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판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판은 축구 경기 규칙을 적용하고 경기를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주심, 부심, 제4심판 등으로 구성된다. 주심은 경기 중 발생하는 모든 상황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며, 부심은 주심을 보조하고, 제4심판은 선수 교체 관리 및 추가 시간 표시 등의 역할을 한다. 심판은 황색 카드와 적색 카드를 소지하며, 경기 규칙에 따라 판정을 내리고 징계를 부과한다. 전 세계적으로 대각선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위치를 선정하고 역할을 분담하며, 심판의 자격은 각국 축구 협회에서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 심판 - 마게테 은디아예
    마게테 은디아예는 2022년 FIFA 월드컵 심판으로 선정된 세네갈의 축구 심판으로, FIFA 클럽 월드컵, CAF 슈퍼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 등 여러 주요 경기에서 심판을 맡으며 다양한 국제 및 아프리카 축구 연맹 주관 대회에서 활동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심판 (축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할경기 규칙 집행 및 경기 통제
경기장 내 역할주심 (Referee)
부심 (Assistant Referee)
대기심 (Fourth Official)
비디오 판독 심판 (Video Assistant Referee, VAR)
경기장 외 역할심판 평가관
심판 강사
심판 배정관
주요 업무경기 시작 및 종료 선언
반칙 판정 및 제재
득점 인정
경기 시간 기록 및 관리
선수 교체 승인
복장심판복
호루라기
시계
메모용품
통신 장비 (VAR 심판)
심판 종류 및 역할
주심경기 전체를 총괄하며, 최종적인 판정 권한을 가짐. 경기장 내에서 이동하며 상황을 관찰.
부심터치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오프사이드, 볼 아웃, 선수 교체 등을 판정하고, 주심을 보조.
대기심경기장 밖에 위치하며 선수 교체, 추가 시간 관리, 주심의 부재 시 대체 등의 역할을 수행.
비디오 판독 심판 (VAR)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활용하여 주심의 판정을 보조하고, 명백한 오심을 수정.
심판의 권한 및 책임
권한경기 규칙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고, 반칙에 대해 제재를 가할 권한.
책임경기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고,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판정을 내릴 책임.
윤리중립성을 유지하고, 외부 압력이나 편견 없이 경기에 임해야 할 의무.
심판의 자격 및 교육
자격 요건축구 심판 자격증, 체력 기준 통과
교육 과정이론 교육, 실기 교육, 심판 실습
심판 등급아마추어 심판, 프로 심판, 국제 심판
기타 정보
영향 요인선수들의 행동
관중들의 반응
날씨
경기 상황
심판의 경험과 판단력
고려 사항경기 규칙의 정확한 이해
상황 판단 능력
선수와의 의사소통 능력
심리적 안정
사회적 중요성경기의 공정성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 심판의 판정은 경기 결과와 선수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침.
관련 용어반칙 (Foul)
페널티킥 (Penalty Kick)
오프사이드 (Offside)
경고 (Yellow Card)
퇴장 (Red Card)
추가 시간 (Added Time)

2. 권한과 임무

주심과 부심을 포함한 경기 임원의 권한과 임무는 FIFA가 발간하는 'Laws of the Game' 제5조에 명시되어 있다.[27][2]

일반적으로 축구 경기는 주심 1명과 부심 2명으로 운영되며, 대회 규정에 따라 제4심판, 추가 부심(AAR), 비디오 판독관(VAR)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심판은 경기 규칙 제5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요 권한과 임무를 갖는다.[2]


  • '''전반적인 임무'''
  • 경기 규칙을 시행한다.
  • 다른 경기 임원들과 협력하여 경기를 통제한다.
  • 경기 시간을 측정하고 경기 기록을 보관하며, 징계 조치 및 경기 전, 중, 후에 발생한 기타 사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경기 보고서를 관련 당국에 제공한다.
  • 경기 재개를 감독하고/또는 신호를 보낸다.

  • '''유리한 상황 판단''' (어드밴티지)
  • 반칙이 발생했을 때, 반칙을 당하지 않은 팀에게 유리한 상황이 예상될 경우 경기를 계속 진행시킬 수 있다. 만약 예상된 유리한 상황이 즉시 또는 몇 초 내에 발생하지 않으면, 원래의 반칙에 대해 판정한다.


심판 보얀 판지치가 핀란드 U-21 선수 모스타흐 야구비에게 퇴장 카드를 보여주고 있다.

  • '''징계 조치'''
  • 동시에 여러 반칙이 발생할 경우, 제재, 재개 방식, 신체적 심각성 및 전술적 영향 측면에서 더 심각한 반칙에 대해 벌칙을 부과한다.
  • 경고퇴장에 해당하는 반칙을 저지른 선수에게 징계 조치를 취한다.
  • 경기 전 점검을 위해 경기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경기 종료 후 경기장을 떠날 때까지(승부차기 포함) 징계 조치를 취할 권한을 가진다. 경기 시작 전 선수가 퇴장 반칙을 저지른 경우, 심판은 해당 선수의 경기 참여를 막을 수 있으며(규칙 3.6조 참조), 다른 모든 위반 행위는 보고한다.
  • 책임감 없이 행동하는 팀 관계자에 대해 조치를 취하고, 필요시 경고 또는 퇴장 카드를 제시하며 기술 지역을 포함한 경기장 및 주변 구역에서 퇴장시킬 수 있다. 만약 위반자를 특정할 수 없다면, 기술 지역에 있는 수석 코치가 제재를 받는다. 퇴장당한 의료팀 관계자는 팀에 다른 의료진이 없을 경우, 선수의 응급 치료가 필요하면 경기장에 남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심판이 직접 보지 못한 사건에 대해서는 다른 경기 임원의 조언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경기 규칙 제5조에는 심판의 다양한 임무와 권한이 상세히 규정되어 있으며, 각 심판의 구체적인 역할과 책임은 해당 심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2. 1. 주심

주심은 경기 규칙 제5조에 명시된 권한과 임무를 수행하며[2], 경기 운영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진다. 주심은 경기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다른 경기 임원들과 협력하여 경기를 원활하게 통제할 책임을 진다.

