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가군은 두 환 R과 S에 대해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아벨 군 M에 R의 왼쪽 가군 구조와 S의 오른쪽 가군 구조가 호환되도록 결합된 것이다. 쌍가군은 가군의 일반화로 볼 수 있으며, 텐서곱, 준동형 사상, 그리고 특정 조건에서의 쌍가군 준동형사상과 같은 다양한 성질을 갖는다. 특히, 쌍가군은 호흐실트 호몰로지와 코호몰로지, 모리타 동치 및 모리타 쌍대성을 정의하는 데 활용되며, 2-범주와 프로펀터의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군론 - 자유 가군
자유 가군은 곱셈 항등원을 갖는 환 위의 가군으로, 기저를 가지며 기저 원소의 선형 결합으로 가군의 모든 원소를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 가군론 - 텐서곱
텐서곱은 가환환, 결합 대수, 쌍가군 등을 사용하여 정의되고 몫공간, 보편 성질, 선형 분리 등의 방법을 통해 구성되는 수학적 개념으로, 벡터 공간의 텐서곱은 동형 사상까지 정의되는 벡터 공간이며, 기저, 몫공간, 보편 성질 등을 이용하여 정의되고, 결합 법칙과 교환 법칙이 성립하며, 선형 사상의 텐서곱 정의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배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효율적인 계산을 지원한다.
쌍가군 | |
---|---|
정의 | |
유형 | 환 위의 왼쪽 가군 환 위의 오른쪽 가군 |
관련 개념 | 결합 대수 가군 환 쌍선형 형식 |
연산 | |
스칼라 곱셈 | 환의 작용을 통한 스칼라 곱셈 |
성질 | |
분류 | 단순 양쪽 가군 반단순 양쪽 가군 |
관련 정리 | 덴스리티 정리 |
2. 정의
환 ${\displaystyle R}$와 ${\displaystyle S}$가 주어졌을 때, ${\displaystyle (R,S)}$-쌍가군 ${\displaystyle _{R}M_{S}}$은 다음 데이터로 주어진다.
- 아벨 군 ${\displaystyle (M,+)}$
- ${\displaystyle M}$ 위의 ${\displaystyle R}$-왼쪽 가군 구조 ${\displaystyle _{R}M}$
- ${\displaystyle M}$ 위의 ${\displaystyle S}$-오른쪽 가군 구조 ${\displaystyle M_{S}}$
이는 다음 호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모든 ${\displaystyle r\in R}$, ${\displaystyle s\in S}$, ${\displaystyle m\in M}$에 대하여, ${\displaystyle (rm)s=r(ms)}$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displaystyle K}$와 ${\displaystyle K}$-단위 결합 대수 ${\displaystyle R}$, ${\displaystyle S}$가 주어졌을 때, ${\displaystyle (K;R,S)}$-쌍가군은 위 조건에 더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모든 ${\displaystyle k\in K}$에 대하여, ${\displaystyle km=mk}$
${\displaystyle (R,S)}$-쌍가군은 ${\displaystyle K=\mathbb {Z} }$일 때 ${\displaystyle (\mathbb {Z} ;R,S)}$-쌍가군의 개념과 같다.
두 ${\displaystyle (K;R,S)}$-쌍가군 ${\displaystyle _{R}M_{S}}$, ${\displaystyle _{R}N_{S}}$ 사이의 쌍가군 준동형 ${\displaystyle \phi :M\to N}$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아벨 군 준동형이다.
- ${\displaystyle \phi }$는 ${\displaystyle R}$-왼쪽 가군의 가군 준동형을 이룬다. 즉, ${\displaystyle r\phi (m)=\phi (rm)\;\forall r\in R,\;m\in M}$이다.
- ${\displaystyle \phi }$는 ${\displaystyle S}$-오른쪽 가군의 가군 준동형을 이룬다. 즉, ${\displaystyle \phi (m)s=\phi (ms)\;\forall s\in S,\;m\in M}$이다.
만약 ''R''과 ''S''가 두 개의 환이라면, ''R''-''S''-'''쌍가군'''은 다음을 만족하는 아벨 군이다.
