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전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만성 뇌 질환으로, 대뇌 뉴런의 과도한 방전으로 인한 반복적인 발작을 특징으로 한다. 뇌전증은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되는 국소 발작과 뇌 전체에서 시작되는 전신 발작으로 나뉘며, 발작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뇌전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60%의 경우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다. 뇌파 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약물 치료, 수술, 신경 자극술, 식이 요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한다. 뇌전증은 사회적 낙인과 차별을 경험할 수 있으며, 심리사회적 영향과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뇌전증은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한 신경 질환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에서 영적인 원인으로 여겨져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전증 - 항경련제
항경련제는 뇌전증 발작을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로, 다양한 기전을 통해 뇌 신경 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며, 부작용과 임신 중 위험,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뇌전증 - 뇌전증 발작
뇌전증 발작은 뇌 기능의 일시적 장애로 발생하는 다양한 신체 증상으로, 감각, 운동, 의식, 자율신경 기능 변화를 동반하며, 전신 발작과 국소 발작으로 나뉘고, 유발성 또는 비유발성 원인에 따라 병력 청취, 검사, 뇌파 검사 등으로 진단하며, 응급 처치, 약물, 수술, 식이요법 등으로 치료하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주의가 필요하다. - 발작을 일으키는 장애 -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당 수치가 70 mg/dL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뇌에 포도당 공급 부족으로 신경당결핍 증상과 교감신경성 증상이 나타나고,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인슐린 과다 복용 등이 주요 원인이다. - 발작을 일으키는 장애 -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태아 또는 영유아기의 비진행성 뇌 손상으로 운동 및 자세 발달에 영구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감각, 인지 등의 문제가 동반될 수 있고, 치료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중재를 통해 증상 완화 및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의학 용어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뇌전증 | |
---|---|
질병 개요 | |
![]() | |
분야 | 신경과 |
증상 | 의식 소실, 비정상적인 떨림, 응시, 시력 변화, 기분 변화 및 기타 인지 장애 |
지속 기간 | 장기적 |
원인 | 불명,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 뇌 감염, 선천적 결함 |
진단 | 뇌파 검사, 다른 가능한 원인 배제 |
감별 진단 | 실신, 알코올 금단 현상, 전해질 불균형 |
치료 | 약물, 수술, 신경 조절, 식이요법 변경 |
예후 | 69%에서 조절 가능 |
빈도 (2021년) | 5,170만 명 / 0.68% |
사망자 수 (2021년) | 140,000명 |
일반 정보 | |
동의어 | 발작 장애 신경학적 장애 |
한국어 명칭 | |
이전 명칭 | 간질 |
추가 정보 | |
어원 | 그리스어 ἐπιλαμβάνειν (epilambanein, "사로잡다, 엄습하다") |
2. 정의
뇌전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뇌 질환으로, 대뇌 뉴런의 과도한 방전으로 인한 반복적인 발작(간질 발작)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2] 세계보건기구(WHO)는 뇌전증을 "여러 가지 병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뇌 질환으로, 대뇌 뉴런의 과도한 방전으로 인한 반복적인 발작(간질 발작, seizure)을 주된 특징으로 하며, 이에 다변적인 임상 및 검사 소견의 발현이 동반된다"고 정의한다.[2]
2014년 국제뇌전증협회(ILAE)는 뇌전증을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으로 정의했다.[1]
조건 |
---|
최소 2번의 도발되지 않은(또는 반사) 발작이 24시간 이상 간격으로 발생한 경우 |
1번의 도발되지 않은(또는 반사) 발작과 향후 10년 동안 2번의 도발되지 않은 발작 후 일반적인 재발 위험(최소 60%)과 유사한 추가 발작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
뇌전증 증후군 진단 |
또한 뇌전증은 연령 의존성 뇌전증 증후군을 겪었지만 현재 해당 연령을 넘었거나, 지난 10년 동안 발작이 없고 지난 5년 동안 발작 치료를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완치된 것으로 간주된다.[1]
ILAE는 2005년 뇌전증을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지속적인 소인을 특징으로 하며, 이 상태의 신경 생물학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결과가 나타나는 뇌 질환"으로 정의했다.[3][104] 2014년 정의는 이를 명확히 한 것으로, 뇌전증은 이제 질환(disease)으로 불리며, 장애(disorder)가 아니다. 이는 '장애'라는 단어가 '질환'보다 낙인이 덜 찍힐 수 있지만, 뇌전증의 심각성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1]
뉴런의 흥분에 의한 불수의 운동은 뇌전증이 아니다. 척수성 근간대 경련 및 하위 뉴런 장애의 섬유속 연축 역시 뇌전증과는 다르다. 약물 중독의 금단기에 발생하는 경련 또한 뇌전증이 아니다.[2]
3. 분류
뇌전증은 발작 양상과 근본적인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환자가 뇌전증 발작으로 병원에 입원하면, 진단 검사를 통해 발작 자체(예: 강직-간대성 발작)와 근본적인 질환(예: 해마 경화증)을 식별한다.[103] 최종 진단명은 사용 가능한 진단 결과와 적용된 정의 및 분류에 따라 달라진다.
국제뇌전증협회(ILAE)는 1989년에 뇌전증 및 뇌전증 증후군 분류를 제시했다. 이 분류는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뇌전증의 근본 원인(임상 경과와 예후의 주요 결정 요인)이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106]
2010년, ILAE 뇌전증 분류 위원회는 뇌전증을 유전적, 구조적/대사적, 원인 불명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107] 2011년에는 이를 네 가지 범주와 여러 하위 범주로 세분화하여 최신 기술 및 과학 발전을 반영했다.[108]
2011년 ILAE 분류는 다음과 같다.분류 설명 원인 불명 대부분 유전적 또는 추정 유전적 기원 증상성 총체적 해부학적 또는 병리학적 이상과 관련 유발성 특정 전신적 또는 환경적 요인이 발작의 주요 원인 잠재성 원인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추정되는 증상성 성격[108]
ILAE는 발작 유형에 대한 개정된 작동 분류를 도입하여 용어를 명확히 하고, 발작을 관찰하지 않고도 분류할 수 있도록 했다.[109] "부분적"을 "국소성"으로 변경하고, "이차 전신화"를 "국소에서 양측 강직-간대성 발작"으로 대체하는 등 용어 변경이 있었다.[110]
뇌전증 사례는 특정 특징에 따라 뇌전증 증후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뇌전증 증후군 식별은 기저 원인과 어떤 항경련제를 시도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27][111] 뇌전증 증후군 분류는 어린이에게 더 자주 발생한다.[216] 덜 심각한 예로는 소아 롤란딕 뇌전증, 소아 결신 발작 뇌전증, 청소년 근간대성 뇌전증 등이 있다.[216]
레녹스-가스토 증후군,[112] 드라베 증후군,[113] 웨스트 증후군[114]과 같이 치료에 저항하는 빈번한 발작과 인지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심각한 증후군은 발달 및 뇌전증 뇌병증이라고도 한다.[115]
최근 연구를 통해 CHD2, SYNGAP1,[117][118][119] DNM1, GABBR2, FASN, RYR3[120] 등 뇌전증 뇌병증을 담당하는 유전자 돌연변이가 밝혀지고 있다.
세계 보건 기구는 뇌전증을 "대뇌 뉴런의 과도한 방전으로 인한 반복적인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뇌 질환"으로 정의한다. 일본 신경학회의 뇌전증 치료 가이드라인 2010에서는 "대뇌의 신경 세포가 과도하게 흥분하여 뇌의 증상(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적인 뇌 질환"으로 기술한다.
뇌전증은 병명이며, 뇌전증의 한 번의 발작을 뇌전증 발작(''Epileptic Seizure'')이라고 한다. 뇌전증 발작은 경련(''Convulsion'')인 경우가 많지만, "경련=뇌전증"은 아니다.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럼 발작"과 같이 유발 요인이 있는 발작은 뇌전증으로 진단되지 않는다.
3. 1. 발작 유형에 따른 분류 (1981년 국제 뇌전증 연맹(ILAE) 분류)
1981년 국제 뇌전증 연맹(ILAE)의 뇌전증 발작 유형 분류는 발작 증상과 뇌파 소견을 바탕으로 한다. 이 분류에서는 발작이 뇌의 특정 영역에서 시작되는지, 아니면 뇌 전체에서 동시에 시작되는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23]
부분 발작은 대뇌 뉴런의 과잉 방전이 일어나는 부위(발작 초점)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운동 발작, 감각 발작, 자율 신경 발작, 정신 발작 등이 있으며, 조짐이라고 알려진 특정 경험이 선행되기도 한다.[142]
3. 2. 뇌전증 및 뇌전증 증후군 분류 (1989년 ILAE 분류)
1989년 국제뇌전증협회(ILAE)는 뇌전증 및 뇌전증 증후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05]
분류 | 설명 |
---|---|
국소 관련 뇌전증 및 증후군 | |
전신성 뇌전증 및 증후군 | |
국소성 또는 전신성인지 불확실한 뇌전증 및 증후군 | |
특수 증후군 | 상황 관련 발작 포함 |
이 분류는 널리 사용되었지만, 뇌전증의 근본 원인(임상 경과와 예후의 주요 결정 요인)이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106]
3. 3. 2017년 ILAE 발작 유형 분류
국제 간질 퇴치 연맹(ILAE)은 2017년에 발작 유형에 대한 새로운 분류 지침을 발표했다.[35] 이 지침은 용어를 더 명확하게 하고, 발작을 관찰하지 않고도 분류할 수 있도록 돕는다.[110]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부분 발작" 대신 "초점 발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초점 발작은 뇌의 한 영역에서 시작되는 발작을 의미한다.[110]
- 초점 발작은 행동 정지, 자동증, 인지, 자율신경, 정서, 과운동성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110]
- 무긴장, 근간대, 강직, 영아 연축, 강직-간대 발작은 발병 양상에 따라 초점 발작 또는 전신 발작으로 분류될 수 있다.[110]
- "이차성 전신화" 대신 "초점에서 양측 강직-간대 발작"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10]
- 새로운 전신 발작 유형으로 눈꺼풀 근간대, 근간대 무긴장, 근간대 결신, 근간대 강직-간대가 추가되었다.[110]
- 발작의 시작을 알 수 없는 경우에도, 나타나는 특징을 바탕으로 초점 발작 또는 전신 발작으로 분류할 수 있다.[110]
이 분류 체계는 1981년 발작 분류를 기반으로 2010년에 수정된 것이다. 현재 지식을 반영하여 발작 유형을 더 잘 이해하고, 사용의 유연성과 명확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110]
4. 증상
뇌전증 발작은 뇌의 어느 부위에서 시작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22][23] 뇌전증은 재발성 간질 발작의 장기적인 위험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22]
피질 뉴런이 과도하고 동시적으로 발화하여 정상적인 뇌 기능에 일시적인 혼란을 일으키면 근육, 감각, 의식 또는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발작이 발생한다. 발작은 뇌의 일부에 국한되거나 뇌 전체로 퍼져 의식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260]
발작 형태는 "뇌전증 증후군"으로 분류되며, 뇌전증 증상은 소아기에 많이 나타난다. 항뇌전증약을 2개 이상 사용해도 증상이 억제되지 않으면 "난치성 질환"으로 간주된다. 뇌전증 환자의 약 60%는 약물로 증상을 억제할 수 있지만, 나머지는 불가능하며, "약이 듣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뇌전증 수술, 미주 신경 자극, 케톤 식이요법이 선택 사항이 된다.[286]
뇌전증은 뇌졸중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신경 장애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약 5,000만 명이 이 질환을 앓고 있다.[286][260]
부분 발작과 전신 발작은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 부분 발작: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되는 발작으로, 단순 부분 발작과 복합 부분 발작으로 나뉜다.
- 전신 발작: 뇌의 양쪽 반구에 영향을 미치는 발작으로, 강직-간대 발작, 강직 발작, 간대 발작, 근간대 발작, 결신 발작, 무긴장 발작 등이 있다.
발작 후에는 일반적으로 혼란, 피로감, 두통, 언어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발작 후 기간이 이어진다.[45]
뇌전증은 사회적 고립, 낙인,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우울증, 불안 장애, 강박 장애,[48] 편두통[49]과 같은 질환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다.
4. 1. 부분 발작
부분 발작은 뇌의 특정 부분에서 시작되는 발작으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1989년 국제뇌전증협회(ILAE)의 분류에 따르면, 부분 발작은 단순 부분 발작과 복합 부분 발작으로 나뉜다. 단순 부분 발작은 의식 변화 없이 특정 뇌 영역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복합 부분 발작은 의식 장애를 동반하고 기억 상실을 남긴다.단순 부분 발작단순 부분 발작은 발작 초점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 운동 증상: 일차 운동 야(중심 전회)에 발작 초점이 있으면 해당 부위의 한쪽 얼굴, 팔, 다리에 경련이 발생한다. 간대성 경련은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경련이고, 강직성 경련은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는 경련이다. 잭슨 행진은 얼굴 한쪽에서 시작된 경련이 같은 쪽 팔로 퍼져나가는 현상이다. 토드 마비는 경련 후 일시적으로 팔다리가 마비되는 현상이다. 전두엽 안구 운동 야에 발작 초점이 있으면 눈과 머리가 반대쪽으로 돌아가는 향회 발작이 나타난다. 보충 운동 야에 발작 초점이 있으면 반대쪽 팔을 들고 머리와 눈을 그쪽으로 향하는 자세 발작이 나타난다.
