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상도》는 김기림이 쓴 시로, 총 7부 424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풍의 진행 과정에 따라 각 부의 제목이 붙여졌다. 이 시는 태풍의 이미지를 통해 현대 사회를 비판하며, 1930년대 파시즘과 제국주의를 풍자한다. T. S. 엘리엇의 《황무지》의 영향을 받았으며, 1930년대 동아시아의 이미지를 통해 문명의 흥망성쇠를 재해석한다. 방대한 규모와 다양한 현대적 기법으로 평론가들의 주목을 받았으며, 이상이 표지 디자인을 담당하여 모더니즘적인 표지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문학 - 신소설
    신소설은 갑오개혁 이후 등장하여 봉건주의 타파, 자주독립, 애국사상 계몽을 주제로 다룬 근대 문학 양식이며, 이인직의 《혈의 누》에서 명칭이 사용되었고, 이광수의 《무정》 등장 이후 현대 소설로 대체되었다.
  • 한국 문학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은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당성, 노동계급성, 인민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특징으로 하고, 김일성, 김정일 찬양, 사회주의적 가치, 통일 염원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 한국의 시 - 시조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에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고, 3장 6구의 형식을 갖춘 한국의 전통적인 시가이다.
  • 한국의 시 -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고려 후기 이승휴가 지은 역사서로, 상권은 중국, 하권은 한국 역사를 시로 읊었으며, 단군을 한민족의 시조로, 발해를 한국사로 인식하여 민족의식과 자주성을 강조했다.
기상도
기상도 (날씨)
"다양한 기상 기호"
기본 정보
저자김기림
발표 연도1936년
갈래모더니즘 시
성격주지적, 도시적, 이미지즘적
표현감각적 이미지의 병치, 비유와 상징
주제문명 비판과 생명력 회복의 염원
의의이미지즘 시의 선구적인 작품

2. 구성

《기상도》는 총 7부 424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는 태풍의 진행 과정에 따라 '세계의 아침', '시민행렬', '태풍의 기침 시간', '자취', '병든 풍경', '올빼미의 주문', '쇠바퀴의 노래'와 같이 제목이 붙여졌다.[1]

2. 1. 각 부의 내용

1장 '세상의 아침'에서는 태풍이 시작되기 전까지 밝고 희망찬 분위기가 묘사된다. 하지만 2장 '심야행렬'에서는 화자가 중국, 미국, 프랑스, 한국 등지에서 세계의 불안감을 감지한다. 3장 '태풍의 기침 시간'에서는 태풍의 접근을 경고하며, 대화를 통해 태풍에 대한 묘사가 이루어진다. 4장 '자취'는 태풍으로 인해 교회, 도서관, 사창가, 도로 등이 혼란에 빠지는 장면을 보여준다. 5장 '병든 풍경' 역시 태풍이 할퀴고 간 황폐한 풍경을 보여준다. 6장 '올빼미의 주문'에서는 태풍으로 인한 절망, 슬픔, 비탄이 묘사된다. 마지막으로, 7장 '쇠바퀴의 노래'에서는 태풍이 지나간 다음 날, 새로운 해가 떠오르며 삶의 의지와 희망을 노래한다.

2. 2. 시간적 구성

1부에서 3부까지는 태풍이 오기 전의 시간을, 4부에서 6부까지는 태풍이 땅을 휩쓸고 지나가는 모습을, 7부에서는 태풍이 지나간 후의 시간을 묘사한다.[1]

3. 주제와 문체

《기상도》는 충전되는 태풍의 이미지를 통해 현대 사회를 비판한다. 특히, 시는 격변하는 국제 정세를 불안정한 기후에 비유하여 1930년대 파시즘제국주의를 풍자했다.[3] 시인이 되기 전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김기림은 편집부에서 일하며 얻은 다양한 지식을 시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다.[4] 또한 외국 꽃 이름, 국제 항구, 대륙간 횡단 열차, 세계 지도, 외국 영사관 등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음을 독자에게 알리는 요소를 포함시켜 김기림의 모더니즘적 측면과 변화하는 시대를 다루려 했던 그의 면모를 보여준다.[5]