주심의 주요 역할과 권한은 다음과 같다.

  • 경기 운영 및 규칙 적용
  • 경기 규칙을 시행한다.
  • 부심 또는 대기심판과 협력하여 경기를 통제하고 관리한다.
  • 경기에 사용되는 이 규칙 2의 요구조건에 맞는지 확인한다.
  • 선수의 장비가 규칙 4의 요구조건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 경기 시간을 측정하고 경기 기록을 보관한다.
  • 경기 규칙 위반 시 재량에 따라 경기를 중지, 일시 중단, 또는 종료시킬 수 있다.
  • 모든 형태의 외부 방해가 있을 경우 경기를 중지, 일시 중단, 또는 종료시킬 수 있다.
  • 허가받지 않은 사람의 경기장 입장을 불허한다.
  • 경기가 중단된 후 재개를 알린다.

  • 선수 보호 및 관리
  • 선수가 심한 부상을 입었다고 판단될 경우, 경기를 중단시키고 해당 선수를 경기장 밖으로 나가도록 조치한다. 부상당한 선수는 경기가 재개된 후에만 주심의 허가를 받아 복귀할 수 있다.
  • 선수가 가벼운 부상을 입었다고 판단될 경우, 아웃 오브 플레이 상황이 될 때까지 경기를 계속하도록 허용한다.
  • 상처에서 피가 나는 선수는 반드시 경기장을 떠나도록 한다. 해당 선수는 출혈이 멈췄음을 주심이 확인한 후, 주심의 신호를 받아야만 경기장에 복귀할 수 있다.

  • 판정 및 징계
  • 반칙을 당한 팀에게 유리한 상황(어드밴티지)이 발생할 경우 경기를 계속 진행시킨다. 만약 예상된 어드밴티지가 즉시 또는 몇 초 내에 실현되지 않으면, 최초의 반칙으로 처벌한다.
  • 선수가 동시에 한 가지 이상의 반칙을 범하면, 제재, 재개 방식, 신체적 심각성, 전술적 영향 등을 고려하여 더 심각한 위반 행위를 처벌한다.
  • 경고퇴장에 해당하는 반칙을 저지른 선수에게 징계 조치를 취한다. 이 조치는 즉시 취할 필요는 없으며, 어드밴티지를 적용한 경우 등에는 다음 아웃 오브 플레이 상황에서 시행할 수 있다.
  • 책임감 없는 행동을 한 팀 임원에 대해 조치를 취하고, 필요시 경고 또는 퇴장 카드를 제시하며 경기장 및 주변 지역에서 추방시킬 수 있다. 위반자를 특정할 수 없다면 기술 지역 내 수석 코치가 제재를 받는다. 퇴장당한 의료팀 관계자는 팀에 다른 의료진이 없을 경우, 선수의 응급 치료를 위해 경기장에 남을 수 있다.
  • 주심이 직접 목격하지 못한 사건에 대해서는 부심의 조언에 따라 처리한다.
  • 득점 판정 및 경기와 관련된 모든 사실 판단은 주심에게 맡겨진다. 주심의 결정은 최종적이다.


주심은 경고 또는 퇴장을 알리기 위해 황색 카드와 적색 카드를 소지한다. 이러한 색깔 카드는 FIFA 심판 위원회의 전 회장인 켄 애스턴에 의해 도입되었다.

  • 보고 의무
  • 경기 후 관련 기관에 경기 보고서를 제출한다. 이 보고서에는 선수 및 팀 임원에 대한 징계 조치와 경기 전, 중, 후에 발생한 기타 중요한 사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주심, 부심, 제4심판은 경기 운영과 관련된 결정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

주심이 사용하는 주요 신호는 다음과 같다.

  • 페널티킥: 페널티 스팟을 가리킨다.
  • 간접 프리킥: 팔을 수직으로 올린다.
  • 직접 프리킥: 팔을 수평으로 올린다.
  • 어드밴티지: 한쪽 팔 또는 양팔을 어드밴티지를 얻은 팀의 공격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 코너킥: 코너 스팟을 가리킨다.
  • 골킥: 골대 방향 아래쪽을 가리킨다.
  • VAR 체크: 한 손가락을 귀에 대고, 다른 한 손이나 팔을 뻗는다.
  • VAR 리뷰: 양손으로 직사각형(모니터 화면)을 그린다.

2. 2. 부심

부심(副審)은 일반적으로 2명이 임명되며, 주심의 판정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영어 원문에서는 Assistant referee|어시스턴트 레퍼리eng(AR)라고 한다. 과거에는 선심(線審)이라고 불렸으며[19], 현재도 공식 명칭 외에 선심이라는 호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부심은 필드의 터치라인 바깥쪽(주심이 원칙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쪽의 가상 대각선) 절반(골라인에서 하프웨이라인까지)의 사이드에 각 1명씩 배치되어 주심을 보조한다. 8인제 축구에서는 부심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부심의 주요 임무는 주심의 판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황을 깃발 신호 등을 통해 알리는 것이다. 단, 최종적인 판정은 주심의 권한이다.

  • 공 전체가 경기장 밖으로 나갔을 때
  • 어느 팀이 코너킥, 골킥, 또는 스로인을 할 권리가 있는지
  • 선수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 처벌받아야 할 때
  • 선수 교체가 요청될 때
  • 주심의 시야 밖에서 불법 행위나 다른 상황이 발생했을 때
  • 주심보다 부심이 반칙을 더 잘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이는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발생한 반칙을 포함한다)
  • 페널티킥 시, 공이 차이기 전에 골키퍼가 골라인을 벗어나 움직이는지 여부, 그리고 공이 골라인을 넘었는지 여부


만약 주심이 부상 등의 이유로 직무를 계속할 수 없게 되면,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따라 부심 중 한 명이 주심 역할을 대신한다. 다만, 제4심판이 있는 경우에는 경기 규정에 따라 결정된다.[22]

축구 경기 규칙에 명시된 부심의 주요 깃발 신호는 다음과 같다.

