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마다 겐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마다 겐타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게센누마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다이요 웨일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960년에는 20세 11개월의 나이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1960년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으며, 1968년에는 최고 승률을 기록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야구 해설가와 코치를 역임했으며, 2024년 6월 16일, 향년 84세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요 웨일스 선수 - 사이토 아키오
    사이토 아키오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1977년부터 1993년까지 활약하며, 오른손 투수 최초로 100승 100세이브를 달성하고 신인왕을 수상한 후 은퇴, 야구 해설가와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 다이요 웨일스 선수 - 마쓰바라 마코토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 마쓰바라 마코토는 사이타마현 출신으로 포수와 내야수로 활약하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의 전신팀인 다이요 웨일스의 간판 타자로 이름을 알렸고,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를 역임하고 야구 해설가로도 활동했다.
  • 미야기현 출신 - 후지무라 신이치
    일본 아마추어 고고학자 후지무라 신이치는 구석기 유물 발굴 조작이 발각되어 고고학계에서 추방되었으며, 이 사건은 연구 윤리와 검증 시스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 미야기현 출신 - 이와이 슌지
    이와이 슌지는 독특한 영상미와 감성적인 스토리텔링으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한 일본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 소설가, 프로듀서이다.
  • 센트럴 리그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센트럴 리그 - 후루타 아쓰야
    후루타 아쓰야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감독, 해설가 및 방송인으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주전 포수로서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으로 MVP를 수상하고 도루 저지율 신기록을 세웠으며, 선수회 회장으로서 파업을 주도하여 선수 권익 신장에 기여했고 야쿠르트 스왈로스 감독을 역임했다.
시마다 겐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시마다 겐타로
원어명Gentaro Shimada
일본어 표기시마다 겐타로
로마자 표기Shimada Gentaro
가나しまだ げんたろう
한자島田 源太郎
국적일본
출신지미야기현
생년월일1939년 8월 25일
사망일2024년 6월 16일
신장179cm
체중83kg
수비 위치투수
투구
타석
프로 입단 연도1958년
첫 출장1958년
마지막 경기1973년
선수 경력
소속 구단다이요 웨일스 (1958 ~ 1970, 1972 ~ 1973)
코치 경력
코치다이요 웨일스 (1971 ~ 1972)
코치롯데 오리온스 (1982 ~ 1983)
기타 정보
출신 학교미야기현 기센누마 고등학교

2. 선수 경력

게센누마 고등학교 3학년이던 1957년 여름 고시엔 현 예선에서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센다이 제2고등학교에 패했다.[2] 졸업 후에는 모리오카 철도 관리국에 입사가 내정되었지만, 프로 입단에 대한 꿈을 버리지 못하고 다이요 웨일스의 입단 테스트를 치러 합격하여 테스트생 신분으로 계약금 없이 입단했다.[2]

1958년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봄 캠프에서 크게 꺾이는 커브가 주목받아 1군에 발탁되었다.[3] 11경기에 등판하여 2승을 거두었지만, 오사카 원정 귀가길에 오사카역 플랫폼에서 섀도 피칭을 하다가 균형을 잃고 선로에 떨어져 오른손목이 골절되었다.[3] 1959년에는 8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을 기록했다.

1960년에는 개막부터 선발의 주축으로 기용되었다. 8월 11일 한신 타이거스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무라야마 미노루를 상대로 1-0으로 승리하여 2022년 4월 10일 사사키 로키에게 갱신되기 전까지 역대 최연소인 20세 11개월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4] 같은 해 팀 최다인 41경기에 선발 등판, 아키야마 노보루의 21승에 이어 19승(10패)을 거두고, 방어율도 2.29로 리그 5위에 오르는 등 구단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5] 다이마이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2경기에 선발 등판, 제2전에서 승리 투수가 되어 팀 일본 제일에 크게 기여했다.

