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미노산 연대 측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노산 연대 측정은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정도를 분석하여 유기체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아미노산은 생명체 내에서 L-체로 존재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D-체로 변환되며, 이 L-체와 D-체의 비율을 통해 연대를 추정한다. 이 기술은 주로 고고학, 고생물학, 지질학, 법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의 한계를 보완하여 5만 년 이상의 오래된 유물의 연대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아미노산 연대 측정은 시료 준비, 아미노산 분리, D:L 비율 측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온도, 습도, pH 등의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대 측정법 -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윌러드 리비가 1949년에 발견한 유기 물질 연대 측정 방법으로, 탄소-14의 방사성 붕괴를 이용하여 최대 6만 년까지의 연대를 측정하며, 고고학 유물 연대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 연대 측정법 -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은 칼륨-40이 아르곤-40으로 붕괴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암석이나 광물의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10만 년 이상 된 시료에 적합하지만 아르곤 손실이나 과잉 아르곤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아르곤-아르곤 연대 측정법으로 보완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아미노산 연대 측정
개요
측정 대상화석, 퇴적물
측정 방법아미노산 라세미화
측정 범위수십 년 ~ 수백만 년 전
원리
L-아미노산형태로 존재한다.
D-아미노산아미노산은 점차적으로 D-아미노산으로 전환되는 라세미화 반응이 진행된다.
연대 측정아미노산과 D-아미노산의 비율을 측정하여 시료의 연대를 추정한다.
영향 요인
장점
단점
활용 분야

2. 연대 측정 원리

L체


D체


자연계에서 아미노산이 만들어지는 것은 대부분 생명 활동에 의한 것이며, 그 대부분이 L체이다. 아미노산의 L체와 D체는 이른바 입체 이성질체이며, 둘은 수천 년에서 수만 년에 걸쳐 조금씩 서로 바뀐다. 뼈에 남은 아미노산의 L체와 D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그 아미노산이 언제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있다. 이 방법은 미국의 물리학자 필립 에벌슨이 발안하고, 제프리 바더가 발전시켰다.

아스파라긴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빠르며,[27] 기온 20℃에서는 1만 5천 년에 L체의 절반이 D체로 변화한다. 이 반감기는 실측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의 결과로부터 추정된 값이다. 탄소 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이며, 아미노산의 반감기는 이보다 길기 때문에, 약 5만 년이 한계인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대신하는 방법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결점도 발견되었다.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속도는 온도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따라서 측정하는 물질이 노출되어 온 온도를 알 수 없다면, 정확한 연대를 결정할 수 없다. 또한,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의한 아미노산 분해도 오차의 요인이 된다. 이후, 전자 스핀 공명을 이용한 연대 측정법 등이 발견되기도 하여, 아미노산 라세미화 연대 결정법은 연대 결정법의 주류가 되지는 못했다. 다만, 해저의 규질 퇴적물의 10만 년에서 100만 년 정도의 연대를 결정하는 경우 등, 다른 적당한 측정법이 없는 경우에는 유효하다는 보고도 있다.[23] 온도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역이용하여, 고대 기온을 추정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24]

아미노산의 L체에서 D체로의 전환은 37℃ 부근에서 일어나기 쉬우며, 생체 내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발생한 D체의 대부분은 생리 작용에 의해 체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치아의 에나멜질이나 상아질에 흡수된 D체는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나이와 함께 축적되어 간다. 따라서, 치아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D체와 L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유골의 추정 사망 연령을 알 수 있다. 치아 중의 D체 농도는 사망 연령 10세라면 1%, 60세라면 3% 정도이다. 이 방법은 1000년 전에 죽은 유체라면 적용이 가능하다. 1000년 이상이 되면, 화학 반응에 의한 L체와 D체의 전환의 영향이 무시할 수 없게 되므로, 이 방법은 적용할 수 없게 된다. 고고학뿐만 아니라, 법의학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27]

100℃ 정도의 고온에서도 6시간 정도라면 화학 반응에 의한 라세미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아 오차의 요인이 되기 어렵다.[25] 치아가 변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샘플 표면에서만 평가하면 오차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소사체의 치아라도, 콜라겐성이 아닌 단백질로 평가하면 오차는 적다.[26]