운동 발작명 | 발작 초점 |
---|---|
초점성 운동 발작 | 일차 주변 운동 야 |
Jackson형 발작 | 일차 운동 야 |
향회 발작 | 전두엽(측두엽, 두정엽) |
자세 발작 | 보충 운동 야 |
음성 발작 | 보충 운동 야 |
- 감각 증상: 일차 체성 감각 야에 발작 초점이 있으면 몸의 특정 부위에 이상 감각이 나타난다. 후두엽에 발작 초점이 있으면 환시(시각 발작), 측두엽 청각 야에 있으면 환청(청각 발작), 측두엽 내측에 있으면 환후(후각 발작)나 환미(미각 발작)가 나타난다. 두정·측두엽 이행부에 발작 초점이 있으면 회전성 현훈 발작이 나타난다.
감각 발작명 | 발작 초점 |
---|---|
체성 감각 발작 | 일차 체성 감각 야 |
시각 발작 | 후두엽 |
청각 발작 | 측두엽 청각 야 |
후각 발작 | 측두엽 내측 |
미각 발작 | 측두엽 내측 |
회전성 현훈 발작 | 두정·측두엽 이행부 |
- 자율신경 증상: 측두엽 내측을 발작 초점으로 하는 자율 신경 발작은 상복부 불쾌감, 구역, 구토, 발한, 입모, 빈맥, 서맥과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
- 정신 증상: 측두엽을 초점으로 하는 정신 발작은 기시감, 미시감, 공포감, 이인감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단순 부분 발작 시 뇌파는 해당 피질 기능 국재 영역에 시작하는 국소성 발사를 보이지만, 항상 두피에서 기록되는 것은 아니다. 임상적으로 단순 부분 발작이라도 뇌파상 초점성 돌발파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부분 발작은 "전기 활동 항진", "주변 뉴런과의 동기", "뇌의 인접 영역으로의 전파"의 3가지 과정을 거쳐 발생한다.[1] 발작 시작 시 뉴런 내부에서 발작성 탈분극성 변위(PDS)가 일어나고, 주변 억제를 극복하면 동기 방전이 나타나 증상이 발현된다.[1]
복합 부분 발작복합 부분 발작은 의식 장애를 동반하며, 발작 후 기억 상실을 남긴다.[2] 단순 부분 발작으로 시작하여 의식 장애로 이어지거나, 처음부터 의식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2] 정신 운동 발작과 거의 비슷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복합 부분 발작은 측두엽 또는 전두엽, 측두엽의 피질, 피질 하 영역(후각뇌, 변연계 포함)의 손상으로 발생하며, 측두엽 뇌전증과 관련이 있다.[2]
발작 중에는 말을 걸어도 반응하지 않고, 2~3분 정도 지속된다.[2] 자동증은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으로, 혀를 낼름거리거나 입을 움직이는 구강 자동증, 몸을 만지거나 옷을 만지작거리는 몸짓 자동증 등이 있다.[2] 자동증은 발작 중 또는 발작 후 몽롱한 상태에서 나타나며, 환자는 기억하지 못하거나 단편적으로만 기억한다.[2] 뇌전증 활동이 기저핵으로 전파되면 발작 시작 측과 반대측 상지에 디스토니아 자세가 나타난다.[2] 약 80%는 측두엽에 발작 초점이 있지만, 전두엽에 시작 초점이 있는 경우 발작 지속 시간이 짧고, 격렬한 자동증을 보이며, 발작 빈도가 잦다.[2]
측두엽 뇌전증에서 발작 발사가 측두엽 피질, 섬 피질에서 변연계(해마, 편도체)로 퍼지면 단순 부분 발작(정신 발작)이 나타나고, 이를 "외측 측두엽 발작"이라고 한다.[2] 발사가 변연계로 퍼지면 복합 부분 발작, 특히 자동증을 동반하게 되며, 이를 "편도체·해마 발작"이라고 한다.[2]
4. 2. 전신 발작
강직-간대 발작의 3분의 1은 뇌의 양쪽 반구에 영향을 미치고 의식을 손상시키는 전신 발작으로 시작된다.[23] 전신 발작은 모두 의식 상실을 동반하며 일반적으로 경고 없이 발생한다. 전신 발작에는 여섯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27]
발작 중에는 배변 또는 방광 조절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28] 발작을 경험하는 사람은 혀의 끝이나 옆면을 물 수 있으며,[29] 강직-간대 발작의 경우 옆면을 무는 경우가 더 흔하다.[29]
4. 3. 발작 후 상태 (Post-ictal)
발작의 활동적인 부분(발작 상태)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혼란이 있는 회복 기간이 있으며, 이를 발작 후 기간이라고 하며, 정상적인 의식 수준으로 돌아오기 전에 나타난다.[142] 이 기간은 보통 3~15분 동안 지속되지만,[44]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45] 다른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피로감, 두통, 언어 장애 및 비정상적인 행동 등이 있다.[45] 발작 후 정신병은 비교적 흔하며, 환자의 6~10%에서 발생한다.[46] 종종 사람들은 이 기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한다.[45] 토드 마비로 알려진 국소적인 쇠약이 국소 발작 후에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수 초에서 수 분 동안 지속되지만 드물게 하루 이틀 동안 지속될 수 있다.[47]4. 4. 심리사회적 영향
뇌전증은 사회적 고립, 낙인, 장애를 포함하여 사회적 및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이는 낮은 학업 성취와 좋지 않은 고용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23] 학습 장애는 뇌전증 환자, 특히 뇌전증을 앓는 어린이에게 흔하게 나타난다.[23] 뇌전증에 대한 낙인은 이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가족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28]우울증, 불안, 강박 장애(OCD),[48] 편두통[49]과 같은 특정 질환은 뇌전증 환자에게 더 자주 발생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는 뇌전증이 없는 어린이보다 뇌전증을 앓는 어린이에게 3~5배 더 많이 영향을 미친다.[50] ADHD와 뇌전증은 아동의 행동, 학습 및 사회적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51] 또한 뇌전증은 자폐증을 앓는 어린이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52]
뇌전증 환자의 약 3분의 1은 평생 정신 질환의 병력을 가지고 있다.[53] 이는 뇌전증 자체와 관련된 생리병리학적 변화와 뇌전증과 함께 생활하면서 겪는 부정적인 경험(예: 낙인, 차별)을 포함한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54] 뇌전증과 정신 질환 사이의 관계는 일방적이지 않고 양방향인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는 새롭게 발병하는 뇌전증의 위험이 증가한다.[55]
뇌전증 환자에게 동반되는 우울증 또는 불안의 존재는 삶의 질 저하, 사망률 증가, 의료 서비스 이용 증가, 그리고 치료(수술 포함)에 대한 반응 감소와 관련이 있다.[56][57][58][59] 불안 장애와 우울증은 발작 유형이나 빈도보다 삶의 질의 가변성을 더 많이 설명할 수 있다.[60] 우울증과 불안 장애 모두 뇌전증 환자에게서 과소 진단되고 과소 치료된다는 증거가 있다.[61]
5. 원인
뇌전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뇌전증의 원인과 관련된 질환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종류 | 내용 |
---|---|
유전적 요인 | 대부분의 뇌전증 발생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다. 일부는 단일 유전자 결함으로 발생하지만, 대부분은 여러 유전자와 환경적 요인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한다. 관련된 유전자는 이온 채널, 효소, GABA,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등이다. 일란성 쌍둥이는 이란성 쌍둥이보다 뇌전증 발생 확률이 더 높다. |
후천적 요인 | 뇌 손상, 뇌졸중, 뇌종양, 뇌 감염 등이 있다. 경미한 뇌 손상은 뇌전증 위험을 약 2배, 심각한 뇌 손상은 7배 증가시킨다. 뇌졸중 환자의 6~10%에서 뇌전증이 발생한다. 뇌종양 환자의 약 30%가 뇌전증을 앓고 있으며, 측두엽 종양과 같이 천천히 자라는 종양에서 위험이 더 크다. 수막염 후 뇌전증 위험은 10% 미만, 단순 포진 뇌염은 발작 위험이 약 50%이다. 유구낭미충증은 기생충이 흔한 지역에서 뇌전증 사례의 최대 절반을 차지한다. 그 외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 뇌염 등도 위험 요인이다. |
파코마토제스 | 신경피부 질환이라고도 불리며, 피부와 중추 신경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여러 기관 관련 질환군이다.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배아 외배엽 조직의 발달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자폐증 및 지적 장애와 같은 다른 증상과 함께 뇌전증을 유발한다. 결절성 경화증, 스타지-웨버 증후군과 같은 일부 유형은 제1형 신경섬유종증과 같은 다른 질환에 비해 뇌전증 발병률이 더 높다. |
기타 | 셀리악병 및 비셀리악병 글루텐 과민증과의 연관성은 논란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 뇌전증 환자 중 1~6%가 셀리악병을 앓고 있다고 보고한다. 수막염, 단순 포진 뇌염, 유구낭미충증 외에 뇌 말라리아, 톡소플라스마증, 톡소카라증 등도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만성 알코올 섭취,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 뇌염, 영양 실조, 뇌성마비 등도 뇌전증 위험 요소이다. |
세계 보건 기구는 뇌전증을 "여러 가지 병인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뇌 질환으로, 대뇌 뉴런의 과도한 방전으로 인한 반복적인 발작(간질 발작)을 주된 특징으로 하며, 이에 다변적인 임상 및 검사 소견의 발현이 동반된다"고 정의한다. 일본 신경학회의 뇌전증 치료 가이드라인 2010에서는 "뇌전증은 만성적인 뇌 질환으로, 대뇌의 신경 세포가 과도하게 흥분하여 뇌의 증상(발작)이 반복적(2회 이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뉴런의 흥분에 의한 불수의 운동은 뇌전증이 아니다. 척수성 근간대 경련 및 하위 뉴런 장애의 섬유속 연축 역시 뇌전증과는 다르다. 약물 중독의 금단기에 발생하는 경련은 뇌전증이 아니다.
5. 1. 유전적 요인
유전자는 대부분의 뇌전증 발생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5] 일부 뇌전증은 단일 유전자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지만(1~2%), 대부분은 여러 유전자와 환경적 요인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한다.[4] 단일 유전자 결함은 드물며, 200개 이상이 밝혀졌다.[66] 관련된 유전자 대부분은 이온 채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63] 여기에는 이온 채널, 효소, GABA,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대한 유전자가 포함된다.[67]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뇌전증을 앓으면 다른 한 명도 뇌전증에 걸릴 확률이 50~60%이다.[4] 이란성 쌍둥이는 그 위험이 15%이다.[4] 이러한 위험은 전신 발작 환자에게서 더 크게 나타난다.[4] 두 쌍둥이 모두 뇌전증을 앓는 경우, 대부분 같은 뇌전증 증후군을 겪는다(70~90%).[4] 뇌전증 환자의 다른 가까운 친척은 일반 인구보다 뇌전증 발생 위험이 5배 높다.[68] 다운 증후군 환자의 1~10%와 안젤만 증후군 환자의 90%가 뇌전증을 앓고 있다.[68]
5. 2. 후천적 요인
뇌전증은 여러 가지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후천적 요인으로는 심각한 뇌 손상, 뇌졸중, 뇌종양 등이 있으며, 이전의 감염으로 인한 뇌 문제 또한 원인이 될 수 있다.[63]- 뇌 손상: 경미한 뇌 손상은 뇌전증 위험을 약 2배 증가시키며, 심각한 뇌 손상은 7배까지 증가시킨다.[68] 머리에 고출력 총상을 입은 경우에는 뇌전증 위험이 약 50%에 달한다.[68]
- 뇌졸중: 뇌졸중을 겪은 환자의 6~10%에서 뇌전증이 발생한다.[81][82] 뇌졸중의 심각성, 피질 침범, 출혈, 초기 발작 등이 뇌졸중 후 뇌전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다.[83][84]
- 뇌종양: 뇌종양 환자의 약 30%가 뇌전증을 앓고 있으며, 이는 전체 뇌전증 원인의 약 4%를 차지한다.[68] 측두엽 종양과 같이 천천히 자라는 종양에서 뇌전증 위험이 더 크다.[68]
- 뇌 감염: 수막염 후 뇌전증 위험은 10% 미만이지만, 감염 자체로 인해 발작이 유발될 수 있다.[68] 단순 포진 뇌염의 경우 발작 위험은 약 50%이며,[68] 뇌전증으로 이어질 위험도 높다(최대 25%).[87][88] 유구낭미충증은 뇌에서 발생하며, 기생충이 흔한 지역에서는 뇌전증 사례의 최대 절반을 차지한다.[68] 뇌 말라리아, 톡소플라스마증, 톡소카라증과 같은 다른 뇌 감염도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68]
- 기타: 중추 신경계 해면상 혈관종 및 뇌 동정맥 기형과 같은 종괴 병변은 40~60%의 뇌전증 위험을 가진다.[68]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 뇌염 등도 뇌전증의 위험 요인이다.[68] 뇌성마비 환자, 특히 경직성 사지마비 및 경직성 반신마비 환자는 뇌전증 위험이 높다.[89]
셀리악병 및 비셀리악병 글루텐 과민증과 뇌전증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상반된다.[85][86] 일부 연구에서는 뇌전증 환자 중 1~6%가 셀리악병을 앓고 있다고 보고한다.[86]
5. 3. 파코마토제스 (Phakomatoses)
파코마토제스는 신경피부 질환이라고도 불리며, 피부와 중추 신경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여러 기관 관련 질환군이다. 이는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배아 외배엽 조직의 발달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뇌뿐만 아니라 다른 신경 조직과 피부도 모두 외배엽에서 유래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함은 자폐증 및 지적 장애와 같은 다른 증상뿐만 아니라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69] 결절성 경화증, 스타지-웨버 증후군과 같은 일부 유형의 파코마토제스는 제1형 신경섬유종증과 같은 다른 질환에 비해 뇌전증 발병률이 더 높다.[69]5. 4. 기타
다음은 뇌전증과 관련된 기타 질환 및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셀리악병 및 비셀리악병 글루텐 과민증: 일부 연구에서 뇌전증과 이들 질환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있지만, 모든 연구에서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셀리악병, 뇌전증, 뇌 석회화를 모두 포함하는 특정 증후군이 존재한다.[85][86] 뇌전증 환자 중 1~6%가 셀리악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86]
- 감염:
- 수막염: 수막염 후 뇌전증 발생 위험은 10% 미만이지만, 감염 자체 동안 발작이 더 흔하게 발생한다.[68]
- 단순 포진 뇌염: 발작 위험이 약 50%이며, 뇌전증으로 이어질 위험도 높다(최대 25%).[68][87][88]
- 유구낭미충증: 기생충이 흔한 지역에서 뇌전증 사례의 최대 절반을 차지하는 원인이다.[68]
- 기타 뇌 감염: 뇌 말라리아, 톡소플라스마증, 톡소카라증 등도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68]
- 만성 알코올 섭취: 하루 6 알코올 단위를 마시는 사람은 뇌전증 위험이 2.5배 증가한다.[68]
- 기타 질환: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 뇌염 등도 뇌전증의 위험 요소이다.[68]
- 영양 실조: 개발도상국에서 주로 나타나는 위험 요소이지만, 직접적인 원인인지 연관성인지 불분명하다.[16]
- 뇌성마비: 뇌성마비 환자는 뇌전증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경직성 사지마비 및 경직성 반신마비 환자의 절반이 뇌전증을 앓고 있다.[89]
6. 병태 생리
뇌전증의 정확한 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92] 세포 및 네트워크 기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있다. 뇌가 과도하게 동기화되어 발작 활동으로 전환되는 상황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93][94][95][96] 일반적으로 뇌의 전기적 활동은 비동기적이다. 즉, 대규모의 뉴런들이 동시에 발화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가 뇌 전체로 전달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화한다.[24]
뉴런의 활동은 세포 내, 세포 환경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뉴런 내부 요인으로는 이온 채널의 유형, 수, 분포, 수용체 변화, 유전자 발현 변화 등이 있다.[90] 뉴런 주변 요인으로는 이온 농도, 시냅스 가소성, 신경전달물질 분해에 대한 신경교의 조절 등이 있다.[90][91]
발작은 세포 수준[101]에서 뇌 전체[102]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척도로 설명할 수 있으며, 다양한 척도에서 뇌를 병리학적 상태로 "몰아가고"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몇 가지 동반 요인이 있다.
