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트로플레우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석탄기와 페름기에 번성했던 멸종된 다지류의 일종으로, 넓은 등판과 3개의 엽을 가진 특징적인 외형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평평한 원반 모양이며, 촉각, 큰턱, 작은턱 등의 구조를 갖는다. 몸통은 여러 개의 등판으로 덮여 있으며, 다리와 복면 구조는 호흡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주로 육상에서 생활하며, 초식 또는 부식성 식성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거대한 크기는 당시 높은 산소 농도와 경쟁자의 부재에 기인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페름기 초기에 멸종했다. 화석은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며, 주로 등판과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다. 아르트로플레우라류에는 아르트로플레우라, 에오아르트로플레우라, 미크로디켐플렉스 3속이 속하며, 이들은 등판의 형태 등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름기의 동물 - 스쿠토사우루스
스쿠토사우루스는 후기 페름기에 살았던 "방패 도마뱀"이라는 뜻의 파레이아사우루스과 속으로, 몸 전체가 골판으로 덮여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몸길이 2.5~3m의 비교적 큰 파레이아사우루스류이며, 러시아 북드비나강 유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고 얕은 수역과 건조 지대가 반복되는 환경에서 서식했을 것으로 보인다. - 페름기의 동물 - 바나롭스
바라놉스는 1911년 텍사스에서 발견된 멸종된 대형 양막류 속으로, 날카로운 이빨과 큰 사지를 가진 약 1.2미터 길이의 페름기 육상 포식자이며, 바라노돈 및 와통기아와 근연 관계이고 바라노돈티나이의 기원이다. - 석탄기의 동물 - 메가네우라
메가네우라는 석탄기 후기에 서식했으며 날개 길이가 70cm가 넘는 거대한 잠자리류 곤충 속으로, 높은 산소 농도와 포식자 부재 등으로 인해 큰 크기를 가졌고 다른 곤충이나 양서류를 잡아먹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석탄기의 동물 - 공추아강
공추아강은 단순한 형태의 척추뼈를 가지며 육상, 반수생, 수생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했고, 세룡류 등 다양한 그룹으로 분류되며 현생 양서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아르트로플레우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Arthropleura |
학명 명명자 | Meyer, 1854 |
어원 | el (관절이 있는 갈비뼈) |
화석 범위 | 초기 비제안절-삭마리아절,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다지아문 |
강 | 야스데강 |
아강 | †아르트로플레우라아강 |
목 | †아르트로플레우라목 |
과 | †아르트로플레우라과 |
하위 분류 | |
이명 | |
특징 | |
크기 | 최대 |
2. 형태적 특징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삼엽충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는 3개의 엽을 가진 일련의 잘 발달한 배판(tergite)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배판은 표면이 수 많은 결절이나 혹으로 덮여 있다. [147][148]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머리는 평평한 원반 모양이며, 좌우의 움푹 들어간 곳에서 짧은 눈자루가 달린 측면 눈이 튀어나와 있다. 복면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은 좌우 2장의 외골격(ventral sclerite), 좌우에는 촉각(antenna), 중앙에는 큰턱(mandible), 제1 작은턱(first maxilla)과 제2 작은턱(second maxilla)이 나란히 있다. 촉각은 짧고 다른 다지류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7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1 마디가 특히 길고, 제7 마디 끝에 감각기(apical cone, 학설에 따라서는 제8 마디로 여겨지는 부분)가 보이지 않는다. 큰턱은 다른 다지류와 마찬가지로 기부(mandible base)와 턱 부분(gnathal lobe)이 분절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눈에 띄지 않고 머리 안에 수납된다. 작은턱은 다른 다지류(제1 작은턱이 턱입술 gnathochilarium에 유합되어 제2 작은턱이 퇴화 소실)와 달리, 오히려 지네와 비슷하다. 제1 작은턱은 기흉판(coxosternite, 기절 coxa와 복판 sternite의 복합체)과 잎 모양의 2마디, 제2 작은턱은 다소 가늘고 긴 여러 마디(아마 3마디, 기흉판 불명)로 이루어져 있다[30]。
머리 바로 뒤에 있는 띠 모양의 목판(collum, 다지류의 머리 바로 뒤에 특화된 몸통 첫 번째 등판)은 바로 뒤의 등판보다 작고, 튀어나온 부분이 없다[30]。 다른 아르트로플레우라과의 미크로디켐플렉스에서 발견된 바에 따르면, 머리에는 실 모양이 아닌 형태의 더듬이와 트럼펫 비슷한 기관이 있었을 것이다.[149]
아르트로플레우라는 몸통은 여러 개의 넓은 등판으로 덮여 있으며[28], 이 등판은 세로 홈을 통해 3개의 부분으로 나뉜다.[124][64][24][40][27][28] 삼엽배판의 수는 28개에서 32개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144] 다리와 배판 사이의 정렬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적어도 어느 정도는 현생의 노래기처럼 배판 하나에 다리가 두 쌍 씩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49][148] 중앙의 복판을 따라 각 다리 쌍 주변으로 배판(K-판, B-판, 로제트판)이 위치해 있고, B-, K-판은 기문으로 여겨진다.[147][148][150]
몸체는 사다리꼴의 꼬리마디로 끝이 난다.[148]
2. 1. 머리와 목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머리는 납작한 원반 모양이며, 옆면에 겹눈과 홑눈이 돌출되어 있다.[30] 머리 앞쪽 가장자리에는 좌우 2장의 외골격, 좌우에는 촉각(antenna), 중앙에는 큰턱(mandible), 그리고 제1, 제2 작은턱(first maxilla)이 나란히 있다.[30] 촉각은 짧고 7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마디가 특히 길다.[30] 큰턱은 기부와 턱 부분으로 분절되지만 머리 안에 수납된다.[30] 작은턱은 지네와 유사하게 제1 작은턱은 기흉판과 2마디, 제2 작은턱은 3마디로 이루어져 있다.[30]머리 바로 뒤에는 띠 모양의 목판(collum)이 있으며, 바로 뒤 등판보다 작고 돌출부가 없다.[30] 과거에는 머리로 해석되던 구조가 목판으로 재해석되면서,[50][124][64][24][34][40][27][41][26] 머리 해부학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 2. 몸통과 등판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몸통은 여러 개의 넓은 등판으로 덮여 있으며[28], 이 등판은 세로 홈을 통해 3개의 부분으로 나뉜다.[124][64][24][40][27][28] 중앙 부분(축부[33])은 가로로 긴 직사각형이고, 좌우로 돌출된 부분(늑부[33])은 뒤쪽으로 굽어 뾰족하다.[22][124] 등판 앞쪽 약 3분의 1은 혹이 적고 평상시에는 바로 앞 등판에 덮여 있으며(prozonite)[45], 나머지 뒤쪽 3분의 2는 노출되어 크고 작은 혹이 밀생한다(metazonite).[28][30]등판 수는 28개에서 32개 정도로 추정되지만,[39][24][40][41][28] 유체의 경우 20개 정도로 더 적을 수 있다.[30] 등판의 표면에는 수많은 결절이나 혹이 덮여 있다.[147]
