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다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다브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로, 현재 이라크에 위치해 있으며, 기원전 4천년 후반부터 사람들이 거주했다.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부터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루갈-달루 왕의 조각상과 수많은 점토판이 중요한 유물로 꼽힌다. 20세기 초 시카고 대학교의 발굴이 있었으나, 이후 전쟁과 약탈로 인해 유적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볼로냐 대학교와 이라크 고대 유물 및 유산 국가 위원회가 Qadis 조사를 통해 도시의 구조와 수력 경관을 밝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발굴 - 아바리스
    아바리스는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힉소스 시대 힉소스의 수도였으며, 현재 텔 엘-다바 유적지에 위치해 있다.
  • 이라크의 옛 취락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이라크의 옛 취락 - 슈루팍
    슈루팍은 이라크 카디시야 주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로, 수메르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곡물 저장과 분배의 중심지였고,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아다브
위치 정보
일반 정보
고유 명칭Adab
다른 이름Bismaya
위치이라크 알-카디시야 주
지역메소포타미아
좌표31°56′50.1″N 45°37′34.5″E
역사
건설알 수 없음
폐기알 수 없음
시대알 수 없음
문화알 수 없음
점유알 수 없음
고고학
발굴1885, 1890, 1902, 1903–1905, 2001, 2016-2019
고고학자윌리엄 헤이스 워드
존 퍼넷 피터스
발터 안드레
에드거 제임스 뱅크스
니콜로 마르체티

2. 고고학

아다브 유적에 대한 최초의 조사는 1885년 울프 탐험대의 윌리엄 헤이즈 워드와 1890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존 푸넷 피터스가 진행했으며, 이들은 각각 하루 동안 머물면서 쐐기 문자 점토판 하나와 몇 개의 파편을 발견했다.[6][7] 1902년 발터 안드레는 비스마야를 방문하여 점토판 파편을 발견하고 유적의 스케치 지도를 제작했다.[8]

루갈달루 조각상. 열린 법정


1903년 크리스마스부터 1904년 5월 25일까지 시카고 대학교의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가 이끄는 발굴팀이 6개월 동안 본격적인 발굴을 진행했다. 1904년 9월 19일 작업이 재개되었지만, 오스만 당국의 명령으로 8일 반 만에 중단되었다. 1905년 3월 13일 빅토르 S. 퍼슨스의 지휘 아래 발굴이 재개되어 1905년 6월 말까지 계속되었다. 도시 문 발굴 과정에서 수천 개의 새총알(일부는 돌, 대부분 구운 점토)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납작했는데, 발굴자는 이를 전투의 결과로 해석했다. 뱅크스는 이전 세대의 골동품 수집가와 보물 사냥꾼보다 더 훈련되었고 더 현대적인 고고학적 방법을 사용했지만, 발굴 결과가 제대로 출판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9][10][11][12] 뱅크스의 비스마야 탐험은 당시 기준으로 잘 기록되었으며, 많은 물건들이 사진으로 촬영되었지만, 개인적인 분쟁으로 인해 최종 보고서는 작성되지 않았다. 2012년, 동양 연구소는 뱅크스가 연구소에 반환한 기록과 물건을 재검토하고 "재발굴" 보고서를 작성했다.[18]

아카드어로 가축을 기록한 점토판, 비스마야, 샤르-칼리-샤르리 통치 시대, 기원전 2100년경, 점토, 동양 연구소 박물관


둔덕 V에서, 원래는 섬으로 생각되었지만 이후 운하 바닥의 이동으로 밝혀진 곳에 신전, E-mah가 지구라트와 함께 서 있었다. 이 신전은 초기 왕조 시대에 만들어진, 평볼록 벽돌로 지어진 첫 번째 신전(초기 신전)인 E-Sar와, 이후 진흙 벽돌로 채워지고 구운 벽돌과 역청 포장으로 봉인된 두 번째 신전(후기 신전)으로 나뉜다. 초기 왕조 IIIa기에 해당되는 E-iginimpa'e 아다브 통치자의 기초 제물은 봉인된 포장 위에서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새겨진 끌 모양의 구리 물체(A543)와 구리 핀(A542)이 그 끝의 구멍에 삽입되었고, 구리 합금 점토판(A1160)과 백색 석재 점토판(A1159) 두 개"가 포함되어 있었다.[13]

d-mah|디기르마sux를 위해 아다브의 엔시-GAR, E-iginimpa'e가 그녀를 위해 E-Mah를 지었고, 그 기단 아래에 기초 제물을 묻었다.[14]