2017년, 국제 간질 퇴치 연맹은 발작 및 뇌전증의 원인과 동반 질환과 함께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통일 지침을 발표했다.[35]
6. 1. 뇌전증
뇌전증에서는 흥분성 뉴런의 발화 저항이 감소한다.[24] 이는 이온 채널의 변화 또는 억제성 뉴런의 부적절한 기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4] 그 결과 발작이 발생할 수 있는 특정 부위, 즉 "발작 초점"이 형성된다.[24] 뇌전증의 또 다른 기전은 뇌 손상 후 흥분성 회로의 상향 조절 또는 억제성 회로의 하향 조절일 수 있다.[24][97] 이러한 이차 뇌전증은 뇌전증 발생으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24][97] 혈액-뇌 장벽의 기능 부전 또한 혈액 내 물질이 뇌로 유입되도록 하여 원인이 될 수 있다.[98]인간의 뇌는 뉴런으로 구성된 망상 회로망으로, 신경 임펄스를 전달하는 형태로 뇌 내에 신호를 전달한다. 뉴런 간 신호 전달에는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지만, 일부는 전기 경로도 존재한다. γ-아미노부티르산(GABA)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뉴런 발화를 억제하며, 글루탐산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뉴런을 흥분시킨다. 흥분과 억제의 균형이 무너지면 발작이 발생할 수 있다. 항전간제는 GABA의 조직 계통에 강하게 작용하여 발작을 억제한다.[286] 신경 임펄스는 세포막 내부 신경 경로를 통한 나트륨 이온의 대량 유입과 칼륨 이온의 유출을 특징으로 한다. 뉴런은 불응기 동안 발화할 수 없으며, 이는 칼륨 채널에 의해 매개된다. 이온 채널의 흐름은 전압 변화나 리간드에 의해 조절된다. 항전간제는 이러한 신경 경로에도 작용한다.[286]
병태생리학적 뇌전증 발작 발생의 예는 다음과 같다.[286]
- 뇌 신경 세포의 비정상적인 흥분 상태 지속
- 뉴런 구조 이상으로 인한 전류 변화
-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생산 감소
-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무효화
-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과도한 분해
- 시냅스 발달 미숙
- 이온 채널 기능 장애
6. 2. 발작
뇌전증 발작의 가장 흔한 유형(60%)은 불수의근 수축을 동반하는 강직-간대 발작이다.[23] 이 중 3분의 1은 뇌의 양쪽 반구에 영향을 미치고 의식을 손상시키는 전신 발작으로 시작된다.[23] 3분의 2는 초점 발작(뇌의 한쪽 반구에 영향을 미침)으로 시작하여 전신 발작으로 진행될 수 있다.[23] 나머지 40%의 발작은 비강직성이다. 비강직성 발작의 예로는 의식 수준 감소로 나타나고 보통 약 10초 동안 지속되는 결신 발작이 있다.[24][25]조짐은 초점 발작에 선행하는 특정 경험을 말한다.[142] 발작은 뇌의 어느 부분이 관여하는지에 따라 감각(시각, 청각 또는 후각), 정신, 자율신경, 운동 현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24] 잭슨 발작은 특정 근육 그룹에서 시작하여 주변 근육 그룹으로 확산되는 근육 경련을 말한다.[26] 자동증은 무의식적으로 생성된 활동으로, 입술을 씰룩이는 것과 같은 단순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무언가를 잡으려는 시도와 같은 더 복잡한 활동이 대부분이다.[26]
전신 발작에는 강직-간대 발작, 강직 발작, 간대 발작, 근간대 발작, 결신 발작, 무긴장 발작의 여섯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27] 이들은 모두 의식 상실을 동반하며 일반적으로 경고 없이 발생한다.
강직-간대 발작은 사지의 수축(강직기)이 발생한 후 10~30초 동안 사지의 확장과 등 굽힘이 나타나며, 가슴 근육의 수축으로 인해 울부짖는 소리가 들릴 수 있다. 그 후 사지가 동시에 떨리는 간대기가 나타난다. 강직 발작은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을 유발하며, 호흡이 멈추면서 종종 사람이 파랗게 변한다. 간대 발작에서는 사지가 동시에 떨린다. 떨림이 멈춘 후 사람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데 10~30분 정도 걸릴 수 있으며, 이 기간을 "발작 후 상태" 또는 "발작 후기"라고 한다. 발작 중에는 배변 또는 방광 조절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28] 발작을 경험하는 사람은 혀의 끝이나 옆면을 물 수 있으며,[29] 강직-간대 발작의 경우 옆면을 무는 경우가 더 흔하다.[29] 혀 물림은 정신성 비간질 발작에서도 비교적 흔하다.[29] 정신성 비간질 발작은 EEG에서 관련된 동기화된 전기 방전 없이 발작과 같은 행동을 보이며 해리 장애로 간주된다.[29]
근간대 발작은 몇몇 부위나 전체에서 매우 짧은 근육 경련을 동반하며,[67][30] 때때로 사람이 넘어지게 하여 부상을 입힐 수 있다.[67] 결신 발작은 머리나 눈의 약간의 움직임과 의식 손실만으로도 미묘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24] 일반적으로 사람은 넘어지지 않고 끝나자마자 정상으로 돌아온다.[24] 무긴장 발작은 1초 이상 근육 활동을 잃는 것을 포함하며,[26] 일반적으로 신체의 양쪽에서 발생한다.[26] 희귀한 발작 유형으로는 불수의적이고 부자연스러운 웃음(강직성), 울음(운동 이상), ''데자뷰''와 같은 복잡한 경험 등이 있다.[30]
간질 환자의 약 6%는 특정 사건에 의해 종종 유발되는 반사 발작을 경험한다.[31] 반사 간질 환자는 특정 자극에 의해서만 발작이 유발된다.[32] 흔한 유발 요인으로는 깜박이는 빛과 갑작스러운 소리가 있다.[31] 특정 유형의 간질에서는 수면 중에 발작이 더 자주 발생하며,[33] 다른 유형에서는 거의 수면 중에만 발생한다.[34]
발작의 활동적인 부분(발작 상태) 이후에는 발작 후 기간이라고 하는 혼란이 있는 회복 기간이 나타나며, 이는 정상적인 의식 수준으로 돌아오기 전에 나타난다.[142] 이 기간은 보통 3~15분 동안 지속되지만[44] 몇 시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45]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피로감, 두통, 언어 장애, 비정상적인 행동 등이 있다.[45] 발작 후 정신병은 비교적 흔하며, 환자의 6~10%에서 발생한다.[46]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45] 토드 마비는 국소 발작 후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쇠약으로, 수 초에서 수 분 동안 지속되지만 드물게 하루 이틀 동안 지속될 수 있다.[47]
간질 발작 시에는 신경 세포 집단이 비정상적이고 과도하며,[23] 동기화된 방식으로 발화하기 시작한다.[24] 이는 발작성 탈분극 이동으로 알려진 탈분극 파동을 초래한다.[99] 일반적으로 흥분성 뉴런이 발화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발화에 대한 저항력이 커진다.[24] 이는 억제성 뉴런의 영향, 흥분성 뉴런 내의 전기적 변화, 아데노신의 부정적인 효과 때문이다.[24]
국소 발작은 뇌의 한 영역에서 시작되는 반면, 전신 발작은 두 대뇌 반구 모두에서 시작된다.[27] 일부 유형의 발작은 뇌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00] 신경교증, 신경 세포 손실, 뇌 특정 부위의 위축은 간질과 관련이 있지만, 간질이 이러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아니면 이러한 변화가 간질을 초래하는지는 불분명하다.[100]
발작은 스트레스, 과도한 음주, 깜박이는 빛, 수면 부족 등과 같은 요인(트리거)에 의해 종종 발생한다. 발작 역치는 발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자극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간질에서 이 역치는 낮아진다.[15]
7. 진단
뇌전증 진단은 일반적으로 발작의 시작과 근본 원인 관찰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23] 비정상적인 뇌파 패턴을 확인하기 위한 뇌파도(EEG)와 뇌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신경 영상(CT 스캔 또는 MRI)도 초기 검사의 일부이다.[23] 어려운 경우에는 비디오 및 뇌파 감시가 유용할 수 있다.[103]
국제뇌전증협회(ILAE)는 뇌전증을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지속적인 소인을 특징으로 하며, 이 상태의 신경 생물학적, 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결과가 나타나는 뇌 질환"으로 정의한다.[3][104] 뇌전증은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정의되는 뇌 질환이다:[1]
발작 분류가 발작 중에 일어나는 일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달리, 뇌전증의 분류는 근본적인 원인에 초점을 맞춘다.
뇌전증 진단은 "뇌전증 여부 진단", "뇌전증 발작 유형 진단", "뇌전증 증후군 진단"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발작형 진단은 1981년 ILAE(국제뇌전증협회) 발작형 분류로 이루어진다. 뇌전증 발작을 의사가 진찰실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병력과 뇌파를 중심으로 발작형을 진단하게 된다.
- 본인으로부터의 병력: 단순 부분 발작이나 전신 발작이라도, 미오클로니 발작의 경우에는 의식이 유지되어 환자와의 대화가 가능하다. 감각 발작, 자율신경 발작의 대부분은 이차성 전신화하기 때문에 부분 발작의 증상을 전조(아우라)로 느끼는 경우가 많다.
- 목격자로부터의 병력: 어떤 발작이었는지 목격자에게 질문한다. 강직-간대 발작은 일반적으로 60~90초인 것으로 비디오 뇌파 모니터 검사로 밝혀졌다.
연령, 뇌전증 발작 유형, 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뇌전증 증후군 진단을 받는다. 웨스트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소아 양성 부분 뇌전증, 소아 결신 뇌전증, 청소년기 근간대성 뇌전증, 내측 측두엽 뇌전증 등이 알려져 있다.
