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타는 수메르 문헌에서 묘사된 도시로, 엔메르카르와 우루크 사이의 갈등을 다룬 서사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라타의 위치는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북서 이란, 카스피 해, 또는 지로프트 문명 등 다양한 지역이 제시되었지만,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아라타는 신화 속 도시로,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위치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소포타미아 신화 - 에누마 엘리시
에누마 엘리시는 아카드어로 기록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 서사시로,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세계관과 마르두크의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메소포타미아 신화 - 아트라하시스 서사시
아트라하시스 서사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대홍수 이야기를 다룬 아카드어 서사시로, 신들의 분노로 인한 홍수로부터 아트라하시스가 가족과 동물들을 구하는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인류의 기원과 종말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아라타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위치 | 중앙아시아 혹은 이란 고원 지역으로 추정 |
특징 | 풍요로운 금속 자원과 숙련된 기술자 보유 |
신화 속 아라타 | |
주요 내용 | 수메르의 엔메르카르 왕이 여신 이난나의 도움을 받아 아라타를 정복하려 함. 아라타는 길가메시 서사시에도 등장. |
건설 | 엔릴이 지시하여 건설되었다고 함. |
재료 | 청금석, 금, 은, 구리 등 귀금속 사용 |
역사적 논쟁 | |
실존 여부 |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 고고학적 증거 부족. |
후보 지역 | 샤흐리 소크타 자로프트 문화 지역 |
2. 수메르 문헌에서의 언급
아라타는 우루크와의 관계를 다룬 네 가지 수메르 문헌에 언급된다. 이 문헌들은 아라타와 우루크 사이의 갈등과 교류를 보여준다.
수메르 문헌 속 아라타는 다음과 같이 묘사된다.
- 금, 은, 청금석 등 귀중한 자원과 그것을 다루는 장인이 풍부한 매우 부유한 곳이다.[1]
- 멀리 떨어져 있고 도달하기 어려운 곳이다.[1]
- 이난나 여신의 고향으로, 그녀는 아라타에서 우루크로 충성을 옮긴다.[1]
- 우루크의 엔메르카르에게 정복당한다.[1]
이 묘사들을 통해 아라타는 풍요로웠지만 우루크와 경쟁 관계에 있던 도시 국가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난나 여신의 충성이 우루크로 옮겨간 것은 두 도시 간의 세력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다.
2. 1. 아라타와 관련된 주요 서사시
- '''아라타의 주인 엔메르카르'''[2] - 여신 이난나는 아라타에 살지만, 우루크의 엔메르카르가 이 서사시에 이름이 나오지 않은 아라타의 군주보다 그녀를 더 기쁘게 한다. 엔메르카르는 아라타가 우루크에 복종하고, 산에서 돌을 가져와 금, 은, 청금석을 만들고, 그것들을 "쿠그메아" 광석과 함께 우루크로 보내 사원을 짓기를 원한다. 이난나는 그에게 아라타로 사자를 보내라고 하고, 사자는 "주비" 산을 오르내리고, 수사, 안산을 지나 "다섯, 여섯, 일곱" 개의 산을 넘어 아라타에 간다. 아라타는 그 대가로 곡식을 원한다. 그러나 이난나는 자신의 충성을 우루크로 옮기고, 곡물은 아라타 사람들에게 우루크의 호의를 얻게 되며, 아라타의 군주는 엔메르카르에게 자신의 챔피언과 싸울 챔피언을 보내라고 도전한다. 그 후 신 이슈쿠르는 아라타의 작물을 자라게 한다.
- '''엔메르카르와 엔수흐기르-아나'''[3] - 아라타의 군주 ''엔수흐기르-아나''(또는 ''엔수흐케쉬단나'')는 이난나의 호의를 놓고 우루크의 엔메르카르에게 자신에게 복종하라고 도전하지만, 엔메르카르에게 거절당한다. 그 후 최근에 패배한 하마지에서 온 마법사가 아라타에 와서 우루크를 복종시키겠다고 한다. 마법사는 에레쉬로 가서 엔메르카르의 가축을 마법으로 조종하지만, 현명한 여인이 그의 마법보다 뛰어나 그를 유프라테스 강에 던져버린다. 엔수흐기르-아나는 이난나를 잃었음을 알고 자신의 왕국을 우루크에 복종시킨다.