두 번째 신전(후기 신전)은 구운 벽돌로 덮여 있었으며, 그 중 일부에는 우르 3기 통치자 술기가 여신 닌후르상의 신전이라고 명명한 명문이 새겨져 있었다.[15]

아다브는 한때 상당한 중요성을 가진 도시였지만, 둔덕 표면에 가까운 곳에서 발견된 유물이 기원전 3천년 후반에 술기와 우르남무, 우르 제3왕조의 왕들의 것이고, 비스마야에서 발굴된 명문 벽돌에 근거하여 매우 초기에 버려졌다. 이 유물 바로 아래에는 니푸르에서와 마찬가지로, 기원전 2300년경, 나람신과 사르곤 통치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중앙 지역에서는 초기 왕조 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평볼록 벽돌로 덮인 매우 큰 우물이 있는 큰 궁전이 발견되었다.[49]

2. 1. 주요 유적

초기 왕조 도시


아다브 유적은 여러 개의 둔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규모는 약 1.5km 길이와 3km 너비에 달한다. 이 둔덕들은 높이가 12m를 넘지 않는 낮은 능선 형태로, 티그리스강보다는 유프라테스강에 더 가깝고, 니푸르에서 남동쪽으로 하루 거리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이중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18]

주요 둔덕에서는 궁전, 신전, 주거지, 도서관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들이 발견되었다. 동쪽 벽 바깥에서는 몇몇 개인 주택이 발견되었다.[18] 각 둔덕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둔덕 I: 궁전 터. 이신-라르사 시대 및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 유물, 점토판 조각 출토.
  • 둔덕 II: 묘지와 목욕탕 옆 집터. 7개의 매장지.
  • 둔덕 III: 행정 및 경공업 시설. 초기 왕조, 아카드 시대, 우르 제3왕조 시대 유물.
  • 둔덕 IV: 도서관. 2,000개 이상의 점토판. 아카드 시대 행정 중심지.
  • 둔덕 V: E-Sar/E-mah 신전. 초기 왕조 I기부터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 10개 층위. 카시트 왕조 쿠리갈주 명문 벽돌.
  • 둔덕 VI: 아르-신의 명문 벽돌이 있는 큰 벽. 신전 추정.


1885년 윌리엄 헤이즈 워드, 1890년 존 푸넷 피터스, 1902년 발터 안드레가 비스마야 유적을 최초로 조사했다.[6][7][8] 1903년부터 1905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의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와 빅토르 S. 퍼슨스가 발굴을 진행했다.[9][10][11][12] 발굴 과정에서 수천 개의 새총알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전투의 흔적으로 해석된다. 2001년 이라크 고대 유물 및 유산 국가 위원회는 아다브에서 발굴을 실시했다.[26]

기원전 3천년경 아다브의 왕 또는 총독 루갈-달루의 조각상


발굴을 통해 건물, 벽, 무덤 외에도 초기 명문 점토판, 청동 및 석재 점토판, 청동 도구 등이 대량으로 발견되었다.[18] 특히 루갈-달루의 조각상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조각상 중 하나로 꼽힌다. 신전에서는 대리석, 설화 석고, 오닉스, 반암, 화강암 등으로 만들어진 꽃병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일부에는 명문이 새겨져 있거나 상아와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었다.[18][19]

아다브는 한때 중요한 도시였으나, 술기와 우르남무 시대에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아카드 왕조의 나람신사르곤 시대의 유물도 발견되었다.[49]

2. 1. 1. 둔덕 I

메스키갈은 우루크루갈자게시 아래 아다브의 총독이었으나, 아카드에 충성을 맹세하고 사르곤 아래 총독이 되었다. 그는 나중에 자발람을 포함한 다른 도시들과 함께 림무쉬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배하여 사로잡혔다. 림무쉬는 사르곤의 아들이자 아카드 제국의 두 번째 통치자였다. 아다브에서 출판된 약 380개의 점토판은 메스키갈 시대(ED IIIB/초기 사르곤 시대)에 해당한다. 이 반란은 림무쉬의 통치 초기 2년 동안 일어났다.[51] 림무쉬의 연호에는 "아다브가 파괴된 해"라는 기록이 있으며, 한 비문에는 "세계의 왕 림무쉬는 아다브와 자발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15,718명을 쳐 죽였다. 그는 14,576명의 포로를 잡았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루갈-기스, 사루-알리, 우르-투르, 루갈-아자구 등 다양한 총독들이 아카드의 직접 통치를 받으며 아다브를 통치했다. 이 시기(중기 사르곤 시대)의 점토판 약 1000개가 출판되었다.[51]

