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벨의 합 공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벨의 합 공식은 수열과 함수의 곱의 합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 공식이다. 이 공식은 실수 또는 복소수 항의 수열과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한 함수에 대해 항등식을 제공하며, 리만-스틸체스 적분을 사용하여 유도된다. 아벨의 합 공식은 조화 급수, 리만 제타 함수,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등 다양한 수학적 문제의 해결에 활용되며, 극한 형태와 특수한 경우에 대한 변형된 공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합법 - 조절 (물리학)
    조절은 물리학, 특히 양자장론에서 무한대 문제를 해결하고 유한한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차원 조절, 파울리-빌라르 조절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론의 예측 능력을 향상시킨다.
  • 총합법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은 적분과 합의 차이를 고차 도함수로 나타내며, 베르누이 수와 나머지 항을 포함하여 합과 적분 간의 근사 관계를 제공하고, 바젤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해석학 정리 - 옌센 부등식
    옌센 부등식은 볼록 함수 f에 대해 f의 기댓값은 f의 인수의 기댓값에 적용된 함수 값보다 크거나 같다는 부등식으로,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을 포함한 여러 부등식 유도에 사용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해석학 정리 - 음함수와 양함수
    음함수와 양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에 따른 분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양함수, 관계식이 한 식 안에 포함된 경우를 음함수라 하며, 음함수는 양함수로 표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고, 음함수 미분법, 음함수 정리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수론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 xⁿ + yⁿ = zⁿ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이며, 앤드루 와일스가 모듈러성 정리를 이용하여 1995년에 증명했다.
  • 수론 정리 -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
    라그랑주 네 제곱수 정리는 모든 양의 정수를 네 개의 정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정리이다.
아벨의 합 공식
개요
종류수학적 공식, 해석학
분야미적분학, 해석학
관련 항목부분 적분, 급수, 수열
공식
설명수열 {an}과 {b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여기서 Δbn = bn+1 − bn이다. ∑n=pakpanΔbn = apbp+1 − baap − ∑n=pa+1bnΔan. 부분합의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n=pakpanbn = apbp − ba−1 − ∑n=pa−1(bn+1 − bn)an
다른 표현함수 f, g : [1, ∞) → C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p≤x≤qf(x)g'(x) = f(q)g(q) − f(p−1)g(p−1) − ∑p≤x
활용
활용 분야수론
해석학
확률론

2. 공식화

(a_n)실수복소수 항의 수열이라 하고, \phi(x)\mathcal{C}^1함수라 할 때, 아벨의 합 공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sum_{1 \le n \le x} a_n \phi(n) = A(x) \phi(x) - \int_1^x A(u) \phi'(u) \, \mathrm{d}u

여기서 A(x) := \sum_{0 < n \le x} a_n이다.

이는 리만-스틸체스 적분에 대한 부분적분 공식과 같다.

2. 1. 기본 공식

a_n실수복소수 항의 수열이라 하고, \phi(x)[x, y]에서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한 함수라고 할 때,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

:\sum_{x< n\le y} a_n\phi(n) = A(y)\phi(y) - A(x)\phi(x) -\int_x^y A(u)\phi'(u)\,\mathrm{d}u \,

여기서 A(x):= \sum_{0 < n \le x} a_n \,이다.

이는 부분 적분을 리만-스틸체스 적분에 적용하여 유도된다.

왼쪽 끝점을 -1로 하면 다음과 같은 공식이 된다.

:\sum_{0 \le n \le x} a_n\phi(n) = A(x)\phi(x) - \int_0^x A(u)\phi'(u)\,du.

수열 (a_n)n = 1부터 시작하는 경우, a_0 = 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전 공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sum_{1\le n \le x} a_n\phi(n) = A(x)\phi(x) - \int_1^x A(u)\phi'(u)\,\mathrm{d}u \,

2. 2. 일반화된 공식

아벨의 합 공식(Abel's summation formula)의 일반화된 공식은 다음과 같다.

:\sum_{x< n\le y} a_n\phi(n) = A(y)\phi(y) - A(x)\phi(x) -\int_x^y A(u)\phi'(u)\,\mathrm{d}u \,

여기서 a_n \,실수복소수 항의 수열이고, \phi (x) \,\mathcal{C}^1 \, 급의 함수이며, A(x):= \sum_{0 < n \le x} a_n \,이다. 이 공식은 리만-스틸체스 적분에 대한 부분적분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

2. 3. 리만-스틸체스 적분 표현

실수복소수 항의 수열 a_n \,\mathcal{C}^1 \,함수 \phi (x) \,에 대해,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

:\sum_{1\le n \le x} a_n \phi(n) = A(x)\phi(x) - \int_1^x A(u)\phi'(u) \, \mathrm{d}u \,

여기서 A(x):= \sum_{0 < n \le x} a_n \,이다. 이는 리만-스틸체스 적분에 대한 부분적분 공식과 같으며, 더 일반적인 식은 다음과 같다.

