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쐐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쐐기는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 온 간단한 기계로, 도구의 측면 힘과 움직임을 가공물의 횡방향 분할 힘과 움직임으로 변환한다. 고대 이집트, 아메리카 원주민, 한국 등에서 건축, 카누 제작, 물건 고정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으며, 쐐기의 원리를 활용한 다양한 도구들이 개발되었다. 쐐기는 재료를 분리하거나 물체를 들어 올리는 데 사용되며, 기계적 이점을 통해 적은 힘으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디자인 요소로, 또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학 - 운동량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벡터량으로,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는 계에서는 보존되며, 충돌, 충격량, 질량 변화, 상대론, 해석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역학 분야에서 중요한 물리량으로 다뤄진다.
  • 역학 - 역학 (물리학)
    역학은 물체의 운동과 힘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로, 고대부터 뉴턴의 고전 역학 정립,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거쳐 현대 역학으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하위 분야와 공학 분야에 응용되고 뉴턴의 운동 법칙을 기본 원리로 한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쐐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도구
모양삼각형
기능
주요 기능물건을 고정하거나 분리
틈새를 넓히거나 좁히는 데 사용
응용 분야목공
광업
공학
기타 다양한 분야
사용 방법
원리경사진 면을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바꾸고 힘을 증폭시키는 원리
박는 힘, 누르는 힘, 비트는 힘 등
사용 예도끼날의 고정
나무나 돌을 쪼개는 데 사용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화
재료
주요 재료나무, 돌,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
역사
역사적 사용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
고대 문헌고대 그리스 문헌에서도 언급됨
관련 도구
관련 도구나사
레버

도끼

2. 역사

쐐기는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다. 최초의 쐐기는 간단한 돌로 만들어졌다. 아마도 최초의 쐐기의 예는 손도끼(올로르게사일리)일 것이다. 손도끼는 돌, 일반적으로 흑요석을 깨뜨려 양면날 또는 쐐기 모양을 만든 것이다.[6] 쐐기는 도구의 측면 힘과 움직임을 가공물의 횡방향 분할 힘과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기계이다. 사용 가능한 힘은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노력에 의해 제한되지만, 힘은 힘과 움직임의 곱이기 때문에 쐐기는 움직임을 줄임으로써 힘을 증폭시킨다. 이러한 증폭 또는 기계적 이점은 입력 속도와 출력 속도의 비율이다. 쐐기의 경우 이는 1/tanα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α는 끝각이다. 쐐기의 면은 직선으로 모델링되어 미끄럼 또는 프리즘 조인트를 형성한다.

쐐기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이집트채석장에서는 청동 쐐기를 사용하여 건축에 사용되는 돌덩이를 깨뜨렸다. 물에 젖은 후 부풀어 오르는 목재 쐐기도 사용되었다.[6]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사슴뿔 쐐기를 사용하여 나무를 쪼개고 가공하여 카누, 주택 및 기타 물건을 만들었다.

2. 1. 고대

쐐기는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다. 최초의 쐐기는 단순한 돌로 만들어졌다. 아마도 최초의 쐐기의 예는 손도끼(올로르게사일리)일 것이다. 손도끼는 돌, 일반적으로 흑요석을 깨뜨려 양면날 또는 쐐기 모양을 만든 것이다.[6] 쐐기는 도구의 측면 힘과 움직임을 가공물의 횡방향 분할 힘과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기계이다. 사용 가능한 힘은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노력에 의해 제한되지만, 힘은 힘과 움직임의 곱이기 때문에 쐐기는 움직임을 줄임으로써 힘을 증폭시킨다. 이러한 증폭 또는 기계적 이점은 입력 속도와 출력 속도의 비율이다. 쐐기의 경우 이는 1/tanα로 주어지는데, 여기서 α는 끝각이다. 쐐기의 면은 직선으로 모델링되어 미끄럼 또는 프리즘 조인트를 형성한다.

