. 지지삭을 설치하는 관계상, 시점에서 종점까지는 평면적으로 직선일 필요가 있다.[32]

4. 2. 지주

체어리프트의 지주는 중간 지점에서 지지삭도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지주는 주로 철탑, 강관 원통형 지주, 강판 사각뿔형 지주 등의 형태를 띠며, 지지삭도를 지지하는 도르래 열로 구성된 수압삭도 장치와 탈선 사고를 감지하는 탈선 감지 장치가 세트로 조합되어 있다. 또한, 점검을 위한 작업대[41], 풍속계, 감시 카메라, 승객 안내 또는 장내 방송용 스피커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40]

지주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 지주에는 양쪽에 여러 개의 도르래가 설치된다. 하중이 큰 곳에서는 지주와 도르래의 수가 늘어난다. 탈선 감지 장치의 제약으로 인해 지주 한쪽 팔당 도르래 수는 반드시 짝수여야 한다.

수송력 증강을 위해 2선 리프트를 1개 지주의 양쪽에 저울처럼 매달거나, 2선 리프트 지주 천정을 부재로 연결하여 문주형으로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이후 트리플 리프트나 쿼드 리프트 등 수송력이 더 높은 리프트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다.

초기 도르래는 강철 바퀴였으나, 지지삭도 케이블 표면의 요철이나 곤돌라 통과 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했다. 따라서 현재는 도르래 홈에 내유성 합성고무를 감아 소음을 줄인 도르래를 사용한다.

초기 지주는 트러스 구조의 철탑 형태였으며, 스키 리프트에서는 스키 스톡 등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승측에만 방호판이 설치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원통형이나 사각뿔형 지주를 사용하여 스톡 관련 사고 발생 가능성이 낮아졌다.

지주 천정부에는 다심 전선을 설치하여 탈선 감지 장치 배선, 정지 회로 인입, 양 정류장 간 전화 회선, 풍속계 및 감시 카메라 회선 등을 부설한다. 그러나 전기 안전상의 이유로 전력선은 부설되지 않는다.

4. 3. 곤돌라

초기 체어리프트의 여름철 운행용 곤돌라에는 지붕이 있었다. 현재는 후드형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초기 싱글 리프트나 페어리프트 좌석은 나무판이나 플라스틱이었지만, 추위 대책으로 폴리우레탄 등의 시트를 덧대어 개선하기도 했다. 요즘 곤돌라는 처음부터 방한 시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죽 좌석에 히팅 기능을 추가한 것도 있다.[42]

안전 바가 있는 곤돌라는 페어리프트 이상에서 정원에 따른 구획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전에는 승객 사이에 구획이 들어가는 구조가 많았지만, 최근 트리플 리프트 이상에서는 1명 또는 정원 승차 시 다리 사이에 구획이 들어가도록 한 구조도 있다. 좌석이 평평하면 정원 미만 승차 시 구획 사이에 앉을 수도 있어,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방호판이 있는 트러스 구조식 지주, 강철제 도르래, 등받이 없는 싱글 리프트는 아래 사진과 같다.

5. 탑승 인원별 구분

체어리프트는 탑승 인원에 따라 1인승, 2인승, 3인승, 4인승, 6인승, 8인승으로 나뉜다.

정원이 2인 이상인 리프트도 정원보다 적은 인원이 탑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인승 리프트에 1~5명이 탑승할 수 있다. 다만, 혼잡을 줄이기 위해 합승을 요청받는 경우가 있다.[43] 스키장에서는 탑승 위치 앞에 "싱글 레인"이나 "1인용" 등으로 표시된 전용 레인을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1인 승객은 이 레인에 줄을 서서 직원의 안내에 따라 빈 좌석에 합승한다. 해외에서는 쿼드 리프트 이상의 탑승장 주변에 충분한 공간이 있을 때, 1명에서 최대 8명(최대 인원은 리프트 종류에 따라 다름)까지 그룹별 레인을 설치하여 정원에 맞는 인원 조합으로 합승시키기도 한다.