:\sum_{x< n\le y} a_n\phi(n) = A(y)\phi(y) - A(x)\phi(x) -\int_x^y A(u)\phi'(u)\,\mathrm{d}u \,.

t가 임의의 실수일 때, 부분 합 함수 A(t) = \sum_{0 \le n \le t} a_n[x, y]에서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한 함수 \phi에 대해, 위 공식은 부분 적분을 리만-스틸체스 적분에 적용하여 유도된다.

리만-스틸체스 적분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int_x^y fdA=A(y)f(y)-A(x)f(x)-\int_x^y Adf

2. 4. 시작점 변형

왼쪽 끝점을 -1로 하면 다음과 같은 공식이 얻어진다.

:\sum_{0 \le n \le x} a_n\phi(n) = A(x)\phi(x) - \int_0^x A(u)\phi'(u)\,du.

수열 (a_n)n = 1부터 시작하는 경우, a_0 = 0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sum_{1 \le n \le x} a_n\phi(n) = A(x)\phi(x) - \int_1^x A(u)\phi'(u)\,du.

2. 5. 극한 형태

아벨의 합 공식(Abel's summation formula)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공식의 극한을 x \to \infty로 취하는 것이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무한급수에 대한 공식을 얻는다.

:\begin{align}

\sum_{n=0}^\infty a_n\phi(n) &= \lim_{x \to \infty}\bigl(A(x)\phi(x)\bigr) - \int_0^\infty A(u)\phi'(u)\,du, \\

\sum_{n=1}^\infty a_n\phi(n) &= \lim_{x \to \infty}\bigl(A(x)\phi(x)\bigr) - \int_1^\infty A(u)\phi'(u)\,du.

\end{align}

이 공식들은 오른쪽 항의 두 극한이 모두 존재하고 유한할 때 성립한다.

특히 모든 n \ge 0에 대해 수열 a_n = 1인 경우가 유용하다. 이 경우 A(x) = \lfloor x + 1 \rfloor이고, 아벨의 합 공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sum_{0 \le n \le x} \phi(n) = \lfloor x + 1 \rfloor\phi(x) - \int_0^x \lfloor u + 1\rfloor \phi'(u)\,du.

마찬가지로 a_0 = 0이고 모든 n \ge 1에 대해 a_n = 1인 수열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sum_{1 \le n \le x} \phi(n) = \lfloor x \rfloor\phi(x) - \int_1^x \lfloor u \rfloor \phi'(u)\,du.

x \to \infty로 극한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begin{align}

\sum_{n=0}^\infty \phi(n) &= \lim_{x \to \infty}\bigl(\lfloor x + 1 \rfloor\phi(x)\bigr) - \int_0^\infty \lfloor u + 1\rfloor \phi'(u)\,du, \\

\sum_{n=1}^\infty \phi(n) &= \lim_{x \to \infty}\bigl(\lfloor x \rfloor\phi(x)\bigr) - \int_1^\infty \lfloor u\rfloor \phi'(u)\,du,

\end{align}

여기서 오른쪽 항의 두 항이 모두 존재하고 유한하다고 가정한다.

2. 6. 특수한 경우

모든 n \ge 0에 대해 a_n = 1인 경우, A(x) = \lfloor x + 1 \rfloor이다. 이 경우 아벨의 합 공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sum_{0 \le n \le x} \phi(n) = \lfloor x + 1 \rfloor\phi(x) - \int_0^x \lfloor u + 1\rfloor \phi'(u)\,du.

마찬가지로, a_0 = 0이고 모든 n \ge 1에 대해 a_n = 1인 경우, 공식은 다음과 같다.

:\sum_{1 \le n \le x} \phi(n) = \lfloor x \rfloor\phi(x) - \int_1^x \lfloor u \rfloor \phi'(u)\,du.

3. 활용 예시

아벨 합 공식은 여러 수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디리클레 급수에 적용할 수 있다.

a_n = \mu(n)이 뫼비우스 함수이고 \phi(x) = x^{-s}이면, A(x) = M(x) = \sum_{n \le x} \mu(n)는 메르텐스 함수이며, 다음 공식이 \Re(s) > 1에서 성립한다.