7. 1. 뇌파 검사 (EEG)
뇌파검사(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로, 뇌전증 발작 시 나타나는 특징적인 뇌파 패턴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23] 뇌파 검사는 발작 위험 증가를 시사하는 뇌 활동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뇌전증 진단에서 뇌파검사는 현재 발작의 유형 또는 증후군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21] 소아의 경우, 전문의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두 번째 발작 후에만 필요하다. 뇌파검사는 진단을 배제하는 데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질환이 없는 사람에게서 거짓 양성 결과를 보일 수 있다.[121]
일반적인 뇌파 검사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 일반 검사를 반복하기보다는 수면 시 뇌파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특정 상황에서는 영향을 받은 개인이 잠을 자거나 수면이 부족한 상태에서 뇌파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103] 발작의 패턴, 이상이 나타나는 뇌의 부위를 특정하기 위해 장기 뇌파 비디오 동시 기록 검사가 사용된다. 경막외 전극 기록도 사용될 수 있다. 뇌파 검사만으로 뇌전증의 진단을 내려서는 안 된다.
7. 2. 뇌 영상 검사 (CT, MRI)
CT 스캔 및 MRI를 이용한 진단 영상 검사는 첫 번째 비열성 발작 후 뇌 내부 및 주변의 구조적 문제를 감지하기 위해 권장된다.[103] MRI는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더 나은 영상 검사이며, 이 경우에는 CT가 더 민감하고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다.[17] 발작으로 응급실에 방문했지만 신속하게 정상으로 돌아온 경우, 영상 검사는 나중에 수행될 수 있다.[17] 이전에 영상 검사를 받은 뇌전증 진단을 받은 사람이 후속 발작이 발생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영상 검사를 반복할 필요는 없다.[103][157]CT, MRI, 확산 텐서 영상, PET, 신티그래피, NIRS 뇌 계측 장치, SPECT, MEG가 시행된다.
7. 3. 기타 검사
성인의 경우, 전해질, 혈당 및 칼슘 수치를 검사하여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하다.[103] 심전도 검사는 심장 리듬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103] 허리 천자는 중추 신경계 감염을 진단하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일상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17] 소아의 경우, 대사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소변 생화학 검사 및 혈액 검사와 같은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103][122]유전자 검사는 뇌파검사 및 신경 영상 검사와 함께, 뇌전증에 대한 가장 중요한 진단 기술 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소아와 성인 모두에서 심각한 뇌전증 환자의 관련 비율에서 진단을 얻을 수 있다.[123] 음성 유전자 검사 결과를 보인 사람의 경우, 2~3년 후에 이전 유전자 연구를 반복하거나 재분석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124]
발작 후 처음 20분 이내에 높은 혈중 프로락틴 수치는 정신성 비간질 발작과 대조하여 뇌전증 발작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25][126] 혈청 프로락틴 수치는 국소 발작을 감지하는 데 덜 유용하다.[127] 프로락틴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뇌전증 발작이 여전히 가능하며,[126] 혈청 프로락틴은 뇌전증 발작과 실신을 구분하지 못한다.[128] 따라서, 혈청 프로락틴 검사는 뇌전증 진단의 일상적인 부분으로 권장되지 않는다.[103]
혈액 및 뇨 검사 또한 뇌전증 진단에 필수적이다. "경련 발작의 혈청 마커"로는 CK 외에 젖산과 프로락틴이 알려져 있다. 강직-간대 발작의 경우, CK 상승의 민감도는 86%, 특이도는 75%이며, 프로락틴 상승의 민감도는 47~76%, 특이도는 85~100%로 보고되고 있다. 프로락틴은 경련 후 15분에서 60분 정도에 상승이 확인되며, 기준치의 2배 이상이면 이상으로 간주한다.
7. 4. 감별 진단
뇌전증은 실신, 과호흡 증후군, 편두통, 기면증, 공황 발작, 정신성 비간질 발작(PNES) 등과 같이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들과 구별해야 한다.[129][133] 특히, 실신은 짧은 경련을 동반할 수 있다.[130]다음은 뇌전증과 감별해야 할 주요 질환들이다.
- 실신: 의식 소실이 짧고, 보통 1분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저혈압이 원인인 경우 눈앞이 어두워지는 전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의식 회복이 빠르며, 발작 후 몽롱함, 두통, 근육통, 설사, 요실금 등이 없다. 아담스-스토크스 증후군이 의심되면 심전도 및 심장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
- 정신성 비간질 발작 (PNES): 히스테리 발작, 가성 경련, 심인성 발작이라고도 한다. 뇌전증 환자의 5~35%에서 나타나며,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발작의 약 35%가 심인성 발작으로 알려져 있다. 경련과 심인성 발작의 감별점은 아래 표와 같다.
경련 | 심인성 발작 | |
---|---|---|
머리 움직임 | 주로 어깨 봉우리에 이끌리듯 움직임 | 주로 좌우로 흔들림 (중앙을 넘어 좌우로) |
사지 움직임 | 보통 동조율로 움직임 | 주로 제멋대로 움직임 |
골반 움직임 | 보통 없음 | 주로 전후로 움직임 |
동공 | 산대, 대광반사 소실 | 정상 |
눈 뜨는 것에 대한 저항 | 보통 저항 없음 | 주로 저항함 |
두위 전환 안구 도피 | 없음 | 있음 |
암 드롭 테스트 | 보통 회피 없음 | 보통 회피 |
복근 긴장 | 있음 | 없음 |
입 | 벌리고 있는 경우가 많음 | 꽉 닫혀 있음 |
발작 중 말하기 | 절대 없음 | 자주 있음 |
경련 후 몽롱한 상태 | 있음 | 자주 없음 |
경련 시 기억 | 없음 | 자주 있음 |
설교증 | 혀 옆에서 보이는 경우가 많음 | 혀 끝에서 많음 |
요실금 | 있을 수 있음 | 있을 수 있음 |
변실금 | 있을 수 있음 | 보통 없음 |
심인성 발작으로 진단되더라도, 동일인의 모든 발작이 심인성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목의 규칙적인 반복적인 좌우 흔들림, 발작 중 눈 감음, 발작 중 울기 시작, 발작 전 1분 이상 눈 감고 동작 정지를 동반하는 유사 수면 상태 등은 심인성 발작 가능성이 높다. 발작 후 혈중 프로락틴 농도가 상승하면 경련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가성 경련의 경우 발작 시 뇌파는 정상이다.
- 급성 증후성 발작: 뇌전증 발작이지만 만성 질환인 뇌전증과는 다르다. 급성 전신성 질환, 급성 대사성 질환, 급성 중독성 질환, 급성 중추 신경계 질환(감염증, 뇌졸중, 두부 외상, 급성 알코올 중독, 급성 알코올 금단)과 시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생한다. 원인이 되는 상태가 개선되면 발작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항뇌전증 약은 불필요하다.
원인 | |
---|---|
뇌혈관 장애 | 뇌혈관 장애로부터 7일 이내에 일어나는 발작 |
중추 신경계 감염증 | 중추 신경계 감염증의 활동기에 일어나는 발작 |
두부 외상 | 두부 외상으로부터 7일 이내에 일어나는 발작 |
대사성 | 전해질 이상, 저혈당, 비케톤성 고혈당, 요독증, 저산소 뇌증, 자간증, 전신성 질환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발작 |
중독 | 마약 및 처방약, 알코올 |
금단 | 알코올 및 약물의 금단 시 |
두개 내 수술 후 | 두개 내 뇌외과 수술 직후에 일어나는 발작 |
탈수초성 |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급성기에 일어나는 발작 |
다인성 | 동시에 일어난 몇 가지 상황과 관련된 발작 |
- 일과성 뇌허혈 발작 (TIA): 국소 신경 탈락 증상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불수의 운동을 일으키는 경우 감별이 어려울 수 있다. 토드 마비와 뇌경색 마비는 뇌파와 MRI로 감별한다.
- 기타: 일과성 전건망, 과호흡 발작, 열성 경련 등도 뇌전증과 감별해야 한다.
8. 관리
뇌전증은 약물 치료, 수술, 식이 요법, 신경 자극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두 번째 발작이 발생하면 매일 약물 치료를 받으며,[23][103] 이후 발작의 위험이 높은 환자의 경우 첫 번째 발작 후 약물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103] 약물 저항성 뇌전증의 경우, 특수 식이요법, 신경 자극기 이식 또는 신경외과 수술을 포함한 다양한 약물 저항성 뇌전증 관리 옵션을 고려할 수 있다.
미주 신경 자극술이나 케톤 생성 식이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는 사례도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신경외과적 수술을 시행하거나 평생동안 항경련제를 투약하기도 한다.[358][359]
혈액 및 소변 검사 또한 뇌전증 진단에 필수적이다. 경련 발작의 혈청 마커로는 CK 외에 젖산과 프로락틴이 알려져 있다. 강직-간대 발작의 경우, CK 상승의 민감도는 86%, 특이도는 75%이며, 프로락틴 상승의 민감도는 47~76%, 특이도는 85~100%로 보고되고 있다. 프로락틴은 경련 후 15분에서 60분 정도에 상승이 확인되며, 기준치의 2배 이상이면 이상으로 간주한다.
8. 1. 약물 치료
뇌전증의 주요 치료법은 항경련제이며, 평생 복용해야 할 수도 있다.[23] 항경련제 선택은 발작 유형, 뇌전증 증후군, 다른 사용 약물, 다른 건강 문제, 환자의 나이 및 생활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144] 처음에는 단일 약물 치료가 권장되며,[145] 효과가 없을 경우 다른 단일 약물로 변경하는 것이 권장된다.[103] 두 가지 약물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단일 약물이 효과가 없을 때만 권장된다.[103]페니토인, 카바마제핀, 발프로산을 포함한 다양한 약물이 있다. 페니토인, 카바마제핀, 발프로산은 국소 발작과 전신 발작 모두에서 동등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147][148] 서방형 제제 카바마제핀은 속방형 카바마제핀과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부작용이 더 적을 수 있다.[149][150] 영국에서는 카바마제핀 또는 라모트리진이 국소 발작의 1차 치료제로 권장되며, 레베티라세탐과 발프로산은 비용 및 부작용 문제로 인해 2차 치료제로 권장된다.[103][151] 발프로산은 전신 발작의 1차 치료제로 권장되며 라모트리진은 2차 치료제로 권장된다.[103] 결신 발작 환자에게는 에토석시미드 또는 발프로산이 권장되며, 발프로산은 간대성 발작과 강직성 또는 무긴장성 발작에 특히 효과적이다.[103]
약물 부작용은 자료 수집 방법과 출처에 따라 환자의 10%에서 90%에서 보고된다.[213] 대부분의 부작용은 용량 관련성이 있으며 경미하다.[213] 몇 가지 예로는 기분 변화, 졸음 또는 보행 불안정이 있다.[213] 특정 약물은 발진, 간 독성 또는 골수 억제와 같이 용량과 관련 없는 부작용이 있다.[213]
항뇌전증 약물 중 레베티라세탐과 라모트리진은 선천적 결손을 유발할 위험이 가장 낮은 것으로 보인다.[154]
8. 2. 수술
뇌전증 수술은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게 고려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158] 뇌전증 수술은 발작을 유발하는 뇌 부위(발작 초점)를 제거하거나, 뇌의 특정 연결을 차단하여 발작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62]약물 저항성 뇌전증을 앓는 생후 1~36개월 영유아에 대한 수술적 중재는 특히 다른 치료법이 실패했을 경우 발작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없앨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59] 수술의 목표는 발작을 완전히 통제하는 것이지만,[163] 발작의 부담을 상당히 줄이는 완화 수술조차 약물 저항성 뇌전증을 앓는 어린이의 발달 개선이나 발달 정체의 반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62]
일반적인 뇌전증 수술 절차는 다음과 같다.[162]
- 피질 절제술: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는 대뇌 피질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뇌전증 발작을 억제한다. 발작을 일으키는 대뇌 피질은 두개 내 뇌파 모니터링, MRI 영상, 뇌자도, PET, SPECT 검사로 확인한다.
- 뇌량 절단술: 대뇌의 좌우를 연결하는 뇌량을 절단하여 발작을 줄인다. 발작을 일으키는 대뇌 피질이 광범위하거나 여러 부위인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 전측 측두엽 절제술을 통한 해마 절제: 뇌의 측두엽 일부와 해마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 종양 제거: 뇌종양이 뇌전증의 원인인 경우,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수술 요법의 대상이 되기 쉬운 뇌전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해마 경화증 (내측 측두 경화증): 측두엽 뇌전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MRI에서 해마 위축 등이 관찰된다.
- 종양: 난치성 뇌전증의 약 4%는 종양성 병변이 원인이다. 배아이형성 신경상피종, 신경절교종 등에서 뇌전증이 자주 발생한다.
- 대뇌 피질 형성 장애: 신경 세포, 교세포의 증식, 신경 세포의 이동, 피질의 층상 구조 형성의 이상으로 생기는 대뇌 피질의 형성 장애를 말한다. 무뇌회, 후뇌회증, 이소성 회백질, 다소뇌회증, 열뇌증 등으로 분류된다.