2. 1. 2. 둔덕 II

벌거벗은 사제의 부조, 아다브 출토, 이라크, 초기 왕조 시대. 고대 오리엔트 박물관, 터키


우르 3왕조 치하 아다브의 총독으로는 슐기(아마르신 치하) 시대의 우르-아스기와 하발루게, 슈신 치하의 우르-아스기 2세 등이 알려져 있다. 아다브에서 발견된 벽돌 비문에는 슐기가 여신 닌후르상에게 를 헌납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으며,[44][45] 아마르신의 비문이 새겨진 벽돌도 발견되었다. 신격화된 슈신을 위한 신전은 하발루게에 의해 아다브에 건설되었다.

: ᵈšu-ரைய-sú-in|슈신sux lugal|왕sux ki-ág|사랑하는sux ᵈinanna|인안나sux lugal|왕sux an-ub-da|지역sux limmú-ba|넷sux

: ḫa-ba-lu₅-ge₅|하발루게sux énsi|총독sux ìr-zu|그의 종sux

: é-šár-ra|에샤라sux ki-ág-gá-ni|그의 사랑하는sux mu-na-dù|그를 위해 지었다.sux

2. 1. 3. 둔덕 III

아다브는 함무라비 법전(기원전 1792년 – 기원전 1750년경)에 언급되어 있다.[47]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의 수메르어 희극인 '아다브에서 온 세 명의 소몰이꾼'이 있다.[48]

카시트 왕조 통치자 쿠리갈주 1세(기원전 1375년경)의 비문이 새겨진 벽돌이 아다브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된 점유 시기를 나타낸다.[49]

2. 1. 4. 둔덕 IV

둔덕 IV에서는 도서관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2,000개 이상의 점토판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아카드 시대의 행정 중심지로 추정된다.[52]

2. 1. 5. 둔덕 V

둔덕 V에는 E-mah 신전과 지구라트가 있었다. 이 신전과 지구라트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 여러 차례 다시 지어졌다.[1]

2. 2. 주요 발굴품

아다브에서는 점토판, 조각상, 청동 도구, 석재 도구 등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 점토판: 둔덕 IV에서 2,000개 이상의 점토판이 발견되었고, 둔덕 X의 북쪽 확장 부분에서는 20개의 점토판이, 둔덕 I에서는 수백 개의 파편화된 점토판이 발견되었다.[18]
  • 조각상: 루갈-달루 왕의 조각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조각상으로 추정된다.[19] 신전의 쓰레기 더미에서는 대리석, 설화 석고, 오닉스 등으로 만들어진 꽃병 조각들이 발견되었다.[18]
  • 기타 유물: 청동 및 석재 점토판, 청동 도구 등이 발견되었다.[18]


이 외에도 도시 문 발굴 과정에서 수천 개의 새총알(일부는 돌, 대부분 구운 점토)이 발견되었는데, 발굴자는 이를 전투의 결과로 해석했다.[9]

2. 2. 1. 점토판



아다브 유적에서는 수천 개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18] 이 점토판들은 행정 기록, 문학 작품, 종교 문서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둔덕 IV에서는 2,000개 이상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아카드 시대의 행정 중심지였다.[18] 둔덕 X의 북쪽 확장 부분에서는 몇 개의 방과 함께 20개의 점토판이, 둔덕 I에서는 수백 개의 파편화된 점토판이 발견되었다.[18]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가 발굴한 점토판 중 543개는 시카고 동양 연구소로, 약 1100개는 이스탄불 박물관으로 보내졌다.[16][17] 시카고 대학교에 소장된 점토판은 출판되어 온라인에서 디지털 형태로 제공된다.[20]

발굴 이후에도 많은 점토판이 불법 약탈로 인해 골동품 시장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일부는 출판되기도 했다.[21] 이 중 많은 점토판이 코넬 대학교 소장품에 들어갔다.[22][23][24][25] 사르곤 시대(초기 왕조 IIIb기, 초기 사르곤 시대, 중기 사르곤 시대 및 고전 사르곤 시대)에 출판된 점토판 9,000개 중 약 2,300개가 아다브에서 나왔다.[27]

