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경다양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다양성은 1990년대 후반 자폐 권리 운동에서 시작된 용어로, 뇌의 다양한 구조와 기능 방식을 존중하는 개념이다. 자폐 스펙트럼을 중심으로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ADHD, 난독증 등 다양한 신경학적, 정신적 차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신경다양성 운동은 자폐를 질병으로 보기보다는 사회적 다양성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신경다양인들의 권리를 옹호하며, 사회적 지원과 이해를 강조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신경다양성이 중증 자폐인 등 다양한 신경다양인의 특성을 포괄하지 못하고 치료의 필요성을 간과한다는 비판도 있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소개되었으며, 자폐 권리 운동을 중심으로 논의가 시작되었고, 사회적 인식 부족과 차별 해소가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활동주의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활동주의 - 자원봉사
    자원봉사는 금전적 보상 없이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기여하는 행위이며, 이타심, 사회적 유대감 등 다양한 동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지만, 저임금 일자리 대체와 같은 문제점도 지적된다.
  • 장애인 인권 - 기회균등
    기회균등은 개인의 통제 밖 요인으로 차별 없이 능력과 노력에 따라 사회적 성취를 이루도록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는 것으로,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으로 나뉘며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하지만 능력주의 비판과 역차별 논란이 존재하고, 대한민국 헌법에서 보장되나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장애인 인권 - 장애인 차별
    장애인 차별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이유로 개인을 차별하는 현상으로, 역사, 유형, 영향, 원인, 국가별 사례를 포함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1990년대 신조어 - 블로그
    블로그는 웹로그의 줄임말로, 개인이나 단체가 글, 사진,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웹사이트이며, 다양한 종류와 운영 방식이 존재하고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지만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 1990년대 신조어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신경다양성
개요
신경다양성 기호
신경다양성 기호
핵심 내용
정의신경학적 차이의 자연스러운 변이
관련 용어신경정형성
자폐 스펙트럼
독립생활 (자폐 스펙트럼)

2. 역사

신경다양성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자폐 권리 운동의 일환으로 호주의 사회학자 주디 싱어와 미국의 저널리스트 하비 블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224][226] 주디 싱어는 스스로를 '자폐 스펙트럼 어디께의 존재'라고 묘사한 사회학자였다.[224] 그녀의 논문은 InLv 메일링 리스트에 대한 논의를 주제로 신경다양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225][224] 하비 블룸은 더 애틀랜틱에 기고한 1998년 9월 30일 기사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출판물에 사용된 최초의 예시이다.[227] 이는 자폐증 원인에 대한 기존의 정설인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1260.html 냉장고 엄마 이론]에서 탈피하려는 움직임이었다.[228]

몇몇 연구자들은[229][230] 신경다양성 개념의 발전 초기에 자폐 운동가 짐 싱클레어의 기여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국제 자폐 온라인 커뮤니티의 조직자 중 한 명으로, 1993년 "우리는 애도가 필요없다(Don't mourn for us)"라는 연설에서 자폐증을 질병이 아닌 존재 방식으로 규정했다.[231]

하비 블룸은 1997년 6월 30일 기고문에서 신경다양인들의 재단이 원래 "신경다원주의(pluralism)"라는 용어를 사용하던 것을 확인했다.[232] 그는 인터넷이 국제적인 신경다양성 운동을 육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33]

초기에는 자폐 스펙트럼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점차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난독증, 양극성 장애, 조현병 등 다양한 신경학적, 정신적 차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2. 1. 한국에서의 신경다양성 논의

한국에서는 신경다양성 개념이 비교적 최근에 소개되었으며, 자폐 권리 운동을 중심으로 논의가 시작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신경다양성을 포용하고 사회적 다양성을 증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신경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오해, 그리고 신경다양인에 대한 차별과 배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신경다양성 운동 내의 옹호자들은 신경다양성에 대한 의학적 관점의 낙인을 제거하기 위해 스스로를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다른 대체 신조어들을 만들기도 했는데, "신경매콤"과 같은 이러한 용어는 종종 신경다양인 대신 스스로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103][104]

3. 신경다양성 패러다임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신경학적 차이를 병리적인 문제로 보는 의학적 모델과 대조적으로, 다양성의 한 형태로 이해한다. 닉 워커는 신경다양성을 '모든 뇌는 어느 정도 독특하다'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신경다양성 운동을 권리 운동으로,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을 다양성, 문화적 구성, 사회적 역학에 대한 더 광범위한 논의로 정의했다.[46][47]

1990년대 자폐 권리 운동의 부상 이후, 카시안 아사수마수를 포함한 많은 자폐 옹호자들은 자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폐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세상을 경험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 결과, 아사수마수는 2000년경에 관련 용어인 신경다양성(neurodivergent)과 신경다양성(neurodivergence)을 만들었다.[47][94]

1998년, '신경다양성(neurodiversity)'이라는 단어가 미국 저널리스트 하비 블룸(Harvey Blume)의 기사에서 처음 등장했다.[20] 이 단어는 1996년부터 InLv와 같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신경학적 다양성(neurological diversity)'이라는 단어의 포트만토였다.[2] 같은 해, 주디 싱어의 사회학 명예 논문에도 게재되었으며,[23][21] 블룸이 참여한 독립 생활 메일링 리스트에서의 토론을 바탕으로 했다.[22] 싱어는 자신을 "아마도 자폐 스펙트럼 어딘가에 속해 있을 것"이라고 묘사했다.[23]

몇몇 연구자들은[229][230] 신경다양성 개념의 발전 초기에 자폐 운동가 짐 싱클레어의 기여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1993년 그가 한 연설 "우리는 애도가 필요없다(Don't mourn for us)"에서 "자폐인에게서 자폐증만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It is not possible to separate the person from the autism)."라고 하여 자폐증을 질병이 아닌 존재의 한 방식으로 규정하는 것에 큰 영향을 끼쳤다.[231]

블룸은 인터넷이 국제적인 신경다양성 운동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4] 1997년 6월 30일자 ''뉴욕 타임스'' 기사에서 블룸은 신경다양성의 기초를 '신경학적 다원주의(neurological pluralism)'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했다.[25]

데이미언 밀턴은 2014년 닉 워커가 신경다양성, 신경다양성 운동, 그리고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을 정의하려고 시도했다고 언급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신경다양성 개념과 관련 연구 결과는 과학계의 많은 구성원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고 있으며,[48][49] 자폐증 연구자들이 때때로 차이점을 결함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50][51] 또한 일부 자폐적 특성(예: 자기 부상으로 이어지지 않는 자극적인 행동, 특별한 관심사)을 줄이거나 억제하려는 시도에는 윤리적 문제와 실질적인 위험이 모두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적응적이거나 신경형적 행동(예: 눈 맞춤, 몸짓 언어)을 개입을 통해 주입하려는 시도와 관련이 있다.[52][53]

연구자들은 의학 모델에 기반한 정신 교육이 더 높은 낙인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68] 일부 연구자와 옹호자들은 의학적 접근 방식이 사회적 낙인과 차별주의에 기여할 수 있으며,[69][70] 결함 기반 의학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자폐증에 대한 지속적인 생물학적 연구에 대한 초점은 자폐 커뮤니티의 우선 순위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49][71][72][73][74]

자폐 옹호자이자 연구자인 아리 네이먼은 본질적으로 해로운 특정 특성, 행동 또는 상태(예: 자해 행동, 간질 또는 기타 공존하는 건강 상태)를 치료하는 데 의학 모델의 요소를 적용할 수 있는 특성 기반 접근 방식을 제안하는 반면, 신경다양성 접근 방식은 동일한 개인의 해롭지 않거나 때로는 적응적인 자폐적 특성(예: 자극, 강렬한 관심사)에 적용될 수 있다.[75][76]