4. 배경

《기상도》는 T. S. 엘리엇의 《황무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김기림은 1936년 일본에서 I. A. 리처즈의 시 이론을 공부하기 전에 쓴 시에 대한 글에 T. S. 엘리엇의 이름을 자주 언급했다. 작가의 노트에는 엘리엇의 《황무지》를 연상시키는 구절이 있다. 예를 들어, 김기림은 현대 문명의 모든 측면을 섞어 교향곡과 같은 작품을 만들고 싶어했는데, 이는 T. S. 엘리엇이 바그너의 교향곡 일부를 《황무지》에 삽입한 방식과 비교할 수 있다. 《기상도》와 《황무지》는 문명의 흥망성쇠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긴 시라는 점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물론 두 시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황무지》가 제국주의의 중심지인 런던을 배경으로 하는 반면, 《기상도》는 제국주의의 주변부, 특히 식민지 서울과 반식민지 상하이를 배경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기상도》는 《황무지》가 유럽에서 시각화한 문명의 흥망성쇠를 1930년대 동아시아의 이미지를 통해 재해석한다.[6]

5. 비평적 수용

이처럼 현대 국제 정세를 방대한 규모로 묘사하고, 화려한 수사법과 다양한 현대적 기법을 사용한 《기상도》는 평론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이 반드시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평론가들은 이 야심찬 작품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작품의 개념적 깊이와 주제적 통일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김기림이 장시의 형식을 통해 문명과 현대 역사에 대한 인식을 표현하려 시도한 것은 커다란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7] 당시 한국 시는 시대의 우울한 분위기에 젖어드는 감상적인 경향이 있었지만, 김기림은 이러한 경향을 극복해야 할 봉건적인 요소로 보고, 현대 시대에 걸맞은 시를 창작하려 시도했다. 《기상도》는 더 이상 과거의 노래와 조화를 이루어 노래할 수 없는 황무지에 서서 시인이 어떤 세계를 구축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이러한 점에서 한 평론가가 지적했듯이, 《기상도》는 1930년대 한국 모더니스트 시인들이 직면해야 했던 시대의 문제와 그 문제에 대한 문학적 탐구를 동시에 제시한다.[8]

6. 표지

The Weather Chart영어의 표지는 모더니즘적인 미술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표지 디자인은 김기림과 함께 구인회 회원이자 절친한 사이였던 이상이 맡았다. 이상은 21세의 나이로 조선총독부의 건축가로 채용되었고, 같은 사무실의 디자인 공모전에서 우승하며 디자인 감각을 증명했다.[9] 이처럼 1930년대 한국 최고의 모더니스트 두 명의 예술적 감성이 The Weather Chart영어에서 발휘되었다. 한편, 이상은 The Weather Chart영어의 표지를 디자인했음에도 불구하고, 1937년 사망하기 전까지 시집을 출판하지 못했다. 1949년 사후에 출판된 이상의 시집은 다름 아닌 김기림이 기획하고 서문을 썼으며, 제목은 이상 시선집이었다.[10]

7. 참고 문헌

참조

[1]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terms.nav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2]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terms.nav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3] 서적 Unpacking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terms.naver.[...] National Library of Korea Information Center for Modern Literature 2015
[4] 논문 The Subject of Gisangdo and the Meaning of ‘Typhoon.’ 2017
[5]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http://encykorea.aks[...]
[6] 논문 Comparing Gisangdo (1936) and The Waste Land (1922) –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of Wheel. 2012
[7] 논문 The Subject of Gisangdo and the Meaning of ‘Typhoon.’ 2017
[8] 논문 Golden Leaf’s Modernity – The Social Location and Re-evaluation of Kim Kirim’s Poetry. 2010
[9] 서적 Unabridged Dictiona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terms.nav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10] 서적 Unpacking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terms.naver.[...] National Library of Korea Information Center for Modern Literature 2015
[11] 웹사이트 Gisangdo http://www.nl.go.kr/[...] National Library of Korea 1948
[12] 서적 Wonbon Kim Kirim Sijeonjib http://www.kyobo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