- '''산 동굴 속의 루갈반다'''[4] - 엔메르카르의 후계자가 될 루갈반다의 이야기이다. 엔메르카르의 군대는 반역적인 아라타와 전쟁을 벌이기 위해 산악 지대를 간다. 루갈반다는 병에 걸려 동굴에 남겨지지만, 여러 신들에게 기도하고 회복하여 산에서 빠져나가는 길을 찾아야 한다.
- '''루갈반다와 안주드 새'''[5] - 루갈반다는 ''안주드'' 새와 친구가 되어 그의 군대를 다시 찾도록 도와달라고 한다. 엔메르카르의 군대가 좌절에 직면했을 때, 루갈반다는 우루크로 돌아가 여신 이난나의 도움을 요청한다. 그는 산을 지나 평지를 거쳐 안산의 가장자리에서 꼭대기까지, 그리고 우루크까지 이동하며, 그곳에서 이난나가 그를 돕는다. 그녀는 엔메르카르에게 아라타의 "가공된 금속과 금속 세공인, 가공된 돌과 석공"을 빼앗고, 아라타의 모든 "틀이 그의 것이 될 것"이라고 한다. 그 후 그 도시는 녹색 청금석으로 만들어진 성벽과 "사이프러스가 자라는 산에서 파낸 주석석"으로 만든 벽돌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된다.
2. 2. 기타 문헌에서의 언급
- 금, 은, 청금석 등 귀한 재료와 그것을 다루는 장인들이 많은 부유한 곳이다.[1]
- 가기 어렵고 멀리 떨어져 있다.[1]
- 이난나 여신의 고향으로, 이난나는 아라타에서 우루크로 충성을 바꾼다.[1]
- 우루크의 엔메르카르에게 정복당한다.[1]
- '''''아라타와 엔메르카르'''''[2]: 이난나 여신은 아라타에 살지만, 우루크의 엔메르카르가 아라타의 왕보다 그녀를 더 기쁘게 한다. 엔메르카르는 아라타가 우루크에 복종하고, 자원을 보내 사원 건축을 돕기를 원한다. 이난나는 사자를 보내라고 하고, 사자는 여러 산을 넘어 아라타에 도착한다. 아라타는 곡식을 요구하지만, 이난나는 우루크를 돕고, 아라타 왕은 엔메르카르에게 대결을 제안한다. 이슈쿠르 신은 아라타의 작물을 자라게 한다.
- '''''엔메르카르와 엔수흐기르-아나'''''[3]: 아라타의 왕 엔수흐기르-아나는 이난나의 총애를 두고 엔메르카르에게 복종을 요구하지만 거절당한다. 마법사가 우루크를 굴복시키려 하지만 실패하고, 엔수흐기르-아나는 우루크에 복종한다.
- '''''산 동굴 속의 루갈반다'''''[4]: 엔메르카르의 후계자 루갈반다는 아라타와의 전쟁 중 병에 걸려 동굴에 남겨진다. 신들에게 기도하여 회복하고 산에서 탈출한다.
- '''''루갈반다와 안주드 새'''''[5]: 루갈반다는 안주드 새와 친구가 되어 군대를 찾도록 돕는다. 엔메르카르 군대가 어려움에 처하자, 루갈반다는 우루크로 돌아가 이난나 여신에게 도움을 청한다. 이난나는 엔메르카르에게 아라타의 자원을 빼앗으라고 조언한다. 이후 아라타는 청금석 성벽과 주석 벽돌을 가졌다고 묘사된다.
- 술기 찬가(술기 Y):[6] ''"나는 그것을 신성한 아라타의 보물처럼 채웠다."''
- 술기와 닌릴의 갤리선:[7] ''"보물로 가득 찬 아라타"''
- 격언:[8][9][10] ''"권위자들이 현명하고 가난한 자들이 충성스러울 때, 그것은 아라타의 축복의 결과이다."''
- 출처 불명의 격언:[11] ''"권위자들이 현명하고 가난한 자들이 무시될 때, 그것은 아라타의 축복의 결과이다."''
- 헨두르상가 찬가(헨두르상가 A):[12] ''"아라타가 압도당하도록(??), 루갈반다가 당신(헨두르상가)의 명에 따라 곁에 서 있다."''
- 니사바 찬가(니사바 A):[13] ''"아라타에서 그는 (엔키?) E-자긴(라피스 라줄리 사원)을 그녀(니사바)의 처분에 맡겼다."''