최근 몇 년 동안, 연구자들과 신경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은 더 많은 신경다양성 옹호 중재를 옹호해 왔으며, 자폐인들의 목소리와 신경다양성 접근 방식에서 얻은 새로운 중재 전략과 기존 중재 전략의 개혁이 모두 개발되었다.[79][80][81][82][83][84][85][86][87] 또한 일부 연구자와 옹호자들은 더 많은 신경다양성 옹호 정신 교육 및 낙인 감소 방법을 요구해 왔다.[88][89][90][91][92]

3. 1. 신경다양성과 장애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장애' 개념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신경다양성 관점에서는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 장애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이중 공감 문제 이론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이해 부족이 소통의 어려움을 야기한다고 설명한다.[123] 이 이론에 따르면, 자폐인은 다른 자폐인과 더 쉽게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이는 비자폐인 그룹과 유사한 수준이다.[124] 자폐인들이 사회적 동기가 부족하다는 선입견과 달리, 눈맞춤을 피하는 것은 대화에 집중하기 위한 행동일 수 있다.[127]

4. 신경다양성 운동

신경다양성 운동은 신경다양성을 존중하고 신경다양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사회 운동이다. 주디 싱어는 신경다양성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224] 1999년 출판된 그녀의 우등 졸업 논문에서 이 단어를 사용했다.[225][224] 이 논문은 InLv 메일링 리스트에 대한 논의를 주제로 했다. 미국의 저널리스트 하비 블룸[226]은 더 애틀란틱에 기고한 1998년 9월 30일 기사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출판물에 사용된 최초의 사례이다.[227] 이는 자폐증 원인에 대한 기존 정설인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51260.html 냉장고 엄마 이론]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의 증거였다.[228]

몇몇 연구자들은[229][230] 신경다양성 개념 발전 초기에 자폐 운동가 짐 싱클레어의 기여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국제 자폐 온라인 커뮤니티 조직자 중 한 명으로, 1993년 "우리는 애도가 필요없다"라는 연설에서 "자폐인에게서 자폐증만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말하며 자폐증을 질병이 아닌 존재 방식으로 규정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231] 1997년 6월 30일 하비 블룸의 기고문에서는 신경다양인들의 재단이 원래 "신경다원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던 것이 확인된다.[232] 그는 인터넷이 국제 신경다양성 운동 육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33]

이 운동은 자폐 권리 운동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신경학적 차이를 가진 사람들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발전했으며, 신경다양인에 대한 차별과 낙인에 맞서 싸우고, 사회적 포용과 지원 확대를 목표로 한다.

최근에는 신경다양성 개념을 인정하고 사용하는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234][235] 자폐증 연구자들은 스스로 차이를 결점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음을 깨닫고,[236][237] 중재 치료에서 자폐적 특성을 억누르는 것은 윤리적, 실용적으로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몇몇 연구자들은 특정 중재 치료가 과도한 위장(신경전형인적 특성 따라하기, 자폐적 특성 숨기기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를 냈다. 이는 매우 위험한데, 최근 많은 연구에서 위장 정도가 높을수록 자폐인의 정신 건강이 악화되고, 심지어 자살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기 때문이다.[238][239][240][241][242] 몇몇 운동가와 연구자들은 자폐의 의학적 접근 자체가 자폐인에 대한 낙인이 되고,[243] 학계에서 생물학적 접근에 대한 높은 집중도가[244] 자폐인 단체와 학계 사이의 거리감을 유발한다고 주장한다.[245][246]

신경다양성 개념은 자폐인들에게서 처음 받아들여졌고,[247][248] 이후 ADHD, 언어발달장애, 난독증, 난필증, 통합행동장애,[249] 난산증, 실어증, 지적 장애, 투렛 증후군,[248][250] 조현병,[251] 양극성 장애,[252] 조현정동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253] 등 다른 발달/심리적 증상 보유자 및 정신질환자들에게도 퍼져나갔다.

4. 1. 신경다양성 운동의 목표

신경다양성 운동은 신경발달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회에 적응하도록 치료하거나 교정하는 대신, 사회가 이들을 포용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54] 이들은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신경다양인들이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한다.[255]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자폐증과 같은 질환에 대한 재개념화를 시도하며, 신경다양인들에게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질병, 증상 등의 용어 대신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신경다양인들이 독립적이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원하며, 치료와 관련된 사항(치료 기간, 종류, 필요 여부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256]

2009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257] 스스로를 '다르다'고 인식하고 독특한 장점과 강점을 가졌다고 생각하는 신경다양성 학생들(41%)이, 스스로를 '병자'로 인식하는 학생들보다 더 나은 학습 성취도, 자존감, 미래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온라인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에게서 이러한 관점을 배웠다고 밝혔다.[257]

2013년의 온라인 조사는 '특별함의 축하'나 '결함의 수정'이라는 이분법 대신, 자폐적 특성을 통제하여 이익이 되도록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내렸다.[258]

자폐인 권리 운동은 신경다양성 운동의 사회 운동 중 하나로, 자폐를 치료해야 할 정신 장애가 아닌 기능적 다양성으로 받아들이는 관점을 장려한다.[197] 이 운동은 자폐적인 행동을 수용하고,[198] 정형 발달을 모방하는 대신 자폐 특성에 맞는 기술을 가르치며,[199] 자폐인들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조성하고,[200] 이들을 사회적 소수자로 인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01]

신경다양인의 54.5%는 자신의 성별에 대해 확신이 없거나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퀴어로 인식하며, 76.7%는 성소수자라고 인식한다. 이들 중 65.4%는 대중이나 의료진, 상담사의 인식 부족으로 불편함을 겪는다고 밝혔다.[269]

신경다양성과 관련된 장애인 복지법 상의 장애 유형(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외에도 뇌병변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청각장애 등이 추가로 등록되어 있어, 일부 신경다양인은 중복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장애정체성 확립에 영향을 줄 수 있다.[269]

신경다양성 스펙트럼 내에서 장애를 이해하는 모델에는 사람들을 치료해야 한다고 보는 의학적 장애 모델과[145] 사회가 장애인을 대하는 방식에 중점을 두는 사회적 장애 모델이 있다.[145]

4. 2. 신경다양성과 교차성

신경다양성은 성소수자, 장애인 등 다른 정체성과 교차하며 복합적인 차별을 야기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신경다양인 중에는 성소수자 비율이 높으며, 이들은 이중적인 차별과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269] 2013년 온라인 조사에서는 신경다양인의 54.5%가 자신의 성별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거나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퀴어로 인식하며, 76.7%는 성적 지향도 성소수자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65.4%는 '대중, 또는 의료진 및 상담사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불편을 겪는다고 응답했다.[269]

일부 신경다양인은 뇌병변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청각장애 등 다른 장애를 함께 가지는 중복장애인일 수 있으며, 이는 장애 정체성 확립에 영향을 줄 수 있다.[269]

5. 사회 각 분야에서의 신경다양성

신경다양인의 54.5%는 자신의 성별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퀴어로 인식하며, 76.7%는 성소수자라고 인식한다. 이들 중 65.4%는 대중이나 의료진 및 상담사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불편을 겪는다고 답했다.[269]