  • 선수 교체: 깃발의 양쪽 끝을 잡고 머리 위로 들어 올린다.
  • 파울(프리킥): 깃발을 위로 올리고 좌우로 흔든다. 주심이 휘슬을 분 후에는 파울을 범한 팀의 수비 방향을 깃발로 가리킨다.
  • 스로인: 스로인을 할 팀의 공격 방향으로 깃발을 수평으로 들어 올린다.
  • 코너킥: 가장 가까운 코너 에어리어를 향해 깃발을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내린다.
  • 골킥: 골 에어리어 앞쪽을 향해 깃발을 수평으로 들어 올린다.
  • 오프사이드: 먼저 깃발을 수직으로 위로 올린다. 그 후 오프사이드 위치가 경기장의 어느 부분에서 발생했는지에 따라 깃발의 각도를 조절하여 가리킨다. (부심의 앞쪽이면 아래로, 필드 중앙 부근이면 수평으로, 부심의 뒤쪽이면 위로)

2. 3. 제4심판

제4심판은 선수 교체 절차를 관리하고 경기 보드를 이용하여 추가 시간을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영어로는 Fourth official|포스 오피셜eng이라고 한다. 또한, 주심이나 부심이 부상 등의 이유로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없을 경우 그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제4심판의 구체적인 역할 범위는 경기 전 협의나 대회 규정에 따라 정해진다.

제4심판은 경기 운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며 주심과 부심을 보조한다.

  • 선수 교체 절차 관리
  • 공 교체 관리
  • 선수 및 교체 선수의 용품 점검
  • 경기장 밖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여 주심과 부심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
  • 전반전 및 후반전 종료 시 주심이 결정한 추가 시간을 표시


제4심판의 배치는 경기 규정에 따라 결정되므로, 모든 경기에 반드시 투입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주심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면, 사전에 정해진 바에 따라 부심 또는 제4심판 중 한 명이 주심 역할을 맡게 된다.

2. 4. 추가 부심 (AAR)

일반적인 주심 1명, 부심 2명 체제 외에 대회 규정에 따라 추가 부심(Additional Assistant Referee, AAR)을 두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부심 2명이 터치라인 바깥쪽에서 주심을 보조하는 것과 달리, 추가 부심은 양쪽 골대 뒤에 각각 1명씩 배치되어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서의 반칙 발생 여부를 중점적으로 판정한다.[20]

추가 부심 제도는 골라인 테크놀로지(GLT) 도입 논의와 함께 본격적으로 검토되었다. 2012년 7월 5일 스위스 취리히의 FIFA 본부에서 열린 국제축구평의회(IFAB) 특별 회의에서는 GLT 채택과 더불어 추가 부심 제도 도입을 결정했다.[20] GLT는 설치 비용만 1600만~2548만 정도가 필요하며 대회 주최측이 부담해야 하므로, GLT 채택 여부는 대회 주최측이 결정한다. 추가 부심 제도는 GLT 도입이 어려운 경우에도 골 판정 정확성을 높이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앞서 UEFA는 2009년 UEFA 유로파리그(구 UEFA컵)에서 처음으로 연령 제한 없는 대회에 추가 부심을 도입했으며, 이후 2011-12 UEFA 챔피언스리그, 2011-12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 2012 등 주요 대회에서 시험적으로 운영했다.[20] 이러한 시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2013/2014년판 축구 경기 규칙에 추가 부심 관련 규정이 포함되었다.[21]

일부에서는 추가 부심을 '골 레퍼리'(Goal Refereeeng)라고 부르기도 하며, 축구 팬들 사이에서는 '골페리'(Goalferee(s)eng)라는 속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2. 5. 비디오 판독관 (VAR)

비디오 판독(VAR) 시스템은 2018년 3월 국제축구평의회(IFAB)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VAR은 필요한 훈련을 받은 최고 수준의 주심 또는 전직 주심만이 담당할 수 있다.

VAR의 주요 역할은 경기 중 특정 상황에 대해 비디오 화면을 통해 검토하고 주심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검토 대상은 경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음 네 가지 경우로 제한된다.

  • '''득점 여부''': 골라인 통과 여부뿐만 아니라, 득점 과정에서 발생한 반칙 등 득점까지 이어진 일련의 플레이를 포함한다.
  • '''페널티 킥 여부''': 페널티 킥이 선언되어야 하는 상황인지, 또는 잘못 선언된 것은 아닌지 확인한다.
  • '''직접 퇴장 여부''': 즉시 퇴장에 해당하는 심각한 반칙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 두 번째 옐로카드로 인한 경고 누적 퇴장은 VAR 검토 대상이 아니다.
  • '''선수 오인''': 주심이 엉뚱한 선수에게 경고나 퇴장을 잘못 준 경우 이를 바로잡는다.


VAR은 이러한 상황에서 "명백하고 확실한 오심" 또는 "중대한 누락"이 의심될 때만 개입하여 주심에게 관련 정보를 조언한다. 모든 최종적인 판정 결정권은 현장의 주심에게 있으며, VAR은 결정권 없이 주심의 판단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비디오 판독관은 비디오 어시스턴트, 비디오 심판, 비디오 부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비디오판독(VAR)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경기 규칙

국제축구협회평의회(IFAB)가 정한 축구 규칙인 「축구경기규칙」(Laws of the Game)은 매년 2월 또는 3월에 열리는 IFAB 연례 총회에서 세부적으로 변경되며, 개정된 규칙은 통상 7월 1일부터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다. 이 때문에 축구 심판은 매년 갱신 연수를 받아야 자격을 유지할 수 있다.[2]

「축구경기규칙」 제5조는 "주심"의 권한과 임무를, 제6조는 "기타 심판원"(부심, 대기심판, 비디오 판독 심판(VAR) 등)의 역할을 규정한다. 주심의 주요 권한과 임무는 다음과 같다.[2]


  • '''경기 운영 및 관리:''' 경기 규칙을 엄정히 시행하고, 다른 경기 관계자(부심, 대기심판 등)와 협력하여 경기를 원활하게 통제한다. 사용되는 공과 선수의 장비가 규칙에 적합한지 확인하며, 경기 시간을 측정하고 상세한 경기 기록을 작성하여 관련 기관에 보고한다. 여기에는 선수나 팀 임원에 대한 징계 조치 및 경기 중 발생한 주요 사건들이 포함된다. 필요시 규칙 위반이나 외부 방해 등을 이유로 경기를 중지, 일시 중단, 또는 종료시킬 권한을 가진다.