5. 1. 싱글 리프트

스키 붐과 함께 리프트가 증가했지만, 사고도 비례하여 증가했기 때문에 안전 대책도 강화되었다. 안정성을 위해 운반기 크기가 커졌고, 수동으로 내리는 세이프티 바(가동식 손잡이)가 부착되었으며, 자동으로 승강하는 세이프티 바도 개발되었다.[36]

5. 2. 페어 리프트

스키 붐과 함께 페어 리프트가 증가했지만, 사고도 비례하여 증가했기 때문에 안전 대책도 강화되었다. 안정성을 위해 운반기 크기가 커졌고, 수동으로 내리는 세이프티 바(가동식 손잡이)가 부착되었으며, 자동으로 승강하는 세이프티 바도 개발되었다.

또한, 편안함을 위해 풋 레스트(발·스키·스노보드 판 걸이)와 후드가 달린 리프트도 개발되었다.

2인승 리프트가 존재한다.

정원이 2인 이상인 리프트도 정원 이하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다. 다만 혼잡을 줄이기 위해 합승을 요청받는 경우가 있다.[43]

5. 3. 트리플 리프트

트리플 리프트는 스키 붐과 함께 증가했지만, 사고도 비례하여 증가했기 때문에 안전 대책이 강화되었다. 안정성을 위해 운반기 크기가 커졌고, 수동으로 내리는 세이프티 바(가동식 손잡이)가 부착되었으며, 자동으로 승강하는 세이프티 바도 개발되었다.

또한,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풋 레스트(발·스키·스노보드 판 걸이)와 후드가 달린 리프트도 개발되었다.

2018년에는 일본에서 세계 최초로 곤돌라와 리프트가 동일 삭도 상에 혼재하는 혼합형 리프트가 도입되었다.[36] 혼합형 리프트는 '콤비 리프트' 또는 '텔레믹스[37]'라고도 불린다.

리프트는 1인승, 2인승, 3인승, 4인승, 6인승, 8인승이 있다.

정원이 2인 이상인 리프트도 정원 이하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다. (예: 6인승의 경우 1~5명) 다만 혼잡을 줄이기 위해 합승을 요청받는 경우가 있다.[43]

5. 4. 쿼드 리프트

스키 붐과 함께 쿼드 리프트가 증가했지만, 사고도 비례하여 증가했기 때문에 안전 대책도 강구되어 왔다. 안정성을 위해 운반기 크기가 대형화되었고, 수동으로 내리는 세이프티 바(가동식 손잡이)가 부착되었으며, 자동으로 승강하는 세이프티 바도 개발되었다.

또한,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풋 레스트(발·스키·스노보드 판 걸이)와 후드가 달린 리프트도 개발되었다.

쿼드 리프트는 4인승 리프트이다. 1인승, 2인승, 3인승, 6인승, 8인승 리프트도 있다.

정원이 2인 이상인 리프트는 정원 이하(예를 들어 6인승의 경우 1~5명)의 승객도 탑승할 수 있다. 다만 혼잡 완화를 위해 합승을 요청받는 경우가 있다.[43] 탑승 위치 앞에 "싱글 레인"이나 "1인용" 등으로 표시된 전용 레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1인 승객은 이 레인에 줄을 서서 직원의 안내에 따라 빈 좌석에 합승한다. 또한 해외의 경우, 쿼드 리프트 이상의 탑승장 주변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 1~최대 8명(최대 인원은 리프트 종류에 따라 다름) 단위의 그룹별 레인을 설치하여 정원에 맞는 인원 조합으로 합승시키기도 한다.