2. 3. 꼬리마디 (미절)
몸통 마지막 등판 뒤쪽 중앙에는 1개의 미절(telson)이 있지만, 두부·경판과 마찬가지로 발견 사례가 적어 90년대까지는 그 상세가 불분명했다.[31] 화석 표본 MTB 1225와 일부 소형 전신 표본으로부터 미절이 알려져 있으며[30], 전자에 따르면,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미절은 눈에 띄지 않는 사다리꼴이며, 표면은 등판처럼 혹이 돋아 있다.[124][24] 털보등에에 유연하다는 계통 가설(후술 참조)을 근거로, 미절은 더 길고 삼각형이 아닐까 하는 추정도 있다.[64]2. 4. 다리와 복면 구조
다리 (부절강)는 튼튼한 원뿔 모양이며 등판의 늑부에 덮여 있고, 양쪽 복측에서 약간 뒤쪽을 향해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45] 능동적인 8개의 마디[42][45][26]로 나뉘며, 각 마디 복면에는 한 쌍의 가동 가시[43][35], 마지막 마디 끝에는 1개의 발톱이 있다.[45][35] 다리는 앞쪽이 뒤쪽보다 표면이 매끄럽다.[45]
다리 뿌리 주변에는 B-판, K-판, 표문판(rosette-plate)이라 불리는 판상 구조물이 비늘처럼 전후로 겹쳐져 있다.[45][43][124][35][26] B-판은 부푼[43] 긴 삼각형으로, 다리의 뿌리, K-판, 표문판에 연결되어 있다.[45] K-판은 폭이 넓은 타원형으로, 앞쪽 가장자리가 B-판의 뒤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으며, 안쪽 가장자리는 복판을 덮고, 뒷면은 주머니처럼 내벽이 있다.[124][41] K-판과 복판에는 스펀지 같은 입자 구조가 표면에 밀생하고 있다.[35] 표문판은 B-판의 앞쪽 가장자리와 다리 뿌리 앞쪽 위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표면의 홈이 Y자형으로 분기되어 5-6개의 작은 판으로 세분된 것처럼 보인다.[45][40] 이러한 홈은 다리 근육의 부착면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45][124]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다리 주변에는 기문(기관계의 개구)과 같은 구조가 보이지 않는다.[45][39][124][64][24][40][41] 표문판은 일시적으로 기문으로 생각되었지만[120], 오해로 부정되었고, B-판 혹은 K-판이 호흡기로 해석된다.[45][46][43][124][35][41]
몇몇 복면 화석 표본에는 분리된 타원형 구조가 보존되어 있으며, 이는 각 등판의 늑부 복면을 덮는 측판(pleurite)일 수 있다.[124]
3. 생태
대부분의 ''아르트로플레우라'' 화석은 허물 (탈피한 껍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며, 시체는 아니다.[17]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전형적으로 석탄 늪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재구성되었는데, 이는 화석이 조밀한 식물 잔해와 석탄맥과 함께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더 이상 엄격하게 지지받지 않는다. 많은 ''아르트로플레우라'' 화석은 이러한 석탄 숲이 우세하기 전 또는 후에 발견되며, 직접적인 지질학적 및 고생물학적 증거는 주요 서식지가 훨씬 더 개방적이었음을 시사한다. ''아르트로플레우라''는 개방된 환경, 특히 해안선과 범람원과 같이 물 근처의 드문드문 숲이 우거진 환경을 선호했다.[20] ''아르트로플레우라''는 또한 사족류의 발자국과 함께 발견되어 동일한 환경에서 살았음을 시사한다. 거대한 발자국 외에도, 거대한 굴이 ''아르트로플레우라''와 아르트로플레우리드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하계 휴면과 유사한 기간 동안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20] ''아르트로플레우라'' 유해(신체 화석 및 발자국)는 또한 고적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문서화된 모든 화석은 석탄기와 페름기 동안 고적도의 양쪽 10° 이내에서 발생한다.[10]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어느 정도 양서류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수년 동안 지지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이디어는 새로운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해안선과 연관되어 종종 발견되는 발자국은 물에 잠긴 기질과 물 밖으로 드러난 기질 모두에서 발견되어 ''아르트로플레우라''가 공중과 얕은 물에서 걸을 수 있었으며 그에 따라 그렇게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10] 이에 대한 추가 증거는 유생 몽소 화석에서 나오는데, 이는 눈이 현존하는 어떤 다지류와도 다르게 크고 줄기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는 멸종된 줄기 다지류 그룹인 euthycarcinoidea (''아르트로플레우라''가 때때로 함께 발견됨)에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수생 또는 양서류였다. 저자들은 이것이 얕은 수역을 드나들 수 있는 반수생, 양서류 생활 방식을 가리킬 수 있다고 제안한다.[12] 그들의 큰 크기 때문에, 탈피 (작은 절지동물에게도 스트레스가 많은 기간)는 아마도 물속에서 발생하여 새로운 외골격이 굳어지는 동안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했을 것이라고 제안되었다.[15] 윌슨은 ''아르트로플레우라''가 물속에서 호흡할 수 있는 뚜렷한 메커니즘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더 육상적인 습성을 선호했다. 그녀는 탈피하는 동안 ''아르트로플레우라''가 현대의 ''Scolopendra'' 지네처럼 부드러워진 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벌레처럼 움직였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녀는 탈피가 건설된 굴 안에서 이루어졌을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롤프(1985)의 이론, 즉 탈피가 자연적으로 높은 습도를 가지고 있어서 동물이 빠르게 건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던 속이 빈 석송류 나무 줄기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이론에 열려 있었다.[13]
''아르트로플레우라''의 식단 또한 격렬하게 논쟁되어 왔다. 워터로트는 그것이 육식동물이라고 제안했지만, "''A. moyseyi''"의 모식 표본은 원래 장 내용물, 즉 나무 식물 재료의 혼합물을 보존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그것이 초식동물임을 시사했다.[5] 이러한 화석을 장 내용물로 해석하는 것은 더 이상 지지받지 않는다. 현재, ''아르트로플레우라''는 대부분의 현존하는 지네와 마찬가지로 부식자로 여겨진다. 이것은 죽어가는 식물 물질이나 가능한 경우 동물 잔해를 먹는 것을 의미한다. 짧고 밀집된 다리와 이크노화석 발자국의 형태학적 증거는 둘 다 ''아르트로플레우라''가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동물이었음을 시사하며, 독을 뿜는 발톱이나 다른 포식 적응의 부재는 기본적으로 포식 생활 방식을 배제한다.[12]