수술 후에는 많은 경우 약물을 서서히 중단할 수 있다.[162][160]
8. 3. 신경 자극술
뇌자극술은 신경-사이버네틱 보철 이식술을 통해 수술 대상이 아닌 환자에게 또 다른 선택지를 제공하며, 표준 치료와 함께 특정 신경 또는 뇌 영역에 만성적인 펄스 전기 자극을 가한다.[103]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사용되는 세 가지 유형은 미주 신경 자극술 (VNS), 전방 시상 자극술, 폐쇄 루프 반응 자극술 (RNS)이다.[7][164][165]미주 신경 자극술(VNS)은 난치성 뇌전증 치료법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보험 적용도 가능하다.[273][274] 펄스 발생기에서 목의 왼쪽 미주 신경에 전극을 감아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해서 전기 자극을 보내 뇌전증 발작 횟수를 줄이거나 발작 정도를 가볍게 한다.[275]
뇌 심부 자극술은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된 실적이 있으며,[276] 뇌전증에 적용하기 위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277]
8. 4. 식이 요법
케톤 생성 식이요법(고지방, 저탄수화물, 적절한 단백질)은 뇌전증 환자의 발작 횟수를 줄이고, 일부 환자에게서는 발작을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있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8] 2022년의 문헌 체계적 검토 결과, 케톤 생성 식이요법 또는 변형된 애킨스 다이어트가 일부 유아의 뇌전증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166] 이러한 유형의 식단은 약물 저항성 뇌전증이 있는 어린이에게 유익할 수 있지만, 성인에게 사용되는 것에 대한 효과는 불확실하다.[8] 가장 흔하게 보고된 부작용은 구토, 변비 및 설사였다.[8] 이 식단이 왜 효과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167] 셀리악병 또는 비셀리악병 글루텐 민감성 및 후두부 석회화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글루텐 프리 다이어트가 발작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86]2016년 4월, 난치성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당질 섭취를 극단적으로 줄인 '케톤식'( '뇌전증 식단')에 보험이 적용되었다. 이 식사법은 포도당이 아닌 케톤체를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케토시스 상태로 유도하기 위해 탄수화물 섭취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지방 섭취를 대폭 늘리는 것이다(칼로리의 90%를 지방에서 섭취한다).[284]
시즈오카 뇌전증·신경 의료 센터의 관리 영양사 타케나미 치카게는 "기름져서 먹기 어렵다. 요리를 하는 가족의 부담은 결코 가볍지 않다"고 말했다. 밀가루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특수 분유 '케톤 포뮬러'를 레시피에 채용하고 있지만, 제조하는 곳은 '메이지' 1곳뿐이다. 등록된 환자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국가로부터의 보조금은 제한되어 있으며, 그 제조 비용은 상당히 크다. 재해로 생산이 중단되면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케톤식은 학교 급식에도 관련이 있다. '케톤식 보급회'의 전 회장, 마츠도 클리닉(지바현 마츠도시) 원장 마루야마 히로시는 "학교나 보육 시설에는 도시락을 지참하는 환자가 대부분이다.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대응은 진전되었지만, 뇌전증에 대한 배려도 검토해 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285]
8. 5. 기타
회피 요법은 유발 요인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빛에 민감한 사람들은 작은 텔레비전을 사용하거나, 비디오 게임을 피하거나,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발작을 줄일 수 있다.[168] 뇌파를 기반으로 하는 조작적 생체 피드백은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169] 그러나 심리적 방법은 약물을 대체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된다.[103]운동은 발작 예방에 유용할 수 있으며,[170] 이를 뒷받침하는 일부 데이터가 있다.[171] 흔히 발작 탐지견이라고 불리는 일부 개는 발작 중 또는 발작 후에 도움을 줄 수 있다.[172][173] 개가 발작 전에 발작을 예측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하다.[174]
다른 치료법과 함께 뇌전증에 대한 심리적 중재를 사용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중간 정도의 품질의 증거가 있다.[175] 심리적 중재는 성인과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서적 웰빙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줄일 수 있다.[175] 또한 자가 관리와 순응도를 높여 일부 개인의 발작 조절을 개선할 수도 있다.[175]
칸나비디올은 다른 약물로 잘 조절되지 않는 일부 어린이에게 추가 요법으로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176][177] 2018년 FDA은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및 드라베 증후군에 대해 칸나비디올 사용을 승인했다.[178]
침술,[278] 종합 비타민제,[279] 요가[280] 등 대체 의료는 뇌전증 치료에 대한 신뢰할 만한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멜라토닌의 경우 2016년 시점에서는 불충분하지만 지지적인 증거가 존재한다.[281] 그러나 이 연구에는 방법적인 문제점이 있어 결론을 내릴 수 없다.[281] 마찬가지로 증거 수준이 낮은 보고(동물 실험 등)에서 지금까지 여러 보충제(고용량 오메가-3, 베르베린, 마누카 꿀, 영지, 털 버섯, 커큐민[282], 비타민 E, 코엔자임 Q10, 레스베라트롤)가 약물 내성 뇌전증에 유효할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은 (이론상) 뇌전증의 주요 발병 요인 중 두 가지인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줄인다는 생각에 기반하고 있다.[283]
8. 6. 응급 처치
강직-간대 발작 환자를 옆으로 눕혀 회복 자세를 취하게 하면 체액이 폐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141] 손가락, 물기 방지대, 설압자 등을 입에 넣는 것은 구토를 유발하거나 구조자가 물릴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142][141] 추가적인 자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142] 척추 손상이 의심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척추 예방 조치는 필요하지 않다.[141]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발작 사이에 정상 의식 수준으로 돌아오지 않고 5분 안에 2회 이상 발작이 발생하면 간질 중첩증이라는 응급 의료 상황으로 간주된다.[103][143] 이 경우 기도를 열어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의료 지원이 필요할 수 있으며,[103] 비인두 기도가 유용할 수 있다.[141] 가정에서는 장시간 지속되는 발작에 대해 코나 입에 투여하는 미다졸람이 권장되는 초기 약물이다.[144] 디아제팜을 좌약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144] 병원에서는 로라제팜을 정맥 주사하는 것이 선호된다.[103]
벤조디아제핀을 두 번 투여해도 효과가 없다면 페니토인과 같은 다른 약물이 권장된다.[103] 초기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전신 강직-간대 발작은 중환자실 입원과 미다졸람 주입, 케타민, 티오펜톤, 프로포폴과 같은 더 강력한 약물로 치료해야 한다.[103]
9. 예후
뇌전증은 일반적으로 완치될 수 없지만, 약물 치료를 통해 약 70%의 환자에서 발작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6] 전신 발작 환자는 80% 이상, 국소 발작 환자는 50%가 약물로 조절된다.[7] 항뇌전증약을 2~3종류 병용하여 2년 이상 충분한 양을 투여했음에도 발작이 1년 이상 억제되지 않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 "난치성"으로 간주한다. 처음 사용한 항뇌전증약으로 발작이 억제되는 환자는 47%,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약제를 사용하면 13%, 2제 병용에서는 3%이다.
장기적인 예후를 예측하는 요인 중 하나는 처음 6개월 동안 발생하는 발작의 횟수이다.[23] 불량한 예후를 유발하는 다른 요인으로는 초기 치료에 대한 반응 부족, 전신 발작, 뇌전증 가족력, 정신과적 문제, 전신적인 간질성 활동을 나타내는 뇌파 등이 있다.[190] 국제 뇌전증 퇴치 연맹(ILAE)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가 10년 동안 발작이 없고 5년 동안 항경련제를 복용하지 않으면 뇌전증이 해결된 것으로 간주한다.[191]
뇌전증 환자는 일반 인구보다 조기 사망 위험이 1.6~4.1배 더 높을 수 있다.[192] 사망은 종종 발작의 기저 원인, 지속적 발작, 자살, 외상, 뇌전증 관련 급사(SUDEP)와 관련이 있다.[193] 지속적 발작으로 인한 사망은 약물 복용 누락보다는 기저 질환으로 인해 주로 발생한다.[193] 뇌전증 환자의 자살 위험은 2~6배 더 높다.[194][195] SUDEP은 전신 강직-간대 발작의 빈도와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196] 뇌전증 관련 사망의 약 15%를 차지한다.[190] 영국에서는 사망의 40~60%가 예방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23]
10. 역학
뇌전증은 2021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 명이 앓고 있는 가장 흔한 심각한 신경 질환 중 하나이다.[198][10][199] 20세까지 인구의 1%, 75세까지 인구의 3%에 영향을 미친다.[14]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지만, 전체적인 차이는 작다.[16][216] 뇌전증 환자의 대부분(80%)은 저소득 인구[200] 또는 개발 도상국에 속한다.[28]
2012년 기준 활성 뇌전증의 추정 유병률은 1,000명당 3~10명이며, 활성 뇌전증은 지난 5년 동안 최소 한 번의 비유발성 발작을 경험한 뇌전증 환자로 정의된다.[216][201] 뇌전증은 선진국에서는 매년 10만 명당 40~70명, 개발 도상국에서는 10만 명당 80~140명에서 시작된다.[28] 빈곤은 위험 요소이며, 빈곤 국가 출신과 자국 내 다른 사람들보다 가난한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16] 선진국에서 뇌전증은 주로 젊은층 또는 노년층에서 시작된다.[16] 개발 도상국에서는 외상과 감염성 질환의 발병률이 더 높기 때문에 발병이 더 흔하게 청소년과 청년층에서 발생한다.[16] 선진국에서는 1970년대와 2003년 사이에 소아 뇌전증 발병 건수는 감소하고 노년층에서는 증가했는데, 이는 노년층의 뇌졸중 후 생존율 향상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201][216]
11. 역사
뇌전증은 기록된 역사 초기부터 인류에게 영향을 미쳐왔다.[202] 고대에는 뇌전증을 영적인 원인으로 여겼으며, 악령, 마법, 저주 등과 관련지어 생각했다.
기원전 2000년경에 아카드어로 작성된 텍스트에는 뇌전증 발작에 대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묘사가 나타나 있는데, 이 텍스트에서 묘사된 사람은 달의 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진단받았고, 구마 의식을 받았다.[21] 뇌전증 발작은 함무라비 법전(기원전 1790년경)에 구매한 노예를 환불받을 수 있는 사유로 기록되어 있으며,[21] 에드윈 스미스 파피루스(기원전 1700년경)는 뇌전증 발작을 겪는 개인의 사례를 묘사하고 있다.[21]
기원전 1067년~기원전 1046년경의 바빌로니아 설형 문자 의학 텍스트인 ''사키쿠''에는 이 질환 자체에 대한 가장 오래된 상세한 기록이 있다.[202] 이 텍스트는 징후와 증상, 치료법 및 예상 결과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21] 다양한 발작 유형의 많은 특징을 묘사하고 있다.[202]
고대 그리스인들은 뇌전증을 영적 억압으로 생각했지만, 천재성 및 신성함과 연관시키기도 했다. 그들은 이 질환에 "신성한 질환"(ἠ ἱερὰ νόσος|헤 히에라 노소스grc)이라는 이름을 붙였다.[21][205] 히포크라테스는 그의 저서 ''신성 질환에 관하여''에서 뇌전증이 신성한 기원이 아니라 뇌에서 기원하는 의학적으로 치료 가능한 문제라고 주장했다.[21][202]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뇌전증 환자는 낙인이 찍히고, 꺼려지거나, 심지어 투옥되기도 했다. 20세기 후반에도 탄자니아와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뇌전증을 악령, 마법, 또는 독살과 연관시켰고, 많은 사람들이 전염성이 있다고 믿었다.[209]
19세기 중반에 최초의 효과적인 항발작제인 브로민이 도입되었다.[213] 최초의 현대적 치료법인 페노바르비탈은 1912년에 개발되었고, 페니토인은 1938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214]
12. 사회와 문화
뇌전증은 사회적 및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여기에는 사회적 고립, 낙인, 장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23] 낮은 학업 성취와 좋지 않은 고용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23] 뇌전증에 대한 낙인은 환자 가족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28]
사회적 낙인은 전 세계적으로 뇌전증 환자들이 흔히 경험하는 현상이다.[2][215] 이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15] 인도와 중국에서는 뇌전증이 결혼을 거부하는 이유로 사용될 수 있다.[28] 일부 지역에서는 뇌전증 환자를 저주받은 존재로 여기기도 한다.[16] 탄자니아, 우간다와 같은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뇌전증이 악령의 소유, 마법 또는 독살과 관련이 있다고 잘못 알려져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를 전염병으로 오해한다.[209][16] 1971년 이전 영국에서는 뇌전증이 결혼 무효 사유였다.[28] 이러한 낙인 때문에 일부 뇌전증 환자는 발작 경험을 부인하기도 한다.[216]
뇌전증 환자와 그 가족을 지원하는 단체들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뇌전증협회(ILAE), 국제뇌전증국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Out of the Shadows'' 캠페인은 국제적으로 도움을 제공한다.[28] 미국에서는 뇌전증 재단이 사회적 수용을 늘리고, 치료법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전국적인 단체이다.[227] 호주에서는 뇌전증 재단이 뇌전증 환자들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며 연구 기금을 지원한다.
국제 뇌전증의 날(세계 뇌전증의 날)은 2015년에 시작되어 2월의 두 번째 월요일에 열린다.[229][230] 퍼플 데이는 뇌전증 인식을 위한 또 다른 세계적인 날로, 2008년 캐나다의 9세 소녀 캐시디 메건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매년 3월 26일에 열린다.[231]
일본에서는 1995년 7월, 정신 보건 및 정신 장애인 복지에 관한 법률 (정신 보건 복지법) 개정에 따라 정신 장애인 보건 복지 수첩 취득과 장애 연금 수급이 가능해졌다.