Nachman과 동료들은 2년제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발표된 여러 기사를 검토하여 "장애인" 학생과 "비장애인" 학생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몇 가지 불일치를 발견했다. 모든 기사가 장애를 정상화하려고 시도했지만, 많은 기사가 전형적인 학습자와 비전형적인 학습자를 뚜렷하게 구분하고, 신경다양성 학생들의 자율성 부족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학업 선택과 교실 관리에 있어 거의 권한이 없었다.[149]

5. 1. 교육

신경다양성 개념은 자폐인들에게서 처음 받아들여졌고,[247][248] 이후 다른 발달/심리적 증상 보유자들과 정신질환자들에게도 퍼져나갔다. ADHD, 언어발달장애, 난독증, 난필증, 통합행동장애,[249] 난산증, 실어증, 지적 장애, 투렛 증후군,[248][250] 조현병,[251] 양극성 장애,[252] 조현정동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253] 등이 그 예시이다.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신경발달장애를 치료나 교정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사회가 이들에게 통합 교육, 독립 지원, 보완대체 의사소통 기술 개발, 직업 훈련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54]

2009년의 연구는[257] 자폐증, 난독증, ADHD, 뇌졸중, 발달행동장애 등 여러 질환을 가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자신을 "다르다"고 보며 독특한 장점과 강점이 있다고 생각하는 그룹과, 자신을 "병자"로 여기는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 모든 학생이 학교 생활의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전자의 그룹(41%)이 더 나은 학습 성취도와 자존감, 더 구체적인 미래 계획을 보여주었다. 이 학생들은 온라인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에게서 이러한 관점을 배웠다고 밝혔다.[257]

2013년의 온라인 조사는 자폐적 특성을 통제해 이익이 되도록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렸다.[258] 신경다양인의 54.5%는 자신의 성별에 대해 확신이 없거나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퀴어로 인식하며, 76.7%는 성소수자라고 인식한다. 이들 중 65.4%는 대중이나 의료진 및 상담사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불편을 겪는다고 답했다.[269]

고등 교육의 일반적인 커리큘럼과 형식은 신경다양성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 교직원의 지원 및 유연성 부족은 대학 생활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146] 장애를 공개하는 학생들에게는 합리적인 조정이 가능하지만,[146] 학업 외적인 어려움에 대한 고려는 부족할 수 있다.[146] 예를 들어, 사회적 멘토십 및 강점 기반 개입을 위한 자원과 같은 비학업적 지원의 필요성이 보고되고 있다.[146] 지원 고용과 같은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학교 내에는 부족한 경우가 많다.[145]

대학 및 고등 교육 기관은 신경다양성인에 대해 더 관용적인 태도를 보일 필요가 있다. 관용적인 환경은 자율성을 높여 학생들 간의 친절과 이해로 이어질 수 있다.[148] 상담 및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신경다양성 학생들은 일관된 지원을 받기 어렵고, 서비스 자체도 자금, 인력, 전문가 부족에 직면해 있다.[146]

5. 2. 고용

신경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은 일자리를 지원하고 면접을 볼 때 편견에 직면한다.[150] 특히, 신경다양인들은 신경전형적인(일반적인) 사람들과 비교하여 사회적 참여 방식이 다르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일자리를 얻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0] 신경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낙인(특히 자폐인에 대한)과 사회적 상황에서의 인지적 어려움은 개인이 전통적인 직장 면접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151]

스페셜리스트네와 같은 단체는 신경다양성을 가진 직원들의 패턴 인식, 편차 감지, 세부 사항에 대한 주의력, 분석적 사고, 집중력 향상 등 특정 기술을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업들에게 신경다양성을 가진 직원을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152][153][154]

발달 난독증을 "신경다양성의 표현"으로 간주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신경다양성이 아직 직장에서 확립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와 작업 환경 지원이 미미하다고 제안했다.[155]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가 있는 성인을 위한 약리학적 및 약리학적/심리사회적 개입을 결합한 또 다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직장 기반 개입 연구가 거의 없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신경다양성을 가진 직원을 직장에서 가장 잘 지원하는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156]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 수행된 한 연구에서는 신경다양인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원격 근무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생산성과 성과를 위해서는 여전히 사회적 참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157]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하며 자폐증이 있는 개인을 위해 재설계된 작업 및 사회적 조건이 더 포괄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158]

5. 3. 의료 및 치료

신경다양성 개념은 자폐 권리 운동에서 시작되어,[247][248] ADHD, 언어발달장애, 난독증, 난필증, 통합행동장애,[249] 난산증, 실어증, 지적 장애, 투렛 증후군,[248][250] 조현병,[251] 양극성 장애,[252] 조현정동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253] 등 다양한 발달 및 심리적 증상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확산되었다.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신경발달장애를 치료나 교정 대상으로 보는 대신, 사회가 이들에게 통합 교육, 독립 지원, 보완대체 의사소통 기술 개발, 직업 훈련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54] 즉, 신경다양인들에게 정상성을 강요하기보다 인간 본연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자기표현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255]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신경다양인에게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알리고, 질병 중심 용어를 중립적으로 바꾸며, 독립적이고 건강한 삶의 범위를 넓히고, 신경다양인들이 치료 관련 사항(기간, 종류, 필요 여부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256]

2009년 연구에 따르면,[257] 스스로를 "다르다"고 인식하고 강점을 가진 그룹(41%)이 "병자"로 인식하는 그룹보다 더 나은 학습 성취도, 자존감, 구체적인 미래 계획을 보였다. 이들은 온라인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에게서 이러한 관점을 배웠다고 밝혔다.[257] 2013년 온라인 조사에서는 '특별함의 축하'나 '결함의 수정'이라는 이분법 대신 자폐적 특성을 통제하여 이익이 되도록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 내렸다.[258]

신경다양인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과 중재도 연구되고 있다.[174][175] 신경다양성 개인의 삶의 목표 달성을 돕기 위한 자기 결정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74] 최근에는 신경다양성 개인에게 적합한 포괄적인 정신 치료 프레임워크가 추진되고 있다.[172][173] 신경다양성 기반 치료는 기능을 사회 내 상호 연결성으로 재구성하여 수용과 자부심을 옹호하고, 치료사들이 신경다양성 관련 지식과 교육에 대해 겸손함을 갖도록 권장한다.[172] 신경다양성 긍정 치료는 신경다양성적 차이를 "치료" 대상이 아닌 지원 대상으로 여기며, 개인의 필요와 강점을 존중하면서 어려운 영역을 지원한다.[173]

자연주의 발달 행동 중재(NDBI)는 언어 및 사회적 의사 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요구와 자율성을 존중하는 치료적 중재이다.[82] NDBI는 중재 목표, 절차, 결과 생성 시 신경다양성 개인에게 치료의 초점을 맞추어 수용 가능성, 유용성, 효과성을 높인다.[82]

응용 행동 분석(ABA)과 같은 특정 접근 방식은 신경다양성 환자에게 개인의 목표보다는 사회 참여에 초점을 맞춘 듯한 목표 중심 접근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신경다양성 운동가들과 개인들은 이러한 중재가 치료받는 사람의 필요를 충족시키기보다는 사회의 기대에 순응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주장한다.[176]

5. 4.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는 신경다양성 커뮤니티에 인지도 향상과 신경다양성 운동 전개, 그리고 커뮤니티 구성원 간의 연결이라는 두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159][160] 미디어 플랫폼은 비슷한 배경을 가진 개인들이 서로 지지하는 공동체를 찾을 수 있도록 연결한다.[159] 온라인 네트워킹과 연결을 통해 사용자는 상호 작용에 대한 편안함의 정도를 결정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신경다양성 커뮤니티의 경우,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사회적 상황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161] 신경다양성 사용자를 연결함으로써 미디어 플랫폼은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안전 공간"을 제공한다.[161]