쐐기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이집트채석장에서는 청동 쐐기를 사용하여 건축에 사용되는 돌덩이를 깨뜨렸다. 물에 젖은 후 부풀어 오르는 목재 쐐기도 사용되었다.[6]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사슴뿔 쐐기를 사용하여 나무를 쪼개고 가공하여 카누, 주택 및 기타 물건을 만들었다. 고대 이집트의 석재 채석에는 구리 , 나무 쐐기, 돌망치 등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나무 쐐기의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으며, 현무암을 구형으로 가공한 것을 망치로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6]

2. 2. 아메리카 원주민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사슴뿔 쐐기를 사용하여 나무를 쪼개고 가공하여 카누, 주택 및 기타 물건을 만들었다.

2. 3. 한국의 역사

쐐기는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으며, 처음에는 단순한 돌로 만들어졌다. 쐐기의 첫 번째 예는 양면 가장자리 또는 쐐기를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부싯돌인 돌을 쪼개어 만든 손도끼(손도끼)일 것으로 추정한다. 쐐기는 도구의 측면 힘과 움직임을 공작물의 가로 분할 힘과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간단한 기계이다. 사용 가능한 힘은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노력에 따라 제한되지만 힘은 힘과 움직임의 산물이기 때문에 쐐기는 움직임을 줄여 힘을 증폭시킨다. 이러한 증폭이나 기계적 이점은 입력 속도와 출력 속도의 비율이다. 쐐기의 경우 이는 1/tanα로 제공되며, 여기서 α는 팁 앵글(tip angle)이다. 쐐기의 면은 직선으로 모델링되어 슬라이딩 또는 프리즘형 조인트를 형성한다.

쐐기의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고대 이집트 채석장에서는 건설에 사용된 돌 블록을 부수기 위해 청동 쐐기를 사용했다. 물에 적신 후 부풀어오르는 나무 쐐기도 사용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의 일부 원주민은 카누, 주거지 및 기타 물건을 만들기 위해 나무를 쪼개고 가공하는 데 녹용 쐐기를 사용했다.

3. 쐐기의 원리

날 부분과 두 개의 경사면이 한쪽 가장자리에서 만나도록 배치된 복합 경사면이다. 두 평면이 만나는 가장자리가 고체 또는 유체 물질로 밀려 들어가면 재료에 가해지는 힘이 날 부분의 면에 수직인 두 개의 반대 힘으로 전달되어 재료의 분리 저항을 극복한다.

인간이 칼날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것은 동물 조직을 쪼개거나 쪼개는 데 사용되는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였다. 고기 자르기/Meat cutting영어. 철이나 다른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종류의 작업을 위한 이 개발되었다. 칼날을 사용하면 인간은 단순히 손으로 잡아당기는 것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고기, 섬유질, 기타 식물 및 동물 재료를 자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토양 입자를 분리하는 쟁기, 직물을 분리하는 가위, 목재 섬유를 분리하는 도끼, 목재를 분리하는 대패가 있다.

쐐기, 은 나무, 단단한 돌, 단단한 금속과 같은 두껍고 단단한 재료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할 재료의 더 넓은 영역에 걸쳐 동일한 힘을 적용하는 분쇄 과정보다 훨씬 적은 힘과 재료 낭비로 더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쐐기의 다른 예는 고체에 원형 구멍을 생성하는 드릴 비트에서 찾을 수 있다. 드릴 비트의 두 모서리는 반대 각도로 날카롭게 뾰족해지고 그 모서리는 드릴 비트의 샤프트 주위에 감겨 있다. 드릴 비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쐐기는 분리할 재료 안으로 강제로 들어가게 된다. 재료의 절단 결과는 드릴 비트의 회전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비트의 나선형 모양은 절단된 재료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쐐기의 기계적 이점(MA)은 쐐기의 높이를 쐐기의 너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2]

:\rm MA={길이 \over 너비}

쐐기의 각도가 더 예각일수록, 즉 좁을수록 경사면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커지고 따라서 더 큰 기계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3]

쐐기는 쐐기의 포함 각도가 쐐기와 재료 사이의 마찰 계수의 아크탄젠트보다 작을 때 결합된다. 따라서 목재와 같은 탄성 재료에서는 넓은 쐐기보다 좁은 쐐기가 더 쉽게 마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이 나무를 쪼개는 도끼의 머리 각도가 도끼보다 훨씬 넓은 이유이다.