:\frac{1}{\zeta(s)} = \sum_{n=1}^\infty \frac{\mu(n)}{n^s} = s\int_1^\infty \frac{M(u)}{u^{1+s}}\,du.

3. 1.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만약 a_n = 1이고 \phi(x) = \frac{1}{x}이면, A(x) = \lfloor x \rfloor이며 공식은 다음과 같다.

:\sum_{n=1}^{\lfloor x \rfloor} \frac{1}{n} = \frac{\lfloor x \rfloor}{x} + \int_1^x \frac{\lfloor u \rfloor}{u^2} \,du.

좌변은 조화수 H_{\lfloor x \rfloor}이다.

조화 급수 \sum_{1\leq n\leq x} \frac{1}{n}에 대해, a_n=1 (n=1,2, \cdots), f(t)= \frac{1}{t} 로 두면 A(x)=\lfloor x\rfloor 이므로

:\sum_{n=1}^x \frac{1}{n} = \frac{\lfloor x\rfloor}{x} + \int_1^x \frac{\lfloor t\rfloor}{t^2} dt = \log x+1- \frac{\{x\}}{x} - \int_1^x \frac{\{t\}}{t^2}dt

가 성립한다. 이로부터

:\sum_{n=1}^x \frac{1}{n} = \log x+\gamma + O \left( \frac{1}{x} \right)

가 되는 상수 \gamma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상수 \gamma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라고 한다.

3. 2. 리만 제타 함수

a_n = 1 이고 \phi (x) = \frac{1}{x^s} 이라면, A(x) = \lfloor x \rfloor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 \sum_{n=1}^\infty \frac{1}{n^s} = s\int_1^\infty \frac{\lfloor u\rfloor}{u^{1+s}} \mathrm{d}u

이 공식은 \Re(s) > 1 에 대해서 성립한다. 이 공식을 이용하면 리만 제타 함수 \zeta(s)가 s = 1에서 유수 1인 단순극을 갖는다는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복소수 s를 고정한다. 만약 n \ge 1에 대해 a_n = 1이고 \phi(x) = x^{-s}이면, A(x) = \lfloor x \rfloor이고 공식은 다음과 같다.

:\sum_{n=1}^{\lfloor x \rfloor} \frac{1}{n^s} = \frac{\lfloor x \rfloor}{x^s} + s\int_1^x \frac{\lfloor u\rfloor}{u^{1+s}}\,du.

만약 \Re(s) > 1이면, x \to \infty로 갈 때 극한이 존재하며, 다음과 같은 공식을 얻는다.

:\zeta(s) = s\int_1^\infty \frac{\lfloor u\rfloor}{u^{1+s}}\,du.

여기서 \zeta(s)리만 제타 함수이다.

이것은 \zeta(s)가 s = 1에서 단순 극점을 가지며 잉여가 1이라는 디리클레 정리를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3. 3. 리만 제타 함수의 역수

a_n = \mu(n) (뫼비우스 함수)이고 \phi(x) = \frac{1}{x^s}인 경우, A (x) = M(u) = \sum_{n \le x} \mu (x) \,는 메르텐스 함수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 \sum_1^\infty \frac{\mu(n)}{n^s} = s \int_1^\infty \frac{M(u)}{u^{1+s}} \mathrm{d}u \,.

이 공식은 \Re(s) > 1 \,에서 성립한다.

앞선 예제의 기법은 다른 디리클레 급수에도 적용될 수 있다. a_n = \mu(n)이 뫼비우스 함수이고 \phi(x) = x^{-s}이면, A(x) = M(x) = \sum_{n \le x} \mu(n)는 메르텐스 함수이며,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frac{1}{\zeta(s)} = \sum_{n=1}^\infty \frac{\mu(n)}{n^s} = s\int_1^\infty \frac{M(u)}{u^{1+s}}\,du.

이 공식은 \Re(s) > 1에서 성립한다.

4. 관련 정리 및 개념

이 정리는 아벨의 급수 변형법의 특수한 경우이다.

또한, 리만-스틸체스 적분의 부분 적분 공식이기도 하며, 리만-스틸체스 적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int_x^y fdA=A(y)f(y)-A(x)f(x)-\int_x^y Adf

증명에 관해서는 Apostol, 제3장 및 제4장이나 Hardy-Wright, 제22장을 참조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