- ''M''은 좌 ''R''-가군이자 우 ''S''-가군이다.
- 모든 ''R''의 ''r'', ''S''의 ''s'', ''M''의 ''m''에 대해: ${\displaystyle (r.m).s=r.(m.s)}$
''R''-''R''-쌍가군은 ''R''-쌍가군이라고도 한다.
''R''과 ''S''가 두 개의 환일 때, ''R''-''S''-'''양쪽 가군'''은 아벨 군 ''M''으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
- ''M''은 왼쪽 ''R''-가군이자 오른쪽 ''S''-가군이다.
- 모든 ${\displaystyle r\in R}$과 ${\displaystyle s\in S}$ 및 ${\displaystyle m\in M}$에 대하여 ${\displaystyle (rm)s=r(ms)}$가 성립한다.
양쪽 작용을 강조할 때에는 ${\displaystyle M={}_{R}M_{S}}$ 등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R''-''R''-양쪽 가군은 ''R''-양쪽 가군이라고도 불린다.
3. 성질
쌍가군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 가군과의 관계
- 텐서곱과 준동형 사상
- 쌍가군의 2-범주
이 내용은 '가군과의 관계', '텐서곱과 준동형 사상', '쌍가군의 2-범주'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M''과 ''N''이 ''R''-''S''-쌍가군이라면, 맵 f|f영어: ''M'' → ''N''는 왼쪽 ''R''-가군과 오른쪽 ''S''-가군의 준동형사상이 모두 성립할 경우 ''쌍가군 준동형사상''이다.[1]
''R''-''S''-쌍가군은 실제로 링 R ⊗'''Z''' Sop|R ⊗'''Z''' Sop영어 (곱셈이 인수를 교환하여 정의됨) 위의 왼쪽 가군과 동일하다. 여기서 ''S''op는 ''S''의 반대 링이다. 쌍가군 준동형사상은 왼쪽 R ⊗'''Z''' Sop|R ⊗'''Z''' Sop영어 가군의 준동형사상과 동일하다.[2]
3. 1. 가군과의 관계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개념 |
---|
-왼쪽 가군 |
-오른쪽 가군 |
-쌍가군 |
-쌍가군 |
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개념 |
---|
-오른쪽 가군 |
-왼쪽 가군 |
-쌍가군 |
-쌍가군 |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서로 동치이다.
개념 |
---|
-가군 |
-쌍가군 |
-쌍가군 |
-쌍가군 |
또한, 위 개념들에 대한 준동형들 또한 서로 동치이다. 예를 들어, -쌍가군 준동형은 -왼쪽 가군의 가군 준동형과 같은 개념이다.
즉, 쌍가군의 개념은 가군의 개념의 특수한 경우로 생각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가군의 개념을 쌍가군의 개념의 특수한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가환환 에 대하여, 모든 -가군 (즉, -쌍가군)은 망각을 통하여 -쌍가군을 이루지만, 일반적으로 -쌍가군이 아닌 -쌍가군이 존재한다.
3. 2. 텐서곱과 준동형 사상
-쌍가군 및 -쌍가군 이 주어졌을 때, 텐서곱:
은 자연스럽게 -쌍가군을 이룬다. 이는 쌍가군 범주의 가법 함자
:
:
를 정의한다.
또한, -쌍가군 및 -쌍가군 가 주어졌을 때, 왼쪽 가군 준동형군
:
은
:
를 통해 -쌍가군을 이룬다. 이는 쌍가군 범주의 가법 함자
:
:
를 정의한다. 반대로, 오른쪽 가군 준동형을 사용한다면 -쌍가군 및 -쌍가군 가 주어졌을 때, 준동형군
:
은
:
를 통해 쌍가군을 이루며, 쌍가군 범주의 가법 함자
:
:
를 정의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수반 함자를 이룬다.
:
:
특히, 또는 또는 를 놓으면 각종 가군 범주 위의 다음과 같은 가법 함자들을 얻는다.