2. 1. 라세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라세미화 진행 속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주요 요인으로는 아미노산의 종류, 평균 온도, 습도, 산도(pH), 주변 모암의 특성 등이 있다.[1] D/L 농도 임계치는 라세미화 속도의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아미노산 연대 측정은 환경 이력이 알려진 물질이나 다른 연대 측정 방법과의 상대적인 비교에 국한된다.[1]

미세 환경의 온도와 습도 이력은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빠르게 생성되고 있다. 춥고 건조한 조건보다 따뜻하고 습한 조건에서 라세미화가 훨씬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는 아미노산 연대 측정에 중요하다.[1] 일반적으로 연평균 기온이 30 °C인 지역은 최대 200 ka의 범위와 약 10 ka의 해상도를 가지며, 10 °C인 지역은 최대 약 2 Ma의 연령 범위를 가지고, 일반적으로 연령의 약 20%의 해상도를 가진다.[1] -10 °C에서는 반응의 최대 연령이 약 10 Ma이며, 더 거친 해상도를 가진다.[1]

강한 산성과 약하거나 강한 알칼리성은 라세미화 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1] 주변 모암은 아미노산 연대 측정에서 가장 어려운 변수 중 하나인데, 종과 기관 간의 라세미화 속도 변화, 분해 정도, 다공성, 국지적 금속 및 광물의 촉매 효과 등이 포함된다.[1]

아스파라긴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빠른 편인데,[27] 기온 20℃에서는 1만 5천 년에 L체의 절반이 D체로 변화한다.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속도는 온도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측정 물질이 노출된 온도를 알 수 없으면 정확한 연대를 결정하기 어렵다.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의한 아미노산 분해도 오차의 요인이 된다.

2. 2. 측정 방법

일반적인 라세미화 분석은 D-알로이소류신 / L-이소류신(A/I 또는 D/L 비율)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다. 이 아미노산 비율은 측정하기가 비교적 쉽고 제4기를 통해 연대기적으로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7]

역상 HPLC 기술은 단일 크로마토그램에서 서로 다른 시간 척도에 걸쳐 지질연대측정에 유용한 최대 9개의 아미노산(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세린, 알라닌, 아르기닌, 티로신, 발린, 페닐알라닌, 류신)을 측정할 수 있다.[8][9][10]

최근에는 일부 경우에 결과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결정 내부 아미노산을 별도로 조사하려는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11] 아미노산 연대 측정 분석은 시료 준비, 원하는 아미노산 분리, D:L 비율 측정으로 구성된다. 시료 준비는 일반적으로 분쇄 후 산 가수분해를 통해 단백질을 구성 아미노산으로 식별, 조 추출, 분리하는 것을 수반한다. 아미노산 유도체 가수분해 생성물은 키랄 특정 형광체와 결합되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전기영동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형광을 통해 특정 아미노산의 D:L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아미노산은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여 금속 양이온과 결합시킨 후 질량 분석법으로 D:L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래피 및 전기영동 분리는 분자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일반적으로 분자량에 해당하며 모양과 전하에 따라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

아스파라긴산의 L체와 D체. 생명체는 일반적으로 L체만을 만들어낸다.



자연계에서 아미노산이 만들어지는 것은 대부분 생명 활동에 의한 것이며, 그 대부분이 L체이다. 아미노산의 L체와 D체는 이른바 입체 이성질체이며, 둘은 수천 년에서 수만 년에 걸쳐 조금씩 서로 바뀐다. 따라서 뼈에 남은 아미노산의 L체와 D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그 아미노산이 언제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있다. 이 방법은 미국의 물리학자 필립 에벌슨이 발안하고, 제프리 바더가 발전시켰다.

예를 들어 아스파라긴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빠르며,[27] 기온 20℃에서는 1만 5천 년에 L체의 절반이 D체로 변화한다. 이 반감기는 실측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의 결과로부터의 추정치이다. 탄소 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이며, 아미노산의 반감기는 이보다 길기 때문에, 약 5만 년이 한계인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대신하는 방법으로 기대되었다.

라세미화 정도는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며, 아스파르트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빠르다.