''아르트로플레우라''의 거대한 크기는 석탄기 동안 더 높은 산소 수치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았다.[21] 그러나 이것은 화석 기록이나 절지동물의 크기 범위에 대한 현대적 이해와 일치하지 않는다.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석탄기 동안 산소 농도가 증가하기 전에 거대한 크기에 도달하며, 가장 큰 알려진 신체 화석은 산소 수치가 현대보다 약 23% 더 높았던 간격에서 발견되었다. 더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르트로플레우라''가 다른 일반적으로 유리한 환경 및 생태 조건과 심각한 경쟁의 부재로 인해 거대화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르트로플레우라''는 페름기 초기에 멸종되었으며, 아마도 판게아 초대륙의 적도 지역의 사막화와 페름기 사족류와의 경쟁 때문이었을 것이다.[10]
아르트로플레우라의 생리학과 생태에 대한 해석은 외골격의 강도와 서식 환경 추정에 따라 견해가 달라진다[124][35][28]。여러 견해 중 튼튼한 외골격을 가진 평탄하고 식물 밀도가 낮은 환경에 서식하는 육상 동물이라는 설이 2010년대 이후의 문헌 기재에 의해 인정받고 있다[35][28]。호흡은 다리 사이의 복면 외골격에서 이루어지며, 식성은 초식으로 추정된다[41]。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일반적으로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5][124][64][41][54]。하지만, 확정적인 구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고, 과거 고사리의 포자와 석송류를 포함하는 분석 (분뇨의 화석)이나 창자 내용물로 해석된 표본도, 후에 운반 작용으로 탈피 껍질에 혼입된 것으로 재검토되어[64], 정확한 식성은 아직 단언하기 어렵다[35]。
3. 1. 호흡
현생 다지류와 유사한 기관계는 보이지 않지만, 각 다리 사이에 있는 몸의 복면에 접힌 주머니 모양의 K-plate는 내벽에 스펀지 같은 입자 구조가 밀생해 있어,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이것을 통해 피부 호흡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124][64][41] 아르트로플레우라와 같은 거대한 절지동물이 이처럼 단조로운 방법으로 호흡하는 것은 비효율적이지만, 당시 석탄기에는 산소 농도가 약 35% 정도로 현대보다 높았다고 추측되며, 그 당시의 절지동물은 현생의 것보다 산소를 몸에 더 쉽게 흡수했을 것으로 여겨진다.[41] 앞서 언급한 입자 구조는 외벽 유래로 K-plate에 특유의 구조도 아니며 (배판에서도 보인다), 오히려 기포처럼 부풀어 오른 B-plate가 현생 지네의 기절낭(coxal organ)과 비슷한 호흡기일 가능성이 있다는 설도 있다.[43][35]4. 분류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아르트로플레우라류'''(arthropleurids[47], arthropleurideans[50], 학명: ''''''[109])라는 노래기의 멸종된 분류군(아강)에 속하는 한 속이다.[50][124][40][27] 아르트로플레우라류에는, 본 속, 에오아르트로플레우라([47]), 및 미크로디켄플렉스([50])의 총 3속이 알려져 있으며, 각각 고유한 목과 과로 분류된다.[110][27] 본 속, 및 그것만을 포함한 아르트로플레우라목(고대대형노래기목[23] [109])과 아르트로플레우라과(고대대형노래기과[23] [111])는 세 개의 잎 모양의 등판에 두 개의 융기선과 크고 작은 혹을 가지고 있어 다른 두 속과 구별된다.[47][50] 아르트로플레우라류 중에서 적어도 아르트로플레우라와 에오아르트로플레우라의 유연 관계는 널리 인정된다.[50][124][25]
아르트로플레우라류와 다른 노래기의 유연 관계에 대해서는, 2000년대부터 2010년대에 걸쳐 주로 입술벌레류(입술벌레아강 , 털노래기를 제외한 노래기)의 기저인 그룹[50], 또는 아르트로플레우라류가 측계통군이며, 미크로디켄플렉스가 입술벌레류에, 아르트로플레우라와 에오아르트로플레우라가 털노래기에 근연(모두 촉각류/털노래기아강 에 포함됨)[124]이라는 두 가지 설이 자주 언급된다.[25][27] 기저 입술벌레류 설은 아르트로플레우라류의 단일 계통성과 미크로디켄플렉스의 입술벌레류적 성질(위입술 중앙의 돌기・몸통 후방의 성적 이형성 부속지)을 토대로 제창된다.[50] (기존/광의의) 아르트로플레우라류 측계통군 설은 미크로디켄플렉스의 전술한 입술벌레류적 성질을 인정하면서, 아르트로플레우라와 털노래기의 몇몇 유사점(세 잎 모양의 등판・부드러운 외골격・불규칙한 등판과 다리의 대응 관계・다리 기부 전상방의 Y자형 외골격・여러 쌍의 판으로 분화된 복면의 외골격)을 토대로 제창된다.[124] 이에 의해, 미크로디켄플렉스는 (좁은 의미의) 아르트로플레우라류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여겨지기도 한다.[112][124] 단 털노래기와의 유사성에 대해서는 몇몇 성질(예: 등판과 다리/복판의 대응 관계)이 불확실하며, 후에 오해로 해석되는 것(외골격의 강도 등, 전술 참조)도 있기 때문에 신빙성이 약하다고 평가된다.[35]
새롭게 밝혀진 머리와 다리의 특징에 기반한 Lhéritier et al. 2024의 계통 분석에 따르면,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입술벌레류와 촉각류보다 일찍 분기된 기저(줄기군) 노래기일 가능성이 높으며, 본 속의 지네적인 성질은 노래기와 지네의 공통 조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Pectinopoda (지네와 노래기만으로 구성된 단일 계통군)의 조상형질임을 시사한다. 또한, 본 군의 눈자루는 현생 다족류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오히려 기저 다족류인 유시카르시노이드류 ()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다족류의 조상형질을 반영할 가능성도 시사한다. 한편, 에오아르트로플레우라를 포함하여 분석하면 아르트로플레우라가 이와 함께 기저 Pectinopoda로 여겨지지만, 이는 에오아르트로플레우라의 불완전성이 초래하는 바이어스로 생각된다.[30]
{{multiple image
| align =
| width =
| direction = vertical
| footer = 원 기록(Jordan & von Meyer 1854)에서 아르트로플레우라의 화석표본 해석도. 당시에는 등판만 알려져 삼엽충과 근연의 갑각류로 생각되었다.[27][22]
| image1 = 1854 Palaeontographica 04 T02 F4.jpg
| image2 = 1854 Palaeontographica 04 T02 F5.jpg
}}
1990년대 이전에는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아르트로플레우라류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속이었으며, 기재 당시부터 20세기 중기에 걸쳐 불완전한 발견으로 인해 다양한 절지동물(갑각류[22][113][114], 삼엽충의 근연[115][22][109][116], 다지류[130][117][118])로 해석되었지만,[23] 20세기 후기에는 연구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다지류의 절지동물로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45][119][120][121][48] 그러나 당시 아르트로플레우라류는 다지류에서의 계통 위치가 불확실하여, 지네류와 근연인 지네[120], 에다히게무시의 멸종군[122], 목 (상목 )과 근연인 노래기[23], 혹은 다지류의 현존하는 어떠한 강(지네, 노래기, 소악지네, 에다히게무시)에도 속하지 않고, 다지아문에서의 독자적인 강(아르트로플레우라강)으로 취급되었다.[45][123][47][48] 21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노래기적 성질(노래기적인 구기, 경판, 등판마다 2쌍의 다리)이 밝혀지면서 아르트로플레우라류는 노래기의 한 무리(아르트로플레우라아강[50])로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50][124][24][25][125][27][26][28]
4. 1. 하위 분류