  • '''선수 안전 및 관리:''' 선수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고 판단되면 즉시 경기를 중단시키고 선수가 경기장 밖으로 나가도록 조치한다. 가벼운 부상 시에는 플레이가 중단될 때까지 경기를 속행할 수 있다. 출혈이 있는 선수는 반드시 경기장을 떠나야 하며, 주심의 확인 및 허가를 받아야만 복귀할 수 있다.

  • '''유리한 상황 판단 (어드밴티지):''' 반칙이 발생했더라도, 반칙을 당하지 않은 팀에게 유리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면 경기를 계속 진행(어드밴티지 적용)시킨다. 만약 예상된 유리한 상황이 즉시 또는 짧은 시간 내에 실현되지 않으면, 원래의 반칙에 대해 벌칙을 부과한다.

  • - --

심판은 경고 또는 퇴장을 알리기 위해 황색 카드와 적색 카드를 사용한다. 이 카드 시스템은 FIFA 심판 위원회의 전 회장인 켄 애스턴에 의해 도입되었다.

  • '''징계 조치:''' 한 선수가 동시에 여러 반칙을 저지르면 가장 심각한 반칙에 대해 처벌한다. 경고나 퇴장에 해당하는 반칙을 한 선수에게는 반드시 징계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는 플레이가 다음으로 중단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징계 권한은 선수가 경기 전 점검을 위해 경기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경기 종료 후 경기장을 떠날 때까지(승부차기 포함) 유효하다. 책임감 없이 행동하는 팀 임원에게도 경고 또는 퇴장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필요시 경기장 및 주변 지역에서 추방할 수 있다.

  • '''다른 심판원과의 협력:''' 주심은 부심 등 다른 경기 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한다. 주심이 직접 보지 못한 상황에 대해서는 다른 심판원의 조언을 받아들여 판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명의 부심이 임명되며, 주심의 판정에 따라 공이 경기장 밖으로 나갔는지, 어느 팀이 코너킥, 골킥, 스로인을 할 차례인지, 선수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지, 선수 교체 시점인지, 주심 시야 밖의 반칙 발생 여부 등을 판단하여 주심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비 부심을 제외한 '필드 위의 심판원'(주심, 부심, 대기심판)은 모든 판정에 대해 주심에게 동등하게 조언할 수 있다. 반면, 비디오 판독 심판(VAR)은 득점 여부, 페널티킥 선언 여부, 직접 퇴장 상황, 다른 선수에게 잘못 준 카드 정정 등 특정 네 가지 상황에 한해서만 주심에게 조언할 수 있다.

3. 1. 주심의 신호

축구 경기 규칙 제5조에 제시된 주심의 신호는 다음과 같다.

  • 페널티킥: 페널티 스팟을 가리킨다.
  • 간접 프리킥: 팔을 수직으로 올린다.
  • 직접 프리킥: 팔을 수평으로 올린다.
  • 어드밴티지: 한쪽 팔 또는 양팔을 어드밴티지(득점 기회)를 얻은 팀의 공격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 코너킥: 코너 스팟을 가리킨다.
  • 골킥: 골대 방향 아래쪽을 가리킨다.
  • VAR 체크: 한 손가락을 귀에 대고, 다른 한 손이나 팔을 뻗는다.
  • VAR 리뷰: 양손으로 직사각형(모니터 화면)을 그린다.

3. 2. 부심의 신호

부심은 주심을 도와 경기를 운영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깃발을 사용하여 주심과 선수, 관중에게 신호를 보낸다. 다만, 모든 최종 판정은 주심의 권한에 속한다.

축구 경기 규칙에 명시된 부심의 주요 깃발 신호는 다음과 같다.

  • '''선수 교체''': 선수 교체가 요청되었음을 알릴 때, 깃발의 양쪽 끝을 잡고 머리 위로 들어 올린다.
  • '''파울 (프리킥)''': 주심의 시야 밖에서 발생했거나 부심이 더 가까이서 목격한 반칙이 있을 때 신호한다. 깃발을 위로 들어 좌우로 흔든다. 주심이 휘슬을 불어 경기를 중단시킨 후, 파울을 범한 팀의 진영 쪽을 깃발로 가리켜 프리킥 방향을 나타낸다.
  • '''스로인''': 볼이 터치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스로인을 할 팀의 공격 방향으로 깃발을 수평으로 들어 표시한다.
  • '''코너킥''': 볼이 골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코너킥을 할 경우, 해당 코너 스팟을 깃발로 가리킨다.
  • '''골킥''': 볼이 골라인 밖으로 나갔을 때, 골킥을 할 경우, 깃발을 골라인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들어 정면을 향한다.
  • '''오프사이드''': 선수가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 반칙이 적용될 때 신호한다. 먼저 깃발을 수직으로 들어 올려 주심의 주의를 끈 후, 오프사이드가 발생한 위치에 따라 깃발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조절하여 위치를 알린다.
  • * 필드의 '''먼 쪽''' (부심 위치 기준): 깃발을 위로 들어 올린다.
  • * 필드의 '''중앙''' 부근: 깃발을 수평으로 든다.
  • * 필드의 '''가까운 쪽''' (부심 위치 기준): 깃발을 아래로 내린다.
  • '''페널티킥''': 페널티킥 상황에서 키커가 공을 차기 전에 골키퍼가 골라인 앞으로 움직였는지, 또는 공이 골라인을 완전히 넘었는지 등을 주심에게 알릴 때도 부심이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신호할 수 있다.

4. 위치 선정 및 역할 분담

축구 경기에서 심판들의 위치 선정과 역할 분담은 주로 대각선 제어 시스템(Diagonal System of Control, DSC)을 따른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방식으로[14], 주심 1명과 2명의 부심이 경기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다. 주심은 최종 결정권을 가지며, 부심은 각자 지정된 구역을 담당하며 오프사이드 판독, 공의 아웃 여부 확인 등 주심의 판단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1. 대각선 제어 시스템 (DSC)

대각선 제어 시스템 다이어그램: 주심(R)과 부심(AR)의 경로


전 세계 축구 경기 심판들이 주로 사용하는 위치 선정 및 역할 분담 시스템은 대각선 제어 시스템(Diagonal System of Control, DSC)으로 알려져 있다.