3. 응용 분야

아미노산 연대 측정은 지난 35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고학, 층서학, 해양학, 고지리학, 고생물학, 고기후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왔다.[1] 특히 연대 측정 상관 관계, 상대 연대 측정, 퇴적률 분석, 퇴적물 이동 연구,[12] 보존 고생물학,[13] 타포노미 및 시간 평균 분석,[14][15][16] 해수면 결정, 열 이력 재구성 등에 활용된다.[17][18][19][20]

수명 및 노화 조직 파괴 질환 연구에도 영향을 주어, 살아있는 동물의 나이를 결정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조직 및 단백질 분해 연구, 특히 박물관 보존 방법 개발에도 기여하여, 단백질 접착제 및 기타 생체 고분자 열화 모델과 동시적인 기공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졌다.

자연계에서 아미노산은 대부분 생명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며, 그 대부분이 L체이다. 아미노산의 L체와 D체는 입체 이성질체이며, 수천 년에서 수만 년에 걸쳐 조금씩 서로 바뀐다. 뼈에 남은 아미노산의 L체와 D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아미노산이 언제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속도는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측정 대상이 놓여 있던 온도를 정확히 알 수 없다면 정확한 연대 측정이 어렵다. 또한,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의한 아미노산 분해도 오차의 원인이 된다. 전자 스핀 공명 등 다른 연대 측정법이 발견되면서, 아미노산 라세미화 연대 측정법은 주류 연대 측정법이 되지는 못했다. 다만, 해저 규질 퇴적물의 10만 년에서 100만 년 정도의 연대를 결정하는 경우 등, 다른 적절한 측정법이 없는 경우에는 유효하다는 보고도 있다.[23]

3. 1. 고고학 및 고생물학

고고학고생물학은 아미노산 연대 측정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뼈, 조개껍데기, 퇴적물 연구는 유인원을 포함한 고생물학적 기록에 많은 기여를 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과 같은 다른 연대 측정 기술과의 상호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높였다.[21] 방사성 탄소 저장 효과와 같이 큰 오차 범위를 좁히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아미노산 연대 측정은 고병리학 및 식이 선택, 고동물지리학 및 원주민성, 분류학과 타포노미, DNA 생존 가능성 연구에도 활용되었다. 익힌 뼈, 조개껍데기, 잔류물과 익히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인간 문화 변화와 지역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도 사용되었다.

아스파라긴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빨라 20℃에서 1만 5천 년에 L체의 절반이 D체로 변한다.[27]반감기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로부터 추정된 값이다. 탄소 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으로 짧아 약 5만 년이 측정 한계인 반면, 아미노산의 반감기는 이보다 길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속도는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측정 대상이 놓여 있던 온도를 정확히 알 수 없다면 정확한 연대 측정이 어렵다. 또한,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의한 아미노산 분해도 오차의 원인이 된다. 전자 스핀 공명 등 다른 연대 측정법이 발견되면서, 아미노산 라세미화 연대 측정법은 주류 연대 측정법이 되지는 못했다.

3. 2. 지질학

아미노산 연대 측정은 35년 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질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층서학, 해양학, 고지리학, 고생물학, 고기후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기술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 응용된다.

  • 연대 측정 상관 관계 및 상대 연대 측정
  • 퇴적률 분석 및 퇴적물 이동 연구[12]
  • 보존 고생물학[13]
  • 타포노미 및 시간 평균 분석[14][15][16]
  • 해수면 결정
  • 열 이력 재구성[17][18][19][20]

3. 3. 법의학

법의학에서 아미노산 연대 측정 기술은 시체[22] 또는 예술품의 연대를 추정하여 진위를 판별하는데 사용된다. 아미노산의 L체에서 D체로의 전환은 37℃ 부근에서 일어나기 쉬우며, 생체 내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발생한 D체의 대부분은 생리 작용에 의해 체외로 배출되지만, 치아의 에나멜질이나 상아질에 흡수된 D체는 체외로 배출되지 않고 나이와 함께 축적된다. 따라서 치아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D체와 L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유골의 추정 사망 연령을 알 수 있다.