2021년 현재 아르트로플레우라(아르트로플레우라속/고다이오야스데속)에는 5종이 인정되며, 주로 등판의 결절 형태로 구별된다.[28] 와 는 발견 사례가 많으며, 특히 대형 개체 유래의 화석표본은 대부분 로 동정된다.[28] 한때 독립 종으로 기재되었지만, 후에 의 시노님으로 재검토된 것도 많다.[28] 다른 3종 (, , )은 보고 사례가 적다.[28]
Goldenberg 1873[127] 는 3종의 아르트로플레우라를 기재했지만, 모두 후에 무효명으로 처리되었고, 는 의 시노님, 는 A. punctata/Fayolia}}속의 상어의 알 화석, {{Snameila는 정체불명의 바다전갈의 오동정으로 재검토되었다.[24]
5. 거대화와 멸종
석탄기에 아르트로플레우라나 메가네우라와 같은 거대한 절지동물이 나타난 원인으로, 당시 대기 중의 산소 농도가 약 35%로 높았기 때문이라는 설[132][133][134]과, 이들을 포식하는 동물이 적었기 때문이라는 설[135][136][137] 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알려진 아르트로플레우라와 다른 거대 절지동물(고생대 잠자리류[138], 바다전갈류[55])의 가장 오래된 화석표본은 산소 농도 상승 이전의 지질 시대 유래이며, 산소 농도는 약 23%로 현세보다 약간 높았던 서프코비안기[139]에서도 아르트로플레우라의 거대 화석 표본이 나중에 발견되어, 거대화는 산소 농도에 그다지 좌우되지 않는다는 것이 시사된다[35][28]。이로 인해, 아르트로플레우라의 거대화는 오히려 경쟁자와 포식자가 적은 동시에 영양가 높은 먹이가 많았던 환경에 크게 기인한다고 생각된다[35][28]。
페름기 전기 직후(약 2억 9,000만 년 전)에는, 다른 육상 식물이 번성하는 데 반해 아르트로플레우라의 화석 기록이 끊겨(가장 늦은 기록은 약 2억 9,010만 년 전까지[88][69][35]), 그곳에서 멸종했다고 생각된다[28]。과거에는 아르트로플레우라의 생태가 석탄기 숲에 의존한다고 해석되었기 때문에, 멸종의 원인은 기후 변화와 함께 석탄기와 같은 숲 환경이 사라지면서(석탄기 열대 우림 붕괴, Carboniferous rainforest collapse), 식량이 될 식물이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여겨졌다[140]。하지만 아르트로플레우라의 화석 기록은 이 붕괴 사건과 함께 격감하지 않았고[58][59][60][61][62][63], 생태도 후에 석탄기 숲에 의존하지 않고, 평탄하고 식물 밀도가 낮은 환경에 서식했다는 설이 유력시되면서(전술 참조), 석탄기 숲의 붕괴가 아니라 오히려 파충류의 번성이 가져온 경쟁자의 증가와 적도의 건조화가 멸종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재검토되었다[35][28]。
6. 화석과 분포
아르트로플레우라의 알려진 화석 표본은 대부분이 단편적인 등판과 다리뿐이며, 전신은 물론, 부분적으로 정돈된 것조차 매우 희소하다.[28] 외골격 화석이 그 거대함에 비해 이상하게 얇고(그것에 덮인 식물 화석의 인상조차 비쳐 보일 정도)[124], 확정적인 내부 기관의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한때 장과 그 내용물로 생각되었던 흔적[45]이 나중에 오인으로 밝혀졌고[35][41], 전술 참조)는 점을 고려할 때, 모든 아르트로플레우라 화석 표본은 유해가 아니라, 탈피 후에 남겨진 허물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64][35][27]。로 분류되는 생흔 화석 중에는, 아르트로플레우라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발자국 화석 [90]가 많이 알려져 있다.[35][28]。초기 연구에서는 발굴이 석탄 삼림에서 유래된 퇴적지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57], 석탄 삼림의 식물 화석과 함께 보존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되었지만[39][124], 발자국 화석은 오히려 대부분이 식물의 밀도가 낮은 지형에서 유래되었고, 그러한 열린 땅에서 유래된 신체 화석도 나중에 몇몇 발견되었다.[35][28]。
확실한 기록[69][35]에 따르면, 아르트로플레우라는 석탄기 전기(비제기 시대, 약 3억 3,500만 년 전)[35]부터 페름기 전기(사크마르기 시대, 약 2억 9,010만 년 전)[88]까지 생존했으며, 석탄기 후기(펜실베이니아기: 바시키르기 - 모스크바기)에서 발견된 사례가 특히 많다[28] .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많은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2021년 현재 약 60개 지역에서 화석표본이 알려져 있다.[28] .
지질 시대 | 퇴적층 | 지리 위치 | 보존 상태 | 출처, 주석 |
---|---|---|---|---|
석탄기세르푸호프기 | 스테인모어 지층 | 영국, 노섬벌랜드, Howick | 대형, 부분적 | 최대 기록[28] |
석탄기모스크바기 | 술츠바흐 지층 | 독일, 자르란트, Maybach Mine | 대형, 부분적 | [65][66][124][64] |
석탄기고젤기 - 페름기아세르기 | 뢴 지층 | 독일, 작센, Döhlen Basin | 대형, 부분적 | [43][35] |
석탄기 고젤기 - 페름기 아세르기 | 몽소-레-민느 라게르스타텐 | 프랑스, 부르고뉴, Montceau-les-Mines | 소형, 완전 | [67][70][68] |
석탄기바시키르기 | 페닌 중부 석탄층 | 영국, 더비셔, Shipley | 소형, 부분적 | [51][66] |
석탄기비제기 | 베르텔스도르프 지층 | 독일, 작센, Hainichen Basin | 파편 | [71][35] |
석탄기세르푸호프기 | 하부 실레시아 분지 | 폴란드, Przygorze – KWK Boleslaw | 파편 | [72] |
석탄기 세르푸호프기 | Lower Silesian Basin | 체코, Chlebovice – Důl Staříč | 파편 | [72] |
석탄기펜실베이니아기 | 카라간다 분지 | 카자흐스탄, 카라간다 | 파편 | [73][74] |
석탄기 바시키르기 | 샤를루아 지층 | 벨기에, 에노, Mariemont mine | 파편 | [130] |
석탄기 바시키르기 | 그랑 안스 지층 | 캐나다, 뉴브런즈윅, 마링강 | 파편 | [75][28] |
석탄기 바시키르기 | 조긴스 지층 | 캐나다, 노바스코샤, 조긴스 | 파편 | [76]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랭커스터 지층 | 캐나다, 뉴브런즈윅, 세인트존 | 파편 | [77]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모스핀카 지층 | 우크라이나, 돈바스, Makedonovka | 파편 | [74]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노르-파드칼레 탄광 분지 | 프랑스, 오 드 프랑스, 앙쟁 | 파편 | [130] |
석탄기 바시키르기 | 페닌 하부 석탄층 | 영국, 랭커셔, 비커쇼 | 파편 | [78] |
석탄기 바시키르기 | Pennine Lower Coal Measures Formation | 영국, 요크셔, 번즐리 | 파편 | [79] |
석탄기 바시키르기 | Pennine Middle Coal Measures Formation | 영국, 워릭셔, 벅스터리 | 파편 | [80][130] |
석탄기 바시키르기 | 상부 실레시아 분지 | 폴란드, Czerwionka - Ameryka | 파편 | [72] |
석탄기 바시키르기 | 자클레르 지층 | 폴란드, 돌노실롱스크주, 노바 루다 | 파편 | [36][72]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모스크바기 | 엠마 광산 | 네덜란드, 림뷔르흐, 브륌섬 | 파편 | [130] |
석탄기 모스크바기 | 프랜시스 크릭 셰일 | 미국, 일리노이, 메이존 크릭 | 파편 | [128][81] |
석탄기 모스크바기 | 그로브센드 지층 | 영국, 서머싯, Camerton & Writhlington | 파편 | [82][79][49] |
석탄기 모스크바기 | 하일리겐발트 지층 | 독일, 자르란트, 프리드리히스탈 | 파편 | [22] |
석탄기 모스크바기 | 키타닝 지층 | 미국, 펜실베이니아, 캐널턴 | 파편 | [81] |
석탄기 모스크바기 | 로렌 분지 | 프랑스, 그랑테스트, 생타볼 | 파편 | [109] |
석탄기 모스크바기 | Pennine Middle Coal Measures Formation | 영국, 랭커셔, 솔퍼드 | 파편 | [131][130][66] |