:
:
:
:
:
:
:
:
3. 3. 쌍가군의 2-범주
가환환 ${\displaystyle K}$에 대하여, 2-범주 ${\displaystyle \operatorname {Bimod} _{K}}$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대상: ${\displaystyle K}$-단위 결합 대수 (즉, ${\displaystyle K\text{-uAssocAlg}}$의 대상과 같다.)
- 1-사상: 단위 결합 대수 ${\displaystyle R}$, ${\displaystyle S}$ 사이의 1-사상은 ${\displaystyle (K;R,S)}$-쌍가군 ${\displaystyle _{R}M_{S}}$이다. ${\displaystyle _{R}M_{S}}$의 정의역은 ${\displaystyle R}$, 공역은 ${\displaystyle S}$이다.
- 두 쌍가군 ${\displaystyle _{R}M_{S}}$, ${\displaystyle _{S}N_{T}}$의 합성은 쌍가군의 텐서곱 ${\displaystyle _{R}M\otimes _{S}N_{T}}$이다.
- 환 ${\displaystyle R}$ 위의 항등 사상은 ${\displaystyle _{R}R_{R}}$이다.
- 2-사상: 같은 정의역과 공역을 갖는 두 1-사상 ${\displaystyle _{R}M_{S}}$, ${\displaystyle _{R}N_{S}}$ 사이의 2-사상은 ${\displaystyle (K;R,S)}$-쌍가군 준동형이다. 즉, 범주로서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Bimod} }(R,S)={}_{R}K\text{-uAssocAlg} _{S}}$이다.
만약 ''M''과 ''N''이 ''R''-''S''-쌍가군이라면, 맵 f|f영어: ''M'' → ''N''는 왼쪽 ''R''-가군과 오른쪽 ''S''-가군의 준동형사상이 모두 성립할 경우 ''쌍가군 준동형사상''이다.[1]
''R''-''S''-쌍가군은 실제로 링 R ⊗'''Z''' Sop|R ⊗'''Z''' Sop영어 (곱셈이 인수를 교환하여 정의됨) 위의 왼쪽 가군과 동일하다. 여기서 ''S''op는 ''S''의 반대 링이다. 쌍가군 준동형사상은 왼쪽 R ⊗'''Z''' Sop|R ⊗'''Z''' Sop영어 가군의 준동형사상과 동일하다.[2]
4. 예시
- 양의 정수 ''n''과 ''m''에 대해, 실수로 이루어진 행렬의 집합 ''M''''n'',''m''('''R''')은 ''R''-''S''-쌍가군이다. 여기서 ''R''은 행렬의 환 ''M''''n''('''R''')이고, ''S''는 행렬의 환 ''M''''m''('''R''')이다. 덧셈과 곱셈은 행렬 덧셈과 행렬 곱셈의 일반적인 규칙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가 아닌 경우 ''M''''n'',''m''('''R''') 자체는 환이 아니다.
- 환 ''R'' 위의 임의의 대수 ''A''는 ''R''-쌍가군의 자연스러운 구조를 가진다.
- ''R''이 환인 경우, ''R'' 자체를 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것은 ''R''''n''(''R''의 ''n''-겹 직접 곱)으로 확장될 수 있다.
- ''M''이 ''S''-''R''-쌍가군이고 ''N''이 인 경우, 은 ''S''-''T''-쌍가군이다.
- 가환환 ''R'' 위의 임의의 가군은 쌍가군의 자연스러운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M''이 왼쪽 가군인 경우 오른쪽 곱셈을 왼쪽 곱셈과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다.
- ''M''이 왼쪽 ''R''-가군인 경우, ''M''은 이며, 여기서 '''Z'''는 정수환이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R''-가군은 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임의의 아벨군은 으로 취급될 수 있다.
- ''R''이 ''S''의 부분환인 경우, ''S''는 이다. 또한 및 이기도 하다.