치아 중의 D체 농도는 사망 연령 10세에 1%, 60세에 3% 정도이다. 이 방법은 1000년 전에 죽은 유체에 적용 가능하며, 그 이상 오래된 경우에는 화학 반응에 의한 L체와 D체의 전환 영향이 커져 적용할 수 없다. 이 방법은 고고학뿐만 아니라 법의학에도 사용된다.[27]

100℃ 정도의 고온에서도 6시간 정도는 화학 반응에 의한 라세미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오차 요인이 되기 어렵다.[25] 치아가 변색된 경우 샘플 표면에서만 평가하면 오차가 커질 수 있다. 소사체의 치아라도 콜라겐성이 아닌 단백질로 평가하면 오차는 적다.[26]

라세미화 정도는 아미노산 종류에 따라 다르며, 아스파르트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빠르다. 뼈는 조직이 항상 바뀌므로 나이 특정에 사용할 수 없다. 치아 외에 뇌백질이나 수정체에서도 나이와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분석에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27] 치아 완성 시기는 치아 종류(견치, 구치 등)에 따라 다르므로, 나이 특정에는 종류별 보정이 필요하다. 이 보정을 올바르게 수행하면 상관계수 0.991이라는 높은 상관관계가 보고되기도 했다.[28]

3. 4. 기타

아미노산 연대 측정 데이터는 35년 동안 축적되어 고고학, 층서학, 해양학, 고지리학, 고생물학, 고기후학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1] 이 기술은 연대 측정 상관 관계, 상대 연대 측정, 퇴적률 분석, 퇴적물 이동 연구,[12] 보존 고생물학,[13] 타포노미 및 시간 평균 분석,[14][15][16] 해수면 결정, 열 이력 재구성 등에 활용된다.[17][18][19][20]

고생물학고고학에서 뼈, 조개껍데기, 퇴적물 연구는 유인원을 포함한 고생물학적 기록에 기여했다. 아미노산 래시미화를 통해 방사성 탄소 등 다른 연대 측정 기술을 검증하고, 반대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아미노산 연대 측정을 검증하기도 한다.[21] 고병리학, 식이 선택, 고동물지리학, 원주민성, 분류학, 타포노미, DNA 생존 가능성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익힌 뼈와 조개껍데기, 잔류물을 익히지 않은 것과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미노산 래시미화는 조직 및 단백질 분해 연구, 박물관 보존 방법 개발에도 활용된다. 단백질 접착제 및 기타 생체 고분자 열화 모델과 동시적인 기공 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졌다. 법의학에서는 시체[22] 또는 예술품의 연대를 추정하여 진위를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자연계에서 아미노산은 대부분 생명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며, 그 대부분이 L체이다. 아미노산의 L체와 D체는 입체 이성질체이며, 수천 년에서 수만 년에 걸쳐 조금씩 서로 바뀐다. 뼈에 남은 아미노산의 L체와 D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아미노산이 언제 생성된 것인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스파라긴산은 20℃에서 1만 5천 년에 L체의 절반이 D체로 변한다.[27]반감기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로부터 추정된 값이다. 탄소 14의 반감기는 약 5730년으로, 아미노산의 반감기보다 짧기 때문에, 약 5만 년이 한계인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대신하는 방법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아미노산의 라세미화 속도는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측정 물질이 노출된 온도를 알 수 없다면 정확한 연대를 결정하기 어렵다. 또한,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의한 아미노산 분해도 오차의 요인이 된다. 전자 스핀 공명을 이용한 연대 측정법 등이 발견되면서, 아미노산 라세미화 연대 결정법은 주류가 되지 못했다. 다만, 해저 규질 퇴적물의 10만 년에서 100만 년 정도의 연대를 결정하는 경우 등, 다른 적절한 측정법이 없는 경우에는 유효하다는 보고도 있다.[23]

아미노산의 L체에서 D체로의 전환은 37℃ 부근에서 일어나기 쉬우며, 생체 내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발생한 D체의 대부분은 체외로 배출되지만, 치아의 에나멜질이나 상아질에 흡수된 D체는 나이와 함께 축적된다. 따라서 치아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D체와 L체의 비율을 조사하면, 유골의 추정 사망 연령을 알 수 있다. 치아 중의 D체 농도는 사망 연령 10세에 1%, 60세에 3% 정도이다. 이 방법은 1000년 전에 죽은 유체에 적용 가능하다. 1000년 이상 지나면 화학 반응에 의한 L체와 D체의 전환 영향이 커져 적용할 수 없다. 법의학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27]