5. 5. 6인승 리프트

6인승 리프트는 정원이 6명인 리프트를 의미한다. 2인 이상 탑승하는 리프트도 정원 이하(예를 들어 6인승의 경우 1~5명)로 탑승할 수 있다. 다만 혼잡할 때는 합승을 요청받는 경우가 있다.[43] 이 경우, 탑승 위치 앞에 "싱글 레인"이나 "1인용" 등으로 표시된 전용 레인이 설치되어 있으면, 1인 승객은 이 레인에 줄을 서서 직원의 안내에 따라 빈 좌석에 합승한다.

5. 6. 8인승 리프트

1인승, 2인승, 3인승, 4인승, 6인승, 8인승 리프트가 있다.

6. 안전 관련 사항

스키 리프트의 경우, 하차 시 운반기에서 바깥쪽으로 나와 이동해야 하므로 초보자는 하차 시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급자 전용 코스에 속도가 빠른 ''고속 싱글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승하차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44] 리프트 승하차에 기술이 필요하여 초보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일부 싱글 타입 스키 리프트에서는 하차 후 앞쪽 사면을 미끄러져 내려가는 형식이 있어 하차가 다소 편하기도 하다.

6. 1. 체어리프트 이용 시 주의사항

체어리프트는 흔들림이 커지기 쉬우므로, 탑승 중 어떤 이유로 리프트가 정지하면 위험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운반기의 바에 단단히 잡거나 팔을 걸고 있는 것이 권장된다.[44]

단고 해륙교통 아마노하시다테 리프트의 하행 싱글 리프트(1993년 3월 20일)


니세코 토큐 그랑 히라후의 싱글 리프트 킹 제4(2019년 3월 촬영)

6. 2. 기타 금지 사항

체어리프트는 흔들림이 커지기 쉬우므로, 탑승 중 어떤 이유로 리프트가 정지하면 위험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운반기의 바에 단단히 잡거나 팔을 걸고 있는 것이 권장된다.[44]

6. 3. 사고

체어리프트는 흔들림이 커서 탑승 중 정지하면 위험할 수 있다. 특히 상급자 코스에 있는 고속 싱글 리프트는 승하차 속도가 빨라[44] 주의가 필요하다.

6. 3. 1. 역주행

흔들림이 커지기 쉬우므로, 탑승 중 어떤 이유로 리프트가 정지하면 위험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운반기의 바에 단단히 잡거나 팔을 걸고 있는 것이 권장된다.[44]

6. 3. 2. 기타 사고

싱글 리프트는 1인승 체어리프트로, 좌석 등받이와 손잡이가 작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 특히 스키 리프트는 좌석만 있는 경우도 있다. 하차 시에는 운반기 바깥쪽으로 나와야 해서 초보자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44]

탑승 중 리프트가 정지하면 흔들림 때문에 위험할 수 있으므로, 운반기 바를 잡거나 팔을 걸어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6. 4. 안전 장치

싱글 리프트는 1인승 체어리프트로, 좌석의 등받이와 손잡이가 작은 경우가 많으며, 스키 리프트의 경우 등받이와 손잡이 없이 좌석만 있는 경우도 있다.

스키 리프트는 하차 시 운반기에서 바깥쪽으로 나와 이동해야 하므로, 초보자는 하차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상급자 전용 코스에 설치된 고속 싱글 리프트는 승하차 속도도 빨라[44] 리프트 승하차에 기술이 필요하므로 초보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일부 싱글 타입 스키 리프트는 하차 후 앞쪽 사면을 미끄러져 내려가는 형식이 있어 하차가 다소 편하다.

싱글 리프트는 흔들림이 커지기 쉬워 탑승 중 리프트가 정지하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운반기의 바에 단단히 잡거나 팔을 걸고 있는 것이 권장된다.