주심은 경기 중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해 최종 결정권을 가진다. 주심은 두 명의 부심으로부터 조언을 받지만, 부심의 판단은 주심이 수용할 경우에만 효력을 가지며, 주심은 부심의 판단을 단독으로 뒤집을 권한이 있다. 또한, 경기 시작과 종료를 선언하고, 경고나 퇴장과 같은 징계 조치를 내릴 수 있는 유일한 심판이다.

두 명의 부심은 주심의 지시에 따라 경기장의 서로 반대편 터치라인 절반씩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남북 방향의 경기장에서 한 부심은 북쪽 골라인부터 중앙선까지 동쪽 터치라인을, 다른 부심은 남쪽 골라인부터 중앙선까지 서쪽 터치라인을 따라 움직인다. 부심의 주된 임무는 다음과 같다.

  • 자신이 담당하는 구역에서 오프사이드 반칙 발생 시 신호
  • 공이 경기장 밖으로 나갔을 때 신호
  • 주심의 시야 밖에서 반칙이 발생했을 때(주로 자신의 구역 내) 신호


일반적으로 부심은 오프사이드 반칙을 더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골라인에 더 가까운 마지막에서 두 번째 수비수 또는 공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코너킥, 페널티킥, 스로인 상황에서는 정해진 특정 위치에 서게 된다.

주심은 두 부심이 커버하지 않는 나머지 구역을 담당하며 경기장 전체를 순찰한다. 일반적으로 경기장의 한쪽 구석(예: 남동쪽)에서 반대편 구석(예: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대각선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대각선 제어 시스템(DSC)"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대각선 경로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지침이며, 경기 스타일, 경기 양상, 특정 시점의 공 위치 등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된다. 때로는 더 나은 판정을 위해 주심이 경기장 밖으로 잠시 벗어날 수도 있다. DSC의 핵심 아이디어는 주심과 부심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경기 상황(오프사이드, 공의 인/아웃 여부, 득점 기회, 공 다툼 등)을 효과적으로 관찰하여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있다.

위 설명은 주심이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이동하는 왼쪽 대각선(Left Diagonal) 또는 표준 대각선(Standard Diagonal) 시스템을 기준으로 한다. 만약 주심이 경기 전에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하기로 결정하면, 부심들도 그에 맞춰 위치를 조정하며, 이를 오른쪽 대각선(Right Diagonal) 또는 역 대각선(Reverse Diagonal)이라고 부른다.

잉글랜드에서는 주심들이 약 16.46m 박스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중앙 원 근처에서 반대편 약 16.46m 박스 라인과 평행하게 이어지는, 좀 더 곡선 형태의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본적인 대각선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현대 축구의 빠른 속도에 맞춰 경기 흐름을 따라가기 용이하게 변형된 방식이다. 또한, 주심이 선수들의 주된 패스 경로인 중앙 원 지역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1960년대 이후 국제 경기에서는 왼쪽 대각선 시스템이 보편화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잉글랜드는 오랫동안 예외적인 경우였다. 1974년까지 풋볼 리그 심판들은 한 경기 내에서 양쪽 대각선을 번갈아 사용해야 했다. 주로 전반전에는 오른쪽 대각선, 후반전에는 왼쪽 대각선으로 전환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부심들이 계속 같은 터치라인만 달려 피로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당시 좋지 않았던 경기장 상태를 고려한 조치였다. 또한, 심판들이 경기의 다른 구역들을 순찰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명분도 있었다. 1974-75 시즌부터 잉글랜드 심판들은 한 경기에서 하나의 대각선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는 오른쪽 대각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왼쪽 대각선이 점차 인기를 얻어 2000년대 초반에는 대부분 심판들의 주된 선택이 되었다. 2007-08 시즌부터는 잉글랜드 프로 축구에서 왼쪽 대각선 사용이 의무화되었지만, 하위 리그에서는 여전히 오른쪽 대각선을 사용하는 심판들도 있다.

이 시스템이 심판의 표준 관행으로 자리 잡는 데에는 1961년부터 1974년까지 FIFA 회장을 역임한 전직 심판 스탠리 라우스 경의 기여가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14]

4. 2. 기타 시스템

FIFA 규정은 주심 1명과 부심 여러 명을 의무화하지만, FIFA 산하가 아닌 일부 기구에서는 다른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

'''듀얼 시스템'''(Dual System)은 부심 없이 두 명의 심판으로 운영되는 방식이다.[15] 이 시스템은 미국 전국주립고등학교협회 규정에 따른 일부 경기나 청소년, 아마추어 경기 등에서 사용된다. 두 심판은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한 심판의 결정은 다른 심판에게도 구속력을 가진다. 각 심판은 #대각선 제어 시스템의 부심처럼 경기장의 특정 구역을 주로 담당하지만, 공이 골라인 근처로 가면 터치라인에서 경기장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권장된다.[16]

각 심판은 자신이 맡은 터치라인과 골라인을 순찰하며, 공이 이 경계선 밖으로 나갔을 때 어느 팀의 소유로 경기를 재개할지 결정할 책임이 있다. 듀얼 시스템에서 심판의 위치 선정 방식은 농구 심판과 비슷하다. 공격 방향에 따라 각 심판은 '리드'(Lead) 또는 '트레일'(Trail)로 불린다. 만약 공격 방향이 특정 심판이 맡은 터치라인에서 봤을 때 오른쪽 골문을 향한다면, 그 심판이 리드가 되고 다른 심판은 트레일이 된다. 리드 심판은 플레이보다 앞쪽, 가능한 마지막 수비수 바로 앞에 위치하며, 트레일 심판은 플레이 뒤쪽에 위치한다. 두 심판 모두 파울이나 비신사적인 행위를 선언하고, 공이 담당 경계선 밖으로 나갔을 때 경기 재개 방식을 결정할 책임이 있다. 리드 심판은 오프사이드를 판정하기 좋은 위치에 있어 오프사이드 선언을 주로 책임지고, 트레일 심판은 리드가 오프사이드에 집중하는 동안 파울이나 비신사적 행위를 추가로 감시한다. 공격 방향이 바뀌면 리드와 트레일의 역할도 서로 바뀐다.[16]

5. 심판 복장 및 장비

20세기 초, 심판들은 블레이저를 착용하기도 했다. 사진은 존 랑게누스가 1930년 첫 월드컵 결승전을 심판하는 모습이다.