소셜 미디어는 또한 사용자들이 신경다양성 운동에 대한 인식을 확산할 수 있게 한다.[163] 장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사실 정보의 확산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63]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확산은 신경다양성 운동이 자폐증과 같은 장애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돕고 잘못된 정보를 걸러내는 데 기여할 수 있다.[160] 신경다양성적인 경험을 직접 공유함으로써 소셜 미디어는 대중을 교육하고 특정 장애에 대한 낙인을 제거할 수 있지만, 신경다양성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해당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3][164]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도움으로 신경다양성 공동체의 표현이 증가했지만, 해당 사용자들은 종종 비판과 오해를 받는다.[165] 소셜 미디어는 신경다양성인들의 포용을 제한하는 사회적 장벽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일부는 "진정한" 사용자로 인정받기 위해 장애에 대한 주류 관점에 순응해야 한다고 보고했다.[165] 그렇게 하는 것은 신경다양성 사용자들이 플랫폼을 성장시키는 것을 간접적으로 더 어렵게 만들었다.[165][166] 비장애인 사용자들이 고정관념에 근거하여 신경다양성 사용자의 진정성을 평가하는 것은 신경다양성 운동이 포용이라는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165]

6. 신경다양성에 대한 비판과 논쟁

신경다양성 개념은 자폐 스펙트럼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기 때문에, 중증 자폐인 등 다양한 신경다양인의 특성을 포괄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247][260] 신경다양성 운동이 치료와 지원의 필요성을 간과하고, 자폐를 '다름'으로만 미화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266]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은 주로 의학적 모델을 지지하는 관점에서 제기된다.[259]

자폐운동가들 사이에서도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247] 자폐운동가이자 장애 교육 전문가 닉 워커는 신경다양성 개념을 뇌전증 등의 의학적 증상과 구별하기 위해 "포괄적인 신경인지학적 특성"이자 "자기인식과 자아형성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라고 정의하자고 제안했다.

신경다양성 운동가 존 엘더 로빈슨은 신경학적 특성에서 오는 강점과 약점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61]

2020년의 리뷰 "신경다양운동 평론''Critique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은 자폐인과 비자폐인은 칼로 가르듯 정확히 나뉘는 구별이 아니며, 신경다양인과 신경전형인 또한 별개의 두 집단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세상에 진짜 신경전형인으로 정의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두 가지 논점을 짚는다.[262]

그 외에도 신경전형인이 비발달장애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에서 오는 논점이 있다. 대부분의 정신질환자는 출생시에는 발달장애 없이 태어나지만 발달장애는 삶의 시작지점에서부터 함께하고 분리할 수 없다.

자폐증 블로거이자 작가인 조나단 미첼(Jonathan Mitchell)은 신경다양성에 반대하면서 자신의 자폐증 증세를 혐오하면서, 신경과학을 연구하고 자폐 치료 연구에 참여하기도 한다.[263] 조나단 미첼에 의하면, 신경다양성에서는 자신과 같은 저기능 당사자들은 사회적 기능, 학습능력, 노동 등에 있어서 손상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이들이 자폐증인지도 확실치 않고 자폐가 치료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64]

자폐증 당사자인 Twilah Hiari는 신경다양성 운동의 배타성과 자폐 치료를 불허하는 점과, 신경다양성 진영이 자폐증을 가진 자아를 고정불변의 것으로 간주한다는 점을 비판했다.[265]

분자 및 신경 생물학자 Moheb Costandi는 신경다양성이 자폐증 환자의 의료적 모델을 거부하고, 사회적 모델만을 강조하여, 실질적으로 자폐증 아동과 성인이 도움을 받지 못하게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신경다양성은 신경과학적 이해와 상충된다는 비판을 받는다.[266]

신경다양성 창시자 주디 싱어는 본래 신경다양성을 최초로 개념 정의한 논문에서 "autistic" 즉 자폐라는 용어를 고기능자폐라고 불리는 사람들만 언급했다는 점을 분명히 언명하고 있다.[267] 주디 싱어는 신경다양성 운동은 저기능 자폐를 포괄하려고 하고 아스퍼거 증후군 등의 장애의 고통을 경시하는 점이 있자, 아스퍼거 증후군 자체를 장애로 생각하든 다양성으로 생각하든 필요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점과 신경현실주의를 통해서 증거 개입을 옹호하는 등의 태도로 분명히 답변하기도 하였다.[268]

신경다양인의 54.5%는 자신의 성별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퀴어로 인식한다. 또한 전체의 76.7%가 자신의 성적 지향에 대해서도 성소수자라고 인식한다. 성소수자성과의 교차성으로 어려움을 겪는 신경다양인 중 65.4%는 '대중, 또는 의료진 및 상담사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불편을 꼽았다.[269]

6. 1. 신경다양성 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 (주로 보수 진영)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자폐증 옹호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지배적인 장애의 의학적 모델은 신경다양성 개인이 치료해야 하는 의학적 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신경 기능의 차이가 기능의 자연스러운 변동이라는 이해 하에 신경다양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 모든 상태가 의학적 개입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제안한다.[177]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을 자폐증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신경다양성이 포함하는 자연스러운 변동의 틀 안에서도 기능적 어려움을 가진 개인이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점이다.[177] 자폐증 환자를 돌보는 가족 구성원과 같은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의 일부 비평가들은 자연스러운 변동이라는 틀을 기능적으로 장애를 가진 개인이 계속해서 필요로 하는 것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간주한다.[177] 신경다양성 운동은 골상학과 유사점이 있다는 비판도 있다.[178]

흔한 비판은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이 너무 광범위하며, 그 개념은 기능이 더 심각하게 손상된 사람들을 제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폐증 옹호가 닉 워커(Nick Walker)는 신경다양성이 뇌전증과 같은 의학적 상태와는 대조적으로 "자아의 형성 및 구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 광범위한 신경인지적 차이"를 구체적으로 지칭한다고 제안했다.

2020년 검토에서는 '신경전형적'이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두 가지 우려를 제기했다.

  • 자폐증 진단을 받지 않은 많은 사람들도 자폐증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연구자들은 이를 "광범위한 자폐증 표현형"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자폐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구분하는 명확한 이중 모드 분포가 없다. 현실적으로 "신경전형적"과 "신경다양성"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인구가 있는 것이 아니다.[179]
  • "신경전형적"은 의심스러운 구성인데, 진정으로 신경전형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 인간의 뇌에 대한 그러한 표준도 없기 때문이다.[179]


신경다양성 개념은 논쟁적이다.[195] 장애에 대한 의학적 모델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장애·결함·기능 부전"과 연결되는 심리적 차이는, 생활의 많은 측면에서 인페어먼트를 야기하는 내적인 차이와 동일시된다. 의학 모델에서 보면, 신경다양성에 포함된 것과 같은 마음의 상태는 치료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하는 의학적인 상태이다.[202] 반면, David Pollak은 신경다양성을 "모든 가능한 마음의 상태가 평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용어라고 평가하기도 하고, "여전히 의학적이다"라고 거부하는 사람도 있다.[202]

자폐증에서의 신경다양성 개념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이지만 "고기능"인 사람이나 그만큼 증상이 심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생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저기능" 자폐인은 일상생활에서 종종 심각한 불이익을 겪고 있으며, 개발된 지원 도구를 최대한 활용해도 제대로 생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저기능" 자폐인의 다수는 자신의 의견이나 희망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누가 그들의 의견을 대변할지, 무엇이 그들에게 이익이 될지 논쟁의 대상이 된다.[203]

