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령 동인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인령 동인도는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탐험으로 시작되어, 필리핀, 괌, 마리아나 제도, 캐롤라인 제도, 팔라우 등을 포함하는 스페인 제국의 아시아 식민지였다. 스페인은 16세기부터 동아시아 무역 기지로서 이 지역을 통치하며 가톨릭 전파, 스페인식 이름과 성 사용, 언어, 예술, 음식 등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남겼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으로 필리핀과 괌이 미국에 점령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독일 제국에 매각되면서 스페인령 동인도는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필리핀 관계 - 필리핀 도독부
156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이 필리핀을 통치한 식민 정부인 필리핀 도독부는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종속국으로 설립되어 정치, 경제, 사회에 걸쳐 스페인의 영향력을 행사하며 필리핀 사회를 변화시키고 토착민들의 저항을 야기했다. - 괌의 역사 - 필리핀 도독부
156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이 필리핀을 통치한 식민 정부인 필리핀 도독부는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종속국으로 설립되어 정치, 경제, 사회에 걸쳐 스페인의 영향력을 행사하며 필리핀 사회를 변화시키고 토착민들의 저항을 야기했다. - 괌의 역사 -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코로나19 범유행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초 항공모함 USS 시어도어 루스벨트에서 발생한 집단 감염 사건으로, 확진자 급증, 함장 해임, 해군 수뇌부 대응 비판, 해군 장관 대행 사임 등의 논란을 낳으며 미 해군의 위기 관리 능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 팔라우의 역사 - 필리핀 도독부
1565년부터 1898년까지 스페인이 필리핀을 통치한 식민 정부인 필리핀 도독부는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의 종속국으로 설립되어 정치, 경제, 사회에 걸쳐 스페인의 영향력을 행사하며 필리핀 사회를 변화시키고 토착민들의 저항을 야기했다. - 팔라우의 역사 -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유엔의 신탁통치령으로 관리한 지역으로, 1947년 전략 지역으로 지정되어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순차적으로 신탁통치령이 종료되면서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팔라우 등 4개의 자치 정부가 수립되었다.
스페인령 동인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스페인령 동인도 |
현지 명칭 | 스페인어: Indias orientales españolas (인디아스 오리엔탈레스 에스파뇰라스) 필리핀어: Silangang Indiyas ng Espanya (실랑앙 인디야스 응 에스파냐) |
역사 | |
성립 | 1565년 4월 27일,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세부를 식민지화 |
주요 사건 | 1642년 8월 26일: 스페인령 포르모사 상실 (산 살바도르 전투) 1898년 6월 12일: 필리핀 독립 선언 1898년 12월 10일: 파리 조약으로 미국이 필리핀과 괌을 합병 1899년 2월 12일: 독일-스페인 조약으로 남은 섬들을 독일에 매각 |
해체 | 1901년 3월 23일, 워싱턴 조약으로 남은 섬들을 미국에 할양 |
수도 | |
수도 목록 | 세부 (1565년–1571년) 마닐라 (1571년–1898년) 일로일로 (1898년 8월 13일 – 1898년 12월 10일) |
정치 | |
정치 체제 | 해외 영토 |
소속 제국 | 스페인 제국 |
이전 소속 |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1565년–1821년) |
입법부 | 코르테스 헤네랄레스 |
군주 | |
최초 | 펠리페 2세 (1565년–1598년) |
마지막 | 알폰소 13세 (1886년–1898년) |
언어 | |
공용어 | 스페인어 |
통용어 | 필리핀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동포르모사어군 호키엔어 |
종교 | |
종교 | 가톨릭교 (국교) 이슬람교 필리핀 전통 종교 미크로네시아 전통 종교 해외 중국 민간 신앙 |
상징 | |
국가 모토 | Plus Ultra (플루스 울트라) "더 멀리" |
국가 | Marcha Real (마르차 레알) "왕의 행진" |
통계 | |
면적 (1877년) | 345,155 km² |
인구 (1877년) | 5,567,685명 |
통화 | |
통화 | 스페인 달러 스페인 페세타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필리핀 괌 대만 팔라우 북마리아나 제도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
지도 | |
국기 | |
![]() | |
국장 | |
![]() |
2. 역사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가 마리아나 제도와 필리핀에 도착하면서 스페인의 동인도 진출이 시작되었다.[3] 포르투갈 제국이 희망봉 주변의 인도양으로의 접근을 교황 칙서와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지원되는 독점권을 지키고 있었기 때문에, 스페인은 극동과의 접촉을 마젤란 해협을 거쳐 태평양으로 가는 길을 발견한 마젤란 원정이 성공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마젤란은 세부 라자국의 라자 후마본과 가톨릭으로의 개종 및 동맹을 맺었지만, 막탄 전투에서 사망했다. 마젤란의 말레이인 노예 말라카의 엔리케는 통역관으로 활동하였는데, 마젤란의 유언을 존중하여 자신을 해방시켜주지 않자 후마본을 설득하여 스페인인 학살을 유발했다.[3] 생존자들은 향신료 제도의 티도레 술탄국에 도착하여 술탄 알만수르 오브 티도레는 스페인의 봉신이 되었다.[3] 그러나 안토니오 데 브리토 휘하의 포르투갈군이 알만수르에게 스페인 사람들을 넘겨주고 스페인과의 관계를 단절하도록 강요했다.[4]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1세는 1529년 4월 22일 사라고사 조약에서 동인도에 대한 자신의 모든 이익을 350,000 스페인 두카트에 팔았다.