석탄기 모스크바기 | 플젠 분지 | 체코, Zbůch - Důl Austria | 파편 | [72]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루다 베드 | 폴란드, 돌노실롱스크주, 흐바워비체 | 파편 | [79] |
석탄기 모스크바기 | 자르브뤼켄 소그룹 | 독일, 자르란트, 자르브뤼켄 | 파편 | [79] |
석탄기 모스크바기 | 산 조르지오 지층 | 이탈리아, 사르데냐, Rio San Giorgio | 파편 | [37] |
석탄기 모스크바기 | 스코틀랜드 상부 석탄층 | 영국, 파이프, 리번 | 파편 | [79] |
석탄기카시모프기 | 코네모 지층 | 미국, 오하이오, 콜럼비아나 | 파편 | [81] |
석탄기 카시모프기 | 카테르지나 탄광 | 체코, 오스트라바, 라드바니체 | 파편 | [83] |
석탄기 카시모프기 | 산 호세 지층 | 스페인, 레온, 시니에라 | 파편 | [84] |
석탄기 고젤기 | 라 마그달레나 탄전 | 스페인, 레온, 칼로세라 | 파편 | [84] |
석탄기 고젤기 | 스테파니안 지층 |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St. Etienne | 파편 | [129][109] |
석탄기 고젤기 | Stephanian strata |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코망트리 | 파편 | [129] |
석탄기 고젤기 | 톨레도 산맥 | 스페인, 시우다드 레알, 푸에르토야노 | 파편 | [84] |
페름기 아세르기 | 마네바흐 지층 | 독일, 튀링겐, 마네바흐 | 파편 | [85] |
페름기 아세르기 | 오토니안 지층 | 프랑스, 부르고뉴, 오텡 | 파편 | [86][87] |
페름기사크마르기 | 로이커스도르프 지층 | 독일, 작센, 켐니츠 | 파편 | 최후 기록[88][28] |
석탄기 비제기 | 앤스트러더 및 피튼위엄 지층 | 영국, 파이프, 크레일 - 세인트앤드루스 | 발자국, 복수 | 최초 기록[89] |
석탄기 세르푸호프기 | 석회암 석탄층 | 영국, 아란 섬 | 발자국, 단일 | [90] |
석탄기 세르푸호프기 | Limestone Coal Formation | 영국, 글래스고 | 발자국, 단일 | [91][28] |
석탄기 펜실베이니아기 | 제즈카즈간 군 | 카자흐스탄, 제즈카즈간 | 발자국, 단일 | [92][74]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보스 포인트 지층 | 캐나다, 뉴브런즈윅, 알마 | 발자국, 단일 | [93] |
석탄기 바시키르기 | Little River and Joggins formations | 캐나다, 노바스코샤, 조긴스 | 발자국, 복수 | [94][95][76] |
석탄기 바시키르기 | 모스핀카 지층 | 우크라이나, 돈바스, Makedonovka | 발자국, 복수 | [74] |
석탄기 바시키르기 | 타이넘스 크릭 지층 | 캐나다, 뉴브런즈윅, Gardner Creek | 발자국, 복수 | [96][97] |
석탄기 모스크바기 | 말라가시 지층 | 캐나다, 노바스코샤, 퍼그워시 - 스미스 포인트 | 발자국, 복수 | [98][99] |
석탄기 모스크바기 | 로드아일랜드 지층 | 미국, 매사추세츠, 플레인빌 | 발자국, 복수 | [100] |
석탄기 카시모프기 | 커틀러 군 | 미국, 뉴멕시코, El Cobre Canyon | 발자국, 단일 | [101][35] |
석탄기 고젤기 | 케이프 존 지층 | 캐나다, 노바스코샤, 케이프 존 | 발자국, 복수 | [98][102] |
석탄기 고젤기 | 코네모 지층 | 미국, 켄터키, 보이드 | 발자국, 복수 | [103] |
석탄기 고젤기 | Eiche Member (플레히팅겐 지층) | 독일, Flechtingen Volcanic Complex | 발자국, 복수 | [104][136] |
석탄기 고젤기 | 그레세사크 지층 | 프랑스, 에로, 그레세사크 | 발자국, 복수 | [87] |
석탄기 고젤기 - 페름기 아세르기 | 몽소 지층 | 프랑스, 부르고뉴, 몽소-레-민느 | 발자국, 복수 | [105][106] |
석탄기 고젤기 | Stull Shale Member (칸와카 지층) | 미국, 캔자스, 웨이브리 | 발자국, 복수 | [107] |
페름기 아세르기 | 할가이토 지층 | 미국, 유타, 라임 리지 | 발자국, 단일 | [108] |
6. 1. 잘 보존된 화석 표본
독일에서 발견되어 "마이바흐 표본"은 여러 문헌에 기재된 아르트로플레우라 복원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다.[45][66][28] 이 표본은 전면부와 후면부가 없지만, 길이가 80cm (몸의 전후 축을 따라 측정하면 90cm[28]), 너비 22cm로 거대하며[65], 23개의 등판이 보존되어 있고, 다리 등의 복면 구조도 부분적으로 확인된다.[24]잉글랜드에서 발견된 6.5cm의 유생 화석은, Arthropleura moseyi영어로 기술되었지만[51], 후에 Arthropleura armata영어의 시노님으로 재검토되었다.[126] 이 화석은 아르트로플레우라 속에서 거의 전신이 보존된 표본으로 최초로 기술된 것이다.[28] 전면부와 후면부의 보존 상태는 좋지 않지만, 알려진 표본 중 유일하게 전면부와 후면부를 모두 갖추고 있어, 최소 28개의 삼엽형 등판을 가졌음을 보여주었다.[28]
프랑스의 Montceau-les-Mines Lagerstätte에서 발견된 MHNA 002122(MNHN.F.SOT002122)는 3.7cm 크기로 유생[39] 혹은 소형 신종[124]으로 여겨진다. 복면 구조와 후면부가 없지만, 약 20개의 등판이 거의 똑바로 정돈되어 있고, 전방의 외골격도 선명하게 보존되어 있다.[35][68] 같은 산지의 MNHN.F.SOT002123과 MNHN.F.SOT002118은, CT 스캔을 통해 머리 구조나 다리의 대응 관계 등 불명확했던 특징이 밝혀졌다.[30] 독일 Gzhelian–Asselian Döhlen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표본은 아르트로플레우라의 복면 구조를 가장 잘 보존한 것 중 하나이며, 다리와 주변 복면 구조의 배열이 잘 보존되어 있었다.[45][35][26]
참조
[1]
논문
First occurrence of ''Arthropleura armata'' (Myriapoda) in the Moscovian (Carboniferous) of SW Sardinia (Italy)
[2]
뉴스
Largest-ever millipede fossil found on Northumberland beach
https://www.bbc.co.u[...]
2021-12-21
[3]
논문
Walking trails of the giant terrestrial arthropod ''Arthropleura'' from the Upper Carboniferous of Kentucky
https://web.archive.[...]
2019-12-23
[4]
논문
Bring me the head of Arthropleura
https://www.science.[...]
2024-10-11
[5]
논문
Part R, Arthropoda 4, vol. 1 & 2, ch. 5, p. 567-629
1969-01-01
[6]
논문
III.—On Arthropleura Moyseyi , n.sp., from the Coal-Measures of Debyshire
1914-12
[7]
논문
Entdeckung und Bergung des größten, bis jetzt bekannten Exemplars von Arthropleura armata JORDAN & V. MEYER in Grube Maybach-Saar
https://www.schweize[...]
1935-12-31
[8]
논문
Microdecemplicida, a new order of minute arthropleurideans (Arthropoda: Myriapoda) from the Devonian of New York State, U.S.A.
1999
[9]
웹사이트
The Excitement of Discovery
http://museum.gov.ns[...]
2006-04-17
[10]
논문
The largest arthropod in Earth history: insights from newly discovered ''Arthropleura'' remains (Serpukhovian Stainmore Formation, Northumberland, England)
https://jgs.lyellcol[...]