구 도로교통법에서는 뇌전증 환자를 면허 취득 불가 대상으로 규정했으나,[292] 2002년 개정[293] [294]을 통해 조건부로 면허 취득이 가능해졌다.[295] 뇌전증 환자가 운전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296]
- 발작이 재발할 우려가 없는 자
- 발작이 재발해도 의식 장애 및 운동 장애가 초래되지 않는 자
- 발작이 수면 중에만 재발하는 자
2013년 6월 14일, 개정 도로교통법이 공포되어[301] 운전에 지장이 있는 사람이 허위 신고를 할 경우 벌칙을 받게 되었다.[302]
2013년 11월 27일, 자동차의 운전에 의해 사람을 사상시키는 행위 등의 처벌에 관한 법률이 성립되어,[303] 뇌전증 등으로 인해 사람을 사상시킨 경우 더 무거운 형벌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304]
뇌전증 환자의 자동차 운전으로 인한 사고는 1999년부터 꾸준히 발생해왔다. 2011년에는 뇌전증에 의한 교통사고 73건 중 5건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297]
후쿠오카 노동국은 2012년 7월 후쿠오카현 내 고등학교에 뇌전증 환자의 의견서 제출을 요구하여 직업 안정법 위반 가능성으로 후생노동성의 시정 지도를 받았다.[338]
13. 연구
뇌전증 발작 예측은 발작이 발생하기 전 뇌파(EEG)를 기반으로 뇌전증 발작을 예측하려는 시도이다.[232] 뇌전증 발작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는 없지만, 발작 예측에 대한 과학적 기반과 그러한 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진전을 이루었다.
발화는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결국 발작이 더 쉽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뇌전증의 동물 모델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다.[233]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뇌전증의 다른 형태, 특히 재발성 자발 발작의 발생에 따른 뇌파 및 행동 양상을 재현하는 특징이 설치류에서 나타났다.[234] 이러한 동물 중 일부에서 다양한 종류의 뇌전증 발작이 자연적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뇌전증의 유전적 모델로 사용하기 위해 생쥐와 쥐의 계통이 선택되었다. 특히, 여러 종류의 생쥐와 쥐는 뇌파를 기록할 때 스파이크-파(spike-and-wave) 방전을 보이며, 결신 발작 뇌전증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되었다.[235] 이러한 모델 중 GAERS(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유래된 유전적 결신 뇌전증 쥐) 계통은 1980년대에 특징지어졌으며, 소아 결신 뇌전증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36]
쥐 뇌 절편은 화합물이 간질성 활동을 감소시키는 잠재력을 평가하는 데 귀중한 모델 역할을 한다. 해마 네트워크에서 간질성 발작의 빈도를 평가함으로써 연구자들은 새로운 항발작 약물의 유망한 후보를 식별할 수 있다.[237]
유전자 치료는 일부 유형의 뇌전증에서 연구되고 있다.[242] 정맥 면역 글로불린과 같이 면역 기능을 변화시키는 약물은 일반적인 치료에 추가 요법으로 포함될 때 발작 빈도를 줄일 수 있지만, 이러한 약물이 어린이와 뇌전증 성인에게 매우 잘 사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43] 비침습적 정위 방사선 수술은 특정 유형의 뇌전증에 대한 표준 수술과 비교되고 있다.[244]
14. 기타 동물
뇌전증은 개, 고양이, 말 등 다른 동물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ILAE official report: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of epilepsy
2014-04
[2]
웹사이트
Epilepsy
https://www.who.int/[...]
2023-04-01
[3]
논문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2005-04
[4]
논문
Genetics of epilepsy
2011-11
[5]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6]
논문
Shortcomings in the current treatment of epilepsy
2012-12
[7]
논문
Neuro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2013-06
[8]
논문
Ketogenic diets for drug-resistant epilepsy
2020-06
[9]
웹사이트
Epilepsy Fact sheet
https://www.who.int/[...]
2016-03-04
[10]
웹사이트
GBD 2021 Cause and Risk Summary: EPILEPSY
https://www.healthda[...]
University of Washington
2024-07-19
[11]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disorders affecting the nervous system, 1990–2021: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1
Elsevier
2024-04-01
[12]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13]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2015-01
[14]
서적
Handbook of epileps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5]
서적
Wyllie's treatment of epileps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
논문
Epilepsy in poor regions of the world
http://elartu.tntu.e[...]
2012-09
[17]
논문
Evaluation of first nonfebrile seizures
2012-08
[18]
논문
Prognosis of adults and children following a first unprovoked seizure
2023-01
[19]
간행물
Epilepsy: what are the chances of having a second seizure?
2023-08-16
[20]
논문
Epilepsy and driving: current status of research
2012-12
[21]
논문
Hallmarks in the history of epilepsy: epilepsy in antiquity
2010-01
[22]
논문
Adult epilepsy
2006-04
[23]
서적
The Epilepsies: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epilepsies in adults and children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2-01
[24]
서적
Pathophysiology of disease: an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McGraw-Hill Medical
[25]
논문
Absence seizures: a review of recent reports with new concepts
2009-08
[26]
서적
Bradley's neurology in clinical practice.
Elsevier/Saunders
[27]
서적
The Epilepsies: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epilepsies in adults and children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2-01
[28]
웹사이트
Epileps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1-24
[29]
서적
Epilepsy: a comprehensive textbook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0]
서적
Fits and faints
https://www.worldcat[...]
Mac Keith Press
1990
[31]
서적
Behavioral aspects of epileps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Demos
[32]
논문
Reflex seizures and reflex epilepsy
2006-03
[33]
논문
Sleep and epilepsy
2005-11
[34]
논문
Movement disorders in sleep: guidelines for differentiating epileptic from non-epileptic motor phenomena arising from sleep
2007-08
[35]
논문
ILAE classification of the epilepsies: Position paper of the ILAE Commission for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2017-04
[36]
논문
Status epilepticus and acute repetitive seizures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tiology, outcome, and treatment
1996
[37]
논문
Seizure cluster: Definition, prevalence, consequences, and management
2019-05
[38]
논문
Economic aspects of treating seizure clusters
2022-09
[39]
논문
Seizure clustering: risks and outcomes
2005-01
[40]
논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eizure clusters in adult patients with epilepsy
2017-07
[41]
논문
Seizure clusters: A common, understudied and undertreated phenomenon in refractory epilepsy
2016-06
[4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seizure clusters: Prevalence, risk factors, burden of disease and treatment patterns
2021-11
[43]
논문
Rescue therapies for seizure clusters: Pharmacology and target of treatments
2022-09
[44]
서적
Handbook of epileps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5]
서적
A clinical guide to epileptic syndromes and their treatment based on the ILAE classifications and practice parameter guidelines
https://books.google[...]
Springer
[46]
서적
Advanced therapy in epilepsy
https://books.google[...]
People's Medical Pub. House
[47]
서적
A dictionary of neurological signs
https://books.google[...]
Springer
[48]
논문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chronic epilepsy
2011-11
[49]
서적
Epilepsy Part I: Basic Principles and Diagnosis E-Book: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https://books.google[...]
Newnes
[50]
논문
10-year research update review: psychiatric problems in children with epilepsy
2007-11
[51]
논문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hood epilepsy
2011-05
[52]
논문
The autism-epilepsy connection
[53]
논문
Uncovering the neurobehavioural comorbidities of epilepsy over the lifespan
2012-09
[54]
논문
Depression and epilepsy: epidemiologic and neurobiologic perspectives that may explain their high comorbid occurrence
2012-06
[55]
논문
Hospitalization for psychiatric disorders before and after onset of unprovoked seizures/epilepsy
2012-02
[56]
논문
Predi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sts in adults with epilepsy: a systematic review
2011-12
[57]
논문
Psychiatric comorbidity and impact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a community sample of patients with epilepsy
2009-08
[58]
논문
Concurrent mood and anxiety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pharmacoresistant seizures in patients with MTLE
2017-07
[59]
논문
A lifetime psychiatric history predicts a worse seizure outcome following temporal lobectomy
2009-03
[60]
논문
Depression but not seizure frequency predicts quality of life in treatment-resistant epilepsy
2004-01
[61]
논문
Who is willing to participate in research? A screening model for an anxiety and depression trial in the epilepsy clinic
2020-03
[62]
논문
The aetiologies of epilepsy
2021-02
[63]
논문
Human epilepsies: interaction of genetic and acquired factors
2006-07
[64]
논문
Standards for epidemiologic studies and surveillance of epilepsy
2011-09
[65]
논문
Genetics and epilepsy
2008-03-31
[66]
서적
Genomics and clinical medic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Clinical neurology
McGraw-Hill Medical
[68]
논문
Etiologies of epilepsy: a comprehensive review
2011-06
[69]
논문
Epilepsy Mechanisms in Neurocutaneous Disorders: Tuberous Sclerosis Complex, Neurofibromatosis Type 1, and Sturge-Weber Syndrome
2017
[70]
논문
Prevalence of tuberous sclerosis estimated by capture-recapture analysis
1998-05
[71]
논문
Updated International Tuberous Sclerosis Complex Diagnostic Criteria and Surveillance and Management Recommendations
2021-10
[72]
논문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mTOR) in tuberous sclerosis complex-associated epilepsy
2015-03
[73]
논문
Epilepsy secondary to tuberous sclerosis: lessons learned and current challenges
2010-11
[74]
논문
Sturge-Weber syndrome and port-wine stains caused by somatic mutation in GNAQ
2013-05
[75]
논문
Sturge-Weber syndrom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2014-05
[76]
논문
Extent of Leptomeningeal Capillary Malformation is Associated With Severity of Epilepsy in Sturge-Weber Syndrome
2021-04
[77]
논문
Characteristics, surgical outcom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epilepsy in Sturge-Weber syndrome
2022-10
[78]
논문
Prevalence of neurofibromatosis 1 in German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 enrollment
2005-01
[79]
논문
Epilepsy in individuals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2013-10
[80]
논문
Epilepsy surgery in Neurofibromatosis Type 1
2013-08
[81]
논문
Prediction of late seizures after ischaemic stroke with a novel prognostic model (the SeLECT score): a multivariable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https://discovery.uc[...]
2018-02
[82]
논문
Post-stroke epilepsy and risk of all-cause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2022-09
[83]
논문
How to diagnose and treat post-stroke seizures and epilepsy
2020-06
[84]
논문
Seizures and epilepsy in patients with ischaemic stroke
2021-12
[85]
논문
Neurological complications of coeliac disease: what is the evidence?
2008-04
[86]
논문
Neurologic and psychiatric manifestations of celiac disease and gluten sensitivity
2012-03
[87]
서적
The Causes of Epilepsy: Common and Uncommon Causes in Adults and Childre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
논문
Seizures and epilepsy in herpes simplex virus encephalitis: current concepts and future directions of pathogenesis and management
2012-10
[89]
논문
Epilepsy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1997-10
[90]
서적
An Introduction to Epilepsy
https://www.ncbi.nlm[...]
American Epilepsy Society
[91]
논문
Cellular and network mechanisms of spike-wave seizures
[92]
서적
Jasper's Basic Mechanisms of the Epileps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16
[93]
논문
Toward a neurodynamical understanding of ictogenesis
[94]
논문
Epilepsies as dynamical diseases of brain systems: basic models of the transition between normal and epileptic activity
[95]
논문
MicroRNAs in epileps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utility
https://discovery.uc[...]
2016-12
[96]
논문
MicroRNA and epilepsy: profiling, functions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2014-04
[97]
논문
Mechanisms of epileptogenesis: a convergence on neural circuit dysfunction
2013-05
[98]
논문
The blood-brain barrier and epilepsy
2006-11
[99]
서적
Ions in the Brain Normal Function, Seizures, and Strok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0]
서적
Epilepsy: a comprehensive textbook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1]
논문
A unified physiological framework of transitions between seizures, sustained ictal activity and depolarization block at the single neuron level
2022-02
[102]
논문
Modeling seizures: From single neurons to networks
2021-08
[103]
서적
The Epilepsies: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epilepsies in adults and children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2-01
[104]
논문
The new ILAE report on terminology and concepts for organization of epileptic seizures: a clinician's critical view and contribution
2011-12
[105]
논문
Proposal for revised classification of epilepsies and epileptic syndromes.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of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106]
논문
ILAE classification of epilepsy syndromes
2006-08
[107]
논문
Revised terminology and concepts for organization of seizures and epilepsies: report of the ILAE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2005-2009
2010-04
[108]
논문
The etiologic classification of epilepsy
2011-06
[109]
웹사이트
Operational Classification of Seizure Types (2017)
https://www.ilae.org[...]
[110]
논문
Operational classification of seizure types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Position Paper of the ILAE Commission for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2017-04
[111]
웹사이트
Epilepsy syndromes
https://www.epilepsy[...]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2014-10-06
[112]
논문
Lennox-Gastaut syndrome: a comprehensive review
2018-03
[113]
웹사이트
Dravet Syndrome
https://www.orpha.ne[...]
[114]
웹사이트
West syndrome
https://www.orpha.ne[...]
[115]
논문
Epileptic encephalopathies in infants and children
2012-10
[116]
논문
Exome sequencing followed by large-scale genotyping fails to identify single rare variants of large effect in 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2012-08
[117]
논문
Targeted resequencing in epileptic encephalopathies identifies de novo mutations in CHD2 and SYNGAP1
2013-07
[118]
논문
CHD2 haploinsufficiency is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llectual disability, epilepsy and neurobehavioural problems
[119]
논문
De novo loss-of-function mutations in CHD2 cause a fever-sensitive myoclonic epileptic encephalopathy sharing features with Dravet syndrome
2013-11
[120]
논문
De novo mutations in synaptic transmission genes including DNM1 cause epileptic encephalopathies
2014-10
[121]
웹사이트
"1 Guidance | Epilepsies: Diagnosis and management | Guidance | NICE"
https://www.nice.org[...]