동인도와 아메리카 사이의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무역을 발전시키기 위해, 안토니오 데 멘도사는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의 필리핀 원정을 의뢰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1565년에 필리핀에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인 산 미겔을 건설했다.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는 필리핀에서 멕시코로 가는 해상 노선을 발견하여 마닐라 갤리온의 중요한 환태평양 수송 링크를 만들었다. 1571년, 스페인인들은 톤도와 마닐라 사이의 경쟁을 이용하여 마닐라를 점령하고, 필리핀 총독부의 소재지로 삼았다. 부투안 라자국과 다피탄, 마자아스의 카다투안은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다.
필리핀은 카스티야 전쟁, 아체 술탄국의 오스만 제국 보호령에 대한 습격, 캄보디아-스페인 전쟁 등 아시아에서 더 많은 스페인 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스페인 왕관이 주장하는 이러한 아시아 지역은 멕시코 시티의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에서 통치되었다.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은 아시아-태평양과 아메리카 대륙에서 수집된 상품을 멕시코로 운송했다. 아시아-태평양에서 가져온 상품은 베라크루스로 보내져 스페인으로, 그리고 무역을 통해 유럽의 나머지 지역으로 보내졌으며, 스페인-멕시코 항해사들은 스페인과 멕시코 원주민의 관습 등을 필리핀, 괌 및 마리아나 제도로 가져갔다.
1606년, 스페인은 말루쿠 제도와 무역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1663년까지 지속되었다. 에도 시대 일본과의 접촉도 이루어졌으며, 세바스티안 비스카이노는 1611년에 대사로 파견되었고, 일본은 1630년에 무역 거점을 폐쇄했다. 16세기에 스페인 선박은 뉴기니 (이니고 오르티스 데 레테스 1545년), 솔로몬 제도 (페드로 사르미엔토 데 감보아 1568년), 마르케사스 제도 (알바로 데 멘다냐 데 네이라 1595년)를 포함한 여러 태평양 섬을 방문했지만 그들과 무역하거나 식민지화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았다.
17세기 전반기 동안 스페인령 동인도 안팎에서 네덜란드와 여러 차례 충돌이 있었으며, 네덜란드는 동남아시아에서 자국의 이익을 확장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646년의 마닐라 해전 연쇄 전투였으며, 당시 지역 스페인군은 필리핀을 장악하려는 네덜란드의 합동 노력을 격퇴했다.
1668년, 축복받은 디에고 루이스 데 산 비토레스는 괌에 최초의 선교부를 설립했으며, 그곳에서 그와 성 페드로 칼룽소드는 나중에 순교했다.
1762년, 영국군은 마닐라를 점령하여 20개월 동안 점령했다. 스페인군은 영국 침공에 저항할 수 있었고, 영국군을 마닐라와 인근 카비테에 가두었다. 디에고 실랑과 가브리엘라 실랑과 같은 현지 지도자들의 반란은 스페인에 의해 진압되었다.[7]
2. 1. 탐험과 정착 (1521–1643)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가 마리아나 제도와 필리핀에 도착하면서 스페인의 동인도 진출이 시작되었다.[3] 포르투갈 제국이 희망봉 주변의 인도양으로의 접근을 교황 칙서와 토르데시야스 조약으로 지원되는 독점권을 지키고 있었기 때문에, 스페인은 극동과의 접촉을 마젤란 해협을 거쳐 태평양으로 가는 길을 발견한 마젤란 원정이 성공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마젤란은 세부 라자국의 라자 후마본과 가톨릭으로의 개종 및 동맹을 맺었지만, 막탄 전투에서 사망했다. 마젤란의 말레이인 노예 말라카의 엔리케는 통역관으로 활동하였는데, 마젤란의 유언을 존중하여 자신을 해방시켜주지 않자 후마본을 설득하여 스페인인 학살을 유발했다.[3] 생존자들은 향신료 제도의 티도레 술탄국에 도착하여 술탄 알만수르 오브 티도레는 스페인의 봉신이 되었다.[3] 그러나 안토니오 데 브리토 휘하의 포르투갈군이 알만수르에게 스페인 사람들을 넘겨주고 스페인과의 관계를 단절하도록 강요했다.[4]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1세는 1529년 4월 22일 사라고사 조약에서 동인도에 대한 자신의 모든 이익을 350,000 스페인 두카트에 팔았다.