최근에는 수송력이 뛰어난 다른 종류의 리프트가 증가하면서 싱글 리프트는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erial Tramway http://www.leitner-p[...]
[2] 웹사이트 Fixed Grip Chairlifts http://www.leitner-p[...]
[3] 웹사이트 Detachable Grip Chairlifts http://www.leitner-p[...]
[4] 웹사이트 Tricable and Bicable Gondolas http://www.leitner-p[...]
[5] 웹사이트 chairlift efficiency http://web.mit.edu/2[...] web.mit.edu 2017-09-12
[6] 비디오 Steamboat (Colorado) Gondola Cable Splice https://www.youtube.[...] 2017-06-19
[7] 웹사이트 Glossary entry for ''Drive Terminal'' http://skilifts.org/[...] skilifts.org 2006-11-30
[8] Youtube Chairlift Rollback Test https://www.youtube.[...]
[9] 웹사이트 Glossary for ''Retention Bar'' http://skilifts.org/[...] skilifts.org 2006-11-30
[10] 웹사이트 Service Bulletin #2000-137 http://www.riblet.co[...] Riblet Tramway Company 2006-11-28
[11] 웹사이트 How Do Detachable Chairlifts Work? https://traveltips.u[...] 2021-02-10
[12] 웹사이트 Eskimo Lift Destruction, Winter Park, Colorado http://www.skilifts.[...] 2016-01-02
[13] 웹사이트 Chairlift Destroy Crash Test https://www.youtube.[...] YouTube 2016-01-02
[14] 웹사이트 Constructive Deconstruction | SAM - Ski Area Management http://www.saminfo.c[...] 2016-01-02
[15] 웹사이트 Glossary entry for ''Drive Terminal'' http://skilifts.org/[...] skilifts.org 2006-11-30
[16] 웹사이트 Poma Omega Series Chairlift https://web.archive.[...] Poma 2006-12-21
[17] 뉴스 Arthurs Seat chairlift owner hit with fine https://web.archive.[...] Leader Community Newspaper Group 2008-08-18
[18] 웹사이트 About Ropeways http://www.mines.edu[...] Colorado School of Mines - Arthur Lakes Library 2006-11-30
[19] 웹사이트 Glossary entry for ''Load Test'' http://skilifts.org/[...] 2006-12-05
[20] 웹사이트 Cloudchaser | The Story Behind Building A New Lift https://www.youtube.[...] Mount Bachelor 2019-01-04
[21] 웹사이트 Handbook of Oceanographic Winch, Wire, and Cable Technology, chapter 1: 3X19 Oceanographic Wire Rope https://web.archive.[...] University-National Oceanographic Laboratory System 2006-12-06
[22] 문서 entry for ''Download'' at SkiLifts glossary
[23] 문서 The "first known chairlift" depends on definition
[24] 웹사이트 Sun Valley Ski Lifts http://www.idahohist[...] Idaho State Historical Society 2006-11-21
[25] 웹사이트 Sun Valley History http://www.gonorthwe[...] 2006-11-21
[26] 웹사이트 TIMELINE OF IMPORTANT SKI HISTORY DATES https://skiinghistor[...]
[27] 웹사이트 History of Mont Tremblant ski resort https://officialmont[...]
[28] 웹사이트 2024 New Lifts https://liftblog.com[...]
[29] 웹사이트 Lift-World.info list of Funifors https://web.archive.[...] 2006-11-30