3. 1. 기계적 이점

쐐기의 기계적 이점(MA)은 쐐기의 높이를 쐐기의 너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2]

:\rm MA={길이 \over 너비}

쐐기의 각도가 더 예각일수록, 즉 좁을수록 경사면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커지고 따라서 더 큰 기계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3]

쐐기는 쐐기의 포함 각도가 쐐기와 재료 사이의 마찰 계수의 아크탄젠트보다 작을 때 결합된다. 따라서 목재와 같은 탄성 재료에서는 넓은 쐐기보다 좁은 쐐기가 더 쉽게 마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이 나무를 쪼개는 도끼의 머리 각도가 도끼보다 훨씬 넓은 이유이다.

3. 2. 마찰력의 영향

쐐기의 기계적 이점(MA)은 쐐기의 높이를 쐐기의 너비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2]

:\rm MA={길이 \over 너비}

쐐기의 각도가 더 예각일수록, 즉 좁을수록 경사면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커지고 따라서 더 큰 기계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3]

쐐기는 쐐기의 포함 각도가 쐐기와 재료 사이의 마찰 계수의 아크탄젠트보다 작을 때 결합된다. 따라서 목재와 같은 탄성 재료에서는 넓은 쐐기보다 좁은 쐐기가 더 쉽게 마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이 나무를 쪼개는 도끼의 머리 각도가 도끼보다 훨씬 넓은 이유이다.

4. 쐐기의 활용

날 부분과 두 개의 경사면이 한쪽 가장자리에서 만나도록 배치된 복합 경사면이다. 두 평면이 만나는 가장자리가 고체 또는 유체 물질로 밀려 들어가면 재료에 가해지는 힘이 날 부분의 면에 수직인 두 개의 반대 힘으로 전달되어 재료의 분리 저항을 극복한다.

인간이 칼날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동물 조직을 쪼개거나 쪼개는 데 사용되는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였다. 고기 자르기. 이나 다른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종류의 작업을 위한 이 개발되었다. 칼날을 사용하면 인간은 단순히 손으로 잡아당기는 것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고기, 섬유질, 기타 식물 및 동물 재료를 자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토양 입자를 분리하는 쟁기, 직물을 분리하는 가위, 목재 섬유를 분리하는 도끼, 목재를 분리하는 대패가 있다.

쐐기, 은 나무, 단단한 돌, 단단한 금속과 같은 두껍고 단단한 재료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할 재료의 더 넓은 영역에 걸쳐 동일한 힘을 적용하는 분쇄 과정보다 훨씬 적은 힘과 재료 낭비로 더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쐐기의 다른 예는 고체에 원형 구멍을 생성하는 드릴 비트에서 찾을 수 있다. 드릴 비트의 두 모서리는 반대 각도로 날카롭게 뾰족해지고 그 모서리는 드릴 비트의 샤프트 주위에 감겨 있다. 드릴 비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쐐기는 분리할 재료 안으로 강제로 들어가게 된다. 재료의 절단 결과는 드릴 비트의 회전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비트의 나선형 모양은 절단된 재료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쐐기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려 놓인 표면에서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쐐기로 들어 올릴 블록을 생각해 보자. 쐐기가 블록 아래로 미끄러지면 블록은 쐐기의 경사진 면을 따라 위로 미끄러진다. 이렇게 하면 블록의 무게 ''F''B가 들어 올려진다. 블록을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수평력 ''F''A는 쐐기의 속도 ''v''A와 블록의 속도 ''v''B를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쐐기가 에너지를 소산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쐐기로 들어가는 일률은 나가는 일률과 같다.

즉,

: \frac{F_\mathrm{B}}{F_\mathrm{A}} = \frac{v_\mathrm{A}}{v_\mathrm{B}}.

블록의 속도는 쐐기의 면의 경사에 따라 쐐기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쐐기의 각도가 ''α''이면

: v_\mathrm{B} = v_\mathrm{A} \tan\alpha, \!

즉, 기계적 이점은

: MA = \frac{F_\mathrm{B}}{F_\mathrm{A}} = \frac{1}{\tan\alpha}.

따라서 각도 ''α''가 작을수록 쐐기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들어 올리는 힘의 비율이 커진다. 이것이 쐐기의 기계적 이점이다. 이 기계적 이점에 대한 공식은 들어 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절삭날과 분할 작업에도 적용된다.

쐐기는 잘라낸 돌 블록과 같이 물체를 분리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쪼개는 도끼와 쪼개는 쐐기는 목재를 결 따라 쪼개는 데 사용된다.