|thumb|left|필리핀에서 초기 스페인 원정의 경로.|480x480px]]
동인도와 아메리카 사이의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무역을 발전시키기 위해, 안토니오 데 멘도사는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의 필리핀 원정을 의뢰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1565년에 필리핀에 최초의 스페인 정착지인 산 미겔을 건설했다.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는 필리핀에서 멕시코로 가는 해상 노선을 발견하여 마닐라 갤리온의 중요한 환태평양 수송 링크를 만들었다. 1571년, 스페인인들은 톤도와 마닐라 사이의 경쟁을 이용하여 마닐라를 점령하고, 필리핀 총독부의 소재지로 삼았다. 부투안 라자국과 다피탄, 마자아스의 카다투안은 스페인과 동맹을 맺었다.
필리핀은 카스티야 전쟁, 아체 술탄국의 오스만 제국 보호령에 대한 습격, 캄보디아-스페인 전쟁 등 아시아에서 더 많은 스페인 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스페인 왕관이 주장하는 이러한 아시아 지역은 멕시코 시티의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에서 통치되었다.
마닐라-아카풀코 갤리온은 아시아-태평양과 아메리카 대륙에서 수집된 상품을 멕시코로 운송했다. 아시아-태평양에서 가져온 상품은 베라크루스로 보내져 스페인으로, 그리고 무역을 통해 유럽의 나머지 지역으로 보내졌으며, 스페인-멕시코 항해사들은 스페인과 멕시코 원주민의 관습 등을 필리핀, 괌 및 마리아나 제도로 가져갔다.
1606년, 스페인은 말루쿠 제도와 무역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1663년까지 지속되었다. 에도 시대 일본과의 접촉도 이루어졌으며, 세바스티안 비스카이노는 1611년에 대사로 파견되었고, 일본은 1630년에 무역 거점을 폐쇄했다. 16세기에 스페인 선박은 뉴기니 (이니고 오르티스 데 레테스 1545년), 솔로몬 제도 (페드로 사르미엔토 데 감보아 1568년), 마르케사스 제도 (알바로 데 멘다냐 데 네이라 1595년)를 포함한 여러 태평양 섬을 방문했지만 그들과 무역하거나 식민지화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았다.
17세기 전반기 동안 스페인령 동인도 안팎에서 네덜란드와 여러 차례 충돌이 있었으며, 네덜란드는 동남아시아에서 자국의 이익을 확장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646년의 마닐라 해전 연쇄 전투였으며, 당시 지역 스페인군은 필리핀을 장악하려는 네덜란드의 합동 노력을 격퇴했다.
1668년, 축복받은 디에고 루이스 데 산 비토레스는 괌에 최초의 선교부를 설립했으며, 그곳에서 그와 성 페드로 칼룽소드는 나중에 순교했다.
1762년, 영국군은 마닐라를 점령하여 20개월 동안 점령했다. 스페인군은 영국 침공에 저항할 수 있었고, 영국군을 마닐라와 인근 카비테에 가두었다. 디에고 실랑과 가브리엘라 실랑과 같은 현지 지도자들의 반란은 스페인에 의해 진압되었다.[7]
2. 2. 네덜란드와의 충돌과 종교 전파
2. 3. 영국과의 갈등
2. 4. 스페인령 동인도의 영토

스페인령 동인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 라스 이슬라스 필리피나스(오늘날 필리핀 공화국): 마닐라, 루손, 비사야스, 팔라완, 발람방안 섬, 북 민다나오, 삼보앙가, 바실란, 홀로, 팔마스 제도, 스프래틀리 제도; 지룽, 타이완, 그리고 테르나테, 티도레의 말루쿠 제도와 술라웨시 북부(구 셀레베스)의 마나도에 있는 고립된 전초 기지 포함.
- 이슬라스 캐롤리나스 (미크로네시아 연방)
- 이슬라스 마리아나스 (북마리아나 제도 연방 및 미국 괌)
- 이슬라스 팔라오스 (팔라우 공화국)
스페인이 통치했던 영토의 연대기는 다음과 같다.
- 필리핀 총독부 (1565–1898) (현재 필리핀).
- 팔라우 (1574–1899).
- 마리아나스 (1667–1898 또는 1899) (현재 괌 및 북마리아나 제도).
- 캐롤라인스 (누에바스 필리피나스) (1686–1899) (현재 미크로네시아 연방).