1994년 FIFA 월드컵 이후 심판들은 기존의 검은색 외 다른 색상 유니폼을 착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진 속 스테파니 프라파르는 자격 수준과 유효 기간이 표시된 배지를 단 노란색 유니폼을 입고 있다.


심판은 선수들과 구분되는 유니폼을 착용하며, 일반적으로 양 팀 선수들과 다른 색상의 유니폼을 입는다.

20세기 초, 심판들은 선수들과 비슷한 유니폼 대신 블레이저를 착용하기도 했다. 전통적으로 심판 유니폼은 거의 항상 검은색이었으나, 한 팀이 매우 어두운 색 유니폼을 입을 경우, 심판은 양 팀과 구분하기 위해 다른 색상(주로 빨간색)을 착용했다.

1994년 월드컵에서는 심판들이 와인색, 노란색, 흰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유니폼이 도입되었다. 비슷한 시기 잉글랜드에서 프리미어리그가 출범하면서 심판들은 녹색 유니폼을 입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텔레비전 중계를 고려한 조치였다. 이후 대부분의 심판들은 노란색 또는 검은색을 착용하지만, 각 협회에서 채택하는 색상과 스타일은 매우 다양하다. FIFA의 감독하에 열리는 국제 대회에서는 현재 스폰서인 아디다스 유니폼을 착용한다. FIFA는 심판들이 검정,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의 다섯 가지 색상을 착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유니폼 상의와 함께 심판은 검은색 반바지, 검은색 양말(때때로 흰색 줄무늬 포함), 검은색 신발을 착용해야 한다. 심판의 자격 수준과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배지는 보통 왼쪽 가슴 주머니에 부착한다.

모든 심판은 경기를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장비를 소지한다.

심판 필수 장비
장비설명비고
휘슬경기 중단, 시작, 재개 신호예비용 소지 권장
시계경기 시간 및 추가 시간 측정스톱워치 기능 포함, 2개 사용 권장 (시간 손실 계산용)
페널티 카드옐로카드, 레드카드분실 방지 및 빠른 사용을 위해 다른 주머니에 분리 보관
데이터 지갑필기구, 기록 용지예비용 펜 소지 권장
동전동전 던지기 시 사용
그린카드긍정적 플레이 격려 (해당 제도 도입 대회 시)주심 사용



심판은 경기를 통제하기 위해 휘슬을 사용한다. 휘슬은 경기의 중단, 시작 또는 재개에 사용되지만, 모든 상황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FIFA 경기규칙 문서는 휘슬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7] 규칙에 명시된 대로 "너무 자주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휘슬은 필요할 때 효과가 떨어진다"[7]는 점을 고려하여 휘슬의 과도한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휘슬은 구두, 신체 및 눈으로 하는 의사소통과 함께 심판에게 중요한 도구이다.

휘슬이 도입되기 전에는 심판이 흰색 손수건을 흔들어 판정을 알렸다. 심판이 처음 사용한 휘슬은 영국 버밍햄의 조셉 허드슨이 제작했다. 그의 회사인 Acme Whistle Company는 1870년대에 런던경찰청을 위해 완두콩 휘슬을 대량 생산했다. 심판의 휘슬이 1878년 노팅엄 포레스트와 셰필드 노퍽 간의 경기에서 처음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두 클럽 간의 마지막 경기는 1874년이었다. 1872년 노팅엄 포레스트 회계 장부에는 "심판 휘슬" 구매 기록이 있으며, 1928년 R M Ruck은 1870년대 초 자신의 선수 시절 심판이 휘슬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8] 1936년 IFAB 결정으로 경기규칙에 휘슬이 처음 언급되었다.[9] 2007년에는 휘슬 사용법에 대한 자세한 지침이 추가되었다.[10]

최고 수준의 경기에서는 심판들이 부심과 소통하기 위해 맞춤형 헤드셋이 장착된 전이중 무선 통신 장비를 착용하고, 부심들은 버튼을 누르면 심판에게 신호를 보내는 전자기 깃발을 사용하기도 한다.[4][5] 골라인 기술이 사용되는 경기에서는 심판이 시스템의 경고를 받기 위한 장치를 소지한다.[6]

심판은 경기 규칙에 따라 허용된 복장과 장비 외에 선수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것(예: 모자, 안경, 액세서리 등)을 착용할 수 없다. 다만, 대회나 경기에 따라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보호구 등은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6. 심판 자격

축구 경기의 심판을 보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나 지역의 축구 협회가 인정하는 공인 심판 자격을 취득하거나, 국제축구연맹(FIFA)에 등록된 국제 심판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3] FIFA 및 그 산하 가맹국 협회가 주최하는 공식 경기의 심판을 맡으려면 공인 심판 자격이 필수적이다.

FIFA는 각 회원국 축구 협회가 해당 지역의 심판 업무를 관리하는 심판 위원회를 설립하도록 요구하며, 이 위원회는 주로 전직 심판들로 구성된다.[3] 또한 FIFA는 심판이 되려는 사람들에게 충분한 체력과 경기 규칙에 대한 지식을 증명하는 시험을 통과하고, 매년 건강 검진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3] 일반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경기를 주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험이 요구되며, 각 국가별로 심판 등급 체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 잉글랜드의 심판 제도)

국제 경기를 담당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심판들은 FIFA 국제 심판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국제 심판 자격은 각국 축구 협회가 FIFA에 등록을 신청하여 얻게 된다.

6. 1. 한국의 심판 자격 제도

대한축구협회에서 인증하는 여자 1급 축구 심판의 자격 요건 및 담당 대회는 다음과 같다. 인증을 위해서는 연간 수차례 열리는 강습회에 참석해야 한다.