- 닌기르수 사원 건축 (구데아 원통):[14] ''"케쉬와 아라타처럼 순수하다"''
- 수엔(난나 I)에 대한 ''티기'':[15] ''"내가 기쁨으로 아라타처럼 세운 내 마음의 신전"''
- 이난나와 이베:[16] ''"접근할 수 없는 산맥 아라타"''
- 길가메시와 후와와 (B 버전):[17] ''"그들은 심지어 아라타로 가는 길도 안다"''
- 사원 찬가:[18] 아라타는 ''"존경받는다"''
- 케쉬 사원 찬가:[19] 아라타는 ''"중요하다"''
- 우르의 비가:[20] 아라타는 ''"중요하다(충고)"''
3. 위치 가설
아라타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뮤엘 크레이머는 이란 북서부와 카스피해 지역을, 게오르기나 헤르만은 카스피해 남쪽 지역을 제시했다. 반면 코헨은 이란 서부의 안샨-하마단 지역을 유력하게 보았다. 아르메니아인들과 다른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우라르투 또는 아라라트의 초기 이름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해당 지역에서 라피스라즐리의 원료인 아라미안 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일부 이란 고고학자들은 최근 발굴된 지로프트 문명을 아라타와 동일시하기도 하지만, 지로프트는 수메르에서 강을 통해 도달할 수 없어 이 주장은 설득력을 얻지 못하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이란 북서부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가설에 동의하고 있다.[23][24]
3. 1. 초기 학설
20세기 초 학자들은 ''아라타''를 수메르 도시 슈루파크의 신 엔릴에 대한 지역 이름과 관련된 별칭으로 처음에는 생각했지만,[21]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아라타는 신화에서만 알려져 있지만,[22] 일부 아시리아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신화의 기준을 사용하여 아라타의 가능한 위치를 추측했다.[23][24]신화에 따르면 아라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육상 여행자는 수사와 산악 지역인 안샨을 통과해야 한다.
- 귀중한 보석과 광물, 특히 현장에서 가공되는 청금석의 원천이거나 접근할 수 있다.
- 우루크까지 수로로 접근할 수 있지만 우루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 기원전 27세기의 수메르 군대가 그곳까지 행군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1963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루갈반다 신화에 나오는 "후룸 산"이 후르족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아라타가 우르미아 호 근처에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5] 그러나 현재 ''산 동굴의 루갈반다''라고 불리는 이야기에서 "후룸 산"은[4] 오늘날 "산 동굴"로 읽히며,[26] 크레이머는 이후 이 이야기에 "방황하는 영웅 루갈반다"라는 제목을 붙였다.[27]
다른 추측들은 초기 보석 무역로인 히말라야 산맥에서 메소포타미아까지 이어지는 "대 호라산 길"을 언급했는데,[28] 이 길은 이란 북부를 통과했다.[29][30][31] 당시에는 아직 위치가 확인되지 않았던 안샨은 자그로스 산맥 중앙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32]
그러나 1973년에 안샨이 탈-이 말리안으로 확인되었을 때,[33][34] 우루크에서 600km 동남쪽에 위치하고, 우루크에서 북쪽으로 가는 경로 또는 수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기원전 27세기의 수메르 군대가 550km에 달하는 엘람 영토를 통과하여 아라타와 전쟁을 벌이는 것은 물류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3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 동부에 대한 추측도 있었다.[36][37] 유세프 마지자데 박사는 지프토 문화가 아라타일 수 있다고 믿는다. 1973년까지 고고학자들은 신화 외에는 아라타의 존재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이 없다는 점에 주목했으며,[22] 1978년 한스만은 과도한 추측을 경고했다.[38]
다른 분야의 작가들은 잠재적인 아라타 위치에 대한 가설을 계속 제시해 왔다. 마하바라타와 다른 텍스트에 언급된 산스크리트어 ''Āraṭṭa'' 또는 ''Arāṭṭa''에서 "가능한 반사"가 제안되었다.[39][40] 또는 그 이름은 지명 아라라트 또는 우라르투와 비교된다.[41]
사뮤엘 크레이머는 아라타를 북서 이란과 카스피해라고 주장하였다. 게오르기나 헤르만은 카스피해의 남쪽이라 주장한 반면 코헨은 서이란의 안샨-하마단을 선호하였다.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아라타는 우라르투 또는 아라라트의 초기 이름이었다고 한다. 그 영역은 아라미안 석(라피스라즐리)이 풍부하다. 이란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새로 발굴된 지로프트 문명이라고 규정하지만 그곳은 수메르에서 강으로 도달될 수 없다.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북서 이란에 아라타의 위치를 상정한다.