- 포르모사의 일부 (현재 타이완) (1626–1642).
- 술라웨시와 몰루카스의 일부 (1580–1663) (현재 인도네시아의 일부).
민다나오 섬은 그란 몰루카(Gran Moluca), 루손은 누에바 카스티야(Nueva Castilla)라고 불렸다.
이 지역에 대한 스페인의 관심은 주로 동아시아와의 무역 기지로서의 역할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 대한 스페인의 직접적인 통제는 천천히 확장되었다. 바타네스 제도는 18세기에 호세 바스코 이 바르가스에 의해 정복되었다. 루손 고원 지역은 19세기 초까지 스페인의 통제에서 벗어났고, 팔라완의 최남단은 1890년대 후반까지 통제되지 않았다. 민다나오의 나머지 지역(카에사레아 카롤리)은 북 민다나오, 삼보앙가, 코타바토, 그리고 바실란과 홀로의 섬에 있는 전초 기지를 제외하고는, 스페인 통치를 인정하면서 명목상 스페인의 통제를 받았지만, 술루 술탄국, 마긴다나오 술탄국과 같은 그들의 문제를 스스로 관리하도록 남겨두었으며, 이에 속하지 않은 다수의 루마드 부족도 마찬가지였다. 마찬가지로, 팔라우와 캐롤라인 제도의 대다수는 19세기 초까지 스페인 선교단에 의해 통치되지 않았다.
3. 스페인 통치의 유산
3. 1. 문화적 영향
필리핀, 괌, 마리아나 제도 등 스페인령 동인도 지역에는 스페인의 문화적 영향이 짙게 남아있다. 주민 대다수는 16세기와 17세기 스페인 선교사들이 전파한 가톨릭 신앙을 믿고 있다. 이들 국가의 인구 중 상당수는 스페인식 이름과 성을 사용해야 했으며, 이 중 많은 수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3세기에 걸친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스페인인들이 새로운 도구, 제품, 작물,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에 많은 스페인 차용어가 이들 국가의 토착 언어에 유입되었다. 음악, 건축, 패션과 같은 예술 형식 역시 스페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들 국가의 전통 음식에도 몇 가지 스페인 요소가 있다.3. 2. 필리핀의 영향
북마리아나 제도(45~55%)와 괌(30~45%), 팔라우(15~25%)의 현재 인구 중 상당수는 필리핀계이다.[9] 앞서 언급한 지역의 일부 주민들은 필리핀 이름과 성을 사용한다(예: 필리핀 성인 팡일리난(Pangilinan)에서 유래한 팡겔리난(Pangelinan) 성).[9] 현재의 차모로족 인구도 스페인 통치 시대에 괌, 북마리아나 제도와 필리핀 사이의 역사적 연관성, 그리고 현재의 다양한 이주 물결로 인해 일부는 필리핀계로 추정된다.[9] 괌,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의 요리도 필리핀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판싯, 룸피아, 켈라구엔, 할로할로, 오코이와 같은 요리가 가장 두드러진다.[9]4. 멸망
누에바에스파냐 부왕의 통치를 받던 스페인령 동인도는 멕시코 독립 이후 스페인의 직접 통치를 받게 되었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 결과, 필리핀과 괌이 미국에 점령되었다. 남은 섬들은 1899년 독일 제국과의 조약에 의해 독일령 뉴기니의 일부로 매각되었다. 스페인 국왕은 전통적으로 스스로를 "동서 인도 제도의 왕"(Rey de las Indias orientales y occidentaleses)이라고 칭했다.
5. 추가 참고
5. 1. 필리핀 역사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Spain Treaties in Force, January 1, 2009
https://web.archive.[...]
2017-06-25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Philippines Census Years 1799 to 2007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2-07-04
[3]
서적
The First Voyage around the World (1519–1522): An Account of Magellan's Expedi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5
[4]
서적
Magellan's Voyage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Arthur H. Clark Co.
1906
[5]
간행물
Hispanic American Historical Review
Duke University Press
1971-05
[6]
웹사이트
Second Book of the Second Part of the Conquests of the Filipinas Islands and Chronicle of the Religious of Our Father St. Augustine
http://www.zamboanga[...]
[7]
웹사이트
The British Conquest of Manila {{!}} Presidential Museum and Library
http://malacanang.go[...]
2022-11-16
[8]
웹사이트
The Audiencia in the Spanish Colonies as Illustrated by the Audiencia of Manila (1583–1800)
https://www.gutenber[...]
2022-11-16
[9]
서적
Memorias históricas y estadísticas de Filipinas y particularmente de la grande isla de Luzon
Publicado por Imprenta del Diario de Manila
1830
[10]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Philippines Census Years 1799 to 2007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2-07-04
[11]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