2021-12-21
[11]
논문
Giant claw reveals the largest ever arthropod
2008-02-23
[12]
논문
Head anatomy and phylogenomics show the Carboniferous giant ''Arthropleura'' belonged to a millipede-centipede group
[13]
학위논문
Palaeobiology of the Arthropleuridea
University of Manchester
1999
[14]
문서
Bring me the head of Arthropleura
https://www.science.[...]
[15]
논문
Arthropleurid Myriapods
[16]
웹사이트
Largest Land-Dwelling "Bug" of All Time
http://voices.nation[...]
Ford Cochran
2017-02-14
[17]
논문
Euramerican Late Pennsylvanian/Early Permian arthropleurid/tetrapod associations – implications for the habitat and paleobiology of the largest terrestrial arthropod
https://www.research[...]
2010-05-01
[18]
논문
Limb structure, affinity and diet of the Carboniferous ‘centipede’ Arthropleura
1967-01
[19]
논문
Fossil giants and surviving dwarfs. Arthropleurida and Pselaphognatha (Atelocerata, Diplopoda): characters,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onstruction
https://eurekamag.co[...]
2003-05-05
[20]
논문
A large Taenidium burrow from the Upper Carboniferous of Corrie, Isle of Arran, and remarks on the association of Taenidium burrows and Diplichnites trails
https://www.lyellcol[...]
2019-11
[21]
서적
March Onto Land: the Silurian Period to the Middle Triassic Epoch
Infobase Publishing
[22]
문서
"[[:wikisource:de:Ueber die Crustaceen der Steinkohlenformation von Saarbrücken|Ueber die Crustaceen der Steinkohlenformation von Saarbrücken]]"
1854
[23]
문서
"ヤスデ綱」「多足亜門分類表」石川良輔編『節足動物の多様性と系統』〈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第6巻、岩槻邦男・馬渡峻輔監修、裳華房、2008年、291-296, 423-425頁。
[24]
문서
Gliederfüßer (ohne Insekten und Krebstiere)
https://www.research[...]
2007
[25]
논문
Current Status of the Myriapod Class Diplopoda (Millipedes): Taxonomic Diversity and Phylogeny
https://www.research[...]
2007-01-01
[26]
문서
†Arthropleura, ein Riesen-Gliederfüßer im jüngeren Erdaltertum
http://wirbellosenze[...]
2017-12-18
[27]
서적
Treatise on Zoology - Anatomy, Taxonomy, Biology. The Myriapoda
https://books.google[...]
BRILL
2015-10-01
[28]
논문
The largest arthropod in Earth history: insights from newly discovered Arthropleura remains (Serpukhovian Stainmore Formation, Northumberland, England)
https://jgs.lyellcol[...]
2021-12-21
[29]
문서
「Pleura(複数形:pleurae)」「pleuron」「pleurite」は通常では節足動物の背板と腹板の間、付属肢の付け根上方にある、体節左右の体表を被る外骨格(側板)を指すが、背板左右の出っ張り(肋部、tergopleura, paratergite)を指すにも用いられる。アースロプレウラの肋部は後者の通り、古典的には「pleurite」と呼ばれていたが、本来の意味での「pleurite」とは別の構造で、後にアースロプレウラからもそれらしき構造が見つかるため混乱を招く恐れがあり、21世紀以降の文献記載では「paratergite」と呼ばれる方が一般的である。
[30]
논문
Head anatomy and phylogenomics show the Carboniferous giant ''Arthropleura'' belonged to a millipede-centipede group
https://www.science.[...]
2024-10-11
[31]
논문
Head and tail region of ''Arthropleura armata'' Jordan, 1854 (Arthropoda) from the Upper Carboniferous
https://eurekamag.co[...]
1997-09-06
[32]
문서
同じアースロプレウラ類であるミクロディケンプレクスは、頭部左右に(ラッパ状の突起物とは別の)短い円錐状の構造体をもつが、途中に分節はなく、形も知られるヤスデの棍棒状触角らしからぬ、触角として判断しにくい。
[33]
웹사이트
三葉虫 アカドパラドキシデス {{!}} 東北大学総合学術博物館
http://www.museum.to[...]
2022-04-10
[34]
논문
Arthropleura, der größte landlebende Arthropode der Erdgeschichte - neue Funde und neue Ideen
https://www.academia[...]
2010
[35]
논문
Euramerican Late Pennsylvanian/Early Permian arthropleurid/tetrapod associations – implications for the habitat and paleobiology of the largest terrestrial arthropod
https://www.research[...]
2010-05-01
[36]
논문
New morphological features of ''Arthropleura'' sp. (Myriapoda, Diplopoda) based on new specimens from the Upper Carboniferous of Lower Silesia (Poland)
https://www.research[...]
2012
[37]
논문
First occurrence of ''Arthropleura armata'' (Myriapoda) in the Moscovian (Carboniferous) of SW Sardinia (Italy)
https://www.research[...]
2021
[38]
간행물
The fossil record and evolution of the Myriapoda
https://www.research[...]
Springer Netherlands
1998
[39]
논문
Arthropleurid myriapods
https://doi.org/10.1[...]
2002-01
[40]
서적
Arthropod Relationship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41]
웹사이트
Largest Land-Dwelling “Bug” of All Time {{!}} National Geographic (blogs)
https://web.archive.[...]
2020-04-13
[42]
문서
先端1本の爪、基部周辺の対になる外骨格(B-plate・K-plate・rosette-plate)、および Rolfe & Ingham 1967 に「第2肢節と癒合した退化的な第1肢節」と思われる構造を肢節扱いしない場合。
[43]
문서
Schneider, J. and Barthel, M., 1997,
https://tu-freiberg.[...]
[44]
논문
Burgess Shale fossils illustrate the origin of the mandibulate body plan
https://www.nature.c[...]
2017-05
[45]
논문
Limb structure, affinity and diet of the Carboniferous ‘centipede’ ''Arthropleura''
https://sjg.lyellcol[...]
1967-01-01
[46]
문서
Rolfe, W. D. I., 1985, Aspects of the Carboniferous terrestrial arthropod community: Comptes Rendus IX Congrès International de Stratigraphie et de Géologie de Carbonifère, p. 303-316.
[47]
논문
''Eoarthropleura'' (Arthropoda, Arthropleurida) from the Silurian of Britain and the Devonian of North America
http://www.paulselde[...]
[48]
간행물
The fossil record and evolution of the Myriapoda
https://doi.org/10.1[...]
Springer Netherlands
1997
[49]
논문
Arthropleurids from the Westphalian D of Writhlington Geological Nature Reserve, Somerset
https://www.scienced[...]
1998-01-01
[50]
논문
Microdecemplicida, a new order of minute arthropleurideans (Arthropoda: Myriapoda) from the Devonian of New York State, U.S.A.
https://www.research[...]
2000
[51]
논문
III.—On ''Arthropleura Moyseyi'', n.sp., from the Coal-Measures of Debyshire
https://www.cambridg[...]
1914-12
[52]
서적
Considérations sur la stratigraphie du terrain houiller de la Belgique
https://searchworks.[...]
Musée royal d'histoire naturelle de Belgique
1930
[53]
웹사이트
The world's largest arthropod was a car-sized millipede
https://www.nhm.ac.u[...]
2022-01-01
[54]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fossil of largest arthropod to ever live, a car-size millipede
https://www.livescie[...]
2022-01-01
[55]
논문
Giant claw reveals the largest ever arthropod
https://www.ncbi.nlm[...]
2008-02-23
[56]
문서
[[イェーケロプテルス]]を含んだ[[ダイオウウミサソリ科|ダイオウウミサソリ類]]は、薄い[[外骨格]]と上下に平たい体で軽量化が進み、例え同じ体長でもアースロプレウラより軽いとされる。詳細は[[ダイオウウミサソリ科#大きさ]]を参照。
[57]
논문
Zur Arthropoden-Fauna des Karbons und Perms
https://doi.org/10.1[...]