3. 2. 주요 가설
사무엘 크레이머는 아라타의 위치를 북서 이란과 카스피해로 추정했다.[25] 게오르기나 헤르만은 카스피해 남쪽을 주장한 반면, 코헨은 서이란의 안샨-하마단을 선호했다.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우라르투 또는 아라라트의 초기 이름이라고 주장하며, 그곳은 라피스라즐리의 원료인 아라미안 석이 풍부하다고 한다. 일부 이란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새로 발굴된 지로프트 문명이라고 주장하지만, 그곳은 수메르에서 강으로 도달할 수 없다.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아라타의 위치를 북서 이란으로 상정한다.[23][24]20세기 초 학자들은 '아라타'를 수메르 도시 슈루파크의 신 엔릴에 대한 별칭으로 여겼으나,[21]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아라타는 신화에서만 알려져 있지만,[22] 일부 아시리아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신화의 기준을 사용하여 아라타의 가능한 위치를 추측했다.[23][24]
신화에 따르면 아라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육상 여행자는 수사와 산악 지역인 안샨을 통과해야 한다.
- 귀중한 보석과 광물, 특히 현장에서 가공되는 청금석의 원천이거나 접근할 수 있다.
- 우루크까지 수로로 접근할 수 있지만 우루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 기원전 27세기의 수메르 군대가 그곳까지 행군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1963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루갈반다 신화(당시 "후룸 산의 루갈반다")에 나오는 "후룸 산"이 후르족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아라타가 우르미아 호 근처에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5] 그러나 현재 ''산 동굴의 루갈반다''라고 불리는 이야기에서 "후룸 산"(''hur-ru-um kur-ra-ka'')[4]은 "산 동굴"로 읽히며,[26] 크레이머는 이후 이 이야기에 "방황하는 영웅 루갈반다"라는 제목을 붙였다.[27]
다른 추측들은 초기 보석 무역로인 대 호라산 길을 언급했는데,[28] 이 길은 히말라야 산맥에서 메소포타미아까지 이어지며 이란 북부를 통과했다.[29][30][31] 당시에는 아직 위치가 확인되지 않았던 안샨은 자그로스 산맥 중앙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32]
그러나 안샨이 1973년에 탈-이 말리안으로 확인되었을 때,[33][34] 우루크에서 600km 동남쪽에 위치하고, 우루크에서 북쪽으로 가는 경로 또는 수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기원전 27세기의 수메르 군대가 550km에 달하는 엘람 영토를 통과하여 아라타와 전쟁을 벌이는 것은 물류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3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 동부에 대한 추측도 있었다.[36][37] 유세프 마지자데 박사는 지프토 문화가 아라타일 수 있다고 믿는다. 1973년까지 고고학자들은 신화 외에는 아라타의 존재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이 없다는 점에 주목했으며,[22] 1978년 한스만은 과도한 추측을 경고했다.[38]
다른 분야의 작가들은 잠재적인 아라타 위치에 대한 가설을 계속 제시해 왔다. 마하바라타와 다른 텍스트에 언급된 산스크리트어 ''Āraṭṭa'' 또는 ''Arāṭṭa''에서 "가능한 반사"가 제안되었다.[39][40] 또는 그 이름은 지명 아라라트 또는 우라르투와 비교된다.[41]
3. 3. 위치 비정에 대한 어려움
아라타의 위치는 여러 곳이 거론된다. 사뮤엘 크레이머는 아라타를 북서 이란과 카스피해로 비정하였으나, 게오르기나 헤르만은 카스피해 남쪽을 주장하였다. 반면 코헨은 서이란의 안샨-하마단을 유력한 후보로 보았다.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우라르투 또는 아라라트의 초기 명칭이라고 주장한다. 이 지역은 라피스라즐리의 원료인 아라미안 석이 풍부하다. 일부 이란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지로프트 문명이라고 주장하지만, 이 곳은 수메르에서 강을 통해 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이란 북서부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한다.[21]20세기 초 학자들은 아라타를 슈루파크의 신 엔릴의 별칭으로 여겼으나, 현재는 이러한 견해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2] 아라타는 신화에서만 알려져 있지만,[22] 일부 아시리아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아라타의 위치를 추정해 왔다.[23][24]
신화에 따르면 아라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육상 여행자는 수사와 산악 지역인 안샨을 통과해야 한다.
