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드 리비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드 리비툼(ad libitum)은 라틴어 표현으로, 음악에서는 연주자나 지휘자에게 자유로운 해석을 허용하는 지시 사항을 의미하며, 템포, 멜로디, 악기 파트 생략, 반복 횟수 등에서 재량권을 부여한다. 연극 및 기타 공연 예술에서는 대본에 없는 대사를 즉흥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하며, 영화에서는 스크립트화된 연기에서 벗어난 즉흥적인 대사나 행동을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즉흥 - 카덴차
카덴차는 협주곡 등에서 오케스트라 반주가 멈춘 후 독주자가 자유로운 리듬으로 기교를 선보이는 부분으로, 즉흥 연주에서 작곡가의 작곡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재즈 음악에도 짧게 등장한다. - 즉흥 - 즉흥 연주
즉흥 연주는 악보나 계획 없이 즉석에서 음악을 창작하고 연주하는 행위로,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다른 예술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라틴어 낱말 - 데우스 엑스 마키나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극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외부적 요소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유래하여 현대 문학 및 미디어에서도 사용되는 문학적 장치이다. - 라틴어 낱말 - 파르티잔
파르티잔은 정치적 목적을 가진 비정규군이나 민간인으로, 점령군이나 정부군에 저항하거나 특정 정치 세력을 옹호하며 게릴라전, 사보타주 등의 활동을 벌이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 음악 용어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 용어 - 오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는 소스에서 스피커 또는 녹음 장치로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흐르는 신호이며, 대역폭, 레벨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다양한 형태로 전송된다.
아드 리비툼 | |
---|---|
기본 정보 | |
![]() | |
언어 | 라틴어 |
의미 | 임의로, 마음대로 |
다른 표현 | a bene placito (라틴어), a piacere (이탈리아어) |
어원 | libitum (라틴어, "즐거움"), liber (라틴어, "자유로운") |
용법 | |
음악 | 즉흥 연주, 연주자의 재량에 따른 연주 |
연극 | 즉흥 연기, 대본에 없는 대사 |
글쓰기 | 자유로운 형식, 정해진 틀에 얽매이지 않음 |
식단 | 자유 급식, 원하는 대로 먹을 수 있도록 제공 |
2. 음악
음악에서 일정한 템포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악보의 지시 사항으로서 아드 리비툼|ad libitumla은 연주자 또는 지휘자가 주어진 구절에 관하여 다양한 유형의 재량권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 구절을 엄격하거나 "메트로놈" 템포가 아닌 자유 시간으로 연주한다. (작곡가가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 ''루바토''라고 불리는 관행)
- 구절의 쓰여진 음표나 화음이 규정한 일반적인 구조에 맞는 멜로디 라인을 즉흥적으로 연주한다.
- 필수적이지 않은 반주와 같은 악기 파트를 구절의 지속 시간 동안 생략한다.
- "반복 아드 리비툼|ad libitumla" 구절에서는 구절을 임의의 횟수만큼 연주한다. ( 뱀프 참조).
아 피아체레|a piacereit라는 지시는 보다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처음 두 가지 유형의 재량권만을 지칭한다. 특히 바로크 음악은 쓰여지거나 암묵적으로 아드 리비툼|ad libitumla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작곡가들은 연주자와 지휘자가 갖는 자유를 암시한다.
바로크 이후의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대해서는 카덴차를 참조하라.
2. 1. 클래식 음악
음악에서 일정한 템포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악보의 지시 사항으로서 아드 리비툼|ad libitumla은 연주자 또는 지휘자가 주어진 구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재량권을 가짐을 나타낸다.- 구절을 엄격하거나 "메트로놈" 템포가 아닌 자유 시간으로 연주한다.(작곡가가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 ''루바토''라고 불리는 관행)
- 구절의 쓰여진 음표나 화음이 규정한 일반적인 구조에 맞는 멜로디 라인을 즉흥적으로 연주한다.
- 필수적이지 않은 반주와 같은 악기 파트를 구절의 지속 시간 동안 생략한다.
- "반복 아드 리비툼|ad libitumla" 구절에서는 구절을 임의의 횟수만큼 연주한다.('''참조''' 뱀프 참조).
아 피아체레|a piacereit라는 지시는 (위 참조) 보다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처음 두 가지 유형의 재량권만을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바로크 음악은 쓰여지거나 암묵적으로 아드 리비툼|ad libitumla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작곡가들은 연주자와 지휘자가 갖는 자유를 암시한다.
바로크 이후의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대해서는 카덴차를 참조하라.
2. 2. 재즈
음악에서 일정한 템포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악보의 지시 사항으로서 아드 리비툼|ad libitumla은 연주자 또는 지휘자가 주어진 구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재량권을 가짐을 나타낸다.- 구절을 엄격하거나 "메트로놈" 템포가 아닌 자유 시간으로 연주한다.(작곡가가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 ''루바토''라고 불리는 관행)
- 구절의 쓰여진 음표나 화음이 규정한 일반적인 구조에 맞는 멜로디 라인을 즉흥적으로 연주한다.
- 필수적이지 않은 반주와 같은 악기 파트를 구절의 지속 시간 동안 생략한다.
- "반복 아드 리비툼|ad libitumla" 구절에서는 구절을 임의의 횟수만큼 연주한다.('''참조''' 뱀프 참조).