2. 2. 2. 조각상



루갈-달루 왕의 조각상이 발견되었다. 이 조각상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조각상으로 추정되며, 현재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원래 뱅크스가 번역한 명문에는 "E-mach, King Da-udu, King of, Ud-Nun"이라고 적혀 있었으나, 현재는 루갈-달루의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수메르 왕 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어깨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그의 신원을 알 수 있다. 조각상에서 그는 카우나케스를 입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19]

신전의 쓰레기 더미에서는 대리석, 설화 석고, 오닉스, 반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많은 수의 꽃병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 일부에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고, 다른 일부에는 상아와 보석으로 조각과 상감 세공이 되어 있었다.[18]

2001년에는 "여신 닌-SU(?)-KID(?)의 신전 건축가: Epa'e, 아다브의 왕"이라고 새겨진 조각상이 바그다드 박물관에 제공되었다.[33]

2. 2. 3. 기타 유물

비스마야 유적에서는 건물, 벽, 무덤 외에도 초기 명문이 새겨진 점토판, 청동 및 석재 점토판, 청동 도구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18] 이 중 543개의 점토판은 시카고 동양 연구소로, 약 1100개는 이스탄불 박물관으로 옮겨졌으나 후자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16][17]

가장 주목할 만한 발견 중 하나는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조각상으로 여겨지는 백색 대리석 조각상이다. 현재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뱅크스가 번역한 명문에는 "E-mach, King Da-udu, King of, Ud-Nun"이라고 적혀 있었으나, 현재는 루갈-달루의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 신전 쓰레기 더미에서는 대리석, 설화 석고, 오닉스, 반암, 화강암 등으로 만들어진 수많은 꽃병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일부는 명문이 새겨져 있거나 상아와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었다.[18][19]

악기 행렬이 있는 선박, 비스마야, 둔덕 V, 신전,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700-2500년, 녹니석, 설화 석고 상감, 동양 연구소 박물관


아다브에서 출토된 점토판 중 시카고 대학교로 간 것들은 모두 출판되어 온라인에서 디지털 형태로 제공된다.[20] 발굴 이후, 뱅크스는 개인적으로 유적지를 방문하여 수천 개의 점토판을 구매했고, 이들은 여러 소유자에게 판매되었다. 일부는 출판되었으며, 불법 약탈로 인해 많은 점토판이 골동품 시장에 유입되어 일부가 출판되기도 했다.[21] 많은 점토판이 코넬 대학교 소장품에 포함되었다.[22][23][24][25]

2. 3. 약탈 및 훼손

20세기 후반부터 전쟁과 약탈로 인해 아다브 유적지는 심각하게 훼손되었다.[26] 특히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조직적인 약탈이 증가하여, 수많은 유물들이 불법적으로 반출되었다.[27] 약탈된 점토판 중 일부는 사르곤 시대의 것으로, 여러 수집가에게 판매되었으며, 고고학적 맥락을 잃었지만 많은 수가 출판되고 있다.[27]

3. 역사

아다브는 기원전 4천년 후반 우루크에서 발견된 문서에 언급되어 있지만, 그 시대의 유물은 유적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34]

3. 1. 초기 왕조 시대

우루크의 왕 루갈키살시로 추정되는 남자 흉상. 석회암 재질이며 초기 왕조 시대 III기에 제작되었다. 아다브(비스마야)에서 출토되었다.


아다브는 적어도 초기 왕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이다. 수메르어 텍스트 ''이난나의 저승 하강'' (Inanna's descent to the netherworld)에 따르면, 우루크의 두무지드가 통치하던 시기에 아다브에는 이난나 여신을 모시는 ''E-shar'' 신전이 있었다. 같은 시리즈의 또 다른 텍스트인 ''두무지드의 꿈''에서는 우루크의 두무지드가 아다브를 포함한 수메르 주요 도시 출신의 굶주린 군중 때문에 그의 풍요로움에서 쫓겨나는 내용이 나온다.

키시의 왕 메실림이 아다브를 통치했다는 사실은 비스마야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알 수 있다. 한 비문 조각에는 "키시의 왕 메실림이 에사르에 [이 그릇을] 바쳤으니, 살키살시가 아다브의 파테시(지배자)이다."라고 적혀 있다.[35] 수메르 왕 목록에 나오는 아다브의 왕 루갈안네문두는 몇몇 동시대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 훨씬 후대에 만들어진 일부 사본에는 그가 엘람에서부터 레바논요르단을 따라 아모리인 영토까지 뻗어 있는 넓지만 짧았던 제국을 세웠다고 주장한다.[36] 아다브는 또한 에블라가 알 수 없는 세력에 의해 파괴되기 직전, 시리아 북부 에블라의 무역 파트너로서 대략 같은 시대의 에블라 토판에 언급되어 있다.[37]