4. 1. 아이디얼
환 ${\displaystyle R}$의 왼쪽 아이디얼은 ${\displaystyle R}$-왼쪽 가군을 이루며, 오른쪽 아이디얼은 ${\displaystyle R}$-오른쪽 가군을 이룬다. ${\displaystyle R}$의 양쪽 아이디얼 ${\displaystyle {\mathfrak {a}}\subseteq R}$은 ${\displaystyle (R,R)}$-쌍가군을 이룬다.특히, ${\displaystyle R}$ 전체는 ${\displaystyle R}$의 양쪽 아이디얼이며, 따라서 ${\displaystyle (R,R)}$-쌍가군을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가환환 ${\displaystyle K}$ 위의 단위 결합 대수 ${\displaystyle R}$가 주어졌을 때, ${\displaystyle K}$-가군을 이루는 ${\displaystyle R}$-양쪽 아이디얼 ${\displaystyle {\mathfrak {a}}\subseteq R}$는 ${\displaystyle (K;R,R)}$-쌍가군을 이룬다. 특히, ${\displaystyle R}$ 전체는 ${\displaystyle (K;R,R)}$-쌍가군을 이룬다.
4. 2. 부분환
$ (R, S) $-쌍가군 $ _{R}M_{S} $ 및 $ R $의 부분환 $ {\tilde {R}}\subseteq R $와 $ S $의 부분환 $ {\tilde {S}}\subseteq S $가 주어졌을 때, $ M $은 망각을 통해 자연스럽게 $ _}M_} $-쌍가군을 이룬다.특히, 환 $ R $의 부분환 $ {\tilde {R}}\subseteq R $가 주어졌을 때, 쌍가군 $ _{R}R_{R} $에 망각을 가하여 쌍가군 $ _}R_{R} $ 및 $ _{R}R_} $ 및 $ _}R_} $를 정의할 수 있다.
4. 3. 가군의 자기 사상
환 ${\displaystyle R}$ 위의 오른쪽 가군 ${\displaystyle M_{R}}$가 주어졌을 때, ${\displaystyle M_{R}}$의 자기 사상 집합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operatorname {Mod} _{R}}(M_{R})=\hom _{\operatorname {Mod} _{R}}(M_{R},M_{R})}$은 환을 이룬다. 이 자기 사상환은 ${\displaystyle M_{R}}$의 왼쪽에 자연스럽게 작용하며, 따라서 ${\displaystyle M_{R}}$는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M,R)}$-쌍가군을 이룬다.마찬가지로, ${\displaystyle R}$ 위의 왼쪽 가군 ${\displaystyle _{R}M}$은 자연스럽게 ${\displaystyle \left(R,(\operatorname {End} M)^{\operatorname {op} }\right)}$-쌍가군을 이룬다.
이 구성은 모리타 동치의 정의에 등장한다.
만약 ${\displaystyle M}$이 오른쪽 ${\displaystyle R}$-가군이면, ${\displaystyle R}$-가군 자기 준동형 사상의 집합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R}(M)}$은 합성을 통해 곱셈이 주어지는 환이다. 자기 준동형 사상 환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R}(M)}$은 ${\displaystyle f.x=f(x)}$로 정의되는 왼쪽 곱셈에 의해 ${\displaystyle M}$에 작용한다. 따라서 임의의 오른쪽 ${\displaystyle R}$-가군 ${\displaystyle M}$은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R}(M)}$-${\displaystyle R}$-쌍가군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왼쪽 ${\displaystyle R}$-가군 ${\displaystyle N}$은 ${\displaystyle R}$-${\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_{R}(N)^{\operatorname {op} }}$-쌍가군이다.[1]
4. 4. 행렬 쌍가군
환 ${\displaystyle R}$ 위의 ${\displaystyle m\times n}$ 행렬의 아벨 군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m,n;R)}$을 생각하자. ${\displaystyle m=n}$이면(즉, 정사각 행렬이면)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n;R)=\operatorname {Mat} (n;R)}$는 환을 이룬다.행렬의 곱셈은 자연스러운 ${\displaystyle R}$-쌍선형 함수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m,n;R)\otimes _{R}\operatorname {Mat} (n,p;R)\to \operatorname {Mat} (m,p;R)}$
를 이룬다. 이에 따라,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m,n;R)}$는 자연스럽게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m;R),\operatorname {Mat} (n;R))}$-쌍가군을 이룬다.