아 피아체레|a piacereit라는 지시는 (위 참조) 보다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처음 두 가지 유형의 재량권만을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바로크 음악은 쓰여지거나 암묵적으로 아드 리비툼|ad libitumla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작곡가들은 연주자와 지휘자가 갖는 자유를 암시한다.
바로크 이후의 클래식 음악과 재즈에 대해서는 카덴차를 참조하라.
3. 연극 및 기타 공연 예술
연극이나 드라마에서 대본에 없는 대사를 즉흥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배우가 연극 대본에 없는 대사로 자신의 캐릭터를 통해 말하는 라이브 공연의 개별적인 순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전체 공연이 즉흥적인 창작에 기반을 둔 경우, 이 과정을 즉흥극이라고 부른다.
영화에서 "애드립"은 일반적으로 각본에 없는 내용을 연기에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더스틴 호프만은 ''미드나잇 카우보이''에서 애드립을 하기도 했다.[2] 피터 포크는 ''형사 콜롬보''에서 애드립 연기로 유명하다.[3]
텔레비전 토크쇼 진행자들은 애드립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준비된 대사를 사용하기도 하며, "애드립 작가"를 고용하기도 한다.[4] 래리 데이비드는 HBO 시트콤 ''안녕, 내 사랑''에서 레트로스크립팅과 애드립을 활용한다.
3. 1. 연극
연극이나 드라마에서 대본에 없는 대사를 즉흥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을 말한다. "애드립"은 배우가 연극 대본에 없는 대사로 자신의 캐릭터를 통해 말하는 라이브 공연의 개별적인 순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전체 공연이 즉흥적인 창작에 기반을 둔 경우, 이 과정을 즉흥극이라고 부른다.영화에서 "애드립"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스크립트화된 연기에서 스크립트되지 않은 내용을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뷰에서 더스틴 호프만은 1969년작 ''미드나잇 카우보이''에서 "랫소" 리조 역을 맡아 "나 여기 걷고 있어! 나 여기 걷고 있다고!"라는 유명한 대사를 ''애드립''했다고 말한다. 길모퉁이에서 촬영하던 중 택시 기사에게 방해를 받았다. 호프만은 "우리 여기서 영화 찍고 있어요!"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배역에 몰입한 채 테이크를 사용하도록 했다.[2]
일부 배우들은 또한 애드립을 하는 능력이나 경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텔레비전 시리즈 ''형사 콜롬보''의 피터 포크가 있다. 콜롬보 역을 연기할 때, 포크는 멍한 표정, 주머니를 뒤적거리거나, 펜을 찾는 등의 행동을 애드립하여 함께 연기하는 배우들을 좌절시키고 더 진솔한 반응을 얻으려 했다.[3]
텔레비전 토크쇼 진행자와 같은 라이브 공연자들은 애드립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스크립트화된 자료를 전달하기도 한다. 그들은 이러한 자료를 준비하기 위해 "애드립 작가"를 고용할 수 있다.[4]
HBO 시트콤 ''안녕, 내 사랑''은 사인필드 공동 제작자 래리 데이비드가 주로 스크립트 대사 대신 레트로스크립팅과 애드립을 사용한다.
3. 2. 영화
영화에서 "애드립"은 일반적으로 각본에 없는 내용을 연기에 삽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스틴 호프만은 1969년작 ''미드나잇 카우보이''에서 "랫소" 리조 역을 맡아 "나 여기 걷고 있어! 나 여기 걷고 있다고!"라는 유명한 대사를 애드립했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길모퉁이에서 촬영하던 중 택시 기사에게 방해를 받았는데, 호프만은 배역에 몰입한 채 이 대사를 애드립했고, 이 장면이 영화에 사용되었다.[2]일부 배우들은 애드립 능력으로 유명하다. 텔레비전 시리즈 ''형사 콜롬보''의 피터 포크가 대표적인 예이다. 포크는 콜롬보 역을 연기할 때 멍한 표정을 짓거나, 주머니를 뒤적거리거나, 펜을 찾는 등의 행동을 애드립하여 함께 연기하는 배우들을 당황하게 하고 더 진솔한 반응을 얻으려 했다.[3]
3. 3. 텔레비전
텔레비전 시리즈 형사 콜롬보의 피터 포크는 애드립 연기로 유명하다. 콜롬보 역을 연기할 때, 포크는 멍한 표정, 주머니를 뒤적거리거나, 펜을 찾는 등의 행동을 애드립하여 함께 연기하는 배우들을 좌절시키고 더 진솔한 반응을 얻으려 했다.[3]텔레비전 토크쇼 진행자와 같은 라이브 공연자들은 애드립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스크립트화된 자료를 전달하기도 한다. 그들은 이러한 자료를 준비하기 위해 "애드립 작가"를 고용할 수 있다.[4]
HBO 시트콤 안녕, 내 사랑은 사인필드 공동 제작자 래리 데이비드가 주로 스크립트 대사 대신 레트로스크립팅과 애드립을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d Libitum
https://kb.wisc.edu/[...]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23-11-29
[2]
웹사이트
Greatest Unscripted Movie Moments
http://xfinity.comca[...]
Xfinity
2012-09-20
[3]
서적
Just One More Thing
Da Capo Press
2007-08-24
[4]
뉴스
That's Earl, Brother
https://news.google.[...]
2015-06-12
[5]
웹인용
Ad Libitum
https://kb.wisc.edu/[...]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23-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