비스마야에서는 루갈다우두, 다우두, 루갈달루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는 아다브의 또 다른 왕의 이름이 새겨진 대리석 조각상이 발견되었다.[38][39] 라가시의 통치자 에안나툼의 비문도 아다브에서 발견되었다.[40]

4. 통치자 목록

수메르 왕 목록에는 루갈안네문두 왕의 이름만 언급되어 있지만,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여러 통치자들의 이름이 밝혀졌다.[50]

아다브의 통치자 목록
묘사이름계승칭호연대비고
초기 왕조 시대 IIIa기
루갈-안네-문두 아다브 제국
루갈안네문두
𒈗𒀭𒉌𒈬 ಕಂಚుడు
불분명세계의 4방면 왕
수메르의 왕
아다브의
불확실; 초기 왕조 시대(ED) III기에 경이었을 수 있음
(90년)
* 수메르 왕 목록과 다른 비문에 알려짐
룸마
𒈝𒈠
불분명아다브의 총독불확실; 초기 왕조 시대 (ED) IIIa기에 경이었을 수 있음[50]
닌-키살시
𒎏 केवाईसी𒋛
불분명아다브의 총독 :
메두르바
𒈨addKillባ
불분명아다브의 왕불확실; 이 두 통치자는 ED IIIa기에 경이었을 수 있음temp. :
에파에
𒂍𒉺𒌓𒁺[33]
불분명아다브의 왕temp. :
초기 왕조 시대 IIIb기
루갈-달루
𒈗𒁕𒇻
불분명아다브의 왕temp. :
파라가네두
rparamene
불분명아다브의 총독불확실; 이 통치자는 EDIIIb기에 경이었을 수 있음temp. :
--에-이기님파에
𒂍𒅆ଞ्जꯤymology
불분명아다브의 총독temp. :
무그-시
मूलनेंसी
불분명아다브의 총독temp. :
우르상케쉬불분명불확실; 이 두 통치자는 EDIIIb기에 경이었을 수 있음temp. :
엔메안누불분명temp. :
원 제국 시대
하르투아쉬기불분명불확실; 이 두 통치자는 원 제국 시대에 경이었을 수 있음temp. :
'메스기갈'
गेम्सकीगल
불분명바살 움마와 (나중에는) 아카드 아래 아다브의 총독temp. :
아카드 시대
'사루-알리'불분명아카드 아래 바살 총독temp. :
'루갈-아자구'
𒈗𒀀𒈬
불분명아카드 아래 아단의 바살 총독temp. :
'루갈-기스'
𒈗𒄑
불분명아카드 아래 아다브의 바살 총독temp. :
'우르-투르'
𒌨𒀭𒌉
불분명아카드 아래 아다브의 바살 총독temp. :
'아마르-수바'
োর্ড자문থাই
불분명아카드 아래 아다브의 바살 총독temp. :
구티 시대
우르두무불분명아다브의 총독불확실temp. :
우르 3왕조
'아마르-수바'
োর্ডজাಮಾನ타
불분명우르 아래 아다브의 바살 총독불확실temp. :