2011년에 Jaarsma와 Welin은 "신경다양성의 생각을 확대하여, 고기능 자폐와 저기능 자폐를 모두 포괄하게 하면 문제가 있다. 고기능 자폐에 한정하여 주장되는 신경다양성만이 이치에 맞다"라고 썼다.[195]

신경다양성이 주장하는 반치료적 시각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의생물학적인 치료는, 예를 들어 자폐증이나 자폐증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치료 대상으로 삼고, 현재는 그것들을 완전히 치유할 수 없더라도, 앞으로 생활 기능과 삶의 질(QOL)을 뚜렷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치료법 개발에는 발명과 투자가 필요하며, 임상 적용에는 시간이 걸릴 수도 있지만, 새로운 치료법은 미래에 오랫동안 큰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203] 자폐증을 "장애를 가져오는 발달 질환"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에게, 신경다양성의 반치료 시각은 환자와 그 가족의 고통을 경시하는 것이 된다.[204]

자폐증 작가이자 블로거인 Jonathan Mitchell은 신경다양성 운동에 반대하며, 자폐증 치료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신경다양성을 "어려운 문제에 대해, 손쉬운 답을 내놓고 있다", "자폐증의 장애로서의 측면을 경시하고 있다"라고 비판한다.[205] 그는 자신의 증상이 인생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왔다고 생각하며, 자폐증으로 인해 "지금까지 파트너를 얻는 것을 방해받았다", "협응 운동을 잘하지 못해, 필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했다", "집중하는 것을 못해서, 일을 완수하는 것을 어려워했다"라고 말하고 있다.[206] Mitchell은 신경다양성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안전 밸브'"라고 말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에게 신경다양성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은 "착각"이며, 대다수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은 누군가의 블로그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거나 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게다가, 신경다양성은 저기능 자폐인에게 아무런 해결책도 가져다주지 못한다고 주장한다.[197][207]