1940-12-01
[58]
논문
Climate and vegetational regime shifts in the late Paleozoic ice age earth
https://onlinelibrar[...]
2009
[59]
문서
DiMichele, W.A., Cecil, C.B. et al. 2011. Pennsylvanian–Permian vegetational changes in tropical Euramerica. In: Harper, J.A. (ed.) Geology of the Pennsylvanian–Permian in the Dunkard Basin. Guidebook, 76th Annual Field Conference of Pennsylvania Geologists, Washington DC, 60–102.
[60]
논문
Rainforest collapse triggered Carboniferous tetrapod diversification in Euramerica
https://doi.org/10.1[...]
2010-12-01
[61]
논문
Evolution of fixed-channel alluvial plains in response to Carboniferous vegetation
https://www.nature.c[...]
2011-09
[62]
논문
New insights on the stepwise collapse of the Carboniferous Coal Forests: Evidence from cyclothems and coniferopsid tree-stumps near the Desmoinesian–Missourian boundary in Peoria County, Illinois, USA
https://www.scienced[...]
2018-01-15
[63]
논문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upper Paleozoic plant-fossil assemblages with mixtures of wetland and drought-tolerant taxa in tropical Pangea
https://www.scienced[...]
2021-10-01
[64]
문서
KRAUS, O. (2005): On the structure and biology of ''Arthropleura'' species (Atelocerata; Diplopoda; Upper Carboniferous/Lower Permian).– Verh. natural science Vhe. Hamburg, (NF) 41 : 5-23; Hamburg.
[65]
논문
Entdeckung und Bergung des größten, bis jetzt bekannten Exemplars von Arthropleura armata JORDAN & V. MEYER in Grube Maybach-Saar
https://www.schweize[...]
1935-01-01
[66]
논문
Zur Kenntnis von ''Arthropleura'' (Myriapoda: Ober-Karbon)
https://eurekamag.co[...]
1986-04-18
[67]
논문
The arthropleurids from the Stephanian (Late Carboniferous) of Montceau-les-Mines (Massif Central - France)
https://research-inf[...]
1994
[68]
논문
The Montceau-les-Mines Lagerstätte (Late Carboniferous, France)
https://www.scienced[...]
2014-07-01
[69]
문서
[[ドイツ]]の [[:en:Döhlen basin|Döhlen basin]] で見つかり、[[ペルム紀]][[サクマーリアン期]](約2億8,700万 - 2億8,600万年前)由来の正体不明の断片外骨格化石は、アースロプレウラ由来の可能性がある。次の脚注を参照。
[70]
논문
Evidence of pteridophyte–arthropod interactions in the fossil record
https://www.research[...]
1985
[71]
간행물
Eine bemerkenswerte Paläobiocoenose im Unterkarbon Middeleuropastt – Fossilführung und Paläoenvironment der Hainichen-Subgruppe (Erzgebirge-Becken)
1997
[72]
웹사이트
Fossil species from the Carboniferous: ''Arthropleura'' Jordan & Meyer 1854
https://www.paleonto[...]
2018
[73]
서적
Family Arthropleuridae Zittel, 1848
1962
[74]
논문
Taphonomy and paleoecology of fauna and flora from deltaic sandstones of Mospinka Formation (Middle Carboniferous) of Donets Basin
https://doi.org/10.1[...]
2019-12-27
[75]
기타
[76]
논문
The Pennsylvanian tropical biome reconstructed from the Joggins Formation of Nova Scotia, Canada
https://doi.org/10.1[...]
2006-05
[77]
논문
Palaeoenvironments and palaeoecology of the Early Pennsylvanian Lancaster Formation (‘Fern Ledges’) of Saint John, New Brunswick, Canada
https://doi.org/10.1[...]
2007-09
[78]
논문
Exceptionally preserved fossils from Bickershaw, Lancashire UK (Upper Carboniferous, Westphalian A (Langsettian))
https://onlinelibrar[...]
1997
[79]
간행물
Weiteres über das carbonische Arthostraken-Genus Arthopleura Jordan
1913
[80]
논문
On the Geology and Palæontology of the Warwickshire Coalfield
https://jgs.lyellcol[...]
1912-02-01
[81]
논문
Remains of ''Arthropleura'', a Gigantic Myriapod Arthropod, from the Pennsylvanian of Ohio and Pennsylvania
https://www.biodiver[...]
1997
[82]
논문
V.—Further Notes nn the Arthropoda of the British Coal-Measures
https://www.cambridg[...]
1907-12
[83]
서적
Carboniferous and Permian Faunas and their Occurrence in the Limnic Basins of the Czech Republic
Museum of Eastern Bohemia
2008
[84]
논문
Hallazgos de "''Arthropleura''" en el Estefaniense de la Península Ibérica
https://dialnet.unir[...]
1997
[85]
간행물
Arthropleura und Diplopoda (Arthropoda) aus dem Unter-Rotliegend (Unter-Perm, Assel) des Thüringer Waldes (Südwest-Saale-Senke)
1998
[86]
간행물
Un arthropode encore inconnu du Permien, Arthropleura spec
1963
[87]
논문
Trackways of ''Arthropleura'' from the Late Pennsylvanian of Graissessac (Hérault, southern France)
https://doi.org/10.1[...]
2019
[88]
논문
A SNAPSHOT OF AN EARLY PERMIAN ECOSYSTEM PRESERVED BY EXPLOSIVE VOLCANISM: NEW RESULTS FROM THE CHEMNITZ PETRIFIED FOREST, GERMANY
https://www.research[...]
2012-12-11
[89]
논문
Walking traces of the giant myriapod ''Arthropleura'' from the Strathclyde Group (Lower Carboniferous) of Fife
https://jgs.lyellcol[...]
1992-11
[90]
웹사이트
A giant myriapod trail from the Namurian of Arran, Scotland
https://www.palass.o[...]
1979
[91]
기타
[92]
웹사이트
In the dungeons of Dzhezkazgan
http://iae.makorzh.r[...]
2010
[93]
간행물
Report Upon the Carboniferous System of New Brunswick with Special Reference to Workable Coal
1902
[94]
논문
The Recovery of Some Large Track-Bearing Slabs from Joggins, Nova Scotia
https://jgs.lyellcol[...]
1966-06-30
[95]
논문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of early Pennsylvanian red beds at Lower Cove, Nova Scotia, Canada: the Little River Formation with redefinition of the Joggins Formation
https://journals.lib[...]
2005
[96]
간행물
Arthropleura trails from the Westphalian of eastern Canada
1984
[97]
논문
Mid-Carboniferous diversification of continental ecosystems inferred from trace fossil suites in the Tynemouth Creek Formation of New Brunswick, Canada
https://www.scienced[...]
2015-12-15
[98]
논문
Fossil Myriapod Trails In the Permo-Carboniferous Strata of Northern Nova Scotia, Canada
https://journals.lib[...]
1986-08-01
[99]
서적
Geology of the Cumberland Basin, Cumberland, Colchester and Pictou Counties, Nova Scotia
Nova Scoti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Mines and Energy Branches
1994
[100]
논문
Invertebrate trace fossils from the Pennsylvanian Rhode Island Formation of Massachusetts, USA
https://journals.lib[...]
2017-04-27
[101]
간행물
Trackway of a giant Arthropleura from the Upper Pennsylvanian of El Cobre Canyon, New Mexico
2005
[102]
서적
Geology of the Cumberland Basin, Cumberland, Colchester and Pictou Counties, Nova Scotia
Nova Scoti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Mines and Energy Branches
1994
[103]
논문
Walking trails of the giant terrestrial arthropod Arthropleura from the Upper Carboniferous of Kentucky
https://www.cambridg[...]