참조

[1] 논문 Old Babylonian Letters from Bismya https://www.journals[...]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16
[2] 논문 Some Sumerian city-names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1967
[3] 서적 Historical Framework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1
[4] 논문 Untersuchungen zum Pantheon von Adab im 3. Jt. AfO 2005-2006
[5] 논문 Excavations in Iraq, 1981-82 Iraq 1983
[6] 서적 Nippur, or Explorations and Adventures on the Euphrates; the narrativ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pedition to Babylonia in the years 1888-1921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1897
[7] 서적 Nippur, or Explorations and Adventures on the Euphrates; the narrativ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pedition to Babylonia in the years 1888-1921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1897
[8] 학술지 Die Umgebung von Fara und Abu Hatab http://idb.ub.uni-tu[...] 1903
[9] 서적 Bismya; or The lost city of Adab : a story of adventure, of exploration, and of excavation among the ruins of the oldest of the buried cities of Babylonia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1912
[10] 논문 Report No. 23 from Bismya https://www.journals[...] The Biblical World 1904
[11] 논문 Plain Stone Vases from Bismya https://www.journals[...]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05
[12] 논문 The Oldest Statue in the World https://archive.org/[...]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04-10
[13] 서적 Hidden messages under the temple: Foundation deposits and the restricted presence of writing in 3rd millennium BCE Mesopotamia De Gruyter 2014
[14] 서적 Adab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15] 논문 The Bismya Temple https://www.journals[...]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05-10
[16] 논문 Der Kalendar von Adab im 3. Jahrtausend RAI 2013
[17] 서적 Sargonic inscriptions from Adab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Ancient Civillizations 1989
[18] 서적 Bismaya: Recovering the Lost City of Adab -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138 https://oi.u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 논문 Reports No. 24 and 25 from Bismya https://www.journals[...] The Biblical World 1904
[20] 서적 Cuneiform Series, Vol. II: Inscriptions from Adab https://isac.uchica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0
[21] 학술지 A Previously Unpublished Lawsuit from Ur III Adab https://cdli.ucla.ed[...] 2002
[22] 서적 Classical Sargonic tablets chiefly from Adab in the Cornell University collections CDL Press 2009
[23] 서적 Classical Sargonic Tablets Chiefly from Adab in the Cornell, University Collections. Part II CDL Press 2012
[24] 서적 Middle Sargonic tablets chiefly from Adab in the Cornell University collections CDL Press 2015
[25] 서적 Early dynastic and early Sargonic tablets from Adab in the Cornell University collections CDL Press 2010
[26] 학술지 The final report of Basmaia excavations (first season) 2002
[27] 서적 Le tavolette cuneiformi di Adab. Le tavolette cuneiformi di varia provenienzia. (Le tavolette cuneiformi delle collezioni della Banca d'Italia 1 & 2) Banca d'Italia 2006
[28] 학술지 New Results on Ancient Settlement Patterns in the South-Eastern Qadisiyah Region (Iraq). the 2016-2017 Iraqi-Italian Qadis Survey Project https://www.iasj.net[...] 2017
[29] 학술지 The rise of urbanized landscapes in Mesopotamia: The QADIS integrated survey results 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layered historical landscapes https://www.degruyte[...] 2019
[30] 학술지 Rediscovering the Heartland of Cities https://site.unibo.i[...] 2020
[31] 학술지 Development of water management strategies in southern Mesopotamia during the fourth and third millennium B.C.E. https://onlinelibrar[...] 2024
[32] 학술지 The Iraqi-Italian Qadis project: Report on six seasons of integrated survey 2020
[33] 논문 Eine Statuette des Epa’e, eines frühdynastischen Herrschers von Adab 2002
[34] 논문 The Archaic Texts from Uruk 1986
[35] 논문 Two Inscriptions of Mesilim, King of Kish https://ia903202.us.[...] 1914
[36] 논문 "The Names of the Leaders and Diplomats of Marḫaši and Related Men in the Ur III Dynasty" https://cdli.mpiwg-b[...] 2017
[37] 서적 "Eblaitica: Essays on the Ebla Archives and Eblaite Language, Volume 3" Eisenbrauns 1992
[38] 논문 "The Names of Two Kings of Adab" https://archive.org/[...] 1913
[39] 논문 "Statue of the Sumerian King David" https://scholar.arch[...] 1905
[40] 논문 "Eannatum and the Kings of Adab" 1977
[41] 논문 A New Look at Naram-Sin and the "Great Rebellion" 1995
[42] 간행물 "The palace of Adab during the Sargonic period" https://digital.csic[...] Harrassowitz, Wiesbaden 2019
[43] 서적 "Enheduana: The Complete Poems of the World's First Author"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2023
[44] 간행물 Šulgi E3/2.1.2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1997
[45] 논문 "Who was the Successor of Habaluge, ensi₂ of Ur III Adab?" 2023
[46] 간행물 "Šū-Sîn E3/2.1.4"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47] 웹사이트 "RIME 4.03.06.Add21 (Laws of Hammurapi) Composite Artifact Entry" https://cdli.ucla.ed[...] 2024-07-11
[48] 학술지 "The Sumerian Folktale of the Three Ox-Drivers from Adab" 1991
[49] 논문 "The Latest Reports from the Excavations at Bismya" https://www.journals[...] 1904
[50] 학술지 "Toward a Chronology of Early Dynastic Rulers in Mesopotamia" https://www.academia[...] 2015-01
[51] 서적 Adab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3
[52] 문서 Sargonic Cuneiform Tablets in the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The Carl L. Lippmann Collection (with the collaboration ofM .E. Milone andE. Markina). Catálogo del Gabinete de Antigüedades 1.1.6. Madrid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