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후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티븐 후커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2010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2006년과 201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2연패를 달성했으며, 2014년 은퇴했다. 2009년 오스트레일리아 훈장을 수여받았고, 2017년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남자 장대높이뛰기 선수 - 커티스 마셜
오스트레일리아의 장대높이뛰기 선수인 커티스 마셜은 올림픽, 코먼웰스 게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코먼웰스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닉 윌리스
닉 윌리스는 뉴질랜드 출신의 중거리 육상 선수로, 코먼웰스 게임 금메달, 올림픽 1500m 동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 개회식에서 뉴질랜드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 2010년 코먼웰스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샐리 피어슨
샐리 피어슨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육상 선수로, 100m 허들을 주 종목으로 2012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우승했고, 2019년에 은퇴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매슈 데니
- 오스트레일리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에드윈 플랙
1896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800m와 1500m 금메달을 획득한 호주 육상 선수 에드윈 플랙은 회계사로도 활동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위원회 활동에도 참여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사업이 진행되는 등 호주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스티븐 후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티븐 레슬리 후커 |
애칭 | Hooksy (훅시) |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
출생일 | 1982년 7월 16일 |
출생지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신장 | 187cm |
체중 | 75kg |
종목 | 장대높이뛰기 |
선수 경력 | |
올림픽 출전 | 2004 아테네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 2012 런던 올림픽 |
개인 최고 기록 | 6.06m (2009년)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2008 베이징, 육상 경기 장대높이뛰기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09 베를린, 장대높이뛰기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금메달, 2010 도하, 장대높이뛰기 동메달, 2008 발렌시아, 장대높이뛰기 |
코먼웰스 게임 | 금메달, 2006 멜버른, 장대높이뛰기 금메달, 2010 델리, 장대높이뛰기 |
월드컵 | 금메달, 2006 아테네, 장대높이뛰기 |
컨티넨탈컵 | 금메달, 2010 스플리트, 장대높이뛰기 |
세계 육상 파이널 | 동메달, 2007 슈투트가르트, 장대높이뛰기 |
기타 정보 | |
훈장 | OAM (오스트레일리아 훈장) |
2. 생애
멜버른에서 태어났다. 그레이쏜 초등학교와 빅토리아주 발윈 노스에 위치한 발윈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선수 시절 마크 스튜어트와 알렉스 파르노프의 코치를 받았다.[15] 2008년 1월 27일 서호주 퍼스에서 열린 야외 경기에서 6m를 넘으며 처음으로 '6미터 클럽'에 가입했다.[15] 같은 해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5.96m의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800m의 랠프 더벨 이후 40년 만의 오스트레일리아 남자 육상 금메달이었다.[4][5][6]
그의 어머니인 에리카 후커는 1972년 하계 올림픽 선수였으며 1978년 코먼웰스 게임 멀리뛰기 은메달리스트였다. 또한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9번 우승했다. 아버지 빌은 197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800m와 4 x 400m 릴레이 경기에 호주 대표로 출전했으며, 전국 선수권에서 4번 우승했다.
그는 박스 힐 육상 클럽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으며, 2006년에 프로로 전향했다. 프로 전향 후 퍼스로 이주하여 매우 적은 호주 스포츠 위원회 지원금으로 생활했다.
3. 경력
2009년 2월 7일에는 미국 보스턴 실내 경기에서 6.06m를 기록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실내 신기록을 세웠다.[10] 이후 2009년 베를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10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그리고 2006년 코먼웰스 게임과 201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연달아 우승하며 전성기를 구가했다.[7][8] 2012년 런던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나 결선에서 기록을 내지 못했다.[9]
2014년 4월, 가족에게 집중하기 위해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의 아내는 러시아의 중거리 육상 선수 예카테리나 코스테츠카야이며, 2013년에 첫 아들 막심을 낳았고,[11] 이후 두 아들을 더 두었다.[12]
개인 최고 기록은 야외 6m(2008년 1월), 실내 6.06m(2009년 2월)이며, 두 기록 모두 은퇴 당시 오스트레일리아 기록이었다.[10]
3. 1. 주요 국제 대회 성적
베이징 올림픽에서 5.96m의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4][5][6] 이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랠프 더벨이 800m에서 우승한 이후 40년 만에 나온 호주 남자 육상 선수의 올림픽 금메달이었다.[4][5][6]
2009년 베를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햄스트링 부상에도 불구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첫 시도에서 5.85m를 넘지 못했지만, 두 번째 시도에서 5.9m를 성공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7][8]
2010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6.01m의 대회 신기록으로 우승했다. 또한 2006년 코먼웰스 게임과 201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나, 결선에서 높이를 넘지 못하고 14위를 기록했다.[9]