2012-01-11
[122]
서적
Epilepsy in children
https://books.google[...]
Arnold
[123]
논문
Diagnostic Considerations in the Epilepsies-Testing Strategies, Test Type Advantages, and Limitations
2021-07
[124]
논문
Developmental and epileptic encephalopathies after negative or inconclusive genetic testing: what is next?
2021
[125]
논문
Hormonal alterations following seizures
2010-10
[126]
논문
Value of serum prolactin in the management of syncope
2004-03
[127]
논문
Serum prolactin levels for differentiation of nonepileptic versus true seizures: limited utility
2004-08
[128]
논문
Use of serum prolactin in diagnosing epileptic seizures: report of the Therapeutics and Technology Assess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2005-09
[129]
논문
Common imitators of epilepsy
[130]
논문
Misdiagnosis of epilepsy: many seizure-like attacks have a cardiovascular cause
2000-07
[131]
논문
Parasomnias and nocturnal frontal lobe epilepsy (NFLE): lights and shadows--controversial point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2011-12
[132]
논문
Analyzing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oxysmal Dyskinesia
2011-01
[133]
서적
Rosen's emergency medicine: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https://books.google[...]
Mosby/Elsevier
[134]
논문
All seizures are not epilepsy: many have a cardiovascular cause
2002-03
[135]
서적
Seizures and epileps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6]
논문
The holy grail of epilepsy prevention: Preclinical approaches to antiepileptogenic treatments
2020-05
[137]
웹사이트
Control Seizure disorder with Pranayama
https://www.epilepsy[...]
2024-06-13
[138]
웹사이트
Epilepsy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04-01
[139]
웹사이트
Epilepsy: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2-04-01
[140]
논문
Self-management in epilepsy: Why and how you should incorporate self-management in your practice
2017-03
[141]
논문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eizures and status epilepticus in the prehospital setting
2011-02
[142]
웹사이트
Seizures and Status Epilepticus: Diagnosis and Managem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http://www.ebmedicin[...]
[143]
서적
Advanced therapy in epilepsy
https://books.google[...]
People's Medical Pub. House
[144]
서적
The Epilepsies: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epilepsies in adults and children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http://www.nice.org.[...]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12-01
[145]
서적
Wyllie's Treatment of Epileps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46]
서적
Medical aspects of disability; a handbook for the rehabilitation professional
https://books.google[...]
Springer
[147]
논문
Carbamazepine versus phenytoin monotherapy for epilepsy: a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review
2019-07
[148]
논문
Sodium valproate versus phenytoin monotherapy for epilepsy: a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review
2018-08
[149]
논문
Immediate-release versus controlled-release carbamazepine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2016-12-09
[150]
보고서
Management of Infantile Epilepsies
https://effectivehea[...]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022-10-25
[151]
논문
Antiepileptic drug monotherapy for epilepsy: a network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2022-04
[152]
논문
Phenobarbital: missing in action
2012-12
[153]
서적
The treatment of epileps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54]
논문
Monotherapy treatment of epilepsy in pregnancy: congenital malformation outcomes in the child
2023-08
[155]
논문
Epilepsy in pregnancy
2013-06
[156]
서적
Adolescent health care: a practical guid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57]
웹사이트
American Epilepsy Society Choosing Wisely
http://www.choosingw[...]
2018-08-14
[158]
논문
Epilepsy in later life
2009-11
[159]
논문
Surgical Treatments for Epilepsies in Children Aged 1–36 Months: A Systematic Review
2023-01-03
[160]
논문
Rates and predictors of success and failure in repeat epilepsy surgery: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2017-12
[161]
논문
Pharmacologic correlation between local anesthetic-induced myotoxicity and disturbances of intracellular calcium distribution
1980-02
[162]
논문
Epilepsy surgery
2007-04
[163]
논문
Seizure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improvements in people with epilepsy
2002-05
[164]
논문
Neurostimulation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 Disorders
2017-09
[165]
논문
Vagus nerve stimulation for focal seizures
2022-07
[166]
보고서
Management of Infantile Epilepsies: A Systematic Review
2022
[167]
서적
Current management in child neurology
https://books.google[...]
BC Decker
[168]
논문
Human photosensitivity: from pathophysiology to treatment
2005-11
[169]
논문
Meta-analysis of EEG biofeedback in treating epilepsy
2009-07
[170]
논문
Is physical activity beneficial for recovery in temporal lobe epilepsy? Evidences from animal studies
2009-03
[171]
논문
Physical activity and epilepsy: proven and predicted benefits
[172]
논문
A seizure response dog: video recording of reacting behaviour during repetitive prolonged seizures
2010-06
[173]
논문
Seizure response dogs: evaluation of a formal training program
2008-10
[174]
논문
Wag the dog: skepticism on seizure alert canines
2007-01
[175]
논문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people with epilepsy
2017-10
[176]
논문
Evidence for cannabis and cannabinoids for epilepsy: a systematic review of controlled and observational evidence
2018-07
[177]
간행물
Cannabis derivative may reduce seizures in some severe drug-resistant epilepsies, but adverse events increase
2018-06-26
[178]
웹사이트
Press Announcements - FDA approves first drug comprised of an active ingredient derived from marijuana to treat rare, severe forms of epilepsy
https://www.fda.gov/[...]
2018-06-25
[179]
웹사이트
Archive of "Journal of Investigative Medicine High Impact Case Reports". – PMC
https://www.ncbi.nlm[...]
[180]
논문
Acupuncture for epilepsy
2014-05
[181]
논문
Vitamins for epilepsy
2005-04
[182]
논문
Yoga for epilepsy
2017-10
[183]
논문
Melatonin as add-on treatment for epilepsy
2016-08
[184]
논문
Natur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Bioactive Components, Pharmacology and Mechanism
[185]
논문
Oxidative stress and epilepsy: literature review
[186]
논문
Contraception, fecundity, and pregnancy in women with epilepsy: an update on recent literature
2022-04
[187]
논문
Interactions between hormonal contraception and antiepileptic drugs: Clinical and mechanistic considerations
2015-05
[188]
웹사이트
Enzyme-inducing antiepileptic drugs
https://cks.nice.org[...]
2023-05
[189]
논문
Management of epilepsy in pregnancy: a report from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Task Force on Women and Pregnancy
2019-12
[190]
서적
Fast facts: epilepsy
Health Press
[191]
논문
ILAE Official Report: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of epilepsy
https://www.escholar[...]
2014-04
[192]
서적
The treatment of epileps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93]
논문
Mortality in epilepsy
2007-05
[194]
논문
Epilepsy, antiepileptic drugs and suicidality
2011-04
[195]
논문
Suicide risk in people with epilepsy taking antiepileptic drugs
2013-08
[196]
논문
Prevention of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a realistic goal?
2013-05
[197]
논문
Update on Sudden Unexpected Death in Epilepsy
2022-11
[198]
논문
How common are the "common" neurologic disorders?
2007-01
[199]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200]
논문
Epidemiological profile of epilepsy in low income populations
2018-03
[201]
논문
The epidemiology of epilepsy revisited
2003-04
[202]
서적
Atlas: Epilepsy Care in the World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3]
서적
A Disease Once Sacred: A History of the Medical Understanding of Epilepsy
https://books.google[...]
John Libbey Eurotext
[204]
웹사이트
Epilepsy: An historical overview
https://www.who.int/[...]
2001-02
[205]
웹사이트
Epilepsy: historical overview
http://allcountries.[...]
[206]
서적
The Falling Sickness: A History of Epilepsy from the Greeks to the Beginnings of Modern Neurology
https://books.google[...]
JHU Press
1994-03-01
[207]
서적
Epilepsy in Babylonia
https://books.google[...]
BRILL
1993
[208]
서적
Photosensitive Epileps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09]
논문
Morbus sacer in Africa: some religious aspects of epilepsy in traditional cultures
1999-03
[210]
웹사이트
Epilepsy and its Management: A Review
https://www.research[...]
2012-01
[211]
서적
Encyclopedia of Mystics, Saints & Sages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12]
서적
Report of The Trial and Conviction of John Haggerty, for The Murder of Melchoir Fordney, Late of The City of Lancaster, Pennsylvania
Gale, Making of Modern Law
2012-02-17
[213]
간행물
Advers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2012-09
[214]
서적
Medical toxic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15]
간행물
Epilepsy stigma: moving from a global problem to global solutions
2010-12
[216]
서적
Epilepsy
[217]
간행물
Determination of stigma and attitude in relatives of patients with epilepsy
2024-10
[218]
간행물
Emergency department seizure epidemiology
2011-02
[219]
간행물
Focal nonmotor versus motor seizures: The impact on diagnostic delay in focal epilepsy
2020-12
[220]
서적
Epilepsy: a comprehensive textbook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21]
서적
Aviati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Implications for Air Transportatio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22]
웹사이트
Seizure Disorders
http://www.tc.gc.ca/[...]
Government of Canada
2013-12-29
[223]
서적
Epilepsy 199 answers: a doctor responds to his patients' questions
https://books.google[...]
Demos Health
[224]
웹사이트
Guide for Aviation Medical Examiners
http://www.faa.gov/a[...]
2013-12-29
[225]
웹사이트
National PPL (NPPL) Medical Requirements
http://www.caa.co.uk[...]
2013-12-29
[226]
웹사이트
For Medical Practitioners: At a glance Guide to the current Medical Standards of Fitness to Drive
https://www.gov.uk/g[...]
2013-12-29
[227]
웹사이트
Epilepsy Foundation of America – EFA
http://healthfinder.[...]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4-07-28
[228]
서적
Epilepsy: a comprehensive textbook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229]
간행물
World epilepsy day
2015-02
[230]
간행물
Commentary: why an international epilepsy day?
2015-02
[231]
간행물
People Are Wearing Purple Today for Epilepsy Awareness Day. Here's What That Is
https://time.com/521[...]
2018-04-18
[232]
간행물
Seizure prediction: methods
2011-12
[233]
서적
Epilepsy: a comprehensive textbook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34]
문서
Guillemain, I., Kahane, P. & Depaulis, A. Animal models to study aetiopathology of epilepsy: what are the features to model? Epileptic Disord 14, 217–225 (2012).
[235]
문서
Jarre, G., Guillemain, I., and, C. D. M. of S. & 2017. Genetic Models of Absence Epilepsy in Rats and Mice. Elsevier 455–471 (2017)
[236]
문서
Depaulis, A. & Charpier, S. Pathophysiology of absence epilepsy: Insights from genetic models. Neurosci Lett 667, 53–65 (2018)
[237]
간행물
BICS01 Mediates Reversible Anti-seizure Effects in Brain Slice Models of Epilepsy
2022-01
[238]
간행물
On the nature of seizure dynamics
2014-08
[239]
간행물
Minimal model of interictal and ictal discharges "Epileptor-2"
2018-05-31
[240]
웹사이트
Epileptor-2 model
https://www.ioffe.ru[...]
[241]
간행물
Relationship between seizure type, metabolic profile, and inflammatory markers in blood samples of patients with epilepsy
2021-02
[242]
간행물
Gene therapy in status epilepticus
2013-09
[243]
간행물
Immunomodulatory interventions for focal epilepsy
2023-10
[244]
간행물
Radiosurgery for epilepsy: clinical experience and potential antiepileptic mechanisms
2012-01
[245]
간행물
Idiopathic epilepsy in dogs and cats
2010-01
[246]
논문
The pharmacology of imepitoin: the first partial benzodiazepine receptor agonist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2014-01
[247]
논문
A review on epilepsy in the horse and the potential of Ambulatory EEG as a diagnostic tool
2012
[248]
논문
Juvenile idiopathic epilepsy in Arabian horses is not a single-gene disorder
2023-08-23
[249]
간행물
Epilepsy,Viewed Metaphysically:An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Story of the Epileptic Boy and of Raphael's Transfiguration
https://www.ncbi.nlm[...]
Raven Press,New York
1986
[250]
웹사이트
てんかんガイド
http://www.asanogawa[...]
[251]
웹사이트
vol.2 「キリストの変容」とてんかんの少年
http://www.kksmile.c[...]
[252]
논문
精神神経疾患と脳波2.ラファエロとてんかんの少年
2002-07-01
[253]
문서
이 てんかんの記述は、同一の少年についてのものであり、マタイ、マルコ、ルカの3つの福音書に記述されている。
[254]
웹사이트
てんかんとは
https://tsukuba-epil[...]
筑波大学附属病院てんかんセンター
2024-08-08
[255]
웹사이트
てんかん
https://takasaki.hos[...]
国立病院機構高崎総合医療センター
2024-08-08
[256]
웹사이트
てんかん
https://kokoro.ncnp.[...]
国立精神・神経医療研究センター 精神保健研究所
2024-08-08
[257]
웹사이트
WHO : 新テクニカルブリーフ (技術概要) 「てんかん患者の生活を改善するための行動指針」
https://japan-who.or[...]
日本WHO協会
2022-12-13
[258]
웹사이트
小児神経Q&A: Q9 てんかんは治るのですか?
https://www.childneu[...]
日本小児神経学会
2022-12
[259]
웹사이트
お金のこと(1)
https://www.tenkan.i[...]