${\displaystyle R}$는 (대각 행렬로서)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R)}$의 부분환을 이룬다. 이에 따라,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m,n;R)}$는 ${\displaystyle (R,R)}$-쌍가군을 이룬다. 이 경우,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m,n;R)}$는 단순히 자유 가군 ${\displaystyle R^{mn\oplus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시:
- 양의 정수 n과 m에 대해, 실수로 이루어진 n × m 행렬의 집합 Mn,m(R)은 R-S-쌍가군이다. 여기서 R은 n × n 행렬의 환 Mn(R)이고, S는 m × m 행렬의 환 Mm(R)이다. 덧셈과 곱셈은 행렬 덧셈과 행렬 곱셈의 일반적인 규칙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행렬의 높이와 너비는 곱셈이 정의되도록 선택되었다. Mn,m(R) 자체는 환이 아니다(1=n=m가 아닌 경우). n × m 행렬을 다른 n × m 행렬로 곱하는 것은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 중요한 쌍가군 속성, 즉 1=(r.x).s = r.(x.s)는 행렬의 곱셈이 결합 법칙을 따른다는 진술이다 (이는 행렬환의 경우 결합 법칙에 해당한다).
- 환 R 위의 임의의 대수 A는 R-쌍가군의 자연스러운 구조를 가지며, 왼쪽 및 오른쪽 곱셈은 각각 1=r.a = φ(r)a와 1=a.r = aφ(r)로 정의된다. 여기서 φ : R → A는 R을 A로의 정규 매장이다.
- R이 환인 경우, 곱셈을 왼쪽 및 오른쪽 작용으로 취함으로써 R 자체를 R-R-쌍가군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작용은 결합 법칙에 의해 교환한다. 이것은 Rn(R의 n-겹 직접 곱)으로 확장될 수 있다.
- 환 R의 임의의 양면 아이디얼은 왼쪽 및 오른쪽 곱셈 둘 다를 환 곱셈으로 하여 R-R-쌍가군이다.
- 가환환 R 위의 임의의 가군은 쌍가군의 자연스러운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M이 왼쪽 가군인 경우 오른쪽 곱셈을 왼쪽 곱셈과 동일하게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R-쌍가군이 이런 식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호환 가능한 오른쪽 곱셈이 존재할 수 있다.)
- M이 왼쪽 R-가군인 경우, M은 R-'''Z'''-쌍가군이며, 여기서 '''Z'''는 정수환이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R-가군은 '''Z'''-R-쌍가군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임의의 아벨군은 '''Z'''-'''Z'''-쌍가군으로 취급될 수 있다.
- M이 오른쪽 R-가군인 경우, R-가군 자기 준동형 사상의 집합 EndR(M)은 합성을 통해 곱셈이 주어지는 환이다. 자기 준동형 사상 환 EndR(M)은 1=f.x = f(x)로 정의되는 왼쪽 곱셈에 의해 M에 작용한다. 쌍가군 속성, 즉 1=(f.x).r = f.(x.r)는 f가 M에서 자기 자신으로의 R-가군 준동형 사상임을 다시 진술한 것이다. 따라서 임의의 오른쪽 R-가군 M은 EndR(M)-R-쌍가군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왼쪽 R-가군 N은 R-EndR(N)op-쌍가군이다.
- R이 S의 부분환인 경우, S는 R-R-쌍가군이다. 또한 R-S- 및 S-R-쌍가군이기도 하다.
- M이 S-R-쌍가군이고 N이 R-T-쌍가군인 경우, M ⊗R N은 S-T-쌍가군이다.
5. 응용
호흐실트 호몰로지와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를 쌍가군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모리타 동치 및 모리타 쌍대성을 정의할 때 쌍가군의 개념이 사용된다.
''M''과 ''N''이 ''R''-''S'' 쌍가군일 때, 사상 ''f'': ''M'' → ''N''이 쌍가군 준동형이라는 것은 왼쪽 ''R''-가군으로서도 오른쪽 ''S''-가군으로서도 준동형이라는 것이다.
쌍가군은 프로함자(Profunctor)의 개념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2]
참조
[1]
논문
Categorical and combinatorial aspects of descent theory
2003-03-20
[2]
논문
Categorical and combinatorial aspects of descent theory
2003-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