다음은 스티븐 후커의 주요 국제 대회 성적이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비고 |
---|---|---|---|---|---|
2000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산티아고, 칠레 | 4위 | 5.2m | |
2003 | 하계 유니버시아드 | 대구, 대한민국 | 11위 | 5.1m | |
2006 | 2006년 코먼웰스 게임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1위 | 5.8m | |
세계 육상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5위 | 5.75m | ||
월드컵 | 아테네, 그리스 | 1위 | 5.8m | ||
2007 | 세계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9위 | 5.76m | |
세계 육상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3위 | 5.81m | ||
2008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발렌시아, 스페인 | 3위 | 5.8m | |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1위 | 5.96m | 올림픽 기록 | |
2009 | 세계 선수권 대회 | 베를린, 독일 | 1위 | 5.9m | |
2010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도하, 카타르 | 1위 | 6.01m | 대회 기록 |
컨티넨탈컵 |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 1위 | 5.95m | 대회 기록 | |
2010년 코먼웰스 게임 | 뉴델리, 인도 | 1위 | 5.6m | ||
2011 | 세계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NM | NM | 예선 탈락 |
2012 | 올림픽 | 런던, 영국 | 14위 | NM | 결선 기록 없음 |
3. 2. 전체 대회 성적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순위 | 기록 | 비고 |
---|---|---|---|---|---|---|
2000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산티아고, 칠레 | 장대높이뛰기 | 4위 | 5.20 m | |
2003 | 하계 유니버시아드 | 대구, 대한민국 | 장대높이뛰기 | 11위 | 5.10 m | |
2006 | 코먼웰스 게임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5.80 m | |
세계 육상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5위 | 5.75 m | ||
월드컵 | 아테네, 그리스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5.80 m | ||
2007 | 세계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장대높이뛰기 | 9위 | 5.76 m | |
세계 육상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3위 (동) | 5.81 m | ||
2008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발렌시아,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3위 (동) | 5.80 m | |
2008년 하계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5.96 m | 올림픽 기록(OR) | |
2009 | 세계 선수권 대회 | 베를린, 독일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5.90 m | |
2010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도하, 카타르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6.01 m | 대회 기록(CR) |
컨티넨탈컵 | 스플리트, 크로아티아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5.95 m | 대회 기록(CR) | |
코먼웰스 게임 | 뉴델리, 인도 | 장대높이뛰기 | 1위 (금) | 5.60 m | ||
2011 | 세계 선수권 대회 | 대구, 대한민국 | 장대높이뛰기 | 예선 탈락 | NM | |
2012 | 2012년 하계 올림픽 | 런던, 영국 | 장대높이뛰기 | 결선 기록 없음 | NM |
4. 수상
2009년 오스트레일리아 국경일 명예 훈장에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서 스포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오스트레일리아 훈장 메달(OAM)을 수여받았다.[13][14] 2017년 10월, 선수 자격으로 스포츠 오스트레일리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5]
참조
[1]
웹사이트
Steve Hooker's profile at the IAAF site
http://www.iaaf.org/[...]
[2]
웹사이트
Hooker's rise continues - 6.06m in Boston
http://iaaf.org/news[...]
2009-02-09
[3]
웹사이트
Steve Hooker to run in Stawell Gift
http://www.theage.co[...]
2010-03-18
[4]
뉴스
Steve Hooker lives out his Olympic games dream
https://web.archive.[...]
2009-01-06
[5]
뉴스
Hooker gives Australia pole gold
2008-08-22
[6]
뉴스
Aussie Hooker wins pole vault gold medal
https://web.archive.[...]
Yahoo Sports
2008-08-24
[7]
뉴스
Hooker wins pole vault gold at worlds
https://www.usatoday[...]
2009-08-26
[8]
간행물
Hooked on Success
http://issuu.com/ins[...]
Inside Athletics (September 2009 edition)
2009-10-07
[9]
웹사이트
Steven Hooker
https://web.archive.[...]
2017-10-11
[10]
웹사이트
Steven Hooker
https://www.iaaf.org[...]
2017-10-11
[11]
뉴스
Australian pole vault star Steve Hooker retires
http://www.iaaf.org/[...]
IAAF
2014-04-12
[12]
웹사이트
Athletic family hits the heights with love of Richmond
https://www.innereas[...]
Australian Community Media
2023-05-07
[13]
웹사이트
Medal (OAM) of the Order of Australia in the General Division (A-E)
https://www.gg.gov.a[...]
2022-07-29
[14]
웹사이트
"For service to sport as a Gold Medallist at the Beijing 2008 Olympic Games"
https://honours.pmc.[...]
It's an Honour
2009-01-26
[15]
웹사이트
Steve Hooker's golden record vaults him into Hall of Fame
https://sahof.org.au[...]
2020-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