참조

[1]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2020
[2] 논문 The neurodiversity concept was developed collectively: An overdue correction on the origins of neurodiversity theory 2024-03-12
[3] 논문 From Puzzle to Progress: How Engaging With Neurodiversity Can Improve Cognitive Science 2023-02
[4] 웹사이트 Reflection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What is Neurodiversity? https://neurodiversi[...] 2022-04-12
[5] 서적 NeuroDiversity: The Birth of an Idea Kindle Ebook 2016-07-03
[6] 논문 The Neurodiversity Approach(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Mean for Researchers? 2022-05
[7] 서적 Social work with disabled people Palgrave Macmillan 2006
[8]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Bloomsbury 2020-05-12
[9] 뉴스 A medical condition or just a difference? The question roils autism community. https://www.washingt[...] 2019-05-12
[10] 웹사이트 The Controversy Around Autism and Neurodiversity https://www.psycholo[...] 2019-05-14
[11] 논문 Neurodiversity 2012-08
[12] 논문 Biocertification and Neurodiversit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Self-Diagnosis in Autistic Communities 2016-04
[13] 웹사이트 Clearing Up Some Misconceptions about Neurodiversity https://blogs.scient[...] 2022-04-12
[14] 논문 The Neurodiversity Approach(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Mean for Researchers? 2022
[15] 논문 Community views of neurodiversity, models of disability and autism intervention: Mixed methods reveal shared goals and key tensions 2024-09-18
[16] 논문 Bridge-building between communities: Imagining the future of biomedical autism research 2023-08
[17] 논문 Reconciling the seemingly irreconcilable: The WHO's ICF system integrates biological and psychosocial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autism and ADH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ICF) allows to model opposed biomedical and neurodiverse views of autism and ADHD within one framework 2021-09
[18] 웹사이트 Its time to embrace autistic expertise https://medium.com/@[...] 2022-10-28
[19] 간행물 https://www.annualre[...]
[20] 웹사이트 Neurodiversity https://www.theatlan[...] 2024-03-12
[21] 서적 Disability Discourse McGraw-Hill Education (UK) 2020-05-12
[22]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pringer Singapore 2019-11-08
[23] 웹사이트 Meet Judy Singer Neurodiversity Pioneer http://www.myspectru[...] 2019-05-14
[24] 웹사이트 "Autism & The Internet" or "It's The Wiring, Stupid" http://web.mit.edu/m[...]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7-11-08
[25] 뉴스 Autistics, freed from face-to-face encounters, are communicating in cyberspace https://query.nytime[...] 2007-11-08
[26] 서적 Don't Mourn for Us: The Autistic Life of Jim Sinclair and an Extraordinary Story of Neurodiversity Independently published 2024
[27] 뉴스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nymag.com/new[...] 2008-05-27
[28] 웹사이트 Don't Mourn For Us. http://www.autreat.c[...] 2013-05-07
[29] 웹사이트 On Our Own Terms: Emerging autistic culture https://www.autscape[...] 1999
[30] 웹사이트 Autistics.Org http://www.autistics[...] 1998
[31] 간행물 Autistics.Org and Finding Our Voices as an Activist Movement Springer 2020
[32] 웹사이트 Autistic People Against Neuroleptic Abuse http://apana.org.uk/ 1998
[33] 간행물 Autistic People Against Neuroleptic Abuse Springer 2020
[34] AV media Introduction to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s://www.youtube.[...] 2024-05-17
[35] 웹사이트 Ballastexistenz https://ballastexist[...] 2024-05-17
[36] 웹사이트 Left Brain Right Brain https://leftbrainrig[...] 2003
[37] 웹사이트 Victory! The End of the Ransom Notes Campaign -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https://autisticadvo[...] 2024-05-17
[38] 뉴스 Ransom-Note Ads About Children's Health Are Canceled https://www.nytimes.[...] 2024-05-17
[39] 간행물 The 'Ransom Notes' Affair: When the Neurodiversity Movement Came of Age 2009-12-14
[40] 웹사이트 Autistic Women & Nonbinary Network (AWN) https://awnnetwork.o[...] 2024-05-17
[41] 웹사이트 THINKING PERSON'S GUIDE TO AUTISM https://thinkingauti[...] 2024-05-17
[42] 웹사이트 "#IAmNOTKelliStapleton #WalkInIssysShoes Flash Blog" https://iamnotkellis[...] 2024-05-17
[43] 웹사이트 Crusading Against Hate: Why I #BoycottAutismspeaks https://whyiboycotta[...] 2024-05-17
[44] 웹사이트 Disability Day of Mourning – Remembering the Disabled Murdered by Caregivers https://disability-m[...] 2024-05-17
[45] 웹사이트 Autistics Speaking Day https://autisticsspe[...] 2024-05-17
[46] 서적 The Neurodiversity Reader Pavilion 2020
[47] 서적 Neuroqueer heresies: note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autistic empowerment, and postnormal possibilities Autonomous Press 2021
[48] 간행물 Annual Research Review: Looking back to look forward – changes in the concept of autism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https://discovery.uc[...] 2020-03
[49] 간행물 Annual Research Review: Shifting from 'normal science' to neurodiversity in autism science 2022-04
[50] 간행물 The Deficit View and Its Critics 2016-12-02
[51] 간행물 Changing perceptions: The power of autism 2011-11
[52] 간행물 When Disability Is Defined by Behavior, Outcome Measures Should Not Promote 'Passing' 2021-07
[53] 문서 https://onlinelibrar[...]
[54]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Passing as Non-autistic in Autism Spectrum Disorder 2021-12
[55]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mental health outcomes associated with camouflaging in autistic people 2024-10
[56] 간행물 Cross-cultural variation in experiences of acceptance, camouflaging and mental health difficulties in autism: A registered report 2024-03-20
[57] 간행물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camouflaging in autistic people and its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2023-11
[58]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social camouflaging in autistic adults and youth: Implications and theory 2024-10-07
[59] 간행물 'Recalling hidden harms': autistic experiences of childhood applied behavioural analysis (ABA) https://strathprints[...] 2021-10-26
[60] 간행물 Camouflaging in autism: A systematic review https://discovery.uc[...] 2021-11
[61] 간행물 Reconsidering autistic 'camouflaging' as transactional impression management 2022-08
[62] 간행물 When Disability Is Defined by Behavior, Outcome Measures Should Not Promote 'Passing' 2021-07
[63] 간행물 Self-Report of Restricted Repetitive Behaviors in Autistic Adults: A Systematic Review 2024-08-30
[64] 간행물 Identifying the functions of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urs and interests in Autism: A scoping review. 2024-09
[65] 간행물 Changes in the severity of autism symptom domains are related to mental health challenges during middle childhood 2024-05
[66] 간행물 'If I don't Do It, I'm Out of Rhythm and I Can't Focus As Well': Positive and Negative Adult Interpretations of Therapies Aimed at 'Fixing' Their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urs in Childhood 2023-09
[67] 간행물 Autistic experience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023-04
[68] 간행물 Brief Report: Learning About Autism: Is the Source of Autism Knowledge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Autism Knowledge, Autism Identity, and Experiences of Stigma 2024-11
[69] 간행물 "'Autism research is in crisis': A mixed method study of researcher's constructions of autistic people and autism research" 2022
[70] 간행물 Avoiding Ableist Language: Suggestions for Autism Researchers 2021-03
[71] 논문 Editorial: Addressing community priorities in autism research 2022
[72] 논문 A Portfolio Analysis of Autism Research Funding in Australia, 2008–2017 2019-11
[73] 논문 Brief Report: A Survey of Autism Research Priorities Across a Diverse Community of Stakeholders 2018-11
[74] 논문 "We are the stakeholders with the most at stake": scientific and autism community co-researchers reflect on their collaborative experience in the CONNECT project 2020
[75] 논문 Neurodiversity as Politics 2022-05
[76] 논문 'It feels like holding back something you need to say':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accounts of sensory experiences and stimming https://research.gol[...]
[77]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2020
[78] 논문 More than comfort and discomfort: Emotion work of parenting children with autism in Hong Kong 2020-11
[79] 논문 'Just Ask What Support We Need': Autistic Adults' Feedback on Social Skills Training 2024-03-22
[80] 논문 'He Sees his Autism as a Strength, Not a Deficit Now': A Repeated Cross-Sectional Stud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trengths-Based Programs on Autistic Adolescents 2024-05
[81] 논문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2021
[82] 논문 Neurodiversity and Autism Intervention: Reconciling Perspectives Through a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 Framework 2022-10
[83] 논문 A qualitative investigation into autistic adults' perspectives on intervention goals for autistic children 2024-01
[84] 논문 The process of co-design for a new anxiety intervention for autistic children 2024-08-13
[85] 논문 Meaning in Measurement: Evaluating Young Autistic Adults' Active Engagement and Expressed Interest in Quality-of-Life Goals 2020-09-01
[86] 논문 Neurodiversity-Affirming Practices are a Moral Imperative for Occupational Therapy 2022-04-15
[87] 논문 Moving Toward Neurodiversity-Affirming Occupational Therapy for Autistic People: Key Questions and Next Steps 2024-10-15
[88] 논문 Editorial: Break the stigma: autism 2024-12-04
[89] 논문 Editorial: Break the stigma: autism. The future of research on autism stigma - towards multilevel, contextual & global understanding 2024-11-06
[90] 논문 Towards a neurodiversity-affirmative conceptualisation of psycho-education in the context of autism 2024-06