물체 사이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긴 테이퍼가 있는 좁은 쐐기를 기브(gib)라고 하며, 공작 기계 조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포크와 못의 끝도 쐐기인데, 이는 이것들이 밀거나 박히는 재료를 쪼개고 분리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샤프트는 마찰로 인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쐐기는 내연 기관 부품(팝펫 밸브), 자전거 부품(스템 및 편심 바텀 브래킷), 문 등의 물체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쐐기형 문 멈춤 장치(door wedge)는 문 바닥과 쐐기, 그리고 쐐기와 바닥(또는 다른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때문에 주로 기능한다.

돌다리에서는 아치형 돌쌓기의 최상부에 쐐기 모양의 돌을 끼워 전체를 안정시키는데, 이 돌을 키스톤, 또는 한국어로 요석(要石)이나 쐐기돌이라고 한다.

북에서 가죽을 팽팽하게 할 때 외주 끈 사이에 쐐기를 넣어 더욱 단단하게 조이는 것을 쐐기 조임 북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아마미 제도(아마미오시마의 치진 등)에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제주도, 중국태국야오족, 태국의 아카족, 인도 등에서도 볼 수 있다.

4. 1. 쪼개기 및 절단

날 부분과 두 개의 경사면이 한쪽 가장자리에서 만나도록 배치된 복합 경사면이다. 두 평면이 만나는 가장자리가 고체 또는 유체 물질로 밀려 들어가면 재료에 가해지는 힘이 날 부분의 면에 수직인 두 개의 반대 힘으로 전달되어 재료의 분리 저항을 극복한다.

인간이 칼날을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동물 조직을 쪼개는 데 사용되는 부싯돌의 날카로운 모서리였다. 이나 다른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이 개발되었다. 칼날을 사용하면 인간은 적은 힘으로 고기, 섬유질, 기타 식물 및 동물 재료를 자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토양 입자를 분리하는 쟁기, 직물을 분리하는 가위, 목재 섬유를 분리하는 도끼, 목재를 분리하는 대패가 있다.

쐐기, , 끌은 나무, 단단한 돌, 단단한 금속과 같은 두껍고 단단한 재료를 분리할 수 있다. 분쇄 과정보다 훨씬 적은 힘과 재료 낭비로 더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쐐기의 다른 예는 고체에 원형 구멍을 생성하는 드릴 비트에서 찾을 수 있다. 드릴 비트의 두 모서리는 반대 각도로 날카롭게 뾰족해지고 그 모서리는 드릴 비트의 샤프트 주위에 감겨 있다. 드릴 비트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쐐기는 분리할 재료 안으로 강제로 들어가게 된다. 재료의 절단 결과는 드릴 비트의 회전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비트의 나선형 모양은 절단된 재료를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고대 이집트의 석재 채석에는 구리 , 나무 쐐기, 돌망치 등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6] 그러나 나무 쐐기의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으며, 현무암을 구형으로 가공한 것을 망치로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6]

나무에 쐐기 또는 쐐기 모양의 쪼개는 끌(のみ)을 박아서 나뭇결을 따라 절단하는 방법을 쪼개는 방법(打ち割り法)이라고 한다.[7] 쪼개는 방법으로 제재하는 것은 편백(ヒノキ)이나 삼나무(スギ)처럼 나뭇결이 곧게 뻗은 나무에 한정되지만, 신속하고 나뭇결을 따라 절단하기 때문에 재목에 뒤틀림이 생기기 어려운 장점이 있다.[7]

4. 2. 들어 올리기

쐐기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려 놓인 표면에서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4] 쐐기가 블록 아래로 미끄러지면 블록은 쐐기의 경사진 면을 따라 위로 미끄러진다. 블록의 무게 ''F''B를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수평력 ''F''A는 쐐기의 속도 ''v''A와 블록의 속도 ''v''B를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쐐기가 에너지를 소산하거나 저장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쐐기로 들어가는 일률은 나가는 일률과 같다.