1961년에도 9승을 거두었지만 19패로 크게 패했으며, 1962년에는 개막 투수를 맡았지만 6승 13패로 끝나고, 게다가 추계 캠프에서 오른쪽 어깨를 다쳤다. 그 후, 1964년부터 1966년까지 3년간 겨우 2승을 거두며 오랫동안 부진했다.

1967년 10월에는 선발로 복귀하여 2 완봉을 기록했지만, 같은 해 오프에는 자유 계약이 되었다. 그러나 가계부를 지참하여 어려운 가정 형편을 호소하여 1년간의 계약 연장을 따냈다. 다음 해 1968년에는 개막부터 10연승을 달성하는 등 14승 6패의 좋은 성적으로 최고 승률을 기록했고, 방어율도 2.89로 리그 10위에 올랐다. 1969년에는 5승으로 성적이 하락했고, 1970년에는 3경기 등판에 그쳐 시즌 종료 후 한 번 현역에서 은퇴했다. 1971년부터 다이요의 투수 코치 보좌를 맡았다.

1972년 7월에 히라마쓰 마사지가 부상당하고 사카이 가쓰지가 부진한 가운데 갑자기 현역으로 복귀했다.[7] 3경기에 구원 등판하여 무실점으로 막았고, 8월 16일 주니치전(가와사키)에서 2실점 완투승을 포함하여 3승을 기록했다.[6] 1973년에는 패전 처리를 중심으로 9경기 등판에 그쳤고, 같은 해를 마지막으로 다시 은퇴했다.

시마다는 은퇴 후 1974년부터 1981년까지 도호쿠 방송·센다이 방송에서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1] 1982년부터 1983년까지는 (현)지바 롯데 마린스 2군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1] 2024년 6월 16일, 지병으로 인해 향년 8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1]

2. 1. 프로 입단 전

게센누마 고등학교 3학년이던 1957년 여름 고시엔 현 예선에서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센다이 제2고등학교에 패했다.[2] 졸업 후에는 모리오카 철도 관리국에 입사가 내정되었지만, 프로 입단에 대한 꿈을 버리지 못하고 다이요 웨일스의 입단 테스트를 치러 합격하여 테스트생 신분으로 계약금 없이 입단했다.[2]

2. 2. 다이요 웨일스 시절

1958년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봄 캠프에서 크게 꺾이는 커브가 주목받아 1군에 발탁되었다.[3] 11경기에 등판하여 2승을 거두었지만, 오사카 원정 귀가길에 오사카역 플랫폼에서 섀도 피칭을 하다가 균형을 잃고 선로에 떨어져 오른손목이 골절되었다.[3] 1959년에는 8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을 기록했다.

1960년에는 개막부터 선발의 주축으로 기용되었다. 8월 11일 한신 타이거스전(가와사키 구장)에서는 무라야마 미노루를 상대로 1-0으로 승리하여 2022년 4월 10일 사사키 로키에게 갱신되기 전까지 역대 최연소인 20세 11개월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4] 같은 해 팀 최다인 41경기에 선발 등판, 아키야마 노보루의 21승에 이어 19승(10패)을 거두고, 방어율도 2.29로 리그 5위에 오르는 등 구단의 첫 우승에 기여했다.[5] 다이마이와의 일본 시리즈에서도 2경기에 선발 등판, 제2전에서 승리 투수가 되어 팀 일본 제일에 크게 기여했다.

1961년에도 9승을 거두었지만 19패로 크게 패했으며, 1962년에는 개막 투수를 맡았지만 6승 13패로 끝나고, 게다가 추계 캠프에서 오른쪽 어깨를 다쳤다. 그 후, 1964년부터 1966년까지 3년간 겨우 2승을 거두며 오랫동안 부진했다.