[91] 논문 A dual design thinking – universal design approach to catalyze neurodiversity advocacy through collaboration among high-schoolers 2024-01-10
[92] 논문 Factors underlying differences in knowledge, explicit stigma and implicit biases towards autism across Hong Kong,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2024-11-02
[93] 논문 Neurodiversity at work: a biopsychosocial model and the impact on working adults 2020-10-14
[94] 웹사이트 Disability Justice Advocate and Writer Lydia X. Z. Brown on Autism and Neurodivergence https://roommagazine[...] 2020-09-03
[95] 웹사이트 Neurodivergence https://www.umassp.e[...]
[96] 논문 Neurodiversity in the Voice Studio, Clinic, and Performance Space: Using a Neurodiversity Affirming Lens to Build More Inclusive Spaces for Singers. Part 1, Current Understanding of Neurodiversity 2022-10-25
[97] 웹사이트 Negotiating the Neurodiversity Concept https://www.psycholo[...] 2021-08-18
[98] 웹사이트 Here's What Neurodiversity Is – And What It Means For Feminism https://everydayfemi[...] 2016-03-04
[99] 논문 The Interplay of Nicotine and Social Stress Mediate Dopaminergic Neuron Firing in the Ventral Tegmental Area - Nucleus Accumbens Pathway, Contributing to Stress andDepressive Mood Disorder 2021
[100] 논문 Aberrant link between empathy and social attribution style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017-11
[101] 논문 Socio-cognitive processing in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Computerized tests of mentalizing, empathy and imitation skills 2021-08
[102] 논문 'Hey, Can You Add Captions?': The Critical Infrastructuring Practices of Neurodiverse People on TikTok 2023-04-14
[103] 웹사이트 Is it OK to use the term 'neurospicy' when talking about autism and other neurodivergences? https://medicalxpres[...] 2024-11-15
[104] 웹사이트 Neurospicy Meaning & Origin https://www.womensme[...] 2024-04-11
[105] 뉴스 Advice {{!}} He's been diagnosed with autism. Is it too late to keep his job? https://www.washingt[...]
[106] 웹사이트 Neurotypical https://dictionary.c[...] 2022-05-23
[107] 서적 Neuroqueer Heresies Autonomous Press
[108]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circadian rhythm functioning and sleep in people with Asperger syndrome 2006-11
[109] 논문 The neurophysiological correlates of face processing in adults and children with Asperger's syndrome 2005-10
[110] 논문 From neurodiversity to neurodivergence: the role of epistemic and cognitive marginalization 2021-12
[111] 뉴스 Why there is no such thing as a 'normal' brain https://www.bbc.com/[...] 2019-10-10
[112] 뉴스 Memory errors are all in the groove https://www.theguard[...] 2011-10-07
[113] 웹사이트 Language and abbreviations https://web.archive.[...] 2008-06-06
[114] 논문 A brief history of "Neurodiversity" as a concept and perhaps a movement http://www.larry-arn[...] 2022-12-30
[115]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pringer 2020
[116] 웹사이트 Neurodiversity https://www.theatlan[...] 2022-04-19
[117] 서적 Neuroqueer heresies: note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autistic empowerment, and postnormal possibilities https://neuroqueer.c[...] Autonomous Press 2022-12-30
[118] 논문 Quantitative MRI Characterization of the Extremely Preterm Brain at Adolescence: Atypical versus Neurotypical Developmental Pathways 2022-08
[119] 웹사이트 Allistic https://dictionary.c[...] 2022-04-18
[120] 웹사이트 How to talk about autism https://www.autism.o[...] 2022-04-18
[121] 논문 Double Empathy: Why Autistic People Are Often Misunderstood 2021-05-11
[122] 논문 Reveal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It's not that autistic* people lack empathy. Rather, their different neurotypes and experiences may make it harder for nonautisic people to understand them—and vice versa. 2020-04
[123] 논문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s://kar.kent.ac.[...] 2012-10
[124] 논문 Investigating Markers of Rapport in Autistic and Nonautistic Interactions 2022-03
[125] 웹사이트 https://www.frontier[...]
[126] 웹사이트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s://www.autism.o[...] 2023-06-03
[127] 논문 Being versus appearing socially uninterested: Challenging assumptions about social motivation in autism 2018-06
[128]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2012-03
[129] 논문 'We Don't Need to be Cured' Autistics Say http://www.nationalr[...] 2006
[130]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tories from the Frontline Springer 2020
[131] 논문 Is our legal, health care and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neurodiverse enough? How far are the 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fulfilled for those diagnosed with cognitive disability and learning disability? 2011-01-31
[132] 웹사이트 Otherwise Minded https://www.nytimes.[...] 2017-02-11
[133] 서적 A mind apart: travels in a neurodiverse world Jeremy P. Tarcher/Penguin 2005
[134] 서적 Ethics and Neurodiversity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
[135] 웹사이트 Position Statements http://autisticadvoc[...]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2013-04-21
[136] 논문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2021-04-12
[137] 웹사이트 What We Believe -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https://autisticadvo[...] 2023-09-30
[138] 웹사이트 What is Neurodiversity? http://neurodiversit[...] National Symposium on Neurodiversity at Syracuse University 2012-10-02
[139]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9-01
[140] 논문 Autism, neurodiversity and equality beyond the 'normal' 2007
[141] 서적 Extra bold: a feminist inclusive anti-racist nonbinary field guide for graphic designer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21
[142] 논문 Student experiences of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sights from the BRAINHE project 2009-02
[143] 논문 Deficit, difference, or both? Autism and neurodiversity https://researchport[...] 2013-01
[144] 뉴스 What Is Neurodiversity? http://www.psycholog[...] 2020-09-17
[145] 논문 Understanding career development pathway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crip theory and the theory of whole self 2023-08
[146] 논문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a narrative synthesis 2020-10
[147] 논문 Book Review: Supporting Neurodiverse College Student Success: A Guide for Librarians, Student Support Services, and Academic Learning Environments 2021
[148] 논문 Compassionate pedagogy for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A conceptual analysis 2023-02-16
[149] 논문 Crip places: Dismantling disability discourse in the 2-year college literature. 2024-08
[150] 논문 Seeing is Disliking: Evidence of Bias Against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raditional Job Interviews 2023-04
[151] 논문 Examining the Use of Game-Based Assessments for Hiring Autistic Job Seekers 2021-11
[152] 서적 Boosting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2017
[153] 웹사이트 Companies Like Microsoft and Goldman Sachs Are Hiring More Neurodiverse Talent https://fortune.com/[...] 2024-07-07
[154] 웹사이트 Neurodiversity inclusion projects https://specialister[...] 2024-07-07
[155] 논문 Factors relevant to work particip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2022-05
[156]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to support adults with ADHD at work – Implications from the paucity of context-specific research for theory and practice 2022
[157] 논문 Implications of Employment Changes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nd Work-Relate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f Autistic Employees: A Mixed-Methods Longitudinal Study 2022-01
[158] 논문 Remote Work Support Needs of Employee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Poland: Perspectives of Individuals with Autism and Their Coworkers 2022-09
[159] 간행물 Conference Companion Publication of the 2020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nd Social Computing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20-10-17
[160] 논문 Discussions of Asperger Syndrome on Social Media: Content and Sentiment Analysis on Twitter 2022-03
[161] 논문 Exploring the potential for social networking among people with autism: challenging dominant ideas of 'friendship' 2015-11-02
[162] 웹사이트 Blossom: An App for the Neurodiverse Community https://mittalsoutha[...] 2022-04-11
[163] 논문 'I Feel Like I Know Them': the Positive Effect of Celebrity Self-disclosure of Mental Illness 2020-04
[164] 논문 Media portrayal of mental illness and its treatments: what effect does it have on people with mental illness? 2006-02-01
[165] 논문 'Authentic' digital inclusion? Dis/ability performances on social media by users with concealable communicative disabilities 2022-02
[166] 논문 The #nofilter Self: The Contest for Authenticity among Social Networking Sites, 2002–2016 2017-01-20
[167] 논문 Untapped potential: embracing neurodiversity in medicine 2022-07
[168] 논문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Medical Learners and Physicians and a Potentially Helpful Educational Tool 2023
[169] 웹사이트 Embracing Neurodiversity in Our Health Systems https://www.aap.org/[...] 2023-10-26
[170] 웹사이트 Stanford Neurodiversity Project https://med.stanford[...] 2023-10-26
[171] 논문 The viability of a proposed psychoeducational neurodiversity approach in children services: The PANDA (the Portsmouth alliance's neuro-diversity approach) 2024-01
[172] 논문 Neurodivergence-informed therapy 2023-03
[173] 웹사이트 What is neurodiversity affirming therapy? https://www.lawsonps[...] 2023-10-22
[174] 논문 Appropriateness, Acceptability, and Feasibility of a Neurodiversity-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for Autistic Adults 2023-08
[175] 논문 Understanding perceptual decisions by studying development and neurodiversity 2023-08