2009-01
[104]
간행물
Beiträge zur Ichnologie limnisch-terrestrischer Sedimentationsräume. Teil II: Diplichnites minimus n. ichnosp. aus dem Permosiles des Flechtinger Höhenzuges
1988
[105]
간행물
Ichnologie 4: pistes et empreintes dans le Stéphanien de Blanzy-Montceau
1977
[106]
간행물
Walking trails of the giant arthropod ''Arthropleura''
Bulletin trimestriel de la Société d'histoire naturelle et des amis du Muséum d'Autun
1986
[107]
간행물
Ichnology of a Pennsylvanian Equatorial Tidal Flat: the Stull Shale Member at Waverly, Eastern Kansas
Kansas Geological Survey Bulletin
2002
[108]
간행물
New occurrence of an arthropleurid trackway from the lower Permian of Utah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2013
[109]
서적
Étude de la faune continentale du terrain houiller sarrolorrain: Étude des Gites minéraux de la France. Bassin houiller de la Sarre et de la Lorraine 2, Faune fossile
L. Daniel, Lille
1934
[110]
논문
Current Status of the Myriapod Class Diplopoda (Millipedes): Taxonomic Diversity and Phylogeny
https://www.research[...]
2007-01-01
[111]
서적
'Handbuch der Palaeontologie: Abtheilung 1, Palaeozoologie - Mollusca und Arthropoda'
R. Oldenbourg
1885
[112]
문서
Kraus & Carsten 2003 は従来/広義のアースロプレウラ類(Arthropleuridea)を解体させ、次の分類体系を提唱した。
* 倍脚綱/ヤスデ綱 Diplopoda ** 触顎亜綱/フサヤスデ亜綱 Pselaphognatha *** フサヤスデ目 Pselaphognatha *** アースロプレウラ目 Arthropleurida(=狭義のアースロプレウラ類、アースロプレウラ科 Arthropleuridae と エオアースロプレウラ科 Eoarthropleuridae のみ含む) ** 広義の唇顎亜綱 Chilognatha ''s. l.'' *** ?ミクロディケンプレクス目 ?Microdecemplicida *** 狭義の唇顎亜綱 Chilognatha ''s. s.''
[113]
간행물
Ueber ''Arthropleura armata'' Jordan
Palaeontographica
1884
[114]
서적
Handbuch der Palaeontologie. Part I. Palaeozoologie. Vol. 2. Mollusca und Arthropoda
R. Oldenbourg, Munich
1885
[115]
문서
20世紀以前では、[[三葉虫]]自体が[[甲殻類]]と解釈された。
[116]
서적
Invertebrate Fossils
McGraw-Hill, New York
1952
[117]
간행물
Die Arthropoden aus dem Carbon und Perm des Saar-NahePfalz-Gebietes
Abhandlungen der Preußischen Geologischen Landesanstalt
1934
[118]
간행물
Significance of intersegmental tendon system in arthropod phylogeny and a monophyletic classification of Arthropoda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New York
1979
[119]
간행물
Arthropleurida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the University of Kansas
1969
[120]
간행물
Remarques sur la morphologie et la position systematique des ''Arthropleura'' Meyer (Myriapoda: Chilopoda? )
Bulletin d'Institute Royal de Science Naturelle de la Belgique
1969
[121]
간행물
'[On the classification of trilobitomorph orgnaisms]'
Biluu. Moskovsoi Obshchestva Ispitatelei Priorody Otde
1985
[122]
간행물
'[On the classification of trilobitomorph orgnaisms]'
Biluu. Moskovsoi Obshchestva Ispitatelei Priorody Otde
1985
[123]
간행물
Arthropleurida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nd the University of Kansas
1969
[124]
논문
Fossil giants and surviving dwarfs. Arthropleurida and Pselaphognatha (Atelocerata, Diplopoda): Characters,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onstruction
https://eurekamag.co[...]
2003-01-01
[125]
논문
The geological record and phylogeny of the Myriapoda
https://www.research[...]
2010-03
[126]
웹사이트
Fossilworks: Arthropleura
http://www.fossilwor[...]
2021-12-27
[127]
서적
Fauna Saraepontana fossilis: Die fossilen Thiere aus der Steinkohlenformation von Saarbrücken
https://books.google[...]
1873
[128]
간행물
Pennsylvanian invertebrates of the Mazon Creek area, Illinois; Trilobitomorpha, Arthropleurida II
Fieldana: Geology
1959
[129]
간행물
Sur les débris d’''Arthropleura'' trouvés en France
Bulletin de la Société de l'Industrie Minérale
1893
[130]
논문
La faune continentale du terrain houiller de la Belgique.
http://biblio.natura[...]
1930
[131]
논문
On some Species of ''Eurypterus'' and Allied Forms
https://jgs.lyellcol[...]
1863-02-01
[132]
논문
Atmospheric oxygen level and the evolution of insect body size
https://royalsociety[...]
2010-07-07
[133]
논문
Gigantism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istory of Life
https://journals.plo[...]
2016-01-15
[134]
서적
'Carboniferous Giants and Mass Extinction: the Late Paleozoic Ice Age World'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
[135]
논문
The evolution of large size: how does Cope's Rule work?
https://www.cell.com[...]
2005-01-01
[136]
간행물
Arthropleura, der größte landlebende Arthropode der Erdgeschichte – neue Funde und neue Ideen
Semana
2010
[137]
논문
Phanerozoic pO2 and the early evolution of terrestrial animals
https://royalsociety[...]
2018-01-31
[138]
논문
The Lower Permian Insects of Kansas. Part 8: Additional Megasecoptera, Protodonata, Odonata, Homoptera, Psocoptera, Protelytroptera, Plectoptera, and Protoperlaria
https://www.jstor.or[...]
1939
[139]
논문
GEOCARBSULF: A combined model for Phanerozoic atmospheric O2 and CO2
https://www.scienced[...]
2006-12-01
[140]
서적
March Onto Land: The Silurian Period to the Middle Triassic Epoch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8-06
[141]
서적
When the Invasion of Land Failed: The Legacy of the Devonian Extinction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11-12
[142]
웹인용
The Excitement of Discovery
http://museum.gov.ns[...]
2006-04-17
[143]
뉴스
Largest-ever millipede fossil found on Northumberland beach
https://www.bbc.co.u[...]
2021-12-21
[144]
저널
The largest arthropod in Earth history: insights from newly discovered ''Arthropleura'' remains (Serpukhovian Stainmore Formation, Northumberland, England)
https://jgs.lyellcol[...]
2021-12-21
[145]
저널
Giant claw reveals the largest ever arthropod
2008-02-23
[146]
서적
Dinosaur Tracks and Other Fossil Footprints of Europe
Columbia University Press
[147]
웹인용
Largest Land-Dwelling "Bug" of All Time
http://voices.nation[...]
Ford Cochran
2017-02-14
[148]
저널
Fossil giants and surviving dwarfs. Arthropleurida and Pselaphognatha (Atelocerata, Diplopoda): characters,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onstruction
https://eurekamag.co[...]
2003-05-05
[149]
저널
Microdecemplicida, a new order of minute arthropleurideans (Arthropoda: Myriapoda) from the Devonian of New York State, U.S.A.
https://www.cambridg[...]
[150]
저널
Euramerican Late Pennsylvanian/Early Permian arthropleurid/tetrapod associations – implications for the habitat and paleobiology of the largest terrestrial arthropod
https://www.research[...]
2010-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