てんかんinfo(大塚製薬)
[260]
논문
The global burden and stigma of epilepsy.
2008-05
[261]
보고서
Factsheet - Epilepsy
http://www.who.int/m[...]
WHO
2016-02
[262]
논문
1989-01
[263]
논문
2005-09-13
[264]
논문
2006-08-08
[265]
서적
Emergency Medicine Clinical Essentials
[266]
웹사이트
令和3年3月31日 第4回「大麻等の薬物対策のあり方検討会」議事録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医薬・生活衛生局
2021-03-31
[267]
뉴스
第198回国会 参議院沖縄及び北方問題に関する特別委員会会議録
https://kokkai.ndl.g[...]
2019-03-20
[268]
뉴스
大麻の成分含むてんかん治療薬 国内でも使用可能に
https://www.asahi.co[...]
2019-03-20
[269]
뉴스
てんかん新薬の治験実施求める
https://www.komei.or[...]
2019-04-10
[270]
뉴스
大麻成分含むてんかん治療薬、承認前の薬も治験で使用可
https://www.asahi.co[...]
2019-05-16
[271]
뉴스
大麻草由来の医薬指定 抗てんかん剤のCBD
2024-04-27
[272]
웹사이트
てんかん外科施行施設一覧
http://square.umin.a[...]
日本てんかん学会
[273]
웹사이트
難治性てんかんの治療 近畿大学医学部
http://www.med.kinda[...]
[274]
웹사이트
難治性てんかんの治療 東京大学
http://plaza.umin.ac[...]
[275]
웹사이트
てんかんの迷走神経刺激療法(VNS)
http://www.nihonkohd[...]
2015-08-25
[276]
웹사이트
DBS(脳深部刺激療法)とはどのような治療?| パーキンソン病の手術療法 脳深部刺激療法(DBS)
https://dbs-chiryo.j[...]
2024-07-01
[277]
웹사이트
てんかん発作抑える装置、頭蓋骨に埋め込み 世界初の臨床試験に英男児が参加
https://www.bbc.com/[...]
2024-06-24
[278]
논문
Acupuncture for epilepsy
2014-05
[279]
논문
Vitamins for epilepsy
2005-04
[280]
논문
Yoga for epilepsy
2017-10
[281]
논문
Melatonin as add-on treatment for epilepsy
2016-08
[282]
논문
Natur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Bioactive Components, Pharmacology and Mechanism
[283]
논문
Oxidative Stress and Epilepsy: Literature Review
[284]
웹사이트
CLASSIC KETO
https://charliefound[...]
Charlie Foundation
2019-10-28
[285]
뉴스
日本経済新聞
2016-12-11
[286]
서적
An introduction to seizures and epilepsy
Humana Press
2004
[287]
웹사이트
てんかん余話 福山幸夫
https://publish.m-re[...]
メディカルレビュー社
2013-04-10
[288]
웹사이트
Rolling Stone legend on his anti-epileptic drugs
http://www.youngepil[...]
2023-02-03
[289]
웹사이트
ドストエフスキイとてんかん - A・ガストー:「ドストエーフスキイのてんかんについての新しい考察」(訳)
http://dokushokai.sh[...]
ドストエーフスキイの会機関誌『ドストエーフスキイ広場』
2023-02-03
[290]
서적
ユング 地下の大王
河出文庫
[291]
서적
クマグスの森 南方熊楠の見た宇宙
新潮社
[292]
법률
道路交通法 昭和35年6月25日 法律第105号 第88条の2(免許の欠格事由)
[293]
법률
道路交通法 第九十条(免許の拒否等)第一項第一号 ロおよび同法 第百三条(免許の取消し、停止等)第一項第一号 ロ「発作により意識障害又は運動障害をもたらす病気であつて政令で定めるもの」
[294]
법률
道路交通法施行令 第三十三条の二の三
[295]
문서
なお、法律・政令の条文には無いが、[[大型自動車]]や[[第二種運転免許]]の取得は事実上不可能である
[296]
웹사이트
モデル処分基準が作成されている不利益処分一覧表(平成24年4月1日現在) 道路交通法 103-1 運転免許の取消し、効力の停止 別紙
http://www.npa.go.jp[...]
警察庁
2013-10-12
[297]
뉴스
京都祇園暴走:てんかん発作での重大事故 過去にも相次ぐ
https://web.archive.[...]
2012-04-12
[298]
뉴스
てんかん隠しの医師を書類送検=免許不正更新容疑-千葉県警
https://sdeoc21y.blo[...]
時事通信社
2013-07-07
[299]
웹사이트
"一定の病気等に係る運転免許制度の在り方に関する有識者検討会"
https://www.npa.go.j[...]
警察庁
[300]
뉴스
"「医師から情報」導入言及 警察庁有識者会議 運転免許の持病虚偽申告"
https://www.nikkei.c[...]
にほんけいざい
2012-10-25
[301]
웹사이트
議案情報
https://www.sangiin.[...]
参議院
2013-07-05
[302]
웹사이트
第一八三回 閣第四二号 道路交通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案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3-07-05
[303]
웹사이트
自動車の運転により人を死傷させる行為等の処罰に関する法律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2018-09-09
[304]
웹사이트
自動車の運転により人を死傷させる行為等の処罰に関する法律施行令(平成二十六年四月二十三日政令第百六十六号)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2018-09-09
[305]
뉴스
【メディカルNOW】「てんかん」薬で発作を抑えられるが、またも死傷事故
http://www.hochi.co.[...]
2016-01-13
[306]
뉴스
理解を深めて 各地で事故、強まる偏見 県内団体、患者の孤立危惧 /佐賀
http://mainichi.jp/a[...]
2016-01-13
[307]
뉴스
心神喪失状態で起きた事故の責任は追及不能---3人を死傷させたが無罪
Response
2003-04-17
[308]
뉴스
てんかん発作が出ても運転…有罪判決
http://response.jp/a[...]
2013-02-20
[309]
뉴스
事故を起こした責任はあるが、事故の回避義務はない…てんかん発作
Response
2005-02-24
[310]
뉴스
てんかん発作を起因とした事故で実刑判決
Response
2005-02-28
[311]
뉴스
てんかん発作で意識消失が原因の死亡事故、禁固の実刑
Response
2009-03-24
[312]
뉴스
てんかん発作で追突 実刑判決 津地裁四日市支部
http://iryou.chunich[...]
2012-02-01
[313]
웹사이트
四日市踏切事故、二審も実刑 名高裁判決
http://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12-05-11
[314]
뉴스
四日市の踏切死傷事故、実刑確定へ 最高裁、歯科医師の上告を棄却
http://iryou.chunich[...]
2013-02-12
[315]
뉴스
自走式クレーンが歩道に乗り上げ、小学生6人死亡
Response
2011-04-22
[316]
뉴스
被告、懲役7年の実刑確定 鹿沼6児童死亡事故
http://www.shimotsuk[...]
2012-01-31
[317]
웹사이트
"持病申告せず運転免許"初公判で検察側
http://www.yomidr.yo[...]
読売新聞
2011-06-18
[318]
웹사이트
"運転控える注意義務" てんかん発作事故で有罪判決 松江地裁
http://sankei.jp.msn[...]
2012-02-01
[319]
웹사이트
発作で事故、二審も実刑 高裁松江「運転控える義務」
http://www.chugoku-n[...]
中国新聞社
2012-04-28
[320]
뉴스
てんかん申告せず運転免許を更新 小学生負傷事故の容疑者
http://www.47news.jp[...]
2013-02-15
[321]
뉴스
てんかんによる事故で禁錮1年 児童4人重軽傷の運転手
http://www.47news.jp[...]
2013-02-15
[322]
뉴스
78歳男性運転の乗用車が軽自動車に追突…8台絡む事故になり1人死亡1人重体、他6人負傷
2011-07-10
[323]
웹사이트
てんかんの認識なく不起訴 愛知の母子死亡事故
http://www.47news.jp[...]
共同通信
2012-02-28
[324]
웹사이트
てんかん発作が原因で5人を死傷させた男に禁錮刑
http://response.jp/a[...]
Response
2012-01-11
[325]
뉴스
宇都宮のてんかん発作事故で有罪 前兆見過ごし判断軽率
http://www.47news.jp[...]
2013-02-15
[326]
뉴스
白昼の祇園に暴走車 歩行者18人死傷
http://www.daily.co.[...]
2013-02-13
[327]
뉴스
持病のてんかん、申告義務守られず 祇園暴走事故
http://www.47news.jp[...]
2013-02-13
[328]
뉴스
祇園暴走事故、原因はてんかん 京都府警が見方固める
http://www.47news.jp[...]
2013-02-13
[329]
뉴스
京都地検、祇園暴走で社長不起訴 嫌疑不十分
http://www.47news.jp[...]
2013-09-05
[330]
뉴스
てんかん発作が原因で事故を起こした被告、危険運転罪で実刑判決
http://response.jp/a[...]
2014-11-14
[331]
뉴스
東大阪の2人死亡事故:危険運転致死罪で起訴 持病の発作認識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5-22
[332]
뉴스
てんかん発作の男起訴 地検 /宮崎
http://mainichi.jp/a[...]
2016-01-13
[333]
웹사이트
危険運転被告の父親をほう助容疑で書類送検 道警
https://web.archive.[...]
毎日新聞社
2016-01-13
[334]
뉴스
○○を逮捕、てんかんの発作が原因-宮崎7人死傷暴走事故
http://daily-news.jp[...]
2016-01-13
[335]
웹사이트
歩道暴走で75歳男に懲役6年=6人死傷事故、危険運転は認めず-宮崎地裁
https://web.archive.[...]
2018-01-19
[336]
웹사이트
事件・事故情報ファイル(平成30年5月掲載分)
https://www.pref.yam[...]
2019-06-06
[337]
웹사이트
山梨県笛吹市 3人死傷事故 持病申告せず 71歳男性を書類送検
http://www.uty.co.jp[...]
2019-06-06
[338]
웹사이트
てんかん:福岡労働局が高卒就職で開示要請 雇用側懸念で
https://web.archive.[...]
毎日新聞社
2014-05-01
[339]
문서
Purple Day® – March 26
http://purpledayever[...]
[340]
문서
パープルデーを大阪で!
http://purpledayosak[...]
[341]
문서
世界てんかんの日2020
https://www.searchmy[...]
[342]
웹사이트
Sacred Disease
https://web.sas.upen[...]
2022-09-26
[343]
간행물
紹介 「ヒポクラテス全集」より-〔第1回〕神聖病について
https://doi.org/10.1[...]
1963-09-15
[344]
서적
笑犬樓よりの眺望(新潮文庫)』より『断筆宣言
[345]
논문
Epilepsy
2003-09
[346]
논문
ILAE official report: a practical clinical definition of epilepsy
2014-04
[347]
논문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2021-05
[348]
웹인용
Epilepsy Fact sheet
https://www.who.int/[...]
2016-02
[349]
논문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350]
논문
Epileptic seizures and epilepsy: definition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League Against Epilepsy (ILAE) and the International Bureau for Epilepsy (IBE)
[351]
서적
Pathophysiology of disease : an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McGraw-Hill Medical
[352]
저널
Mechanisms of epileptogenesis: a convergence on neural circuit dysfunction
2013-05
[353]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354]
저널
Genetics of epilepsy.
2011-11
[355]
뉴스
간질 명칭 ‘뇌전증’으로 바뀐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6-07
[356]
뉴스
간질이라 불리던 '뇌전증' 약물치료만 해도 70% 이상 완치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2-06-18
[357]
뉴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
[358]
저널
Management of epilepsy in adults. Treatment guidelines
http://www.postgradm[...]
[359]
저널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for medial temporal post-traumatic epilepsy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의협 "에토미데이트·아티반 의약품 공급 중단되면 극심 혼란"
중증장애인에게는 머나먼 ‘치과진료’, 이젠 집 근처에서 치료받는다
발달장애인 학대 혐의로 인천지역 장애인센터 직원 입건
어떤 ‘이탈’…내 환자에게 가자!
“걸을 때 발생하는 정전기로 신경 치료” 연세대, 배터리 없는 전자약 기술 개발
여친 집 문 두드린 취객 얼굴 '퍽'…반혼수 상태 빠트린 20대
[MK시그널] SK바이오팜, 후속 신약 도입 등 중장기 성장 전략 기대감에 주가 상승세... MK시그널 추천 후 상승률 9.62% 기록
국내 연구진, AI·줄기세포 활용해 ‘효과 100배’ 소아 뇌전증 치료제 발굴
[취재파일] 절망의 범죄 '간병살인'…존속살해범 "후회돼요. 도망칠 걸" - 간병살인 보고서 ①
“의사보다 더 좋아요”…병원으로 가지 않은 의대생, AI 창업에 뛰어들다
"의사보다 CEO"… AI 창업 뛰어든 의대생
"짙은 연기, 숨쉬기 힘들어" 산불 장기화에 의성 주민 건강도 우려
자전거 탄 노인을 발로 '퍽퍽'…경찰서 앞 외국인 만행
황운하, “지X 발광·망상 장애” 등 집회 발언에 사과
그래도 실리콘밸리? “강박 갖지 말라…디테일 챙겨야” – 바이라인네트워크
통신 3사의 신사업 디지털 헬스케어, 뭐가 다를까 –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인 ADHD 여성, 일반인보다 8.64년 일찍 사망한다” [건강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