즉,

:{F_\mathrm{A}} = \frac{v_\mathrm{A}}{v_\mathrm{B}}. }}

블록의 속도는 쐐기의 면의 경사에 따라 쐐기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쐐기의 각도가 ''α''이면

:

즉, 기계적 이점은

:{F_\mathrm{A}} = \frac{1}{\tan\alpha}. }}

따라서 각도 ''α''가 작을수록 쐐기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들어 올리는 힘의 비율이 커진다. 이것이 쐐기의 기계적 이점이다. 이 기계적 이점에 대한 공식은 들어 올리는 것뿐만 아니라 절삭날과 분할 작업에도 적용된다.

쪼개는 도끼와 쪼개는 쐐기는 목재를 결 따라 쪼개는 데 사용된다. 물체 사이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긴 테이퍼가 있는 좁은 쐐기를 기브(gib)라고 하며, 공작 기계 조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포크와 못의 끝도 쐐기인데, 이는 이것들이 밀거나 박히는 재료를 쪼개고 분리하기 때문이며, 샤프트는 마찰로 인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4. 3. 고정

쐐기는 내연 기관 부품(팝펫 밸브), 자전거 부품(스템 및 편심 바텀 브래킷), 문 등의 물체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쐐기형 문 멈춤 장치(door wedge)는 문 바닥과 쐐기, 그리고 쐐기와 바닥(또는 다른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때문에 주로 기능한다.

돌다리에서는 아치형 돌쌓기의 최상부에 쐐기 모양의 돌을 끼워 전체를 안정시키는데, 이 돌을 키스톤, 또는 한국어로 요석(要石)이나 쐐기돌이라고 한다.[8]

북에서 가죽을 팽팽하게 할 때 외주 끈 사이에 쐐기를 넣어 더욱 단단하게 조이는 것을 쐐기 조임 북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아마미 제도(아마미오시마의 치진 등)에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제주도, 중국태국야오족, 태국의 아카족, 인도 등에서도 볼 수 있다.[9]

4. 3. 1. 재료 고정 (일본어 위키백과 내용 추가)

쐐기는 내연 기관 부품(팝펫 밸브), 자전거 부품(스템 및 편심 바텀 브래킷), 문 등의 물체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쐐기형 문 멈춤 장치(door wedge)는 문 바닥과 쐐기, 그리고 쐐기와 바닥(또는 다른 표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때문에 주로 기능한다.

돌다리에서는 아치형 돌쌓기의 최상부에 쐐기 모양의 돌을 끼워 전체를 안정시키는데, 이 돌을 키스톤, 또는 한국어로 요석(要石)이나 쐐기돌이라고 한다.[8]

북에서 가죽을 팽팽하게 할 때 외주 끈 사이에 쐐기를 넣어 더욱 단단하게 조이는 것을 쐐기 조임 북이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아마미 제도(아마미오시마의 치진 등)에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제주도, 중국태국야오족, 태국의 아카족, 인도 등에서도 볼 수 있다.[9]

5. 현대 사회에서의 쐐기

5. 1. 쐐기형 디자인

삼각형 모양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쐐기 모양(웨지셰이프)으로 사용된다. 구두 밑창의 한 종류로 웨지솔(웨지힐) 등이 있다.

5. 2. 쐐기풀 (비판적 관점 추가)

수사법으로는, 쪼개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예를 들어 사이가 좋은 두 사람의 관계를 나쁘게 하는 경우에 "두 사람 사이에 쐐기를 박다"와 같이 사용된다.

6. 같이 보기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Wedges and screws http://em-ntserver.u[...] 2009-07-29
[2]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analytic mechanics: with numerous examples https://books.google[...] D. Van Nostrand Company
[3] 서적 McGraw-Hill Concise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McGraw-Hill, Inc.
[4] 서적 Formal Engineering Design Synthes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11-19
[5] 논문 木製楔の基礎的論考 https://repository.k[...] 京都大学文学部史学研究会 2002-07-01
[6] 논문 (74) 古代エジプト遺跡 (ルクソール地区VW-22号地下王墓)におけるき裂分布と不安定現象 http://library.jsce.[...] 公益社団法人土木学会
[7] 간행물 ハイテク時代に見直される古代技術—半導体結晶の加工を考える— https://www.horiba.c[...]
[8] 웹사이트 傘と要石 https://econavi.eic.[...]
[9] 논문 クサビ締め太鼓の分布と民俗文化の地域性 https://doi.org/10.1[...] 国立歴史民俗博物館 1993-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