- 귀중한 보석과 광물, 특히 청금석의 원산지이거나, 현장에서 가공이 이루어진다.
- 우루크까지 수로로 접근 가능하지만, 우루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 기원전 27세기의 수메르 군대가 행군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1963년,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루갈반다 신화에 나오는 "후룸 산"이 후르족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고, 아라타가 우르미아호 근처에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5] 그러나 현재 '산 동굴의 루갈반다'로 불리는 이야기에서 "후룸 산"은 "산 동굴"로 해석되며,[4][26] 크레이머는 이후 이 이야기에 "방황하는 영웅 루갈반다"라는 제목을 붙였다.[27]
다른 학자들은 히말라야산맥에서 메소포타미아까지 이어지는 초기 보석 무역로인 "대 호라산 길"을 언급하며,[28] 이 길이 이란 북부를 통과했다는 점에 주목한다.[29][30][31] 당시에는 위치가 확인되지 않았던 안샨은 자그로스산맥 중앙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32]
그러나 1973년 안샨이 탈-이 말리안으로 확인되면서,[33][34] 아라타의 위치 비정에 대한 어려움은 가중되었다. 안샨은 우루크에서 600km 동남쪽에 위치하여 우루크에서 북쪽으로 가는 경로나 수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기원전 27세기의 수메르 군대가 550km에 달하는 엘람 영토를 통과하여 아라타와 전쟁을 벌이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기 때문이다.[3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 동부에 대한 추측도 있었다.[36][37] 유세프 마지자데 박사는 지프토 문화가 아라타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1973년까지 고고학자들은 신화 외에 아라타의 존재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가 없다는 점에 주목했으며,[22] 1978년 한스만은 지나친 추측을 경계했다.[38]
다른 분야의 작가들은 마하바라타 등 다른 문헌에 언급된 산스크리트어 ''Āraṭṭa'' 또는 ''Arāṭṭa''에서 아라타의 위치에 대한 단서를 찾으려 하거나,[39][40] 아라라트 또는 우라르투와 비교하기도 한다.[41]
4. 아라타와 관련된 논쟁: 지로프트 문명
사무엘 크레이머는 아라타의 위치를 이란 북서부와 카스피해로 비정했다. 게오르기나 헤르만은 카스피해 남쪽을 주장한 반면, 코헨은 서이란의 안샨-하마단을 선호하였다. 아르메니아인과 다른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우라르투 또는 아라라트의 초기 이름이었다고 주장한다. 이 지역은 라피스라즐리인 아라미안 석이 풍부하다. 일부 이란 고고학자들은 최근 발굴된 지로프트 문명이 아라타라고 주장하지만, 그곳은 수메르에서 강으로는 도달할 수 없다. 대부분의 고고학자들은 아라타가 이란 북서부에 위치한다고 본다.
2001년 홍수로 그 존재가 드러난 지로프트 출토품[43]이 아라타 문명과 관련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44][45]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3]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4]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5]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6]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7]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8]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9]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0]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1]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2]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3]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4]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5]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6]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7]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8]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19]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20]
웹사이트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2018-12-30
[21]
웹인용
Early Babylonia and its Cities
http://www.third-mil[...]
2010-12-19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웹사이트
Lugalbanda in the Mountain Cave
http://etcsl.orinst.[...]
[27]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und Vorderasiatischen Archäologie
https://books.google[...]
[28]
서적
https://books.google[...]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https://books.google[...]
[34]
간행물
The Location of Anšan
[35]
서적
[36]
서적
Shahr-e Sukhteh
1972, 1978
[37]
논문
Shahdad, Jiroft
[38]
논문
[39]
웹사이트
Aryan and non-Aryan Names in Vedic India
http://www.people.fa[...]
1999
[40]
간행물
Autochthonous Aryans? The Evidence from Old Indian and Iranian Texts
http://www.people.fa[...]
EJVS
2001
[41]
서적
Legend: The Genesis of Civilisation
Century Publishing
1998
[42]
문서
[43]
웹사이트
洪水で4000年の眠りから目覚めたジーロフト文化、イラン
https://natgeo.nikke[...]
2022-05-06
[44]
웹사이트
JIROFT, THE LIVING LEGEND OF ARATTA
https://www.terranoa[...]
2022-05-06
[45]
웹사이트
洪水で発見、イランの未知の文化 歴史書き換える?
https://style.nikkei[...]
2022-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