여자 1급 심판 자격 요건 및 담당 대회
구분내용
응시 자격
시험 내용필기 시험, 체력 시험, 실기 시험
담당 가능 대회
정년 규정없음
휘장 색깔금색


6. 2. 일본의 심판 자격 제도

일본축구협회(JFA) 및 산하 도도부현 협회가 주관하는 경기에서 심판을 보기 위해서는 일본축구협회 심판위원회가 정한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축구 공인 심판원' 자격을 얻어야 한다. 이 자격은 1급부터 4급까지 있으며, 상위 자격 취득을 위해서는 하위 자격을 먼저 취득해야 한다. 일본 내에는 홋카이도, 도호쿠, 호쿠신에쓰, 간토, 도카이, 간사이, 주고쿠, 시코쿠, 규슈의 9개 지역 축구 협회가 있고, 그 아래 각 도도부현 축구 협회가 있다. 각 협회에는 심판위원회가 설치되어 심판원의 승급 심사를 담당한다. 2007년, 일본축구협회 규약에서 심판원의 '정년에 의한 은퇴' 조항은 삭제되었다.

=== 공인 심판원 등급 ===

일본의 축구 공인 심판원 자격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급수인증 기관응시 자격시험 내용담당 가능 대회휘장 색
4급각 도도부현 축구협회심신이 건강하고 심판 활동이 가능한 자강습, 실기, 필기 시험지역 축구협회 주최 시합의 주심·부심녹색
3급각 도도부현 축구협회4급 취득자로 일정 실적(4급으로 10경기 이상, 주심 8경기 이상 경험)을 쌓은 자필기 시험, 체력 시험, 실기 시험(임의, 4급 실적에 따라 면제 가능)도도부현 축구협회 및 협회 산하 단체 주최 경기의 주심·부심 (만 18세 이하 유스 심판원은 원칙적으로 18세 이하 경기 주심 담당)하늘색
2급각 지역 축구협회3급 취득 후 2년 이상 경과 및 일정 실적을 쌓고, 각 도도부현 축구협회의 추천을 받은 자필기 시험, 체력 시험, 실기 시험지역 축구협회, 도도부현 축구협회 및 협회 산하 단체 주최 경기의 주심·부심. 인정 시 일본축구협회 주관 경기의 부심.실버
여자 1급일본축구협회2급 취득 후 2년 이상 경력이 있는 만 39세 이하 여성(응시년도 4월 1일 기준)으로, 각 지역 축구협회의 추천을 받은 자필기 시험, 체력 시험, 실기 시험일본축구협회 주관 여자 대회 주심·부심, JFA 주관 2~4종 경기 부심. 지역 축구협회, 도도부현 축구협회 및 협회 산하 단체 주최 경기 주심·부심. 인정 시 JFA 주관 1종 경기 부심.금색
1급일본축구협회각 지역 축구 협회의 추천을 받은 자필기 시험, 체력 시험, 실기 시험(J리그 등 최상위 리그 담당)금색



=== J리그 심판 ===

일본프로축구리그(J리그)의 심판은 매년 시즌 종료 후 실시되는 체력 테스트에 합격한 1급 심판 중에서 일본축구협회(JFA) 심판위원회가 시즌 중 성과를 고려하여 선발한다(J리그 규약 제113조). 체력 테스트 기준은 리그별로 다르며, 예를 들어 J1리그 주심은 스프린트(40m 6회)와 인터벌 주행(75m 달리기 15초 + 25m 걷기 18초, 40세트)을 통과해야 한다.[23]

심판 보수는 담당 경기 단위로 지급되며, 2024년 시즌 기준은 다음과 같다(여비·교통비 별도).[24]

J리그 심판원 보수(2024시즌, 괄호 안은 풀타임으로 담당하지 않았을 경우)
카테고리주심부심제4심판VARAVAR
J112만
(7만)
6만
(3.5만)
2만
(1만)
6만
(3.5만)
3만
(2만)
J26만
(3.5만)
3만
(2만)
1.3만
(8천)
------
J33만
(2만)
1.5만
(9천)
1만
(6천)
------



프로페셔널 레퍼리(전임 심판)의 경우, 경기 카테고리나 담당 임무와 관계없이 주심 계약은 13만(풀타임 아닐 시 7.5만), 부심 계약은 8만(풀타임 아닐 시 4.5만)이다.

=== 국제 심판 ===

국제 심판은 각국 축구 협회가 국제축구연맹(FIFA)에 등록을 신청하여 자격을 얻는다. 일본에서는 JFA가 남자는 1급 심판 중에서, 여자는 여자 1급 심판 중에서 실적에 따라 추천한다. 영어 능력이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45세 정년제가 있었으나, FIFA 규정에 따라 2016년에 폐지되었다. 다만, 일본 내에서는 추천 시 45세 정년제가 실질적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FIFA 등록 시에는 여권상의 본명을 사용하므로, 당마 마사아키(가모토 마사아키)나 테시로기 나오미(마키노 나오미)[25]처럼 일본 내에서 사용하는 이름과 다르게 등록되는 경우도 있다. 2024년 등록부터 국제심판에서 남녀 구분이 없어졌다.

==== 2024년 등록 국제 심판 명단 ====

2024년 등록된 일본의 국제 심판 명단은 다음과 같다[26]. †는 여성을 나타낸다.