1967년 10월에는 선발로 복귀하여 2 완봉을 기록했지만, 같은 해 오프에는 자유 계약이 되었다. 그러나 가계부를 지참하여 어려운 가정 형편을 호소하여 1년간의 계약 연장을 따냈다. 다음 해 1968년에는 개막부터 10연승을 달성하는 등 14승 6패의 좋은 성적으로 최고 승률을 기록했고, 방어율도 2.89로 리그 10위에 올랐다. 1969년에는 5승으로 성적이 하락했고, 1970년에는 3경기 등판에 그쳐 시즌 종료 후 한 번 현역에서 은퇴했다. 1971년부터 다이요의 투수 코치 보좌를 맡았다.

1972년 7월에 히라마쓰 마사지가 부상당하고 사카이 가쓰지가 부진한 가운데 갑자기 현역으로 복귀했다.[7] 3경기에 구원 등판하여 무실점으로 막았고, 8월 16일 주니치전(가와사키)에서 2실점 완투승을 포함하여 3승을 기록했다.[6] 1973년에는 패전 처리를 중심으로 9경기 등판에 그쳤고, 같은 해를 마지막으로 다시 은퇴했다.

2. 3. 은퇴 이후

시마다는 은퇴 후 1974년부터 1981년까지 도호쿠 방송·센다이 방송에서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1] 1982년부터 1983년까지는 (현)지바 롯데 마린스 2군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1] 2024년 6월 16일, 지병으로 인해 향년 84세의 나이로 별세했다.[1]

3. 투구 스타일

허리를 굽힌 듯한 자세로 폼을 잡고, 무거운 짐을 에서 던지는 듯한 독특한 투구 폼으로, 묵직하고 날카롭게 떨어지는 아웃 드롭을 무기로 삼았다.[7]

4. 일화

도호쿠벤을 쓰는 어눌한 말투 때문에 '''잠결의 근원''', '''얼빠진 근원'''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7]

5. 상세 정보

5. 1. 출신 학교

미야기현 게센누마 고등학교 출신이다.

5. 2. 선수 경력

다이요 웨일스(1958년 ~ 1970년, 1972년 ~ 1973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5. 3. 지도자 경력

다이요 웨일스 투수 코치(1971년 ~ 1972년)를 역임했다. 롯데 오리온스 2군 투수 코치(1982년 ~ 1983년)를 역임했다.

5. 4. 수상·타이틀 경력

5. 5. 개인 기록

1960년 8월 11일, 가와사키 구장에서 열린 오사카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역대 6번째이자 센트럴 리그 최연소 기록(20세 11개월)으로 퍼펙트 게임을 달성했다. 올스타전에 2회(1960년, 1968년) 출장했다.

5. 6. 등번호

시마다 겐타로는 1958년에 등번호 53번을 사용했다. 1959년부터 1971년, 그리고 1973년에는 20번을 사용했고, 1972년에는 13번을 사용했다. 1982년부터 1983년까지는 75번을 사용했다.

참조

[1] 뉴스 【独自】宮城・気仙沼出身、元プロ野球大洋の島田源太郎さん死去 史上最年少で完全試合達成 https://kahoku.news/[...] 河北新報オンライン 2024-12-04
[2]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3]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4] 웹사이트 大洋で完全試合の元投手ら逮捕 財団かたり詐欺容疑 http://www.asahi.com[...] 아사히 신문 2012-04-20
[5] 뉴스 手紙で思い出す「ゲンちゃん」こと島田源太郎 そして森祇晶の凄さに思いを… https://www.tokyo-sp[...] 東スポ
[6] 뉴스 "大洋のベテラン・島田源太郎が見事な復活勝利/週べ回顧1972年編"週刊ベースボールONLINE、2021年3月24日 https://column.sp.ba[...] 週刊ベースボールONLINE 2021-03-24
[7] 서적 魔球伝説-プロ野球不滅のヒーローたち
[8] 웹인용 大洋で完全試合の元投手ら逮捕 財団かたり詐欺容疑 https://web.archive.[...] 아사히 신문 201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