[30] 문서 曳は常用漢字でないため「支えい索」と表記されることもある
[31] 웹사이트 ロープウェイの安全技術 https://www.iatss.or[...] 国際交通安全学会 2019-02-07
[32] 문서 かつては屈曲した線路を持つチェアリフト
[33] 문서 どれが最初のチェアリフトかは、定義による
[34] 특허 AERIAL SKI TRAMWAY https://www.google.c[...]
[35] 웹사이트 Boyne USA Resorts - Company History http://www.fundingun[...]
[36] 웹사이트 石打丸山スキー場、リフトおよび付帯施設の大改修プロジェクトについて http://ishiuchi.or.j[...] 石打丸山スキー場 2019-02-27
[37] 웹사이트 ポマ 英語版 TELEMIX https://www.poma.net[...]
[38] 웹사이트 ここにベアリングが使われています http://www.jbia.or.j[...] 2018-02-11
[39] 뉴스 スキー場 初心者に優しく コース広げ傾斜緩く/ゲレンデに動く歩道 北海道新聞 2018-11-21
[40] 웹사이트 索道観察日記 http://cable.cocolog[...] 2018-02-11
[41] 문서 支柱に関する記述
[42] 웹사이트 2021-2022冬、HANAZONOは何が変わる? https://hanazononise[...] ニセコHANAZONOリゾート 2021-10-20
[43] 웹사이트 白馬五竜エスカルプラザ公式Facebook投稿 https://www.facebook[...] 2013-12-28
[44] 문서 係員による減速操作
[45] 웹사이트 リフト運行スケジュール http://www.grand-hir[...] 2018-02-07
[46] 웹사이트 ニセコマウンテンリゾート グラン・ヒラフ キング第3リフト更新 https://www.tokyu-fu[...] 2018-02-20
[47] 보도자료 ニセコアンヌプリ国際スキー場 初心者向け『ドリーム第1クワッドリフト』新設について https://www.sse.or.j[...] 北海道中央バス 2019-02-26
[48] 문서 ドッペルマイヤー製自動循環式リフトの紹介動画に関する記述
[49] 보도자료 プレスリリース「Value up NISEKO road to 2030」プロジェクト第一弾 ニセコユナイテッドで最も輸送実績のあるリフトを最新型ゴンドラへ刷新 2024 年冬シーズンより運行開始予定 https://www.tokyu-rs[...]
[50] 웹사이트 安全索道株式会社 - 企業情報 沿革(1985年) https://ansaku.jp/pu[...]
[51] 문서 ニセコビレッジスキーリゾートコースマップ https://www.niseko-v[...]
[52] 웹사이트 さらにスタイリッシュなスノーリゾートへ ニセコHANAZONOリゾート新リフト&ゴンドラ・コース情報 https://hanazononise[...] 2023-08-24
[53] 문서 スノースポーツ安全基準 平成25年10月改訂版 全国スキー安全対策協議会 http://www.nikokyo.o[...] 2018-12-07
[54] 서적 日本スキー教程「安全編」 山と渓谷社 2018-12-07
[55] 문서 스키어와 스노보더에 대한 설명
[56] 문서 세이프티 바에 대한 설명
[57] 웹사이트 全国スキー安全対策協議会公式サイト http://www.nikokyo.o[...] 2018-02-12
[58] 뉴스 ジョージア・リフト暴走事故に人災説 リゾート無料利用券配布で幕引きの可能性も<動画あり> https://www.excite.c[...] exciteニュース 2018-03-23
[59] 뉴스 スキー場でリフトから7名が転落する事故、約1分にわたり逆回転。(米) https://www.excite.c[...] exciteニュース 2018-03-23
[60] 뉴스 スキーリフト逆走事故…利用客はリフトから離れながら転倒し、子どもが負傷=韓国京畿道 https://www.wowkorea[...] WoW!Korea 2022-03-26
[61] 뉴스 スキー場でリフト“逆回転”客を乗せたまま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22-03-26
[62] 웹사이트 索道の安全に関わる情報(令和3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8-23
[63] 뉴스 リフトの搬器ごとスキー客が落下 男女2人けが 立科町の「しらかば2in1」 【動画付き】 https://www.shinmai.[...] 信濃毎日新聞デジタル 2023-08-23
[64] 뉴스 スキー場リフトのアーム折れ3人落下、2人けが…立科町の「しらかば2in1」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3-08-23
[65] 웹사이트 索道輸送の安全に関わる情報(平成30年度) https://www.mlit.go.[...]
[66] 웹사이트 ニセコ東急 グラン・ヒラフ 公式ウェブサイト Ski Area Guide ゲレンデ・コースガイド https://www.grand-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