;주심


  • 이이다 준페이 飯田淳平일본어
  • 키무라 히로유키 木村博之일본어
  • 야마시타 요시미 山下良美일본어
  • 아라키 유스케 荒木友輔일본어
  • 코이즈미 아사카 小泉朝香일본어
  • 카네마쓰 하루나 兼松春奈일본어
  • 카사하라 히로키 笠原寛貴일본어
  • 스기노 안사 杉野杏紗일본어
  • 타니모토 료 谷本涼일본어
  • 나가미네 코키 長峯滉希일본어
  • 타카사키 코우치 高崎航地일본어


;부심

  • 테시로기 나오미 手代木直美일본어
  • 보우조노 마코토 坊薗真琴일본어
  • 미하라 준 三原純일본어
  • 소죠우 타쿠미 聳城巧일본어
  • 니시바시 이사오 西橋勲일본어
  • 노무라 오사무 野村修일본어
  • 타베부 요우스케 武部陽介일본어
  • 와타나베 코우타 渡辺康太일본어
  • 하마모토 유우스케 浜本祐介일본어
  • 나카모토 사키 中本早紀일본어
  • 아사다 타케시 淺田武士일본어
  • 쿠마가이 코우고우 熊谷幸剛일본어
  • 이치키 치히로 一木千広일본어
  • 우메다 토모키 梅田智起일본어


;풋살

  • 小林裕之|고바야시 히로유키일본어
  • 藤田武志|후지타 타케시일본어
  • 晝間久美|히루마 쿠미일본어
  • 大矢翼|오야 츠바사일본어
  • 山本真理|야마모토 마리일본어
  • 池田幸弘|이케다 유키히로일본어
  • 齋藤香菜|사이토 카나일본어


;비치사커

  • 波多野祐一|하다노 유이치일본어
  • 佐藤誠|사토 마코토일본어
  • 浜辺篤伸|하마베 아츠노부일본어

7. 주요 심판

괄호 안은 J1 심판으로서 통산 100경기를 달성한 해이다.


  • '''일본'''
  • * 오카다 마사요시 (1999)
  • * 모트람 (2000)
  • * 우메모토 히로유키 (2000)
  • * 오오타 키요시 (2001)
  • * 시모무라 마사아키
  • * 누노세 나오츠구 (2003)
  • * 카미카와 토오루 (2003)
  • * 스나가와 케이이치 (2003)
  • * 카타야마 요시츠구 (2003)
  • * 마츠무라 카즈히코 (2005)
  • * 마에지마 카즈히코
  • * 카시와바라 조지 (2006)
  • * 오쿠타니 아키오 (2006)
  • * 마츠오 하지메 (2010)
  • * 타카야마 히로요시 (2010)
  • * 니시무라 유이치
  • * 이에모토 마사아키
  • * 요시다 토시미츠
  • * 사토 류지

8. 특기 사항

축구의 ‘경기 규칙’은 국제축구연맹(FIFA)이 아닌 국제축구협회평의회(IFAB)에서 결정한다. 이 규칙은 매년 2월이나 3월에 열리는 IFAB 연례 총회에서 세부적으로 변경되며, 때로는 6월이나 7월에 열리는 특별 회의에서 추가적인 검토와 지침이 마련되기도 한다. 개정된 규칙은 보통 7월 1일부터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다(단, 시즌이 진행 중인 경우 다음 시즌 시작까지 연기 가능). 따라서 축구 심판은 매년 변경되는 규칙에 대한 갱신 연수를 받아야 하며, 이수하지 않으면 심판 자격이 상실될 수 있다.

축구 심판을 위한 보험 제도로 심판원 상해 보험 등이 있다.

일본 J리그에서는 부심이 사용하는 깃발에 버튼이 부착되어 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주심이 손목에 착용한 수신기가 진동하여 깃발 신호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제4심판 역시 송신기를 통해 주심과 용이하게 소통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Soccer Referee Decision-Making: 'shall I Blow the Whistle?' 2006
[2] 웹사이트 Laws of the Game 21/22 https://downloads.th[...] IFAB 2022-06-21
[3] 웹사이트 Regulations on the organisation of refereeing in FIFA Member Associations, section 10 https://digitalhub.f[...] 2021-05-19
[4] 웹사이트 SEC will try wireless communication for football officials in 2012 http://www.al.com/sp[...] 2012-07-10
[5] 웹사이트 Electronic Flags https://web.archive.[...]
[6] 뉴스 Premier League unveils goalline technology to end disputes https://www.reuters.[...] 2013-08-08
[7] 서적 Laws of the Game 2012/2013 https://web.archive.[...] FIFA
[8] 웹사이트 Story of the Referee's Whistle http://www.m-dash.co[...] Martin P Wilson 2011-04-24
[9] 서적 IFAB Meeting Minutes, 1936
[10] 서적 Laws of the Game 2009/2010 https://web.archive.[...] FIFA
[11] 웹사이트 Positions Concerning the Training Up of Children https://web.archive.[...] 1581
[12] 서적 Sport in Europe: Politics, Class, Gende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aws of the Game – From 1863 to the Present Day https://web.archive.[...] 2016-07-01
[14] 웹사이트 Rewriting the Laws of the Game https://web.archive.[...] 1997-06-19
[15] 웹사이트 The Two-Ref System: Its Flaws and How to Cope http://www.soccerame[...] 2012-08-24
[16] 웹사이트 Soccer Officiating Dual System of Control https://www.zianet.c[...] NISOA
[17] Youtube HS Soccer: Double Dual or Three Whistle System of Control https://www.youtube.[...] 2012-02-20
[18] 웹사이트 Systems of Control https://web.archive.[...] National Intercollegiate Soccer Officials Association 2016-10-22
[19] 웹사이트 No.197 第3のチーム、レフェリーズ http://www.soccertal[...] 1997-07-14
[20] 웹사이트 FIFA、GLT導入を正式決定 クラブ・ワールドカップから本格導入 https://megalodon.jp[...] 2012-07-06
[21] 문서 2013 年競技規則追加改正について(13.06.25) http://www.jfa.or.jp[...] 日本サッカー協会 2013-06-25
[22] 뉴스 代表戦初?試合中に主審交代…肉離れで両脇を支えられて退場 https://www.sanspo.c[...] 2014-03-06
[23] 웹사이트 【JFAの知っトク!】Jリーグ担当審判員の舞台裏~佐藤隆治JFA審判マネジャー https://www.jfa.jp/n[...] 日本サッカー協会 2024-02-14
[24] 웹사이트 2024明治安田J1・J2・J3リーグ戦試合実施要項 https://aboutj.jleag[...]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5] 문서 プロフィール https://www.jfa.jp/a[...] 公益財団法人 日本サッカー協会 2012-09-13
[26] 웹사이트 国際審判員紹介 https://www.jfa.jp/r[...] 日本サッカー協会
[27] 웹사이트 Laws of the Game https://web.archive.[...] FIFA 2015-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