[176] 논문 Concerns About ABA-Based Intervention: A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s 2022-06
[177] 논문 The Neurodiversity Approach(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Mean for Researchers? 2022
[178] 논문 Phrenology as neurodiversity https://doi.org/10.7[...]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0-01-31
[179]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2020
[180] 서적 Neuroqueer heresies: note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autistic empowerment, and postnormal possibilities Autonomous Press 2021
[181] 웹사이트 ニューロダイバーシティの推進について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24-05-22
[182] 문서 The Geneticization of Autism: From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to the Conception of Genetic Normal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3] 웹사이트 On Neurodiversity http://www.bphope.co[...] 2015-05-14
[184] 웹사이트 An Exploration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radicalpsycho[...] 2015-08-11
[185] 뉴스 'We Don't Need to be Cured' Autistics Say National Review of Medicine 2006-04-30
[186] 웹사이트 On Neurodiversity http://www.bphope.co[...] 2015-05-14
[187] 웹사이트 An Exploration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radicalpsycho[...] 2015-08-11
[188] 뉴스 Otherwise Minded https://www.nytimes.[...] 2006-01-29
[189] 웹사이트 The Virtue of Sociopaths: how to appreciate the neurodiversity of sociopathy without becoming a victim http://www.academia.[...] 2015-08-02
[190] 뉴스 Neurodiversity http://www.theatlant[...] 2007-11-07
[191] 뉴스 Autistics, freed from face-to-face encounters, are communicating in cyberspace https://query.nytime[...] 2007-11-08
[192] 웹사이트 "Autism & The Internet" or "It's The Wiring, Stupid" http://web.mit.edu/m[...] Media In Transi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7-11-08
[193] 문서 "Autism, Neurodiversity and Equality Beyond the Normal" http://www.jemh.ca/i[...] 2007
[194] 문서 Don't Mourn For Us. Autism Network International
[195]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www.imh.liu.s[...] 2011-02
[196] 서적 Loud Hands: Autistic People, Speaking The Autistic Press
[197] 뉴스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nymag.com/new[...] 2008-05-25
[198] 문서 Mission Statement. Autism Acceptance Project
[199] 문서 Mission Statement. Aspies for Freedom
[200] 문서 Autism Network International presents Autreat. AIN 2008-05-23
[201] 간행물 Declaration From the Autism Community That They Are a Minority Group http://www.prweb.com[...] PRWeb, Press Release Newswire 2007-11-07
[202] 서적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John Wiley & Sons, Ltd. 2009
[203] 웹사이트 Why we should be cautious about celebrating autism http://www.spiked-on[...] 2016-04-24
[204] 논문 The Cerebral Subject and the Challenge of Neurodiversity http://www.palgrave-[...] 2009-12
[205] 웹사이트 A different way of thinking http://www.sbs.com.a[...] 2016-04-25
[206] 웹사이트 Shortage of Brain Tissue Hinders Autism Research http://www.npr.org/b[...] 2015-05-10
[207] 웹사이트 Neurodiversity: Just Say No - An Article by Jonathan Mitchell http://www.jonathans[...] 2016-04-24
[208] 서적 American Normal : The Hidden World of Asperger Syndrome Copernicus 2002
[209] 서적 증상이 아니라 독특함입니다: 부모와 교사를 위한 신경다양성 안내서 새로운봄
[210] 웹인용 Reflections on the Neurodiversity Paradigm: What is Neurodiversity? https://neurodiversi[...] 2022-04-12
[211] 서적 NeuroDiversity: The Birth of an Idea Judy Singer 2016-07-03
[212] 저널 The Neurodiversity Approach(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Mean for Researchers? https://www.karger.c[...] 2022-07-24
[213] 서적 Social work with disabled peopl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006
[214]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9-01-10
[215] 뉴스 A medical condition or just a difference? The question roils autism community. https://www.washingt[...] 2019-05-12
[216] 웹인용 The Controversy Around Autism and Neurodiversity https://www.psycholo[...] 2019-05-14
[217] 저널 Neurodiversity 2012-08
[218] 웹인용 Biocertification and Neurodiversit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Self-Diagnosis in Autistic Communities https://www.research[...] 2022-03-06
[219] 웹인용 Clearing Up Some Misconceptions about Neurodiversity https://blogs.scient[...] 2022-04-12
[220] 저널 Neurodiversity as Politics https://www.karger.c[...] 2022-07-24
[221] 저널 "It feels like holding back something you need to say":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accounts of sensory experiences and stimming https://doi.org/10.1[...]
[222] 저널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2021
[223] 저널 Neurodiversity and Autism Intervention: Reconciling Perspectives Through a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 Framework https://link.springe[...]
[224] 웹인용 Meet Judy Singer Neurodiversity Pioneer http://www.myspectru[...] 2019-05-14
[225] 서적 Disability Discours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Education (UK) 1999-02-01
[226]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pringer Singapore 2019-11-08
[227] 뉴스 Neurodiversity https://www.theatlan[...] 2007-11-07
[228] 저널 The Geneticization of Autism: From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to the Conception of Genetic Normalcy https://www.jstor.or[...] 2009
[229] 뉴스 The autism rights movement http://nymag.com/new[...] 2008-05-27
[230] 간행물 Autism, Neurodiversity and Equality Beyond the Normal http://www.jemh.ca/i[...] 2007
[231] 웹사이트 Don't Mourn For Us http://www.autreat.c[...] 2013-05-07
[232] 뉴스 Autistics, freed from face-to-face encounters, are communicating in cyberspace https://query.nytime[...] 2007-11-08
[233] 웹인용 "Autism & The Internet" or "It's The Wiring, Stupid" http://web.mit.edu/m[...]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7-11-08
[234] 저널 Annual Research Review: Looking back to look forward - changes in the concept of autism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https://pubmed.ncbi.[...] 2020-03
[235] 저널 Annual Research Review: Shifting from 'normal science' to neurodiversity in autism science https://onlinelibrar[...] 2022-04
[236] 저널 The Deficit View and Its Critics https://dsq-sds.org/[...] 2016-12-02
[237] 저널 Changing perceptions: The power of autism https://pubmed.ncbi.[...] 2011-11-02
[238] 웹인용 Recalling hidden harms: autistic experiences of childhood https://strathprints[...] 2022-07-24
[239] 저널 Camouflaging in autism: A systematic review https://www.scienced[...]
[240] 저널 Reconsidering autistic 'camouflaging' as transactional impression management https://www.scienced[...]
[241] 저널 Neurodiversity and Autism Intervention: Reconciling Perspectives Through a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 Framework https://link.springe[...]
[242] 저널 When Disability Is Defined by Behavior, Outcome Measures Should Not Promote "Passing" 2021-07-01
[243] 저널 Avoiding Ableist Language: Suggestions for Autism Researchers https://www.liebertp[...] 2021-03-01
[244] 저널 A Portfolio Analysis of Autism Research Funding in Australia, 2008-2017 https://pubmed.ncbi.[...] 2019-11
[245] 저널 Brief Report: A Survey of Autism Research Priorities Across a Diverse Community of Stakeholders https://pubmed.ncbi.[...] 2018-11
[246] 논문 '"We are the stakeholders with the most at stake": scientific and autism community co-researchers reflect on their collaborative experience in the CONNECT project' 2020
[247]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www.imh.liu.s[...] 2011-02
[248] 웹사이트 'We Don't Need to be Cured' Autistics Say http://www.nationalr[...] 2006-04-30
[249]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pringer 2020
[250] 논문 Is our legal, health care and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neurodiverse enough? How far are the 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fulfilled for those diagnosed with cognitive disability and learning disability? 2011-01-31
[251] 뉴스 Otherwise Mind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1-29
[252] 서적 A mind apart: travels in a neurodiverse world https://archive.org/[...] Jeremy P. Tarcher/Penguin 2005
[253] 논문 The Virtue of Sociopaths: how to appreciate the neurodiversity of sociopathy without becoming a victim https://www.academia[...] 2015-08-02
[254] 웹인용 Position Statements http://autisticadvoc[...]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2013-04-21
[255] 웹인용 What is Neurodiversity? http://neurodiversit[...] National Symposium on Neurodiversity at Syracuse University 2012-10-02
[256] 간행물 "Autism, Neurodiversity and Equality Beyond the Normal" (PDF) http://www.jemh.ca/i[...] 2007
[257] 논문 Student experiences of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sights from the BRAINHE project. 2009-01
[258] 논문 Deficit, difference, or both? Autism and neurodiversity. https://researchport[...] 2013-01
[259] 웹인용 Neurodiversity: The cases for and against http://blogs.exeter.[...] 2017-12-11
[260] 서적 Aut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10-23
[261] 웹인용 What Is Neurodiversity? http://www.psycholog[...] 2020-09-17
[262] 서적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stories from the frontline Palgrave Macmillan
[263] 뉴스 어느 자기혐오자의 투쟁 https://www.joongang[...] 2015-03-29
[264] 웹인용 Undiagnosing Gates, Jefferson and Einstein http://www.jonathans[...]
[265] 뉴스 Neurodiversity is Dead. Now What? https://www.madiname[...] Mad in America 2024-06-14
[266] 웹인용 Against neurodiversity https://aeon.co/essa[...] 2019-09-12
[267] 서적 NEURODIVERSITY: THE BIRTH OF AN IDEA 2017-09-05
[268] 뉴스 An Interview with Neurodiversity Originator Judy Singer https://www.psycholo[...] psychologytoday. 2024-02-26
[269] 서적 신경다양성과 성: 대한민국 거주 신경다양인의 성적 소수자성 현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