100℃ 정도의 고온에서도 6시간 정도라면 화학 반응에 의한 라세미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25] 소사체의 치아라도 콜라겐성이 아닌 단백질로 평가하면 오차는 적다.[26] 라세미화 정도는 아미노산 종류에 따라 다르며, 아스파르트산은 라세미화 속도가 빠르다. 뼈는 조직이 항상 바뀌기 때문에 치아 대신 나이 특정에 사용할 수 없다. 치아 외에도 뇌백질, 수정체에서 나이와 상관관계가 있다. 분석에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27] 치아 종류별 보정을 올바르게 수행하면 상관계수 0.991이라는 높은 상관관계가 얻어진다는 보고도 있다.[28]

4. 연구 기관

참조

[1] 논문 Amino Acid Racemization Dating of Fossil Bones
[2] 논문 Kinetics of amino acid racemization (epimerization) in the dentine of fossil and modern bear teeth
[3] 논문 Amino acid racemization on Mars: implica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biomolecules from an extinct martian biota
[4] 논문 Archaeological Applications of Amino Acid Racemization
[5] 논문 Quantifying time-averaging in 4th-order depositional sequences: radiocarbon-calibrated amino-acid racemization dating of Late Quaternary mollusk shells from Po Plain, Italy. http://gsa.confex.co[...] 2008-10
[6] 웹사이트 Method http://nau.edu/CEFNS[...] Northern Arizona University
[7] 웹사이트 NEaar: North East Amino Acid Racemization http://www.york.ac.u[...] University of York
[8] 논문 A new procedure for determining dl amino acid ratios in fossils using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9] 서적 Perspectives in Amino Acid and Protein Geochemis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0] 웹사이트 Method http://jan.ucc.nau.e[...] Northern Arizona University
[11] 논문 Closed-system behaviour of the intra-crystalline fraction of amino acids in mollusc shells 2008-02
[12] 논문 Sediment mixing and stratigraphic disorder revealed by the age-structure of Tellina shells in Great Barrier Reef sediment
[13] 논문 Dead delta's former productivity: Two trillion shells at the mouth of the Colorado River
[14] 논문 Quantitative estimates of time-averaging in terebratulid brachiopod shell accumulations from a modern tropical shelf
[15] 논문 Taphonomic trade-offs in tropical marine death assemblages: Differential time averaging, shell loss, and probable bias in siliciclastic vs. Carbonate facies
[16] 논문 Taphonomic bias and time-averaging in tropical molluscan death assemblages: Differential shell half-lives in Great Barrier Reef sediment
[17] 논문 The precision of amino acid geochronology and paleothermometry
[18] 논문 Amino acid estimates of latitudinal temperature gradients and geochronology of loess deposition during the last glaciation, Mississippi Valley, United States
[19] 논문 Low-latitude glacial cooling in the Southern Hemisphere from amino-acid racemization in emu eggshells
[20] 논문 Amino acid paleothermometry of Quaternary ostracodes from the Bonneville Basin, Utah
[21] 논문 Amino acid geochemistry of fossil bones from the Rancho La Brea Asphalt Deposit, California
[22] 논문 Application to forensic odontology of aspartic acid racemization in unerupted and supernumerary teeth 1988-10
[23] 간행물 アミノ酸ラセミ化反応を用いた海底堆積物の年代測定に関する研究 https://www2.jpgu.or[...]
[24] 간행물 化石中の右手型アミノ酸の割合から数千年間の平均気温がわかる http://www.jsac.or.j[...]
[25] 논문 歯が中アミノ酸のラセミ化反応を用いる年齢推定法における酸加水分解の影響 https://doi.org/10.2[...] 日本分析化学会
[26] 간행물 アミノ酸のラセミ化反応を利用する歯からの年齢推定 https://kaken.nii.ac[...] KAKEN
[27] 간행물 法医学講義 個人識別 http://www3.kmu.ac.j[...] 関西医科大学
[28] 논문 歯牙中アミノ酸のラセミ化反応による年齢推定法並びに法医学への応用 https://twinkle.repo[...] 東京女子医科大学学会 1984-04
[29] 논문 Amino Acid Racemization Dating of Fossil Bones
[30] 논문 Kinetics of amino acid racemization (epimerization) in the dentine of fossil and modern bear teeth
[31] 논문 Amino Acid Racemization on Mars: Implications for the Preservation of Biomolecules from an Extinct Martian Biota http://astrobiology.[...]
[32] 논문 Archaeological Applications of Amino Acid Racemization
[33] 기타 http://gsa.confex.co[...]
[3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jan.ucc.nau.e[...] 2014-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